KR101536043B1 -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043B1
KR101536043B1 KR1020127030774A KR20127030774A KR101536043B1 KR 101536043 B1 KR101536043 B1 KR 101536043B1 KR 1020127030774 A KR1020127030774 A KR 1020127030774A KR 20127030774 A KR20127030774 A KR 20127030774A KR 101536043 B1 KR101536043 B1 KR 10153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oxyethylene
component
group
ethyl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934A (ko
Inventor
다케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알칼리 금속염 등을 상기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에도,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유지하여,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우수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의 성분 (A) ∼ (D)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D) 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Description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AQUEOUS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CONTAINER}
본 발명은 수상으로부터 수분 증산이 억제된 안정성이 양호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식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는, 기제로서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많이 존재하고, 그와 같은 수계 조성물에서는, 조성물 중으로부터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경우, 조성물은 밀폐 용기에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날마다의 사용에 의한 뚜껑의 개방 등에 의해, 수계 조성물로부터 서서히 물이 증발되어 가, 물성의 변화나, 변색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 스프레이식 용기, 펌프식 용기 등에서는, 토출시킨 내용물이 토출구에 잔존하여, 토출구 부근에서 건조되어 버리기 때문에 토출구에 부착된 내용물이 변색·변취를 발생시켜, 사용감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용물이 건조 고화되어 클로깅을 발생시켜, 경우에 따라서는 토출 불능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내용물의 고화를 억제하여, 토출 용기의 클로깅을 방지하기 위해, 25 ℃ 이하에서 고형상의 물질 및/또는 피막 형성 고분자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에 대해 불휘발성의 액상유를 특정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내용물의 고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불휘발성 유제를 많이 배합할 필요가 있어, 제형에 제한이 있었다. 또, 불휘발성 유제를 특정 비율로 배합해도 내용물의 고화가 발생하여, 클로깅을 억제하는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수가 5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를 유화 조성물에 배합함으로써, 고농도의 알코올을 배합했을 때의 유화계의 시간 경과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는데 (특허문헌 2, 3 참조), 이것은 유화계의 경도나 점도의 저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물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13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66844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11-508253호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 (D)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D) 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다음의 성분 (A) ∼ (C)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계 조성물 중에,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및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의 수분 증산을 억제함으로써 내용물의 고화나 성상 변화를 억제하여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스프레이식 용기, 펌프식 용기에 사용했을 때에도 토출구에 부착된 내용물의 건조를 억제하여, 클로깅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수용성 고분자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그 효과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로서,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며,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것을 사용한 경우에 특히 우수한 것을 알아내었다.
그런데, 이러한 수계 조성물을 화장료나 의약 부외품, 의약품 등에 응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생리 작용이나 약리 작용 등을 갖는 수용성 성분의 배합을 검토하여, 여러 가지 알칼리 금속염 등을 배합한 결과, 상기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알칼리 금속염 등을 상기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에 배합한 경우에도,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유지하여,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우수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수계 조성물에 수용성 고분자와,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에 추가하여,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염 등의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을 배합한 경우에도,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염 등의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을 배합한 경우에도,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높아, 장기간 보존해도 분리 등의 외관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우수한 수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소량의 상기 (A) 성분 (이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POE 알킬에테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높은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발현, 유지되기 때문에 제형의 제한이 없고, 사용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1] 다음의 성분 (A) ∼ (D)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D) 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다음의 성분 (A) ∼ (C)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 억제제.
[3] 수계 조성물 중에,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및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를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 억제 방법.
