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078B1 -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078B1
KR101488078B1 KR20130023481A KR20130023481A KR101488078B1 KR 101488078 B1 KR101488078 B1 KR 101488078B1 KR 20130023481 A KR20130023481 A KR 20130023481A KR 20130023481 A KR20130023481 A KR 20130023481A KR 101488078 B1 KR101488078 B1 KR 101488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driving means
apical
driving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142A (ko
Inventor
모종연
Original Assignee
(주) 태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영기계 filed Critical (주) 태영기계
Priority to KR2013002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0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편직기용 사도부재(2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한 제1 구동수단(30); 및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승하강동작 가능한 제2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도부재(20)는 상기 제1 구동수단(30) 또는 상기 제2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타입의 제1 구동수단과, 피스톤 타입의 제2 구동수단이 사도부재와의 접촉 시, 충격이나, 부재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부재간의 마모나 변형을 줄임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THREAD GUIDER OF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선회동작을 통하여 사도부재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과,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사도부재를 구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사도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레버타입의 제1 구동수단과, 피스톤타입의 제2 구동수단이 사도부재와의 접촉 시, 충격이나, 부재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부재간의 마모나 변형을 줄여줌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4629호(2011.06.21.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압축공기유로가 형성되는 구동블록; 상기 압축공기유로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차단 및 차단해제 시키는 압축공기 개폐밸브;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블록 내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공기유로로 인가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일단이 구동블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편직기용 사도를 밀어 회동시키는 가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등록된 특허로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즉 압축공기 개폐밸브에 의하여 가압핀이 전진 및 후퇴 동작을 통하여 구동블록을 밀어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가압핀의 진출하여 상기 구동블록에 접촉되는 순간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와, 이에 의하여 구동블록은 물론이고, 구동블록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들에도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압핀이 구동블록을 미는 과정에서 가압핀 단부와 구동블록이 맞닿는 부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부재간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부재간의 마모는 사도의 정밀한 구동을 방해하여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버타입의 제1 구동수단과, 피스톤 타입의 제2 구동수단이 사도부재와의 접촉 시, 충격이나, 부재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부재간의 마모나 변형을 줄임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사도부재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편직 작업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조절부재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으면서도 조절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동레버나 사도부재와, 조절부재간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이 장치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가 도입되어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는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편직기용 사도부재(2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한 제1 구동수단(30); 및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승하강동작 가능한 제2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도부재(20)는 상기 제1 구동수단(30) 또는 상기 제2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하부에 배열되어 사도부재(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레버(31)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1)를 선회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수단(30)의 작동레버(31)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작동레버(31)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1 조절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구동수단(4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하부에 배열되어 사도부재(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동실린더(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도부재(20)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의 구비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사도부재(20)의 회전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2 조절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는 지지축(81)과, 상기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사도부재(20)와 연결되는 힌지부재(83)를 포함하는 지지수단(8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재(83)의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힌지부재(83)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3 조절부재(9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기 사도부재(20), 상기 제1 구동수단(30) 및 상기 제2 구동수단(4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한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는 레버타입의 제1 구동수단과, 피스톤 타입의 제2 구동수단이 사도부재와의 접촉 시, 충격이나, 부재간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부재간의 마모나 변형을 줄임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각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사도부재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편직 작업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되며, 또한 조절부재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있으면서도 조절작업이 쉽고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작동레버나 사도부재와, 조절부재간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이 장치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가 도입되어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도 구동장치의 제1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도 구동장치의 제2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는
