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026B1 -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026B1
KR101536026B1 KR1020107012666A KR20107012666A KR101536026B1 KR 101536026 B1 KR101536026 B1 KR 101536026B1 KR 1020107012666 A KR1020107012666 A KR 1020107012666A KR 20107012666 A KR20107012666 A KR 20107012666A KR 101536026 B1 KR101536026 B1 KR 10153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weight
polyeste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116A (ko
Inventor
다로우 오오야
신야 도가노
히로시 구스메
고우지 구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9/00Photographic equipment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16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 G02B5/0825Multilayer mirrors, i.e. having two or more reflecting layers the reflecting layers comprising dielectric material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지지층과 그 위에 형성된 백색 반사층으로 이루어지고, 지지층은, 황산바륨 입자 0.1 ∼ 10 중량% 및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9.9 ∼ 90 중량% 로 이루어지고,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10 ∼ 40 의 두께를 갖고, 백색 반사층은, 황산바륨 입자 31 ∼ 60 중량% 및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9 ∼ 40 중량% 로 이루어지고,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90 ∼ 60 의 두께를 갖고, 백색 반사층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양과 지지층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양의 비율 (백색 반사층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양/지지층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양) 이 1.5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연신성이 양호함과 함께, 반사판으로서의 사용 환경에 의한 컬이 억제되어, 평면성이 우수한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Description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FOR REFLECTOR PURPOSES AND CO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ORS PURPOSES}
본 발명은 높은 반사율을 가짐과 함께, 연신성이 양호한 백색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에 도포층을 형성한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반사판에는, 높은 반사 성능이 요구된다. 종래, 이 용도의 필름에는, 백색 염료를 첨가한 필름이나, 백색 안료를 첨가하여 필름의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한 백색 필름이 사용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504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07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21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8433호).
그러나, 이들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올레핀 자체가 냉음극관으로부터의 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백색 필름이 본래의 백색에서 황색으로 황변되는 문제가 있다.
이 황변을 억제하기 위해 백색 필름 위에 자외선 흡수제를 코팅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30호), 광원에 면하는 측의 표층에 안료를 대량으로 첨가하는 것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5315호)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구성을 취하면, 백라이트 유닛 내부에서의 사용 환경에 의해 반사판에 컬이 발생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없다.
또한, 반사판이나 리플렉터는, 백라이트 유닛에 그 구성 부재로서 장착되는데, 장착하는 공정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반사면에 잉크를 사용하여 도트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백색 필름에서는 잉크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하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투입시에는 백라이트 유닛 내의 온도는 광원의 열에 의해 급격히 상승하는데, 이 때에 반사판과 다른 부재가 스쳐 불쾌한 마찰음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반사판은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높은 것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높은 반사판은 자외선의 반사율도 높다. 냉음극관의 광에는 가시광선 이외에 자외선이 포함되어 있어, 자외선의 반사율이 높으면 반사판에서 가시광선과 함께 자외선도 반사되고, 반사된 자외선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반사판 부근의 다른 부재가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발명의 과제는, 연신성이 양호함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는 반사판으로서의 사용 환경에 의해 컬이 억제되어 평면성이 우수한,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발명의 과제는, 상기 특성에 추가하여, 대전 방지성을 갖고, 도트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반사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다른 부재와 스치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반사판 부근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외선 반사가 억제된,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발명의 과제는, 대전 방지성을 갖고, 도트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반사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다른 부재와 스치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반사판 부근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외선 반사가 억제된,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발명은, 지지층과 그 위에 형성된 백색 반사층으로 이루어지고, 지지층은, 황산바륨 입자 0.1 ∼ 10 중량% 및 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9.9 ∼ 90 중량% 로 이루어지고,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10 ∼ 40 의 두께를 갖고, 백색 반사층은, 황산바륨 입자 31 ∼ 60 중량% 및 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9 ∼ 40 중량% 로 이루어지고,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90 ∼ 60 의 두께를 갖고,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과 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의 비율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 이 1.5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발명은, 상기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위에 도포 형성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도포층이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15 ∼ 80 중량%, 실리콘 화합물 5 ∼ 50 중량%, 대전 방지제 15 ∼ 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두께 0.02 ∼ 0.2 ㎛ 의 도포층인,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발명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위에 도포 형성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도포층이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15 ∼ 80 중량%, 실리콘 화합물 5 ∼ 50 중량%, 대전 방지제 15 ∼ 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두께 