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135A - 소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135A
KR20190126135A KR1020197030005A KR20197030005A KR20190126135A KR 20190126135 A KR20190126135 A KR 20190126135A KR 1020197030005 A KR1020197030005 A KR 1020197030005A KR 20197030005 A KR20197030005 A KR 20197030005A KR 20190126135 A KR20190126135 A KR 2019012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ondroitin sulfate
composition
disinfecting composition
disinf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타로 야마다
히데토모 사쿠라이
치카 시바타
히로유키 이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 세이야쿠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 세이야쿠,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사카 세이야쿠
Priority to KR102023701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819A/ko
Publication of KR2019012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등의 살균 등에 사용하는 소독제에 속하는 것으로, 보습제로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성을 향상시키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 및 감염의 원인이 되는 손의 거칠음을 방지하면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존재시키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을 20∼60중량%, 물을 40∼65중량%,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0.006∼1중량%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및 유지 성분,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25℃에서의 점도가 50∼300Pa·s인, 소독용 조성물 등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독용 조성물
본 발명은 손가락 등의 살균 등에 사용하는 소독제에 속하는 것으로, 보습성 및 성상이 우수한 소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이 세균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의 엔벨로프의 파괴나 효소 등의 단백질의 응고에 의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해 소독 작용을 갖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저급 알코올을 배합한 소독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한 소독제에서는 예를 들면, 손가락을 소독하기 위해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의 거칠음 등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손의 거칠음은 각층(角層)과 피지막이 제거되고 각층이 떨어져, 피부 배리어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가리키고, 이 상태는 배리어 결손부로부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함으로써 감염되기 쉬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저급 알코올을 배합해도 손의 거칠음, 즉 피부 배리어 기능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습성이 우수한 소독제가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천연 다당류 등 지방산에스테르 및 저급 알코올을 함유하고, 그 저급 알코올의 배합 비율이 20∼50중량%인 소독제가 개시되어 있다. 점성제인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배합함으로써, 손가락에 문질렀을 때에 손가락의 염류에 의해 폴리머 성분이 손가락 위에 석출(수지화)되는, 이른바 뭉침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 다당류나 그 유도체를 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30173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조성물에서는 보습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과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천연 다당류로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시사되어 있지만, 실제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배합하면, 조성물의 다른 성분의 밸런스에 의해 용해되지 않는 등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존재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 등의 살균 등에 사용하는 소독제에 속하는 것으로, 보습제로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성을 향상시키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 및 감염의 원인이 되는 손의 거칠음을 방지하면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존재시키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즉, 본 발명은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을 20∼60중량%, 물을 40∼65중량%,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0.006∼1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용 조성물이다.
[2] 그리고, 유지 성분,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25℃에서의 점도가 50∼300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소독용 조성물이다.
[3] 그리고, 상기 증점제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소독용 조성물이다.
[4]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소독용 조성물이다.
[5] 그리고, 벤제토늄염화물, 염화벤잘코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클로록실레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독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소독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등의 살균 등에 사용하는 살균제에 속하는 것으로, 보습제로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배합함으로써, 보습성을 향상시키고,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 및 감염의 원인이 되는 손의 거칠음을 방지하면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존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 중에서의 범위를 나타내는 표기가 있는 경우는 상한과 하한을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개 내지 3개의 알코올이다. 상기 저급 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의 엔벨로프의 파괴나 효소 등의 단백질의 응고에 의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상기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등 인체에 대한 악영향을 예방할 수 있다.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의 소독용 조성물에서의 함유 비율로는 20∼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 비율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이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없다. 또한, 그 함유 비율이 20중량% 미만이면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충분히 소독할 수 없어, 원하는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 다른 살균 성분 등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은 D-글루콘산 및 N-아세틸-D-갈락토사민으로 이루어지는 2당을 구성 단위로 하는 당사슬에 황산이 결합된 화합물 또는 그 황산의 수소가 나트륨, 칼륨 등으로 치환된 염이고, 보습제로서 배합된다.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배합함으로써, 소독용 조성물에서의 보습성, 특히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서의 보습성이 양호해진다.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의 소독용 조성물에서의 함유 비율로는 0.006∼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소독용 조성물에서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고, 또한, 보습성이 계속되어 사용자의 손의 거칠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유지분은 20℃∼25℃의 상온에서 액체 또는 고형의 유지이다.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유지분을 유화함으로써, 소독용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그 유지분이 손가락 등의 피부에 퍼져 피부로부터 수분이 휘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손의 거칠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분으로는 천연물, 합성물 전부 사용할 수 있고, 천연물로서 식물 유래, 동물 유래 중 어느 유지도 사용할 수 있다.