[4]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3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1]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5]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2.5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1] 혹은 [4]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혹은 [4] 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혹은 [4] 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6] 성분 (A) 가, 폴리옥시에틸렌 (2) 아라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 카르나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카르나빌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4) 카르나빌에테르에서 선택되는 것인 [1], [4],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7]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1 ∼ 23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4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1], [4] ∼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8]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1 ∼ 23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3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1], [4] ∼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9]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1 ∼ 23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2.5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1], [4] ∼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0] 성분 (A) 가, 폴리옥시에틸렌 (2) 베헤닐에테르인 [1], [4] ∼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1] 성분 (A)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5 ∼ 20 질량% 함유하는 [1], [4] ∼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2] 성분 (A)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1 ∼ 20 질량% 함유하는 [1], [4] ∼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3] 성분 (A)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1 ∼ 10 질량% 함유하는 [1], [4] ∼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4] 성분 (B) 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잔탄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 [4] ∼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5] 성분 (B)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5 질량% 함유하는 [1], [4] ∼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6] 성분 (B)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5 ∼ 3 질량% 함유하는 [1],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7] 성분 (C)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이상인 [1],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8] 성분 (C)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200 인 [1], [4] ∼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19] 성분 (C) 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 [4] ∼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0] 성분 (C) 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1], [4] ∼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1] 성분 (C)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01 ∼ 15 질량% 함유하는 [1], [4] ∼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2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2] 성분 (C)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05 ∼ 10 질량% 함유하는 [1], [4] ∼ [2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2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2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3] 성분 (C)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5 질량% 함유하는 [1], [4] ∼ [2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2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2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4] 추가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1], [4] ∼ [2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2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2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5] 추가로 (E) 주기표 1 족의 금속, 주기표 2 족의 금속, 및 이들 금속의 수용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1], [4] ∼ [2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4] ∼ [2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3], [4] ∼ [2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6] 상기 성분 (E) 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이들 수용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25] 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수분 증산 억제제 또는 수분 증산 억제 방법.
[27] 형태가, 수용액, 또는 연속상이 수상인 유화계인 [1], [4] ∼ [2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8] 화장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또는 식품용 수계 조성물인 [1], [4] ∼ [2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계 조성물이란, 수상이 연속상인 조성물로서,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 조성물, 연속상에 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W/O/W 형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상이란, 물을 함유하는 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이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수용성 고분자, 물을 함유하는 수계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수분 증산 속도가 대폭 올라가는 물질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시험 방법 (시험 1) 에서, 표 1 의 조성물의 수분 증산 속도가, 시험 물질을 첨가하고 있지 않은 표 1 의 조성물의 수분 증산 속도에 대해 10 ㎎/h 이상 올라가는 물질이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2) 베헤닐에테르 1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5 질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질량%
10 % 수산화 칼륨 0.37 질량%
시험 물질 0.1 질량%
파라옥시벤조산메틸 0.1 질량%
순수 잔량
