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194B1 - 미닫이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194B1
KR101979194B1 KR1020170143236A KR20170143236A KR101979194B1 KR 101979194 B1 KR101979194 B1 KR 101979194B1 KR 1020170143236 A KR1020170143236 A KR 1020170143236A KR 20170143236 A KR20170143236 A KR 20170143236A KR 101979194 B1 KR101979194 B1 KR 101979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topper member
sliding door
center axis
engage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388A (ko
Inventor
마사미 이마노
사토시 나카지마
타카유키 쿠루스
Original Assignee
닛도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도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도오 고오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Mechanical means for force or torque adjust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과제)
해제력의 크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정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문틀(2)과 상기 문틀(2)에 부착된 미닫이(4) 중 일방에 부착되고, 미닫이(4)를 문틀(2)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미닫이 정지 장치(10)이다. 스토퍼 부재(16)는 지지 부재(12)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의 둘레에서 피봇식 운동 가능하며 또한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의 위치가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6)는 마찰 걸어맞춤부(26)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과 레일(3)의 상면(3a)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일 때보다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이 레일(3)의 상면(3a)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걸림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스토퍼 부재(16)는 스프링(18)에 의해 걸림 위치를 향하여 부세되어 있다.

Description

미닫이 정지 장치{SLIDING DOOR STOPPING DEVICE}
본 발명은 미닫이를 문틀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停止)시키기 위한 미닫이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틀에 대하여 미닫이가 슬라이드하는 미닫이 기구에 있어서, 특히 미닫이를 닫힘 방향을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는, 미닫이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켜두기 위해서 미닫이 정지 장치(프리 스톱 장치)를 설치하는 일이 있다. 미닫이 정지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에 고정한 지지 부재에 피봇식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스토퍼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스토퍼 부재는 그 선단이 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큰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선단의 탄성부가 미닫이의 호차가 주행하는 레일 상을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의 선단의 탄성부는 미닫이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는,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에 대하여 후방(닫힘 방향)의 위치가 되고, 큰 마찰력을 받지 않고 레일 상을 슬라이딩 운동한다. 한편,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던 미닫이가 닫힘 방향으로 그 이동 방향을 바꾸면,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에 대한 탄성부의 위치는 미닫이의 이동 방향에서의 전방이 되고, 스토퍼 부재는 탄성부가 레일로부터 받는 마찰력에 의해 레일과의 사이에서 버티는 것 같은 상태가 된다. 그렇게 하면 탄성부는 한층 더 큰 힘으로 레일에 눌리게 되고, 탄성부가 레일로부터 받는 마찰력도 한층 커진다. 이 큰 마찰력에 의해 미닫이는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정지 상태가 된다. 이 정지 상태에서 미닫이에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의 닫힘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스토퍼 부재의 탄성부가 더욱 큰 힘을 레일로부터 받아 탄성 변형하여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으로부터 레일과의 접촉점까지의 길이가 짧아져가고, 이윽고 스토퍼 부재는 탄성부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레일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탄성부가 피봇식 운동 중심보다 후방(열림 방향)이 되는 위치까지 피봇식 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미닫이를 정지시키고 있던 마찰력은 해방되어 정지 상태가 해제되고, 미닫이는 닫힘 방향을 향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일본 특허 2683321호 공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미닫이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미닫이의 정지 상태를 해제하여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필요한 미닫이로의 힘(이하, 해제력이라고 함)의 크기는 스토퍼 부재가 그 선단의 탄성부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레일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피봇식 운동할 때의 탄성부의 탄성 변형량에 크게 의존한다. 