유지분으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탄소수 8∼탄소수 22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중쇄 지방산트리글리세리드,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등의 에스테르유, 미리스틸알코올(탄소수 14), 세타놀(탄소수 16), 스테아릴알코올(탄소수 18), 세토스테아릴알코올(탄소수 16 및 18의 혼합물), 베헤닐알코올(탄소수 22), 이소스테아릴알코올(탄소수 18), 2-헥실데카놀(탄소수 16), 2-옥틸도데카놀(탄소수 20) 등의 포화 1가 알코올류나, 올레일알코올(탄소수 18) 등의 불포화 1가 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대두유, 사플라워유, 포도씨유, 로즈힙유, 해바라기유, 달맞이꽃종자유, 면실유, 참기름, 소맥배아유, 아몬드유 등이 바람직하고, 불건성유로는 올리브유, 산다화유, 동백유, 피마자유, 땅콩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너트유, 헤이즐너트유, 메도우폼유, 호호바유 등이 바람직하고, 정유로는 유칼립투스유, 박하유, 로만카모마일유 등(식물유)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분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지분의 소독용 조성물에서의 함유 비율로는 0.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사용했을 때 사용자의 손의 거칠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증점제는 소독용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성분이다.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증점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독용 조성물의 점도를 소정의 점도가 되도록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증점제로는, 예를 들면, 가교형 폴리아크릴산인 카르복시비닐폴리머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구아검, 아라비아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시클로덱스트린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1종만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의 소독용 조성물에서의 함유 비율로는 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7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사용에 적합한 원하는 점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계면활성제는 소독용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크림상의 성상을 안정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소독용 조성물의 성분인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 등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수중에서 해리했을 때 양이온이 되는 계면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터 음이온으로서 염화물 이온, 수산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수중에서 해리했을 때 음이온이 되는 계면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지방산염, 모노알킬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모노알킬인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터 양이온으로서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에 음이온성 부위와 양이온성 부위 양방을 겸비하고 있고, 용액의 pH에 따라 양이온, 음이온 및 양이온과 음이온의 양쪽성이 되는 계면활성제이며, 예를 들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카르복시베타인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알킬기는 탄소수 1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부가 이온화되지 않은 친수성 부위를 갖는 활성제이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부가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 그리핀의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HLB가 3∼1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에서 폴리옥시에틸렌 골격을 갖는 것은 적절히 옥시에틸렌의 부가 몰수를 변경할 수 있다. HLB가 상기 범위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면, 소독용 조성물의 보존 안정이 우수하고, 구체적으로는 시간이 경과해도 분리 등이 일어나지 않고, 크림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1종만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HLB 3∼6의 계면활성제와 HLB 12∼17의 계면활성제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는 물이 배합된다. 물로는 일본 약국방 규격의 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돗물, 우물물 등인 상수, 그리고 증류, 이온 교환막에 의한 이온 교환 처리, 한외 여과막에 의한 한외 여과 처리 중 어느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수를 처리한 정제수, 그리고, 가열 등에 의해 정제수를 멸균 처리한 멸균 정제수 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물의 배합 비율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탄올,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제외한 잔여이고, 또한, 증점제, 계면활성제 등을 배합했을 때에는 상기를 제외한 잔여이며, 40∼6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2∼6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소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소독 성분은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로는 충분히 소독할 수 없는 균 또는 바이러스 등도 소독하기 위해 배합된다. 소독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벤제토늄염화물, 염화벤잘코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클로록실레놀 등이 바람직하고, 벤제토늄염화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독 성분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 있어서, 증점제를 배합함으로써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의 점도는 JIS K7117-1에 기재된 브룩필드형 회전 점도계 B형(도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TVB-10M」)을 사용한 계측에서 25℃ 조건하 50∼300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250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독용 조성물의 점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손가락 등의 피부에 부착되어도 바로 흘러 내리지 않고, 또한 펴바를 때에도 펴바르기 쉽다.