특히, 주기표 1 족의 금속 (알칼리 금속), 주기표 2 족의 금속, 및 이들 금속의 수용성 화합물에 있어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및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수계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현저하게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의약품,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는, 인체에 대한 적응성을 고려하면, 특히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이들 수용성 화합물에 대한 수분 증산 억제 저해의 영향이 중요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성 유기산 나트륨염, 수용성 무기산 나트륨염, 할로겐화 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수용성 유기산 칼륨염, 수용성 무기산 칼륨염, 할로겐화 칼륨, 수산화 칼륨, 수용성 유기산 마그네슘염, 수용성 무기산 마그네슘염, 할로겐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용성 유기산 칼슘염, 수용성 무기산 칼슘염, 할로겐화 칼슘, 수산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스코르브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이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에데트산사나트륨, 에데트산이나트륨칼슘, 염화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이나트륨, 글리실리진산나트륨, 글리실레진산이나트륨, 글루타민산나트륨, 숙신산이나트륨, 수산화 나트륨, 소르빈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데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 메타규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사나트륨, 피롤린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인산일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아스코르브산칼륨,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이칼륨, 알긴산칼륨, 벤조산칼륨, 에데트산이칼륨, 에데트산삼칼륨, 에데트산사칼륨, 에데트산이칼륨칼슘, 염화칼륨, 시트르산칼륨, 시트르산이칼륨, 글리실리진산칼륨, 글리실레진산이칼륨, 글루타민산칼륨, 숙신산이칼륨, 수산화 칼륨, 소르빈산칼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데하이드로아세트산칼륨, 메타규산칼륨, 메타인산칼륨, 하이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사칼륨, 피롤린산칼륨, 피로아황산칼륨, 헥사메타인산칼륨, 폴리인산칼륨, 황산칼륨, 아황산칼륨, 아황산수소칼륨, 인산일칼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삼칼륨, 염화칼슘, 수산화 칼슘, 아세트산칼슘, 탄산칼슘, 티오글리콜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티오글리콜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등, 이들 물질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는 것은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의 수계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약효, 작용을 고려하면, 0.0001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0.0001 ∼ 10 질량%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각종 약효,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이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는, 직사슬이어도 되고 분기사슬이어도 되며, 그 구조는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사슬의 알킬기이다.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는 20 ∼ 24 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1 ∼ 23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2 의 베헤닐기이다.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4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상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제제 상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5 ∼ 4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 ∼ 3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5 이다. 평균 부가 몰수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결정성이 높아, 수상에 잘 용해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평균 부가 몰수가 4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입수 가능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는, 에틸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에 관해서는, 원하는 중합도를 중심으로 하여 매우 폭 넓게 분포된 혼합물인데, 평균 부가 몰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요하다.
본 발명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로서, 주로 폴리옥시에틸렌 (2) 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아랄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 카르나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카르나빌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카르나빌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2)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베헤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평균 부가 몰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이들 예시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이외의 것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 중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5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20 질량%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다. 당해 범위 내이면,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높아, 수상에 용이하게 배합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에는, (B)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된다.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를 수상 중에 안정적으로 분산 유지시켜, 수분 증산 억제 효과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로는, 수용성 카티온성 고분자, 아니온성 고분자, 비이온성 고분자, 및, 양성 고분자 또는 쌍극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고분자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 형 카티온성 폴리머, 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 카티온성 폴리머, 또는 제 4 급 질소 함유 셀룰로오스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피클로르하이드린, 프로필렌아민 및 우지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탈로일아민의 축합 생성물, 또는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티온화물 등이며, 폴리(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 형 카티온성 고분자로는, 마코트 100 (Merquat100) 이라는 상품명으로 미국 머크사 (Merck &Co. Inc.)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할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형 카티온성 폴리머로는 마코트 550 (Merquat 550) [미국 머크사 (Merck & Co., Inc.)]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피클로르하이드린, 프로필렌아민 및 탈로일아민 혹은 코코일아민의 축합 생성물의 예로는, 폴리코트 H (Polyquat H) 라는 상품명으로, 서독 헨켈사 (Henkel International Co.)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제 4 급 질소 함유 셀룰로오스는, 폴리머 JR-400 (Polymer JR-400), 폴리머 JR-125 (Polymer JR-125) 폴리머 JR-30M (Polymer JR-30M) 이라는 상품명으로, 미국 유니온 카바이트사 (Union Carbide Corp.)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이다.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카티온화물은 가프코트 755 (Gafquat 755), 가프코트 734 (Gafquat 734) 라는 상품명으로 미국 GAF 사 (GAFCorp.) 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이다.