즉,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레일 사이의 거리가 짧게 설정되면 필요한 탄성 변형량이 커져, 필요한 해제력도 커진다. 반대로 피봇식 운동 중심과 레일 사이의 거리가 길게 설정되면 필요한 탄성 변형량이 작아져, 해제력도 작아진다. 해제력이 지나치게 크면, 탄성 부재가 필요량만큼 탄성 변형하기 전에 미닫이가 스토퍼 부재에 의해 레일로부터 들어올려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 반대로 해제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미닫이를 닫힘 위치로 끌어당기고 있는 부세 수단의 힘만으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버려, 미닫이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켜둘 수 없게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탄성부에 사용되는 재료는 마찰계수의 크기나 마모에 대한 내구성, 미닫이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마찰력을 받아들이기에 필요한 강성 등의 스토퍼 부재로서의 제조건을 만족하는 것 중에서 선택되게 되는데, 그러한 탄성 부재는 통상 비교적으로 단단한 재료가 되며, 큰 탄성 변형량을 얻을 수 있는 것 같은 재료를 채용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적절한 크기의 해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의 탄성 변형량은 수밀리미터 정도의 작은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그 때문에 미닫이 정지 장치의 부착 위치가 약간 어긋나는 것만으로도, 탄성 변형량의 설계값으로부터의 실제의 탄성 변형량의 어긋남의 크기는 설계값에 대한 비율로서는 크게 되고, 따라서 해제력은 크게 변화되어버리게 된다. 또 초기 설치시에 적절한 해제력을 설정할 수 있었다고 해도, 탄성부는 미닫이의 개폐를 반복함으로써 서서히 마모되어,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탄성 변형량도 작아져가기 때문에, 해제력은 서서히 작아져가게 된다. 또한 탄성부의 탄성 재료가 경년 열화하여 탄성계수가 변화된 경우에는, 그것에 의해서도 해제력의 크기가 바뀌어버리게 된다. 즉, 종래의 미닫이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해제력을 안정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해제력의 크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정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문틀과 상기 문틀에 부착된 미닫이 중 일방에 부착되고, 상기 미닫이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미닫이 정지 장치로서,
문틀과 미닫이 중 일방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둘레에서 피봇식 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위치가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문틀과 미닫이 중 타방의 측에 있어서 미닫이의 개폐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슬라이딩 운동면에 대하여 마찰되어 걸어맞춰지는 마찰 걸어맞춤부(摩擦係合部)를 가지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는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걸림(係止) 위치와, 상기 걸림 위치일 때보다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이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걸림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걸림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상기 걸림 해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게 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걸림 위치를 향하여 부세하고 있는 미닫이 정지 장치를 제공한다.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스토퍼 부재가 그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위치가 슬라이딩 운동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변위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운동면에 의해 가까운 걸림 위치를 향하여 스프링에 의해 부세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토퍼 부재가 슬라이딩 운동면과의 사이에서 버텨 미닫이를 정지시키고 있는 정지 상태로부터 스토퍼 부재가 그 마찰 걸어맞춤부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레일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피봇식 운동하여 정지 상태를 해제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미닫이로의 해제력은 주로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해제력이 마찰 걸어맞춤부의 탄성 변형의 크기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스프링의 부세력의 크기에 의존하게 된다. 스프링은 마찰 걸어맞춤부로서의 탄성 재료에 비해 보다 큰 변위량을 얻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해제력이 설정되도록 한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는 종래의 것에 비해 부착 위치의 어긋남이나 마찰 걸어맞춤부의 마모에 의한 해제력의 크기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해제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마찰 걸어맞춤부를 반드시 탄성 변형하기 쉬운 재료로 구성할 필요는 없어지기 때문에, 마찰 걸어맞춤부의 재료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종래에는 탄성 변형량의 관계로 선택할 수 없었던 예를 들면 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 등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재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가 피봇식 운동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링크 부재를 통하여 상기 스토퍼 부재를 간접적으로 부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링크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를 