0.02 ∼ 0.2 ㎛ 의 도포층인,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발명에 의하면, 연신성이 양호함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는 반사판으로서의 사용 환경에 의해 컬이 억제되어 평면성이 우수한,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기 특성에 추가하여, 대전 방지성을 갖고, 도트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반사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다른 부재와 스치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반사판 부근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외선 반사가 억제된,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발명에 의하면, 대전 방지성을 갖고, 도트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반사판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했을 때에 다른 부재와 스치는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반사판 부근에 배치되는 다른 부재의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자외선 반사가 억제된,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지지층과 그 위에 형성된 백색 반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다. 이하,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층
지지층은, 황산바륨 입자 0.1 ∼ 10 중량% 및 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99.9 ∼ 90 중량%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지지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황산바륨 입자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핸들링성이 우수한 충분한 미끄럼성과 백색 반사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층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있어서의 이소프탈산 성분의 공중합량은, 바람직하게는 2 ∼ 1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8 몰% 이다. 이소프탈산 성분의 공중합량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막형성성과 지지층으로서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지지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형광 증백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백색 반사층
백색 반사층은, 황산바륨 입자 31 ∼ 60 중량% 및 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69 ∼ 40 중량%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백색 반사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황산바륨 입자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판으로서 장기간 사용해도 황변되지 않는 우수한 내광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막형성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에 59 ∼ 4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황산바륨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에 41 ∼ 60 중량% 함유되게 된다.
백색 반사층의 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있어서의 이소프탈산 성분의 공중합량은, 바람직하게는 6 ∼ 18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2 몰% 이다. 이소프탈산 성분의 공중합량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막형성성과 백색 반사층으로서의 우수한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형광 증백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이소프탈산 성분의 비율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과 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의 비율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 (몰%)/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에 함유되는 이소프탈산 성분의 함유율 (몰%)) 이 1.5 ∼ 3.0 인 것이 중요하다. 이 비율이 1.5 미만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사용 환경에 의해 필름이 백색 반사층측으로 컬되어 버린다. 한편, 3.0 을 초과하면 지지층 측으로 컬되어 버린다.
두께
지지층은,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10 ∼ 40 의 두께를 갖는다. 필름 전체 두께에서 차지하는 지지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막형성성과 지지층으로서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층은, 필름 전체 두께 100 당 90 ∼ 60 의 두께를 갖는다. 필름 전체 두께에서 차지하는 백색 반사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막형성성과 반사판으로서 충분한 반사율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60 ∼ 4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3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250 ㎛ 이다. 이 범위의 총 두께임으로써, 필름 전체적으로 높은 반사율과 핸들링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이다. 이 범위의 두께로 함으로써, 양호한 막형성성과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백색 반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 300 ㎛ 이다. 백색 반사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높은 반사율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막형성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특히 높은 반사성을 얻기 위해, 지지층과 그 일방의 면에 형성된 백색 반사층의 2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산바륨 입자
지지층 및 백색 반사층에 사용하는 황산바륨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 2 ㎛ 이다. 평균 입경이 이 범위인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미립자의 응집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필름의 파단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생산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연신시에, 백색 반사층에서 황산바륨 입자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나, 보이드가 형성된다.
평균 반사율 및 열수축률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적어도 일방의 표면의 반사율이 파장 400 ∼ 700 ㎚ 의 평균 반사율로 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4 % 이상이다. 이 평균 반사율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85 ℃ 의 열수축률이, 직교하는 2 방향 모두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다. 이 열수축률을 구비함으로써, 장기 사용에 있어서도 휘도 불균일이 적은 반사판을 얻을 수 있다.
도포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발명의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은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백색 반사층 위에 도포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보이드 형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백색층의 표면의 돌기가, 다른 부재와 스칠 때에 발생하는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포층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에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3 발명의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 형성된다.
이 도포층은,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15 ∼ 80 중량%, 실리콘 화합물 5 ∼ 50 중량%, 대전 방지제 15 ∼ 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두께 0.02 ∼ 0.2 ㎛ 의 도포층이다.