아니온성 고분자로는,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 한천, 가티검, 카라야검, 펙틴, 알기네이트염, 마찬가지로 폴리(아크릴산)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염 등의 아크릴 또 메타크릴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고분자로는,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검, 로카스트빈 고무, 아밀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아밀로오스, 히알루론산 및 그 알칼리 금속염, 전분 및 전분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고분자 또는 쌍극성 고분자로서, 구체적으로는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4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제형으로의 응용의 용이함으로부터,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잔탄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 코폴리머, 히알루론산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3 질량% 이다. 당해 범위 내이면, 제제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를 제외한다) 로는 에테르형과 에스테르형을 들 수 있고, 에테르형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에스테르형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사용감, 안전성 면에서 에스테르형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120 이다. 당해 범위 내이면, 피부 자극성이 적고,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높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7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9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20) 트리스테아르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40)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50)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60)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75)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100)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8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10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4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경화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0) 경화 피마자유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 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01 ∼ 15 질량% 가 바람직하고, 0.005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 5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 내이면, 피부 자극성이 낮고, 양호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의 함유 질량비는 1 : 20 ∼ 50 : 1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2 ∼ 20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 ∼ 15 : 1 이다. 당해 범위 내이면, 양호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수상에 대한 용해 성을 높이기 위해, 다가 알코올을 추가로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가 알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1000 미만),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평균 분자량 : 1000 미만), 이소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함유량에 대해, 질량비로 0.5 ∼ 5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5 배, 나아가 1 ∼ 20 배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 내이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용해성이 양호하고, 양호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고급 알코올류, 지방산류, 에스테르류, 스테롤류, 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탄화수소류, 유지류, 실리콘 오일, 보습제, 식물 엑기스, 비타민류, 산화 방지제, 방균 방부제, 소염제, 곤충 기피제, 생리 활성 성분, 염류, 킬레이트제, 중화제, pH 조정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 중의 수분량은, 수용액 또는 연속상이 수상인 O/W 계나 W/O/W 계의 유화계를 형성할 수 있는 양이면 되고,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은, 제제의 안정성이 유지되어 있으면, 점도 (25 ℃) 가 100 mPa·s 이하인 저점도의 액상이어도 높은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의 제형은, 수상이 연속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멀션, 젤상, 스프레이상, 무스상 등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의 용도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화장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식품 (건강 식품을 포함한다)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샴푸, 린스,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 세안료, 클렌징 화장료,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팩, 맛사지 화장료 등의 피부 화장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기로는, 어느 정도의 밀폐성을 갖는 용기이며, 뚜껑이 있는 병, 항아리모양 병, 튜브, 스프레이 용기, 펌프식 용기, 펌프식 포머 용기 등, 상기 바람직한 용도에 이용되는 용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기에, 상기 수계 조성물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 용기, 펌프식 용기, 펌프식 포머 용기 등의 토출 용기에 본 발명의 수계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고화되기 쉬운 고체 지방질이나 분말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토출구에서의 변질 (변색, 변취) 이나 클로깅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성분의 양은 질량% 이다.
[시험 1]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의 수분 증산 억제 효과
하기 표 2 에 나타내는 성분의 시료 1 ∼ 14 를 개구 면적 13.85 ㎠ 의 샬레에 5 g 첨가하고, 습도 30 %, 온도 30 ℃ 하에서 1, 3, 5, 7, 12, 18, 24 시간 경과 후의 시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중량 변화의 기울기를 최소 이승법에 의해 산출되는 (nX+m ; X 는 시간 h) 의 n 을 수분 증산 속도 (단위 : ㎎/h) 로 하여, 절대값으로서 플롯하였다. 각 시료 계 3 회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또한, 수분 증산 속도가 작을수록 증산을 억제한 것이 된다.
(성분) 함유량 (%)
표 3 에 기재한 POE 알킬에테르 1
2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신타렌 K, 와코 순약 공업사 제조)
5
10 % 수산화 칼륨 0.37
파라옥시벤조산메틸 0.1
순수 잔량
Figure 112012096895093-pct00001
시험 1 로부터 평균 부가 몰수가 5 인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를 비롯하여, 다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 대해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특히 2 인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가 우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2] 수분 증산 억제 효과
하기 표 4 및 5 에 나타내는 성분의 실시예 1 ∼ 5, 비교예 1 ∼ 7 및 컨트롤을 시험 1 과 동일하게 하여 수분 증산 속도를 측정하였다. 또, 컨트롤 (표 5 의 컨트롤) 에 대한 수분 증산 억제율을 하기와 같이 정의하였다.