부세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스토퍼 부재에 가해지는 힘은 지레의 원리에 의해 증대되기 때문에, 비교적으로 약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사용해도 스토퍼 부재에는 큰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걸어맞춰져, 상기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부세력 조절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세력 조절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를 부착한 후에 스프링의 부세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미닫이 정지 장치의 부착 위치의 오차나 각 부재의 치수 오차에 의한 해제력의 불균일을 용이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사용 상황에 따라 해제력을 나중에 설정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둘레에서의 피봇식 운동 방향에서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눌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부의 슬라이딩 운동면에 대한 마찰 저항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때,
상기 부세 부재가 상기 미닫이의 개폐 방향에서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일방의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타방의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판 스프링이며,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미닫이의 닫힘 방향의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걸어맞춰져 있을 때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여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누르게 되고,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미닫이의 열림 방향의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걸어맞춰져 있을 때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여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누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이 호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의 상기 횡단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오목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호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슬라이딩 운동면에 대해 슬라이딩 걸어맞춤부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큰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 미닫이의 정지가 보다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제력의 크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정지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를 구비한 미닫이 기구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에 있어서의 미닫이 정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미닫이 정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이며, 미닫이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미닫이 정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2도이며, 미닫이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미닫이 정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이며, 스토퍼 부재가 걸어맞춤 해제 위치가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미닫이 정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제4도이며, 정지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I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에 있어서의 미닫이 정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미닫이 정지 장치를 구비한 다른 미닫이 기구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미닫이 정지 장치를 구비한 또 다른 미닫이 기구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 60)가 설치되는 미닫이 기구(1)는 전형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틀(2)에 설치된 레일(3) 상을, 미닫이(4)에 설치된 2개의 행거(5a, 5b)의 각 호차(6a, 6b)가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미닫이(4)가 문틀(2)에 대하여 슬라이드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문틀(2)에는 인입 스프링 장치(7)가 부착되고, 이 인입 스프링 장치(7)로부터 뻗어나온 와이어(7a)의 선단이 미닫이(4)의 문 선단부(4a)의 측의 행거(5a)에 부착되어 있다. 인입 스프링 장치(7)는 내장된 스프링 기구에 의해 와이어(7a)를 인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미닫이(4)에는 항상 닫힘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미닫이(4)를 연 상태에서 미닫이(4)로부터 손을 떼면, 미닫이(4)는 인입 스프링 장치(7)의 작용에 의해 닫힘 방향을 향하여 끌어당겨진다. 문틀(2)에는 추가로 제동 래크(8)가 설치되고, 또 미닫이(4)에는 이 제동 래크(8)와 걸어맞춰지는 제동 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 장치(9)는 유체 마찰 저항을 이용한 일종의 댐퍼이며, 미닫이(4)가 닫히려고 할 때에 문틀(2)의 측의 제동 래크(8)와 걸어맞춰져 미닫이(4)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동하여, 미닫이(4)가 천천히 닫히도록 한다. 