도포층의 두께는, 건조 후의 두께로서 0.02 ∼ 0.2 ㎛, 바람직하게는 0.03 ∼ 0.1 ㎛ 이다. 0.02 ㎛ 미만이면 자외선 흡수 성능 및 대전 방지성이 불충분해지고, 한편, 0.2 ㎛ 를 초과하면 도포 불균일이 눈에 띄게 되어 도포 외관이 나빠진다.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도포층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15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70 중량% 함유한다. 이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작용한다. 15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흡수 성능이 불충분해지고, 한편, 80 중량% 를 초과해도 자외선 흡수 성능이 포화되어 의미가 없고, 또한, 상대적으로 대전 방지제를 양을 적게 하지 않을 수 없어 대전 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져 필름 표면에 먼지가 잘 붙게 된다.
벤조트리아졸기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측사슬에 있고, 그 함유량은, (메트)아크릴 수지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 모노머 100 몰% 당, 예를 들어 10 ∼ 80 몰%, 바람직하게는 20 ∼ 70 몰% 이다.
본 발명의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도포층에 이 범위로 벤조트리아졸기를 존재시킴으로써, 365 ㎚ 의 전광선 반사율을 80 %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로 할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
도포층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실리콘 화합물을 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 중량% 함유한다. 실리콘 화합물이 5 중량% 미만이면 활성이 부족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UV 잉크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화합물은, 오르가노실록산을 골격으로 하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하이드로젠실리콘, 플로로실리콘, 실리콘폴리에테르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로는 반응성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하면, 도포층의 결락이 없어, 활성이나 대전 방지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결락 성분에 의한 생산 공정에 대한 오염을 일으키지 않아 높은 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
도포층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대전 방지제를 15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70 중량% 함유한다. 15 중량% 미만이면 대전 방지성이 불충분해져 필름 표면에 먼지가 잘 붙게 되고, 한편, 80 중량% 를 초과하면, 자외선 흡수제를 충분한 양 함유시킬 수 없어 자외선 흡수 성능이 부족하다.
이 대전 방지제는,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제 (劑) 로서, 바람직하게는 카티온 폴리머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비닐계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측사슬에 카티온성기를 가지며 그 카티온성기가 제 4 급 암모늄염인 화합물을 사용한다.
제 4 급 암모늄염으로는, 제 4 급 암모늄술포네이트, 제 4 급 암모늄설페이트, 제 4 급 암모늄나이트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도포막에 대전 방지제를 배합함으로써, 표면 고유 저항값이 1 × 1012 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1011 Ω/□ 이하를 달성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도포층은 수성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에는, 도포층의 조성물과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계면 활성제가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예를 들어 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 배합한다. 이러한 범위로 배합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수성 도포액이 젖는 것을 촉진시켜, 도포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 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의 아니온형, 노니온형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첨가제
도포층에는,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양의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첨가제로서, 예를 들어, 형광 증백제,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발명인,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황산바륨 입자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배합은,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시에 실시해도 되고, 중합 후에 실시해도 된다. 중합시에 실시하는 경우, 에스테르 교환 반응 혹은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전에 배합해도 되고, 중축합 반응 개시 전에 배합해도 된다.