베이스블록(10)과, 사도부재(20)와, 제1 구동수단(30) 및 제2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상기 사도부재(20), 제1 구동수단(30) 및 제2 구동수단(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수용공간(11) 전방 상부에는 사도부재(2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8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8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는 지지축(81)과, 상기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사도부재(20)와 연결되는 힌지부재(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80)의 힌지부재(83)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재(83)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축(81)이 관통 결합되는 삽입공(83a)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원형 형태의 지지돌기(83b)로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사도부재(20)에는 상기 지지돌기(83b)가 삽입되도록 지지홈(25)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83b)와 상기 지지홈(25)이 결합되어 상기 지지돌기(83b)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사도부재(20)가 회전동작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수단(80)의 힌지부재(83)는 다수로 구성되어 상기 사도부재(20)가 각 힌지부재(83)에 연결되고,
이때 상기 사도부재(20)들은 속실용 사도, 기능실용 사도, 겉실용 사도 등으로 구분되며, 각 사도의 위치나 개수는 편직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도부재(20)는
상기 지지돌기(83b)(25)을 기준으로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1 부재(21)와,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2 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도부재(20)의 제1 부재(21) 전단에는 가이드홀(27)이 구비되어 실이 관통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홀(27)은 실을 편직 작업 시, 실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25)은 반원보다 큰 원주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83b)와 결합된 후,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고, 선회동작을 통하여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를 승하강시켜 사도부재(20)가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상기 제1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하부에 배열되어 사도부재(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레버(31)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1)를 선회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제1 구동수단(30)의 작동레버(31)는 힌지축이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후방에 배열되어 전단부가 상기 제2 부재(23)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수단(30)의 제1 구동실린더(33)는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구동실린더(33)가 작동하게 되면 제1 구동실린더(33)에 구비된 제1 피스톤로드(33a)가 승하강하여 작동레버(31)의 선회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1 구동실린더(33)의 피스톤로드가 인출되어 하강하게 되면 상기 작동레버(31)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강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는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의 승강 시에 들어 올려지고, 이때 상기 사도부재(20)의 제1 부재(21) 전단부, 즉 상기 가이드홀(27)은 상기 지지돌기(83b)를 회전축으로 하여 선회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하면과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 상면을 항상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작동레버(31)의 구동 시, 특히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가 승강하는 경우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와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가 이격되어 있게 되면 작동레버(31)와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가 접촉되는 순간 충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작동레버(31)의 선회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작동레버(31)와 사도부재(20)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커 장치에 무리를 가해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31)의 전단부와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가 동작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작동레버(31)의 동작 시, 작동레버(31)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부재(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조절부재(50)는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조절부재(50)는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부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제1 관통공(53)과, 외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관통공(53)에 체결 결합되는 제1 조절핀(5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조절핀(51)이 상기 제1 관통공(53)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구동실린더(33)를 베이스블록(10)에 장착시키기 위해 베이스블록(10) 후방에 설치 고정되는 제1 장착블록(3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블록에는 하부가 개구된 제1 장착홈(35a)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실린더(33)가 내장된다.
즉 상기 제1 조절부재(50)의 제1 조절핀(51)은 제1 관통공(53) 하부로 돌출되어 노출되고, 이때 상기 작동레버(31)의 선회동작 시, 상기 제1 조절핀(51)의 하단면에 작동레버(31)의 상면이 맞닿게 되어 작동레버(31)의 선회동작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1 조절핀(51)은 상기 제1 관통공(53)을 통한 노출길이에 따라 작동레버(31)의 선회동작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결국에는 상기 사도부재(20)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구동수단(4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구동수단(40)은 상기 베이스블록(10) 장착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구동실린더(41)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동실린더(41)에는 제2 피스톤로드(41a)가 구비되어 제2 구동실린더(41)의 구동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구동실린더(41)를 베이스블록(10)에 장착시키기 위해 베이스블록(10)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제2 장착블록(43)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블록에는 상부가 개구된 제2 장착홈(43a)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구동실린더(41)가 내장된다.
