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876B1 - 도어 체커 - Google Patents

도어 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876B1
KR101535876B1 KR1020140027093A KR20140027093A KR101535876B1 KR 101535876 B1 KR101535876 B1 KR 101535876B1 KR 1020140027093 A KR1020140027093 A KR 1020140027093A KR 20140027093 A KR20140027093 A KR 20140027093A KR 101535876 B1 KR101535876 B1 KR 10153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ller
door
door check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학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체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는 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평탄부가 형성되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암과, 상기 암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가 구비된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암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가 구비된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제2슬라이딩부가 내장되며 상기 암의 타단이 가이드되는 케이스와, 상기 암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암의 진행을 정지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스토퍼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 체커.

Description

도어 체커{Door checker}
본 발명은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 공정을 단축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소음감소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차체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도어는 차체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와, 도어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며 가이드하는 도어 체커를 구비한다. 상술한 도어 체커는 특히,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도어의 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체커는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를 일정한 힘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즉, 도어가 단순히 개폐되는 작동만을 하게 되면 경사진 도로 등과 같은 경우에 도어가 저절로 닫히기 때문에 탑승 또는 적재 등이 어렵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가 일정 위치에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술한 도어 체커는 일반적으로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차체에 삽입된 타단이 차체에서 운동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체커는 슬라이드 방식과 롤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최근 도어 개폐시에 보다 부드럽게 작동하는 롤러 방식을 많이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롤러형 도어 체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10)에 일단이 힌지(11)로 연결되고, 개폐력 조절을 위한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암(12)과, 상기 암(12)에 결합되는 체커(1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체커(13)는 도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암(12)이 관통되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된 이동체(1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15)의 내측에는 상기 암(12)에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롤러(16)가 스프링(18)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되어 도어의 열림속도를 조절하여 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암(12)의 종단에는 스토퍼(17)와 스토퍼 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한 스토퍼(17)와 스토퍼 플레이트(20)는 핀(21)으로 암(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체커는 도어가 열릴 경우 암(12)의 측면 굴곡진 부분에 밀착된 롤러(16)가 회전 이동하면서 굴곡진 부분의 일정 위치에서 롤러(16)와 암(12)의 밀착력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거나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암(12)의 굴곡진 부분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롤러(16)는 강성 및 내마모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암(12)과의 지속적인 마찰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틸 재질을 이용하여 분말야금, 세척 및 도금 공정을 거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6)의 외형(16a)을 형성하고, 작동감 및 품질향상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롤러(16)의 내형(16a)을 형성한 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외형(16a)과 내형(16b)을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 롤러(16)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암(12)과의 마찰에 견딜 수 있게 상기 롤러를 제작함에 있어 스틸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분말야금, 세척, 도금, 인서트 사출 등의 공정을 거쳐 제작해야함으로써, 공정이 복잡하고 길어지는 단점과 함께 도어 체커 자체의 제품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롤러(16)의 외형(16a)을 스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한 마찰로 인해 피막이 손상되어 부식되는 단점과 함께, 편마모발생으로 인해 부식된 부분과 암(12)과의 접촉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체커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암과의 지속적인 마찰에 견딜 수 있게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체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과의 마찰시 부식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체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어 체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는 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평탄부가 형성되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암과, 상기 암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가 구비된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암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가 구비된 제2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제2슬라이딩부가 내장되며 상기 암의 타단이 가이드되는 케이스와, 상기 암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암의 진행을 정지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스토퍼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 체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는 암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롤러를 플라스틱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도어 체커 자체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롤러가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에 강하며, 외부 충격에도 편마모 현상이 없어짐으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체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도어 체커에 사용된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 사용된 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100)는 구성요소 중 롤러를 플라스틱재질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롤러를 제작함에 따라 발생되던 작업공정을 최소화하고, 또한,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식된 면이 암(120)에 접촉되면서 발생하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100)는 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평탄부가 형성되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110)에 일단이 힌지핀(112)으로 결합되는 암(120)과, 상기 암(120)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슬라이딩부(130)와, 상기 암(120)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슬라이딩부(140)와, 상기 제1,제2슬라이딩부(130,140)가 내장되며 상기 암(120)의 타단이 가이드되는 케이스(150)와, 상기 암(120)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암(120)의 진행을 정지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0) 및 상기 스토퍼(160)를 지지하는 스토퍼플레이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암(12)의 종단에는 스토퍼(17)와 스토퍼 플레이트(2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한 스토퍼(17)와 스토퍼 플레이트(20)는 핀(21)으로 암(12)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캐리어(132)와, 상기 캐리어(132)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암(12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1롤러(133)와, 상기 캐리어(13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롤러(133)가 상기 암(120)과 밀착되도록 상기 캐리어(132)를 탄성지지하도록 한 탄성부재(134)로 구성된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14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슬라이더(142)와, 상기 슬라이더(142)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암(12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제2롤러(143)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롤러(133)와 상기 제2롤러(143)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암(120)과의 지속적인 마찰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내마찰ㆍ마모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인 폴리아세탈(POM)과 아라미드(aramid)를 함유하여 반복 충격이나 연속 진동 사용에도 피로하지 않고 안정된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아세탈은 지속적으로 암(120)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1,제2롤러(133,143)가 장시간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마찰 마모성에 뛰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자기 윤활성이 있으며, 아라미드는 고온의 온도에서 타거나 녹지 않은 내열성 및 강한 인장력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라미드를 5% 만 첨가하여 상기 암(120)과의 접촉시 열에 의해 롤러의 표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존 스틸(steel)재질로 외형을 형성하고 작동감 및 완충제 역할을 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내형을 이루었던 기존의 롤러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100)는 상기 제1,제2롤러(133,143)를 제작시 롤러형상이 음각된 금형틀에 폴리아세탈과 아라미드가 혼합된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롤러를 제조할 수 있음으로, 기존 롤러를 제작하던 분말야금, 세척, 도금, 인서트 사출 등과 같은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등 제고공정을 단순화하여 공정 단축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재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식에 견딜 수 있으며, 부식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암(120)과의 슬라이딩 이동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도어 체커 110 : 브라켓
112 : 힌지핀 120 : 암
130 : 제1슬라이딩부 132 : 캐리어
133 : 제1롤러 134 : 탄성부재
140 : 제2슬라이딩부 142 : 슬라이더
143 : 제2롤러 150 : 케이스
160 : 스토퍼 170 : 스토퍼 플레이트