중합 후에 실시하는 경우, 중합 후의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여 용융 혼련하면 된다. 이 경우, 황산바륨 입자를 비교적 고농도로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을 제조하고, 이것을 황산바륨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펠릿에 배합함으로써 원하는 함유율로 황산바륨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막형성시의 필터로서, 선 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눈금 간격 10 ∼ 100 ㎛, 바람직하게는 평균 눈금 간격 20 ∼ 5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응집되어 조대 (粗大)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다이로부터 용융시킨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에 의해 적층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다. 즉, 백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융물과, 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융물을 피드 블록을 사용하여 백색 반사층/지지층이 되도록 적층하고, 다이에 전개하여 압출한다. 이 때, 피드 블록에 의해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적층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하,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 융점을 Tm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시트는,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되어 미연신 필름이 된다. 이 미연신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으로 가열하고, 종방향으로 연신하여 종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周速差) 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g 이상의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Tg ∼ (Tg+70) ℃ 의 범위의 온도로 한다. 연신 배율은, 용도의 요구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종방향, 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후, 횡방향이라고 부른다) 모두 바람직하게는 2.2 ∼ 4.0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3.9 배이다. 2.2 배 미만이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져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고, 4.0 배를 초과하면 막형성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종연신 후의 필름은, 계속해서, 횡연신, 열 고정, 열 이완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는데, 이들 처리는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한다. 횡연신 처리는 폴리에스테르의 Tg 보다 높은 온도에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Tg+5) ∼ (Tg+70) ℃ 의 범위 중 어느 온도까지 승온시키면서 실시한다. 횡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되고 단계적 (축차적) 이어도 되는데, 통상적으로 축차적으로 승온시킨다. 예를 들어, 텐터의 횡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고,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승온시킨다. 횡연신의 배율은, 이 용도의 요구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5 ∼ 4.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 3.9 배이다. 2.5 배 미만이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져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고, 4.5 배를 초과하면 막형성 중에 파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횡연신 후의 필름은 양단을 파지시킨 상태에서 (Tm-20) ℃ ∼ (Tm-100) ℃ 의 온도 범위에서 정폭 (定幅)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하에서 열 처리하여 열수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높은 온도이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지고, 두께 불균일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열 처리 온도가 (Tm-100) ℃ 보다 낮으면 열수축률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열 고정 후 필름 온도를 상온으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열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 파지되어 있는 필름의 양단을 잘라내고, 필름 종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종방향으로 이완시켜도 된다. 이완시키는 수단으로는 텐터 출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한다. 이완시키는 비율로서,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해 롤군의 속도를 다운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0.1 ∼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2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1.0 % 의 속도를 다운시켜 필름을 이완시켜 종방향의 열수축률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필름 횡방향은 양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을 감소시켜 원하는 열수축률을 얻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필름을 축차 2 축 연신법에 의해 연신하는 경우를 예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축차 2 축 연신법, 동시 2 축 연신법 중 어느 방법으로 연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지지층과 그 일방의 면에 형성된 백색 반사층의 2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양호한 평면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및 제 3 발명인,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포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도포액은, 수성 도포액, 예를 들어 수용액, 수분산액, 유화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통상적으로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다. 1 중량%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장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20 중량% 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안정성이나 도포층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수성 도포액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란,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배향시킨 1 축 배향 필름, 나아가서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2 방향으로 저배율 연신 배향시킨 것 (최종적으로 종방향 또 횡방향으로 재연신하여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2 축 연신 필름) 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미연신 필름 또는 일 방향으로 배향시킨 1 축 연신 필름에 상기 조성물의 수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 상태에서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과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 처리로서, 필름 표면에 예를 들어 코로나 표면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물리 처리를 실시하거나, 예비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포액에 도포층의 조성물과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으로서, 공지된 임의의 도포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커튼 코트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면, 적어도 일방의 표면의 반사율이 파장 400 ∼ 700 ㎚ 의 평균 반사율로 9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4 %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이 범위의 반사율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필름 두께
필름 샘플을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점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필름의 두께로 하였다.
(2) 각 층의 두께
필름 샘플을 삼각형으로 잘라내어 포매 (包埋) 캡슐에 고정시킨 후, 에폭시 수지로 포매하였다. 그리고, 포매된 필름 샘플을 마이크로톰 (ULTRACUT-S) 으로 종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을 박막 절편으로 한 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 촬영하고, 사진으로부터 각 층의 두께비를 측정하고, 필름 샘플 전체의 두께로부터 계산하여, 각 층의 두께를 구하였다.
(3) 반사율
(3-1) 반사율 (%)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BaSO4 백판을 100 % 로 했을 때의 필름의 반사율을 400 ∼ 700 ㎚ 에 걸쳐 측정하고, 얻어진 차트로부터 2 ㎚ 간격으로 반사율을 판독하였다. 또한, A 층 (백색 반사층)/B 층 (지지층) 의 2 층 구성의 필름에 대해, A 층 (백색 반사층) 을 반사면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3-2) UV 반사율 (%)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에 적분구를 장착하고, BaSO4 백판을 100 % 로 했을 때의 필름의 반사율 (%) 을 파장 365 ㎚ 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A 층 (백색 반사층)/B 층 (지지층) 의 2 층 구성의 필름에 대하여, A 층 (백색 반사층) 을 반사면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4) 연신성
종방향 2.5 ∼ 3.4 배, 횡방향 3.5 ∼ 3.7 배로 연신하여 막형성하고, 안정적으로 막형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1 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막형성할 수 있다
× : 1 시간 경과하기 전에 절단이 발생하여, 안정된 막형성을 할 수 없다
(5) 유리 전이점 (Tg), 융점 (Tm)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TA Instruments 2100 DSC)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m/분으로 측정하였다.