도 1의 미닫이 기구(1)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는 미닫이(4)의 문 후미부(4b)측의 행거(5b)에 고정되어 있다.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닫이(4)를 연 상태에서 미닫이(4)로부터 손을 떼었을 때에 미닫이(4)를 일시적으로 그 자리에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4)의 문 후미부(4b)측의 행거(5b)를 통하여 미닫이(4)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와, 지지 부재(12)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 부재(14)와, 링크 부재(14)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스토퍼 부재(16)와, 링크 부재(14)의 선단부(14a)를 하방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18)을 구비한다. 링크 부재(14)는 지지 부재(12)에 고정된 회전축(20)에 의해 지지 부재(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6)는 링크 부재(14)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링크 부재(14)에 고정된 회전축(22)에 PTFE 수지와 같은 저마찰 저항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운동 링(24)을 통하여 링크 부재(14)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스토퍼 부재(16)의 선단부에는 비교적으로 마찰 저항이 큰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 걸어맞춤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8)의 하단(18a)은 링크 부재(14)의 선단부(14a)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28)에 유지되어 있고, 스프링(18)의 상단(18b)은 부세력 조절 부재(3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부세력 조절 부재(30)는 지지 부재(12)의 정벽부(頂壁部)(12a)에 나사결합된 조정 나사(32)와, 스프링(18)의 상단(18b)을 유지하고, 조정 나사(32)의 하단(32a)에 의해 스프링(18)의 상단(18b)에 눌려 있는 스프링 가이드(34)로 이루어지고, 조정 나사(32)를 지지 부재(12)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링 가이드(34)의 높이를 조절하여 스프링(18)의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18)이 링크 부재(14)를 부세하는 위치는 링크 부재(14)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1)으로부터 스토퍼 부재(1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보다 떨어진 위치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18)의 부세력이 증대되어 스토퍼 부재(16)에 부가된다. 링크 부재(14)의 선단부(14a)의 하측에는 지지 부재(12)에 고정된 지지 핀(36)이 설치되어 있고, 링크 부재(14)는 이 지지 핀(36)에 맞닿음으로써, 그보다 하방으로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다.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4)의 문 후미부(4b)측의 행거(5b)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스토퍼 부재(16)의 마찰 걸어맞춤부(26)는 행거(5b)의 호차(6b)가 그 위를 구르는 레일(3)의 상면(3a)에 접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미닫이(4)를 열림 방향(도 4에서 보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 부재(16)의 마찰 걸어맞춤부(26)는 미닫이(4)의 개폐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레일(3)의 상면(3a)을 슬라이딩 운동면으로 하여 그 위를 슬라이딩 운동한다. 이 때 마찰 걸어맞춤부(26)가 레일(3)로부터 받는 마찰력은 스토퍼 부재(16)를 도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시키는 방향, 즉 마찰 걸어맞춤부(26)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이므로, 마찰 걸어맞춤부(26)가 레일(3)에 가하는 하중은 스토퍼 부재(16)의 자중에 의한 것뿐이며 매우 작다. 그 때문에 마찰 걸어맞춤부(26)와 레일(3) 사이의 마찰력도 작다. 따라서 도 4의 상태에서 미닫이(4)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을 때는, 미닫이 정지 장치(10)는 거의 저항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4)의 이동 방향이 열림 방향(도면에서 보아 우측 방향)으로부터 닫힘 방향(도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으로 바뀌면, 마찰 걸어맞춤부(26)가 레일(3)로부터 받는 마찰력은 스토퍼 부재(16)를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시키는 방향, 즉 마찰 걸어맞춤부(26)가 레일(3)에 눌리는 방향이 된다. 이 때 스토퍼 부재(16)는 스토퍼 부재(1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으로부터 레일(3)의 상면(3a)까지의 거리가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으로부터 마찰 걸어맞춤부(26)의 레일(3)과의 접촉점(P)까지의 길이보다 작아지는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 위치에 있을 때는, 스토퍼 부재(16)가 마찰 걸어맞춤부(26)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과 레일(3)의 상면(3a)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고자 하는 스토퍼 부재(16)는 링크 부재(14)와 레일(3) 사이에 끼어 버티는 것 같은 상태가 되고, 마찰 걸어맞춤부(26)가 레일(3)에 가하는 하중은 미닫이(4)가 닫힘 방향으로 움직여지는 힘에 따라 커진다. 이것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부(26)와 레일(3) 사이의 마찰력은 커지고,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는 레일(3)에 대하여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즉,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가 부착되어 있는 미닫이(4)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 정지 상태가 된다.