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는 추가로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 이외인 그 밖의 보습제를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의 보습제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티톨,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히알루론산나트륨, 우레아, 락트산나트륨, 트리메틸글리신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독용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토코페롤, 비타민 C, BHT 등의 항산화제, pH 조정제, 완충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에탄올을 30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1중량부, 잔여를 물로 하여 100중량부의 조성물을 조정하고, 잘 혼합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탄올을 5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0.01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탄올을 1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탄올을 7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외관 성상]
제조 직후의 소독용 조성물의 성상에 대해 육안에 의해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 기준으로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이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는 상태를 「A」 평가로 하고,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이 용해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에 의한 흐림(cloudiness)이 발생하는 상태를 「C」 평가로 하고, 「A」평가가 바람직하며 「C」평가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보습성]
제조한 소독용 조성물의 보습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 기준으로서 전문 패널리스트 5명이 사용 후의 보습감을 1점 내지 5점의 5단계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그 평균점을 구해,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구분하고, 「A」평가가 바람직하며 「B」평가 및 「C」평가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A: 평균점이 4.0 이상
B: 평균점이 2.0 이상, 4.0 미만
C: 평균점이 2.0 미만
[살균 효력]
제조한 소독용 조성물의 살균 효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검체와 균액을 직접 접촉시킨 후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균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으로서, 컨트롤한 균수에 대해 상기 소독용 조성물과 접촉함으로써 사멸된 균수의 비율이 99.99% 이상의 효력인 것을 「A」평가로 하고, 99.99% 미만의 효력인 것을 「C」평가로 하고, 「A」평가가 바람직하며 「C」평가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3, 비교예 1∼3에 대해, 외관 성상, 보습성, 살균 효력에 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탄올 및 물을 배합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배합하면 보습성이 양호하지만, 에탄올의 배합량이 70중량부가 되면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이 용해되지 않고, 에탄올의 배합량이 10중량부 정도인 경우에는 살균 효력이 바람직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소독용 조성물로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이 균일하게 용해되는 양호한 성상을 가지면서, 바람직한 살균 효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에탄올, 물, 및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의 배합 비율이 소정의 범위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에탄올을 30중량부, 보습제인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1.0중량부, 증점제인 카르복시비닐폴리머(와코 순약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하이비스와코 103」)를 0.4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IKKOL BC-15」, HLB: 15.5)를 2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닛코 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IKKOL MGS-AMV」, HLB: 4.0)을 2중량부, 유지분인 유동 파라핀(주오 화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유동 파라핀 350S」)을 1중량부, 유지분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을 1중량부, 유지분인 스테아릴알코올을 0.5중량부, 보습제인 글리세린을 0.5중량부, 디메틸폴리실록산(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Q7-9120SILICONE FLUID350CST」)을 0.2중량부, 소독 성분인 벤제토늄염화물을 0.05중량부, 수산화나트륨을 0.072중량부, 잔여를 물로 하여 100중량부의 조성물을 조정하고, 잘 혼합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에탄올을 5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80Pa·s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0.5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95Pa·s였다.
[실시예 7]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0.1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101Pa·s였다.
[실시예 8]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0.01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95Pa·s였다.
[비교예 4]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대신에 히알루론산나트륨을 0.01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128Pa·s였다.
[비교예 5]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배합하지 않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0.05중량부, 수산화나트륨을 0.09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211Pa·s였다.
[비교예 6]
실시예 4에서 에탄올을 40중량부로 하고,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배합하지 않고,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0.05중량부, 수산화나트륨을 0.09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183Pa·s였다.
[비교예 7]
실시예 4에서 에탄올을 7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 후에 분리나 백탁 등이 있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8]
실시예 4에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0.005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105Pa·s였다.