(6)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필름 샘플의 장착
평가용으로 준비한 액정 텔레비전 (SHARP 사 제조 AQUOS-20V) 의 직하형 백라이트 (20 인치) 유닛으로부터, 원래 장착되어 있던 광반사 시트를 떼어내고, 측정 대상으로 하는 필름 샘플을 장착하였다. 또한, A 층 (백색 반사층)/B 층 (지지층) 의 2 층 구성의 필름에 대하여, A 층 (백색 반사층) 이 반사면이 되도록 장착하였다.
(7) 반사판으로서의 휘도
백라이트 유닛의 발광면을 2 × 2 의 4 구획으로 나누고, 점등 1 시간 후의 정면 휘도를 토프콘사 제조의 BM-7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각은 1 °, 휘도계와 백라이트 유닛 발광면의 거리는 50 ㎝ 로 하였다. 백라이트 유닛 발광면의 면내 4 지점에서의 휘도의 단순 평균을 구하여 휘도로 하였다.
(8) 필름의 컬
필름을 막형성 방향으로 길이 200 ㎜, 폭 방향으로 길이 50 ㎜ 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컬의 측정용 필름 샘플로 하였다. 또한, 필름의 막형성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필름 샘플이 수직이 되도록 필름 샘플의 일방의 단변 (이하, 이것을 상단의 단변이라고 한다) 을 고정시키고, 필름 샘플을 매달았다. 이 고정은, 파지 부분이 폭 50 ㎜, 깊이 5 ㎜ 의 클립으로 상단의 단변을 폭 50 ㎜, 길이 5 ㎜ 의 범위에 대하여 파지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이 때, 샘플의 타방의 단변 (이하, 이것을 하단의 단변이라고 한다) 은, 상단의 단변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필름 샘플을 열 처리하였다. 이 열 처리는, 필름 샘플을 85 ℃ 의 오븐 중에서 무긴장 상태로 30 분간 유지하고, 이 후, 오븐에서 꺼내어 25 ℃ 의 환경에서 10 분간 냉각시킴으로써 실시하였다. 이 열 처리에 의해 필름 샘플에는 컬이 생기고, 하단의 단변은 원래 위치로부터 이동하였다. 상단의 단변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린 면과, 하단의 단변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컬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거리를 「컬」란에 나타내었다.
(9) 필름의 평면성
평가용으로 준비한 액정 텔레비전 (SHARP 사 제조, AQUOS-65V) 의 직하형 백라이트 (65 인치) 유닛으로부터, 원래 장착되어 있던 광 반사 시트를 떼어내고, 측정 대상으로 하는 필름 샘플을 장착하였다. 이 때 A 층 (백색 반사층) 이 반사면이 되도록 장착하였다.
전원을 넣고 24 hr 방치한 후, 평가용 샘플을 꺼내어, 특히 평면 정밀도가 높고, 또한 공기 빠짐 구멍이 부착된 전용의 평판 상에 평가용 샘플을 펼쳐, 필름과 평판 상의 공기를 약 3 분간 이상의 자연 방치에 의해 감소시킨 후, 발생하는 필름의 들뜬 부분 각각의 막형성 방향 길이 최대값을 측정하여, 그 합계값을 구하였다.
(10) 소리 울림
백그라운드 레벨이 20 dB 이하인 환경에서, 필름 샘플 위에 아크릴판 (아크리라이트 L N865) 을 중첩시키고, 그 위에 추를 올리고 필름을 일정 속도 (10 ㎝/분) 로 잡아당겨, 그 때에 발생하는 이음 (異音) 을 추로부터 30 ㎝ 떨어진 마이크로 집음 (集音) 하였다. 40 dB 이상의 이음이 발생하는 경우를 소리 울림 있음, 40 dB 미만의 소리 울림밖에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소리 울림 없음으로 하였다. 또한, A 층 (백색 반사층)/B 층 (지지층) 의 2 층 구성의 필름에 대하여, A 층 (백색 반사층) 측에 아크릴판을 중첩시켰다. ○, △ 가 실용 성능을 갖는다.