도 5의 상태로부터 미닫이(4)에 대하여 닫힘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면, 스토퍼 부재(16)에는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의 더욱 큰 힘이 작용한다. 스토퍼 부재(16)를 피봇식 운동시키고자 하는 힘은 회전축(22)을 통하여 링크 부재(14)에 가해진다. 그렇다고 하면, 링크 부재(14)는 스토퍼 부재(16)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상측으로 피봇식 운동하고자 한다. 미닫이로의 힘이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어 링크 부재(14)에 가해지는 힘이 스프링(18)의 부세력을 넘으면, 링크 부재(14)는 스프링(18)을 압축시키면서 상방을 향하여(도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기 시작한다. 도 6의 걸어맞춤 해제 위치까지 링크 부재(14)가 피봇식 운동하면, 스토퍼 부재(1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으로부터 레일(3)의 상면(3a)까지의 거리가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으로부터 마찰 걸어맞춤부(26)의 레일(3)과의 접촉점(P)까지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고, 스토퍼 부재(16)는 마찰 걸어맞춤부(26)를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과 레일(3)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닫이(4)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 부재(16)는 더욱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여, 도 7과 같이 마찰 걸어맞춤부(26)가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에 대하여 이동 방향에서의 후방(도면에서 보아 오른쪽)의 위치가 되고, 또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도 걸림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마찰 걸어맞춤부(26)와 레일(3) 사이의 마찰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미닫이 정지 장치(10)는 거의 저항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미닫이(4)는 인입 스프링 장치(7)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힘만으로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까지 이동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정지 상태로부터 도 7의 정지 해제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16)가 레일(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까지 변위하고, 그것에 의해 정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 부재(16)를 걸림 해제 위치까지 변위시키기에 필요한 해제력의 크기는 링크 부재(14)를 통하여 스토퍼 부재(16)를 부세하고 있는 스프링(18)의 부세력의 크기에 따라 주로 결정된다. 통상, 스프링(18)은 마찰 걸어맞춤부(26)로서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재료에 비해 보다 큰 변위량을 얻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는 종래의 것에 비해 부착 위치의 어긋남이나 마찰 걸어맞춤부(26)의 마모에 따른 해제력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고, 해제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10)에 있어서는, 마찰 걸어맞춤부(26)는 해제력에 의해 반드시 탄성 변형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보다 얇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마찰 걸어맞춤부(26)의 재료 및 구조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6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도 1과 같은 미닫이 기구(1)에 편입되어 미닫이(4)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다.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60)에 있어서의 스토퍼 부재(66)의 마찰 걸어맞춤부(76)에는 오목부(7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6a)는 호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레일(3)의 상면(3a)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고, 마찰 걸어맞춤부(76)가 레일(3)의 상면(3a)에 대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부(76)는 특히 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해제 위치를 향하여 피봇식 운동할 때에 레일(3)로부터 보다 큰 마찰력을 받게 되고, 미닫이(4)를 보다 확실히 멈출 수 있게 된다.
또 당해 미닫이 정지 장치(6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2)에 고정된 판 스프링(88)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판 스프링(88)은 리벳(90)에 의해 고정된 중앙부(88a)와, 그 양단으로부터 스토퍼 부재(66)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하방으로 뻗는 제1 부분(88b) 및 제2 부분(88c)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コ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스토퍼 부재(66)가 미닫이(4)의 열림 방향(도면에서 보아 우측 방향)에 대한 후방측(도면에서 보아 좌측)을 향하고 있고, 마찰 걸어맞춤부(76)가 스토퍼 부재(6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보다 닫힘 방향(도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의 측에서 레일(3)의 상면(3a)에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부분(88b)이 스토퍼 부재(66)의 일방의 측면(66a)에 걸어맞춰져, 스토퍼 부재(66)를 열림 방향의 측을 향하여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으로 부세한다. 이것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부(76)의 오목부(76a)가 레일(3)에 눌린 상태가 된다. 또 미닫이(4)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일(3)에 눌려 있는 마찰 걸어맞춤부(76)에 의해 레일(3) 상의 먼지가 제거된다. 