Claims (3)

  1. 일면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평탄부가 형성되며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110)에 일단이 힌지핀(112)으로 결합되는 암(120)과,
    상기 암(120)의 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33)가 구비된 제1슬라이딩부(130)와,
    상기 암(120)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43)가 구비된 제2슬라이딩부(140)와,
    상기 제1,제2슬라이딩부(130,140)가 내장되며 상기 암(120)의 타단이 가이드되는 케이스(150)와,
    상기 암(120)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암(120)의 진행을 정지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0) 및
    상기 스토퍼(160)를 지지하는 스토퍼 플레이트(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133) 및 제2롤러(143)는 폴리아세탈과 아라미드가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도어 체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는 5%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체커.

KR1020140027093A 2014-03-07 2014-03-07 도어 체커 KR10153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93A KR101535876B1 (ko) 2014-03-07 2014-03-07 도어 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093A KR101535876B1 (ko) 2014-03-07 2014-03-07 도어 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876B1 true KR101535876B1 (ko) 2015-07-13

Family

ID=5379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093A KR101535876B1 (ko) 2014-03-07 2014-03-07 도어 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8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84U (ko) * 1995-09-27 1997-04-28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KR19980017849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체크 구조
KR20100049835A (ko) * 2008-11-04 2010-05-1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체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84U (ko) * 1995-09-27 1997-04-28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체크 링크
KR19980017849U (ko) * 1996-09-24 1998-07-06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체크 구조
KR20100049835A (ko) * 2008-11-04 2010-05-1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체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93567A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US10260260B2 (en) Door checker apparatus for vehicle
KR100862097B1 (ko) 도어 체커
KR20070104143A (ko) 복합형 도어 체커
KR101535876B1 (ko) 도어 체커
KR101755487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장치
JP2017020271A (ja) ヒンジ構造
KR20100107274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JP6312442B2 (ja) 開閉戸装置の気密構造
JP4185033B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JP2019085785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機構、及び車両用ドアチェック方法
KR20140072575A (ko) 도어 체커 구조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CN110892218B (zh) 门开闭机构
CN108926117B (zh) 用于打开和关闭壳体的盖子的机械装置
KR10200207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101979194B1 (ko) 미닫이 정지 장치
KR20170143348A (ko) 도어 체커 장치용 도어 체커 암
KR100727601B1 (ko) 탄성력을 증가시킨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KR101285507B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도어슈
KR101836703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101024984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0738569B1 (ko) 탄성력을 증가시킨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KR100680380B1 (ko) 도어 체커
KR101746447B1 (ko) 회전식 도어체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