○ : 3 ㎏ 의 추에서 소리 울림이 없고, 5 kg 의 추에서 소리 울림이 없다.
△ : 3 kg 의 추에서 소리 울림이 없고, 5 kg 의 추에서 소리 울림이 있다.
× : 3 kg 의 추에서 소리 울림이 있다.
(11) 표면 고유 저항값 (Ω/□)
샘플 필름의 도포층 표면의 표면 고유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다케다 리켄사 제조·고유 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 온도 23 ℃, 측정 습도 60 % 의 조건에서 1 일 조습한 후, 인가 전압 100 V 로 1 분간 유지한 후의 표면 고유 저항값 (Ω/□) 을 측정하였다. 표 중, a+bE 는, a×10b 를 의미한다.
(12) 평균 입경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CP-50 형 센트리퓨걸 파티클 사이즈 애널라이저 (Centrifugal Particle Size Analyzer)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원심 침강 곡선을 기초로 산출한 각 입경의 입자와 그 존재량의 적산 곡선으로부터 50 매스 퍼센트에 상당하는 입경을 판독하여, 이 값을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13) UV 잉크 접착성
샘플 필름의 도포층을 도포 형성하고 있지 않은 면에 두께 250 ㎛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제로 첩부하고, 한편, 도포층을 도포 형성한 쪽의 면 위에, 자외선 경화형 인쇄 잉크 (토요 잉크 제조, 플래시 드라이 FDO 주홍색 APN) 를 RI 테스터 (아키라 제작소 제조) 에 의해 인쇄하였다. 이 후, 중압 수은등 UV 큐어 장치 (80 W/㎝, 일등식 (一燈式), 닛폰 전지 제조) 로 큐어링을 실시하여, 두께 3.0 ㎛ 의 UV 잉크층을 형성하였다. 이 UV 잉크층 위에 셀로판 테이프 (18 ㎜ 폭, 니치반 제조) 를 15 ㎝ 길이로 부착하고, 이 위를 2 kg 의 수동식 하중 롤로 일정한 하중을 가하여 필름을 고정시킨 후, 셀로판 테이프의 일단을 90 °방향으로 박리한 후의 UV 잉크층을 관찰하였다. UV 잉크의 접착성을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가 실용 성능을 갖는다.
○ : UV 잉크층이 전혀 박리되지 않는다 (UV 잉크 접착성 양호)
△ : 도포막과 UV 잉크층 사이가 부분적으로 응집 파괴 형상으로 박리된다 (UV 잉크 접착성 약간 양호)
× : 도포막과 UV 잉크층 사이가 층 형상으로 박리된다 (UV 잉크 접착성 불량)
참고예 1
테레프탈산디메틸 132 중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8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12 몰%), 에틸렌글리콜 96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중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중량부를 정류탑, 유출 (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35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중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5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0 ℃ 까지 승온시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에틸렌글리콜 성분량은 2.5 wt%, 게르마늄 원소량은 50 ppm, 리튬 원소량은 5 ppm 이었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표 1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를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되도록 첨가하여, A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하였다.
한편, 테레프탈산디메틸 132 중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9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6 몰%), 에틸렌글리콜 96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중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중량부를 정류탑, 유출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35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중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5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0 ℃ 까지 승온시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에틸렌글리콜 성분량은 2.5 wt%, 게르마늄 원소량은 50 ppm, 리튬 원소량은 5 ppm 이었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표 2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를, 표 2 에 나타내는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되도록 첨가하여, B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하였다.
A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28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또한, B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280 ℃ 로 가열된 다른 압출기에 공급하고, A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과 B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층 A와 층 B 가 A/B 가 되는 2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얻어진 시트 형상물을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90 ℃ 에서 길이 방향 (종방향) 으로 3.0 배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종연신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120 ℃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 (횡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00 ℃ 의 온도에서 3 초간 열 고정시키고, 그 후, 종방향으로 0.5 %, 횡방향으로 2.0 % 이완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필름의 두께가 153 ㎛, A 층이 116 ㎛, B 층이 37 ㎛ 인 2 축 연신 필름인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중, PET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는 이소프탈산, Tg 는 공중합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m 은 융점을 의미한다.