특히 이동 방향에서의 전방 위치가 되는 오목부(76a)의 외측의 각부(76b)가 레일(3)에 닿게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는 주로 이 각부(76b)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되게 되고, 미닫이(4)를 정지시킬 때에 레일(3)에 접촉하는 마찰 걸어맞춤부(76)의 다른 면에는 먼지가 그다지 부착되지 않는다. 미닫이(4)가 닫힘 방향(도면에서 보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을 때는, 이미 마찰 걸어맞춤부(76)는 어느 정도의 힘으로 레일(3)에 눌려 있기 때문에, 마찰 걸어맞춤부(76)는 레일(3) 상에서 미끄러지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금방 스토퍼 부재(66)가 레일(3)과의 사이에서 버티는 상태가 되어, 미닫이(4)를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정지 상태로 할 수 있다. 미닫이(4)를 어느 정도의 힘으로 닫힘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서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 부재(66)는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으로 피봇식 운동하여 정지 상태는 해제된다. 스토퍼 부재(66)가 닫힘 방향에 대한 후방측(도면에서 보아 우측)을 향하여, 마찰 걸어맞춤부(76)가 스토퍼 부재(6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C2)보다 열림 방향(도면에서 보아 우측 방향)의 측에서 레일(3)의 상면(3a)에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가 되면, 이번에는 판 스프링(88)의 제2 부분(88c)이 스토퍼 부재(66)의 반대측의 측면(66b)에 걸어맞춰져, 스토퍼 부재(66)를 닫힘 방향의 측을 향하여 도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으로 부세한다. 이것에 의해 마찰 걸어맞춤부(76)의 다른 일방의 오목부(76a)가 레일(3)에 눌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미닫이(4)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도 마찰 걸어맞춤부(76)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76a)의 특히 각부(76b)에 의해 레일(3) 상의 먼지가 제거된다. 또한 판 스프링(88)은 지지 부재(62)가 아니라 링크 부재(64) 등의 다른 부분에 고정해도 된다. 또 도시와 같은 판 스프링(88)이 아니라 예를 들면 2개의 별개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등의 다른 형태의 부세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틀(2)의 측에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의 미닫이 기구(101)에 있어서는, 미닫이(4)에 설치된 2개의 행거(105a, 105b) 사이에 미닫이(4)의 개폐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슬라이딩 운동 레일(110)이 설치되어 있다. 미닫이 정지 장치(10, 60)의 마찰 걸어맞춤부(26, 76)는 이 슬라이딩 운동 레일(110)의 상면(110a)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고, 또 마찰되어 걸어맞춰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미닫이(4)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또 그 정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는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닫이(4)의 문 선단부(4a)측에 부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의 미닫이 기구(201)에 있어서는,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를 이와 같은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미닫이(4)를 열림 위치로 했을 때에 레일(3)의 마찰 걸어맞춤부(26, 76)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의 대부분이 외부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마찰 걸어맞춤부(26, 76)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이 먼지나 기름 등으로 오염되면, 마찰 걸어맞춤부(26, 76)와 레일(3)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도 5의 정지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찰 걸어맞춤부(26, 76)가 레일(3)에 대하여 미끄러져 미닫이(4)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레일(3)은 정기적으로 청소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과 같이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를 문 후미부(4b)측에 배치하면 레일(3)의 마찰 걸어맞춤부(26, 76)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부분은 미닫이(4)의 행거(5a, 5b) 사이에 있기 때문에, 특히 미닫이(4)가 열림 위치에 있어서 두껍닫이 안에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부분도 두껍닫이 안에 배치되게 되어 청소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해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를 도 11과 같이 배치하면, 청소가 필요한 레일(3)의 부분은 두껍닫이 안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 정지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미닫이 정지 장치는 문틀(2)과 미닫이(4) 중 일방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부착되면 되고, 그 부착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 이외의 장소로 할 수도 있다. 또 도 1 및 도 11과 같이 미닫이 정지 장치(10, 60)를 미닫이(4)의 측에 부착한 경우에 있어서, 미닫이(4)가 이동했을 때에 마찰 걸어맞춤부(26, 76)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딩 운동면을, 행거(5a, 5b)의 호차(6a, 6b)가 회전하여 걸어맞춰지는 레일(3)의 상면(3a) 이외의 장소로 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0의 실시형태와 같이 별개의 슬라이딩 운동 레일을 설치해도 되고, 또는 문틀(2)의 일부의 면을 슬라이딩 운동면으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10과 같이 미닫이 정지 장치를 문틀(2)의 측에 부착한 경우에도, 예를 들면 미닫이(4)의 상면을 슬라이딩 운동면으로서 이용하는 등, 다른 장소를 슬라이딩 운동면으로 해도 된다. 