[비교예 9]
실시예 4에서 에탄올을 1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도를 측정한 결과, 185Pa·s였다.
[외관 성상]
제조 직후의 소독용 조성물의 성상에 대해 육안에 의해 평가함에 있어서, 평가 기준으로서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이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고, 크림상이며 분리도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A」평가로 하고, 흐림은 있지만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을 용해하고 있으며 분리도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B」, 분리되어 균일하게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C」평가로 하고,「A」평가 및 「B」평가가 바람직하며 「C」 평가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보습성]
제조한 소독용 조성물의 보습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전문 패널리스트 5명이 사용 후의 보습감을 1점 내지 5점의 5단계의 관능 평가를 행하고, 그 평균점을 구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구분하고, 「A」평가가 바람직하며 「B」평가 및 「C」평가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A: 평균점이 4.0 이상
B: 평균점이 2.0 이상, 4.0 미만
C: 평균점이 2.0 미만
[살균 효력]
제조한 소독용 조성물의 살균 효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검체와 균액을 직접 접촉시킨 후 평판 배지에 도말하여 배양하고, 균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으로서, 컨트롤한 균수에 대해 상기 소독용 조성물과 접촉함으로써 사멸된 균수의 비율이 99.99% 이상의 효력인 것을 「A」평가로 하고, 99.99% 미만의 효력인 것을 「C」평가로 하고, 「A」평가가 바람직하며 「C」평가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4∼8, 비교예 4∼9에 대해, 점도, 외관 성상, 보습성, 살균 효력에 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로부터, 에탄올,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증점제, 계면활성제, 물 등의 배합계에서 에탄올,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물을 소정의 함유 비율로 함으로써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시에 안정적인 크림상의 성상을 유지할 수 있고, 보습성 및 살균 효력도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지 성분,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점도를 소정 범위로 함으로써,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이 높은 비율로 배합되면서도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할 때 손의 거칠음을 방지할 수도 있는 보습성이 양호한 반고형상의 고점도인 소독용 유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비교예 10]
에탄올을 78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0.4중량부, 수산화나트륨을 0.072중량부, 잔여를 물로 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에탄올을 54중량부,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0.4중량부, 수산화나트륨을 0.072중량부, 잔여를 물로 하는 소독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10∼11의 소독용 조성물에 대해, 수분 증산량에 대해 측정하였다. 즉, 상기 소독용 조성물을 온도 약 25℃, 습도 30∼40%의 환경하에서 1회 도포 및 10회 연속 도포했을 때의 경피 수분 증산량을 1회 도포 후는 5분 및 10분 후에, 10회 연속 도포 후는 5, 10, 20, 30분 후에 Tewameter TM300(Courage+Khazaka사 제조)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간 경과 후의 경피 수분 증산량과, 도포 전의 경피 수분 증산량의 차로부터 변화량을 산출하고, 피부의 피부 배리어성을 평가하였다. 1회 도포 및 10회 연속 도포했을 때로부터 10분 후 이후에서의 경피 수분 증산량으로부터, 도포 전의 경피 수분 증산량을 뺀 차인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변화량이 마이너스인 것을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실시예 8에서의 소독용 조성물에서는 1회 도포 후 및 10회 도포 후에서, 10분 후 이후의 경피 수분 증산량이 도포 전의 경피 수분 증산량보다 작고, 10분 후 이후에서의 경피 수분 증산량의 초기의 경피 수분 증산량으로부터의 변화량이 마이너스의 수가 되고, 수분의 증산이 억제되어 피부 배리어성에 대해, 비교예 10∼11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배리어성이 우수함으로써, 피부로부터의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 및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을 20∼60중량%, 물을 40∼65중량%, 콘드로이틴황산 또는 콘드로이틴황산염을 0.006∼1중량%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성분, 증점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25℃에서의 점도가 50∼300Pa·s인, 소독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소독용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및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벤제토늄염화물, 염화벤잘코늄,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포비돈요오드,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클로록실레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독 성분을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KR1020197030005A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KR20190126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9184A KR20230086819A (ko)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5369A JP6830629B2 (ja) 2017-03-22 2017-03-22 消毒用組成物