참고예 2 ∼ 10
A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표 1 에 나타내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고, 표 1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의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변경하였다. 또한, B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표 2 에 나타내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고, 표 2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의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변경하였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 두께 그리고 A 층의 두께 및 B 층의 두께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와 동일하게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 9
A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표 1 에 나타내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고, 표 1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의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변경하였다. 또한, B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표 2 에 나타내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불활성 입자로 이루어지고, 표 2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의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변경하였다.
2 축 연신 후의 필름 두께 그리고 A 층의 두께 및 B 층의 두께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연신하여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 21
테레프탈산디메틸 132 중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8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12 몰%), 에틸렌글리콜 96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중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중량부를 정류탑, 유출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35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중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5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0 ℃ 까지 승온시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에틸렌글리콜 성분량은 2.5 wt%, 게르마늄 원소량은 50 ppm, 리튬 원소량은 5 ppm 이었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표 1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를, 표 1 에 나타내는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되도록 첨가하여, A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하였다.
테레프탈산디메틸 132 중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9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6 몰%), 에틸렌글리콜 96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중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중량부를 정류탑, 유출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하면서 150 ∼ 235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중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5 mmHg 까지 감압함과 함께 290 ℃ 까지 승온시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에틸렌글리콜 성분량은 2.5 wt%, 게르마늄 원소량은 50 ppm, 리튬 원소량은 5 ppm 이었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표 2 에 나타내는 불활성 입자를, 표 2 에 나타내는 함유율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 되도록 첨가하여, B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하였다.
A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280 ℃ 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고, 또한, B 층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280 ℃ 로 가열된 다른 압출기에 공급하고, A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과 B 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층 A 와 층 B 가 A/B 가 되는 2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이로부터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얻어진 시트 형상물을 표면 온도 20 ℃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95 ℃ 에서 길이 방향 (종방향) 으로 3.0 배로 연신하여,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여기에 롤 코터에 의해 백색층의 표면에 표 4 에 나타내는 도포액 (고형분 농도 2 중량%)의 조건에서 균일하게 도포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종연신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120 ℃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 (횡방향) 으로 3.6 배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00 ℃ 의 온도에서 3 초간 열 고정시키고, 그 후, 종방향으로 0.5 %, 횡방향으로 2.0 % 이완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필름의 두께 그리고 A 층의 두께 및 B 층의 두께가 표 3 에 기재된 바와 같은 2 축 연신 필름인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은, 85 ℃, 30 분의 열수축률이 길이 방향 0.1 %, 폭 방향 0.1 % 였다. 얻어진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표 4 에 있어서, 도포액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자외선 흡수제 1 :
하기 식에 나타내는 구조가 50 몰%/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45 몰%/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5 몰%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10036977445-pct00001
이 자외선 흡수제 1 은, 벤조트리아졸기를 측사슬에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이다.
대전 방지제 1:
하기 식에 나타내는 구조가 80 몰%/메틸아크릴레이트 10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10 몰%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10036977445-pct00002
(단, R1, R2 는 각각 H 이고, R3 은 탄소수가 3 인 알킬렌기이고, R4, R5 는 각각 탄소수가 1 인 포화 탄화수소기이고, R6 은 탄소수가 2 인 하이드록시알킬렌기이며, Y- 는 메틸술포네이트 이온이다.)