수분 증산 억제율 (%) = {1 -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의 수분 증산 속도)/(컨트롤에서의 수분 증산 속도)}× 100
Figure 112014127437700-pct00005
Figure 112014127437700-pct00006
(제조 방법)
A. 성분 (1), (2) 와 성분 (14) 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B. 성분 A 에 성분 (3) ∼ (13), (15) 를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시험 2 로부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A) 및 수용성 고분자의 병용에 의해 (비교예 7), 컨트롤 (122 ㎎/h) 에 비해 수분 증산이 억제되는 (41 ㎎/h)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알칼리 금속염 등을 첨가함으로써, 그 수분 증산 억제 효과는 저하된다 (비교예 1 ∼ 6). 이에 반해,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에 의한 수분 증산 억제 효과의 저하가,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레벨까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3]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분 증산 억제 효과의 농도 의존성
하기 표 6 에 나타내는 실시예 6 ∼ 11, 비교예 8, 9 를, 시험 1 및 2 와 동일한 조건에서 시료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여, 수분 증산 속도, 수분 증산 억제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12096895093-pct00004
(제조 방법)
A. 성분 (1) 과 성분 (6) 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B. 성분 A 에 성분 (2) ∼ (5), (7), (8) 를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시험 3 으로부터,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POE 경화 피마자유를,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인 글리실리진산칼륨에 대해 10 분의 1 정도의 배합량으로 수분 증산 억제 효과가 높아져, 5 분의 1 정도의 배합량으로, 수분 증산 억제 저해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레벨까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다음의 성분 (A) ∼ (E) :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D) 물; 및
    (E) 주기표 1 족의 금속 또는 주기표 2 족의 금속, 및 이들 금속의 수용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
    을 함유하고,
    (C) 성분과 (E) 성분의 함유 비율이 1 : 20 ∼ 50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가,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 1.5 ∼ 2.5 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5 ∼ 20 질량%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잔탄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산 Na/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Na) 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 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1 ∼ 5 질량%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이상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 논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200 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 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시알킬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C)를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0.001 ∼ 15 질량%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E) 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이들의 수용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형태가, 수용액, 또는 연속상이 수상인 유화계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의약품, 의약 부외품 또는 식품용 수계 조성물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성분과 (E) 성분의 함유 비율이 1 : 12 ∼ 20 : 1 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성분과 (E) 성분의 함유 비율이 1 : 4 ∼ 15 : 1 인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17. 다음의 (D), (E) 성분을 함유하는 수계 조성물에 대해, 유효 성분으로서 (A) ∼ (C) 성분을, (C) 성분이 (E) 성분에 대해 1/20 ∼ 50 (질량비) 으로서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해 수계 조성물로부터의 수분 증산을 억제하는 방법.
    (A)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의 탄소수가 20 ∼ 24 이고,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 4 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 또는 알케닐에테르
    (B) 수용성 고분자
    (C) 에틸렌옥사이드기를 갖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 (단, (A) 성분은 제외한다)
    (D) 물
    (E) 주기표 1 족의 금속 또는 주기표 2 족의 금속, 및 이들 금속의 수용성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화합물.