즉 상기 제2 구동실린더(41)의 작동 시, 상기 제2 피스톤로드(41a)가 인출되어 승강하게 되면, 제2 피스톤로드(41a)의 상단면이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하면에 접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리게 되고,
이때 상기 사도부재(20)의 제1 부재(21)는 상기 지지돌기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선회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홀(27)은 하강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상부에 배치되어 사도부재(20)의 회전각을 제한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부재(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조절부재(60)는 상기 베이스블록(10)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관통공(63)과, 외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2 관통공(63)에 체결 결합되는 제2 조절핀(6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조절핀(61)이 상기 제2 관통공(63)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 조절부재(60)의 제2 조절핀(61)은 상기 제2 관통공(63)을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고 노출되어 사도부재(20)의 선회동작 시, 상기 제2 조절핀(61)의 하단면에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상면에 맞닿아 사도부재(20)의 선회동작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재(60) 역시, 제1 조절부재(50)와 마찬가지로 제2 조절핀(61)의 노출길이의 조절을 통하여 사도부재(2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조절부재(50)(60)는 각 관통공(53)(63)을 통한 조절핀(51)(61)의 노출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31)의 선회각과, 상기 사도부재(20)의 회전각 조절을 통한 편직 작업의 다양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조절부재(50)(60)의 조절핀(51)(61) 상단면에는 각각 제1 조절홈(51a)과 제2 조절홈(61a)이 구비되고, 상기 각 조절홈(51a)(61a)은 다각 형태로 이루어져 공구가 삽입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각 조절핀을 회전시켜 조절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핀(51)(61) 상부에 배치되어 각 관통공(53)(63)이 통하도록 제1 및 제2 수용홈(13)(15)이 형성되고, 상기 각 수용홈(13)(15)에는 제1 및 제2 완충부재(100)(110)가 안치되어 상기 작동레버(31)나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가 각 조절핀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완충부재(100)(110)는 고무나 엘라스토머(elastomer)와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사도부재(20)의 구동 후, 원상태로의 복원을 위한 리턴부재(70)가 구비되는데,
상기 리턴부재(70)는 상기 베이스블록(1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상부에 배열되어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사도부재(20)를 원 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턴부재(70)는 상기 베이스블록(10) 상부에 구비되는 제3 관통공(71)과, 상기 제3 관통공(71)에 삽입되고,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상면에 맞닿는 가이드핀(73)과, 상기 가이드핀(73)을 에워싸고, 상기 제3 관통공(71)에 내장되는 복원스프링(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핀(73) 하부에는 돌출된 걸림돌기(73a)가 구비되고, 상기 제3 관통공(71)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73a)의 하면이 거치되는 걸림턱(71a)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핀(73) 하단의 노출길이가 제한된다.
또한 사기 걸림돌기(73a)의 상면에는 상기 복원스프링(75)의 하단이 거치되어 상기 가이드핀(73)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73)의 상단은 상기 제3 관통공(71)을 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복귀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제3 관통공(71) 상단에 구비되는 걸림부(미도시)에 맞닿아 제3 관통공(71)에 내장된다.
따라서 상기 리턴부재(70)의 가이드핀(73)은 상기 각 구동수단의 구동 시,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에 의하여 승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은 압축된다.
반대로 상기 각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귀스프링은 탄성을 발휘하여 가이드핀(73)을 하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사도부재(20)의 제2 부재(23) 역시 하강하여 사도부재(20)가 원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80)의 힌지부재(83)는 일정 정도 선회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동작 시,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짐으로써 탄력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힌지부재(83)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기 위해 제3 조절부재(90)가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재(83)에 상부에 배열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구비된 제4 관통공(93)과, 외측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4 관통공(93)에 체결 결합되는 제3 조절핀(91)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 조절핀(91)이 상기 제4 관통공(93)을 통하여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조절부재(90)는 상기 힌지부재(83)의 전후방에 배열되어 힌지부재(83)의 선회각을 제한하고 조절함으로써 사도부재(20)의 안정적인 작동과 지지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에도 상기 제3 조절핀(91)의 상단면에는 다각 형태의 제3 조절홈이 구비되어 이 제3 조절홈에 공구를 삽입 회전시키게 되면 제3 조절핀(91)의 조절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수용공간(11)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부재(8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완충부재(120)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재(83)의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제3 완충부재(120)는 고무나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블록
11 : 수용공간 13 : 제1 수용홈
15 : 제2 수용홈