대전 방지제 2:
디메틸아미노에틸술포네이트메타크릴레이트 80 몰%/메틸아크릴레이트 10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10 몰% 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실리콘 화합물 1: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X22-3701E)
실리콘 화합물 2:
에폭시 변성 실리콘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KF-101)
실리콘 화합물 3:
아미노 변성 실리콘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KF-8012)
실리콘 화합물 4:
친수성 특수 변성 실리콘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X22-904)
또한, 실리콘 화합물 1 ∼ 4 에 대해서는, 미리 계면 활성제와 먼저 혼합시킨 후, 도포액에 첨가하였다.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n=8.5)라우릴에테르 (산요 화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나로액티 N-85)
가교제:
옥사졸린 (주식회사 닛폰 쇼쿠바이 제조, 상품명 에포크로스 WS-700)
Figure 112014124410023-pct00008
Figure 112014124410023-pct00010
Figure 112014124410023-pct00011
Figure 112014124410023-pct00012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백색 반사층을 반사면으로서 사용하여 반사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면광원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위에 도포 형성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도포층이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15 ∼ 80 중량%, 실리콘 화합물 5 ∼ 50 중량%, 대전 방지제 15 ∼ 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두께 0.02 ∼ 0.2 ㎛ 의 도포층인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이 벤조트리아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15 ∼ 70 중량%, 실리콘 화합물 5 ∼ 40 중량%, 대전 방지제 15 ∼ 7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삭제
  4. 삭제
KR1020107012666A 2008-01-31 2009-01-30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36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0452 2008-01-31
JP2008020452 2008-01-31
JPJP-P-2008-054777 2008-03-05
JP2008054777 2008-03-05
PCT/JP2009/052006 WO2009096604A1 (ja) 2008-01-31 2009-01-30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反射板用塗布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116A KR20100120116A (ko) 2010-11-12
KR101536026B1 true KR101536026B1 (ko) 2015-07-10

Family

ID=409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666A KR101536026B1 (ko) 2008-01-31 2009-01-30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5108900B2 (ko)
KR (1) KR101536026B1 (ko)
CN (1) CN101932957B (ko)
TW (1) TWI432514B (ko)
WO (1) WO20090966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6867A (zh) * 2012-08-03 2016-08-17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性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1908B2 (ja) * 2009-07-23 2014-04-0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5319435B2 (ja) * 2009-07-23 2013-10-1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5495344B2 (ja) * 2012-08-03 2014-05-2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CN103162186A (zh) * 2013-03-05 2013-06-19 福建省锐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
JP5905915B2 (ja) * 2014-03-05 2016-04-20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5702482B2 (ja) * 2014-03-05 2015-04-1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US10329447B2 (en) 2014-04-14 2019-06-25 Dielectric Coating Industries Polymer based roll coa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350A (ja) * 2000-11-02 2002-05-14 Teijin Ltd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50479A (ja) * 2002-07-17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163378A (ja) * 2004-11-15 2006-06-22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6343764A (ja) * 2000-07-12 2006-12-21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994B2 (ja) * 2002-10-04 2007-06-27 東レ株式会社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EP2447602B1 (en) * 2006-06-23 2015-05-27 Toray Industries, Inc. White reflection film
JP5221880B2 (ja) * 2007-02-06 2013-06-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053604A (ja) * 2007-08-29 2009-03-1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764A (ja) * 2000-07-12 2006-12-21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JP2002137350A (ja) * 2000-11-02 2002-05-14 Teijin Ltd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50479A (ja) * 2002-07-17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163378A (ja) * 2004-11-15 2006-06-22 Toray Ind Inc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6867A (zh) * 2012-08-03 2016-08-17 帝人杜邦薄膜日本有限公司 白色反射性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2514B (zh) 2014-04-01
KR20100120116A (ko) 2010-11-12
JP2012214816A (ja) 2012-11-08
JP5108900B2 (ja) 2012-12-26
JP5571744B2 (ja) 2014-08-13
WO2009096604A1 (ja) 2009-08-06
CN101932957A (zh) 2010-12-29
CN101932957B (zh) 2013-05-29
TW200948890A (en) 2009-12-01
JPWO2009096604A1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026B1 (ko)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반사판용 도포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40496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26512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5221880B2 (ja)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624184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KR20090073148A (ko) 광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451214B2 (ja) 偏光子支持基材用フィルム
JP3937994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用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直下型バックライト装置
JP5166740B2 (ja)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055071B2 (ja) 両面離型フィルム
JP4155082B2 (ja) 離型フィルム
JP2010253831A (ja) 光学用フィルムのフィルムロール
KR101561288B1 (ko) 저광택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사시트
KR102004088B1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반사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반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5329831B2 (ja) 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KR101519132B1 (ko)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0278203A (ja) 離型フィルム
JP5461908B2 (ja) 光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JP6363334B2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06022136A (ja) 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80033140A (ko) 백색 반사 필름
KR20170065225A (ko)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WO2015163363A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