JPJP-P-2017-055369 2017-03-22
PCT/JP2018/010226 WO2018173917A1 (ja) 2017-03-22 2018-03-15 消毒用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184A Division KR20230086819A (ko)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135A true KR20190126135A (ko) 2019-11-08

Family

ID=63584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184A KR20230086819A (ko)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KR1020197030005A KR20190126135A (ko)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184A KR20230086819A (ko) 2017-03-22 2018-03-15 소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0629B2 (ko)
KR (2) KR20230086819A (ko)
CN (1) CN110545825A (ko)
TW (1) TWI771388B (ko)
WO (1) WO201817391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917B1 (ko) 2020-07-24 2021-01-14 (주)뉴젠사이언스 살균효과를 갖는 소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800B1 (ko) 2020-07-24 2021-03-19 (주)뉴젠사이언스 효소성분을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814B1 (ko) 2020-07-24 2021-03-19 (주)뉴젠사이언스 살균효과를 갖는 소독 티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5209B1 (ko) * 2021-09-08 2022-01-03 김인희 살바이러스, 살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한 소독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0173A (ja) 1996-10-28 1998-05-19 Japan Medic Kk 速乾性消毒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125A (ja) * 1992-10-14 1994-05-10 Kose Corp 養毛料
JPH09110680A (ja) * 1995-10-19 1997-04-28 Yuutoku Yakuhin Kogyo Kk 皮膚炎治療貼付剤
JPH10324624A (ja) * 1997-05-23 1998-12-08 Kao Corp 殺菌消毒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0173A (ja) 1996-10-28 1998-05-19 Japan Medic Kk 速乾性消毒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917B1 (ko) 2020-07-24 2021-01-14 (주)뉴젠사이언스 살균효과를 갖는 소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800B1 (ko) 2020-07-24 2021-03-19 (주)뉴젠사이언스 효소성분을 함유하는 소독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814B1 (ko) 2020-07-24 2021-03-19 (주)뉴젠사이언스 살균효과를 갖는 소독 티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5209B1 (ko) * 2021-09-08 2022-01-03 김인희 살바이러스, 살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한 소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0629B2 (ja) 2021-02-17
TWI771388B (zh) 2022-07-21
JP2018158890A (ja) 2018-10-11
KR20230086819A (ko) 2023-06-15
CN110545825A (zh) 2019-12-06
WO2018173917A1 (ja) 2018-09-27
TW201836619A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6135A (ko) 소독용 조성물
JP5925758B2 (ja) 抗菌性組成物
KR102338256B1 (ko) 이온화칼슘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 살균 효과 및 살바이러스 효과가 매우 우수한 손 소독제 조성물
US20090082472A1 (en) Hand sanitizer and method of preparation
JP6469843B2 (ja) 経鼻適用のためのシネオール含有組成物
JP2021046382A (ja) 制汗剤組成物
JP2011074082A (ja) 防腐殺菌剤及び人体施用組成物
JP2007284412A (ja) 殺菌消毒クリーム
JP2007217394A (ja) 医薬組成物
JP2016169188A (ja) 皮膚外用剤
CN104547275A (zh) 一种手用精油护肤消毒凝胶及其制备方法
KR101536043B1 (ko) 용기에 담긴 수계 조성물
JP4734293B2 (ja) 防腐殺菌剤及び人体施用組成物
JP6741433B2 (ja) 消毒用乳化組成物
KR20120053874A (ko) 천연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에멀젼 안정화제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865623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69577B2 (ja) 粘稠消毒剤
CN111511346B (zh) 免洗型液体杀菌清洁剂组合物
JP6866058B2 (ja) 粘稠消毒剤
JP7045750B1 (ja) 使用感を改善したアルコール系擦り込み式手指消毒組成物
WO2023276203A1 (ja) 使用感を改善したアルコール系擦り込み式手指消毒組成物
KR20220008719A (ko)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저 농도 알코올 손소독제 조성물
JP2023065748A (ja) 乳化組成物
JP2016088859A (ja) 外用クリーム
JP2024000732A (ja) 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