지지 부재(12, 62)는 예를 들면 행거와 일체의 부재로 하는 등, 미닫이(4) 또는 문틀(2)의 다른 장치와 공통의 부재로 해도 된다. 스토퍼 부재(16, 66)는 링크 부재(14, 64)를 통하지 않고, 예를 들면 지지 부재(12, 62)에 상하 방향의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이 가이드 홈을 따라 걸어맞춤 위치와 걸어맞춤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프링(18)을 스토퍼 부재(16, 66)에 직접 걸어맞추도록 배치해도 된다. 부세력 조절 부재(30)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정 나사(32)를 이용한 구성이 아니어도 되고, 스토퍼 부재(16, 66)가 걸림 해제 위치가 될 때의 스프링(18)의 압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면 된다. 또 부세력 조절 부재(30)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해제력의 미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면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1…미닫이 기구
2…문틀
3…레일
3a…상면
4…미닫이
5a, 5b…행거
6a, 6b…호차
7…인입 스프링 장치
7a…와이어
8…제동 래크
9…제동 장치
10…미닫이 정지 장치
12…지지 부재
12a…정벽부
14…링크 부재
14a…선단부
16…스토퍼 부재
18…스프링
18a…하단
18b…상단
20…(링크 부재의) 회전축
22…(스토퍼 부재의) 회전축
24…슬라이딩 운동 링
26…마찰 걸어맞춤부
28…스프링 시트
30…부세력 조절 부재
32…조정 나사
32a…하단
34…스프링 가이드
36…지지 핀
60…미닫이 정지 장치
62…지지 부재
64…링크 부재
66…스토퍼 부재
66a, 66b…측면
76…마찰 걸어맞춤부
76a…오목부
76b…각부
88…판 스프링
88a…중앙부
88b…제1 부분
88c…제2 부분
90…리벳
101…미닫이 기구
105a, 105b…행거
110…슬라이딩 운동 레일
201…미닫이 기구
C1…(링크 부재(14)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
C2…(스토퍼 부재(16)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
P…접촉점

Claims (8)

  1. 문틀과 상기 문틀에 부착된 미닫이 중 일방에 부착되고, 상기 미닫이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임의의 열림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미닫이 정지 장치로서,
    문틀과 미닫이 중 일방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둘레에서 피봇식 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위치가 변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문틀과 미닫이 중 타방의 측에 있어서 미닫이의 개폐 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된 슬라이딩 운동면에 대하여 마찰되어 걸어맞춰지는 마찰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는 스프링
    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위치일 때보다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이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걸림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상기 걸림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저지되고, 상기 걸림 해제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피봇식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게 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걸림 위치를 향하여 부세하고 있고,
    상기 지지 부재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링크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에 피봇식 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링크 부재가 피봇식 운동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도록 되어 있는 미닫이 정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링크 부재를 통하여 상기 스토퍼 부재를 간접적으로 부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링크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링크 부재를 부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걸어맞춰져, 상기 스프링의 압축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부세력 조절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스토퍼 부재의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의 둘레에서의 피봇식 운동 방향에서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눌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 부재가 상기 미닫이의 개폐 방향에서의 상기 스토퍼 부재의 일방의 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타방의 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판 스프링이며,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미닫이의 닫힘 방향의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걸어맞춰져 있을 때는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여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누르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피봇식 운동 중심축선보다 상기 미닫이의 열림 방향의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걸어맞춰져 있을 때는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스토퍼 부재를 부세하여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누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이 호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마찰 걸어맞춤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의 상기 횡단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오목부가 상기 슬라이딩 운동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정지 장치.