KR1020127030774A 2010-05-27 2011-05-26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KR10153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1631 2010-05-27
JP2010121631A JP5581115B2 (ja) 2010-05-27 2010-05-27 容器入り水系組成物
PCT/JP2011/062062 WO2011149006A1 (ja) 2010-05-27 2011-05-26 容器入り水系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934A KR20130109934A (ko) 2013-10-08
KR101536043B1 true KR101536043B1 (ko) 2015-07-10

Family

ID=4500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774A KR101536043B1 (ko) 2010-05-27 2011-05-26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0066B2 (ko)
JP (1) JP5581115B2 (ko)
KR (1) KR101536043B1 (ko)
TW (1) TWI483744B (ko)
WO (1) WO2011149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4524B2 (ja) 2010-06-07 2014-09-0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66555B1 (ko) * 2013-06-28 2020-10-16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친수성 증점제 및 화장료 조성물
US10100243B2 (en) 2015-07-13 2018-10-16 KMP Holdings, LLC Environmentally preferable microemulsion composi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6059A (en) * 1957-11-20 1964-08-25 Nikken Chemicals Co Ltd Evaporation-suppressing agents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JP2000265098A (ja) * 1999-03-17 2000-09-2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用記録液及び画像形成方法
KR20050092018A (ko) * 2002-12-19 2005-09-16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분의 변동을 억제하는 방법과 그 용도
JP2008081472A (ja) * 2006-09-28 2008-04-10 Kao Corp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32B2 (ja) * 1973-03-24 1983-08-06 トウホウチバカガクコウギヨウ カブシキガイシヤ ジヨウハツヨクセイザイ
JPH0620531B2 (ja) 1988-04-20 1994-03-23 株式会社肌粧品科学開放研究所 乳化組成物
US7566460B2 (en) 1995-06-22 2009-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le hydroalcoholic compositions
US6623744B2 (en) 1995-06-22 2003-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able hydroalcoholic compositions
EP2314272A1 (en) 1995-06-22 2011-04-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ble hydroalcoholic compositions
JP4028669B2 (ja) * 1999-12-28 2007-12-26 アジア原紙株式会社 孔版印刷用エマルジョンイ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る印刷方法
JP2003321321A (ja) 2002-04-30 2003-11-11 Lion Corp 化粧料
US20060139426A1 (en) * 2004-12-28 2006-06-29 Fuji Xerox Co., Ltd. Ink, ink set, processing solution,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ink tank, and recording device
JP5695339B2 (ja) 2010-04-27 2015-04-01 花王株式会社 容器入り水系組成物
JP5689288B2 (ja) 2010-05-17 2015-03-25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5584524B2 (ja) 2010-06-07 2014-09-0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6059A (en) * 1957-11-20 1964-08-25 Nikken Chemicals Co Ltd Evaporation-suppressing agents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JP2000265098A (ja) * 1999-03-17 2000-09-26 Fuji Xerox Co Ltd 画像表示用記録液及び画像形成方法
KR20050092018A (ko) * 2002-12-19 2005-09-16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조성물에 있어서의 수분의 변동을 억제하는 방법과 그 용도
JP2008081472A (ja) * 2006-09-28 2008-04-10 Kao Corp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1115B2 (ja) 2014-08-27
TWI483744B (zh) 2015-05-11
US8710066B2 (en) 2014-04-29
JP2011246398A (ja) 2011-12-08
KR20130109934A (ko) 2013-10-08
US20130096205A1 (en) 2013-04-18
TW201143812A (en) 2011-12-16
WO2011149006A1 (ja)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46B1 (ko)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8256B1 (ko) 이온화칼슘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 살균 효과 및 살바이러스 효과가 매우 우수한 손 소독제 조성물
KR20190126135A (ko) 소독용 조성물
KR101536043B1 (ko)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KR20160044071A (ko) 활성 성분으로 메칠3-아세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보존제 조성물
JP2003292426A (ja) 歯磨剤組成物
JP2007217394A (ja) 医薬組成物
JP5695339B2 (ja) 容器入り水系組成物
JPH09157637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WO2004105745A1 (ja) オラネキシジン水溶液、その調製方法および消毒剤
JP6741433B2 (ja) 消毒用乳化組成物
KR20160068302A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JP6118524B2 (ja) 容器入り水系組成物
JP6866058B2 (ja) 粘稠消毒剤
JP2019206492A (ja) 外用組成物
WO2013136890A1 (ja) 皮膚外用剤
JP7045750B1 (ja) 使用感を改善したアルコール系擦り込み式手指消毒組成物
JP2006117539A (ja) 油性軟膏剤
JP2023108855A (ja) 皮膚化粧料組成物
JP2021042201A (ja) 皮膚外用組成物
WO2023276203A1 (ja) 使用感を改善したアルコール系擦り込み式手指消毒組成物
JPWO2019230971A1 (ja) ジブチルヒドロキシトルエンの含量低下が抑制された眼科用液剤
JP2021187849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及び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の阻害効果の増強方法
JP2009190986A (ja) 透明ジェ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