20 : 사도부재
21 : 제1 부재 23 : 제2 부재
25 : 지지홈 27 : 가이드홀
30 : 제1 구동수단
31 : 작동레버 33 : 제1 구동실린더
33a : 제1 피스톤로드 35 : 제1 장착블록
35a : 제1 장착홈
40 : 제2 구동수단
41 : 제2 구동실린더 41a : 제2 피스톤로드
43 : 제2 장착블록 43a : 제2 장착홈
50 : 제1 조절부재
51 : 제1 조절핀 51a : 제1 조절홈
53 : 제1 관통공
60 : 제2 조절부재
61 : 제2 조절핀 61a : 제2 조절홈
63 : 제2 관통공
70 : 리턴부재
71 : 제3 관통공 71a : 걸림턱
73 : 가이드핀 73a : 걸림돌기
75 : 복원스프링
80 : 지지수단
81 : 지지축 83 : 힌지부재
83a : 삽입공 83b : 지지돌기
90 : 제3 조절부재
91 : 제3 조절핀 93 : 제4 관통공
100 : 제1 완충부재
110 : 제2 완충부재
120 : 제3 완충부재

Claims (9)

  1.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편직기용 사도부재(20);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동작 가능한 제1 구동수단(30); 및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승하강동작 가능한 제2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도부재(20)는 상기 제1 구동수단(30) 또는 상기 제2 구동수단(40)에 의하여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동수단(3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하부에 접촉 배열되어 사도부재(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레버(31)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레버(31)를 선회시키는 제1 구동실린더(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수단(30)의 작동레버(31)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작동레버(31)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1 조절부재(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는 지지축(81)과,
    상기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사도부재(20)와 연결되는 힌지부재(83)를 포함하는 지지수단(8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부재(83)의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힌지부재(83)의 선회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3 조절부재(9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4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하부에 배열되어 사도부재(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2 구동실린더(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에 구비되고, 상기 사도부재(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도부재(20)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부재(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의 구비되어 상기 사도부재(20)의 상부에 배열되고, 승하강동작을 통하여 상기 사도부재(20)의 회전각을 제한 조절하는 제2 조절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기 사도부재(20), 상기 제1 구동수단(30) 및 상기 제2 구동수단(4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한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KR20130023481A 2013-03-05 2013-03-05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KR101488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481A KR101488078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3481A KR101488078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42A KR20140109142A (ko) 2014-09-15
KR101488078B1 true KR101488078B1 (ko) 2015-01-29

Family

ID=5175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3481A KR101488078B1 (ko) 2013-03-05 2013-03-05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87B1 (ko) 2020-09-18 2020-12-28 김원태 원사 전환 기능을 갖는 원형 편직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9B1 (ko) * 2007-07-30 2009-07-2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KR20100048018A (ko) * 2008-10-30 2010-05-1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9B1 (ko) * 2007-07-30 2009-07-2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KR20100048018A (ko) * 2008-10-30 2010-05-11 (주) 태영기계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87B1 (ko) 2020-09-18 2020-12-28 김원태 원사 전환 기능을 갖는 원형 편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142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5757B (zh) 一种用于陶瓷瓶曲形颈的打磨装置
JP5305124B2 (ja) 引戸の閉鎖緩衝装置
JP6412885B2 (ja) 緩衝機能を有するマルチリンクヒンジ
JP5264114B2 (ja) タイヤ交換機用のビード分離ユニット
US8857909B2 (en) Chair with a rocking mechanism
KR20150077380A (ko) 비활성화가 가능한 감속 장치를 가지는 가구용 힌지
JPH07285081A (ja) 打込機の打込深さ調整装置
EP2977176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uniaxial die opening and closing and bottom die positioning
CN108798328B (zh) 一种埋入式铰链结构
KR101488078B1 (ko)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JP2020529543A (ja) スライドドア床操作装置
CN110300640A (zh) 打入工具
EP25467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056498A (ja) 真空用ゲートバルブ
JP5806947B2 (ja) バンドソー装置
US6715834B1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 chair
CN107651435B (zh) 挡料止回装置
JP5328596B2 (ja) 切断装置
CN211768315U (zh) 一种料盘推料装置
JP2007291695A (ja) 間仕切り引戸の緩衝具及びその間仕切り引戸装置
JP6328474B2 (ja) 連結戸の緩衝装置
KR101505192B1 (ko) 길이 조절형 가스스프링
KR101988060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5592184B2 (ja) チャック装置
KR20200049818A (ko) 엔드 포지션 내로 가전제품 또는 가구 아이템의 가동 파트를 후퇴시키기 위한 리트랙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