KR1020170143236A 2016-11-01 2017-10-31 미닫이 정지 장치 KR101979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4366 2016-11-01
JP2016214366 2016-11-01
JPJP-P-2017-040583 2017-03-03
JP2017040583A JP6730210B2 (ja) 2016-11-01 2017-03-03 引戸停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88A KR20180048388A (ko) 2018-05-10
KR101979194B1 true KR101979194B1 (ko) 2019-05-16

Family

ID=6214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236A KR101979194B1 (ko) 2016-11-01 2017-10-31 미닫이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30210B2 (ko)
KR (1) KR101979194B1 (ko)
TW (1) TWI6417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6704B (zh) * 2021-06-15 2023-05-02 立兴杨氏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可以调节开窗角度的平开窗铰链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05B1 (ko) 2001-04-27 2004-01-24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미닫이문 프리스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835Y2 (ja) * 1990-04-26 1994-10-26 日本ドアーチエック製造株式会社 引戸の開放状態保持装置
JP2683321B2 (ja) * 1994-07-26 1997-11-26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引 戸
JP2741670B1 (ja) * 1996-12-02 1998-04-22 日本電気精器株式会社 引戸のフリーストップ装置
JP3371287B2 (ja) * 2000-10-17 2003-01-27 株式会社中西エンジニアリング ドア用フリ−ストッパ−装置
JP2005232914A (ja) * 2004-02-23 2005-09-02 Nippon Spindle Mfg Co Ltd フリーストッパ装置
CN101025066A (zh) * 2005-12-14 2007-08-29 日东工器株式会社 拉门快关防止装置及备有该装置的拉门装置
JP4847490B2 (ja) * 2008-03-28 2011-12-28 日東工器株式会社 引き戸の閉扉阻止装置及び閉扉阻止装置を備える自動閉扉装置
JP6369250B2 (ja) * 2014-09-11 2018-08-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の保持装置
JP6366482B2 (ja) * 2014-11-27 2018-08-01 株式会社ダイケン 引戸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05B1 (ko) 2001-04-27 2004-01-24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미닫이문 프리스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6760A (ja) 2018-05-17
KR20180048388A (ko) 2018-05-10
TWI641750B (zh) 2018-11-21
TW201817952A (zh) 2018-05-16
JP6730210B2 (ja)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05504B (zh) 推拉门停止装置
CN109891033B (zh) 滑轨机构
CN108884696B (zh) 具有多个止动位置的门挡装置
US20080184627A1 (en) Door motion controller assembly
TWI402407B (zh) 傢俱鉸鏈(四)
KR101979194B1 (ko) 미닫이 정지 장치
JP2016217106A (ja) 引戸用緩衝閉鎖装置
KR101957535B1 (ko) 브레이크 블록 홀더를 가진 레일 차량용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CN101160076A (zh) 用于椅子的座位倾斜度调整的装置
CN109681056B (zh) 一种闭门器的滑轨装置
JP5296893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KR100910164B1 (ko) 차량의 도어체커
KR20050119138A (ko) 엘리베이터 롤러 가이드
TWI402410B (zh) 傢俱鉸鏈(六)
JP2683321B2 (ja) 引 戸
JP5131899B2 (ja) 自閉式引戸の閉じ停止装置
JP2741670B1 (ja) 引戸のフリーストップ装置
CA1217465A (en) Pinch valve device
KR10087910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4629464B2 (ja) 防火戸閉鎖装置
JP5787585B2 (ja) 扉装置
KR101488078B1 (ko)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US11691478B2 (en) Brake device for an adjustable vent outlet of a motor vehicle
EP2003263B1 (en)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a roof window wing
KR200284031Y1 (ko) 도어용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