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904B1 - 플러그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904B1
KR101533904B1 KR1020137023813A KR20137023813A KR101533904B1 KR 101533904 B1 KR101533904 B1 KR 101533904B1 KR 1020137023813 A KR1020137023813 A KR 1020137023813A KR 20137023813 A KR20137023813 A KR 20137023813A KR 101533904 B1 KR101533904 B1 KR 10153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plug
loc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310A (ko
Inventor
가즈타마 다카하시
아츠히토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531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57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53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58727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68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5748B2/ja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9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both sliding and plugging, (e.g. for refrigera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0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15/10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railway-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05F15/64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allowing or involving a secondary movement of the wing, e.g. rotational or transvers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5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pair of bifurca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7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the track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fixed frame, e.g. sliding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 E05D2015/1097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ransversely moving track with the carriage and track forming a telescopic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8Tract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8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a transmission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슬라이드 베이스(12)는 고정 베이스(11)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부(19)를 통해 1매의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13)는 전동 모터(21)를 포함하는 구동부(13a), 구동륜 부재(13b), 종동륜 부재(13c), 무단 형상 부재(13d)를 갖고,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설치된다. 가이드부(15)는 연결부(19)에 설치된 축부(14)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안내한다. 2개의 랙(16a, 16b) 사이에 피니언(16c)이 배치된 배속 레일(16)에 의해, 한쪽의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랙(16a)이 도어(104)측에 연결되고, 피니언(16c)이 연결부(19)측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플러그 도어 장치{PLUG DOOR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차량의 폭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차량의 폭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승강구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로서 설치된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를 개폐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도어 장치는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와,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장치로서 설치된 도어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는 연결부에 설치된 축부와,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할 때,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가 차량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축부를 안내하는 동시에, 도어를 폐쇄할 때,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가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 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플러그 도어 장치는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구성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연결부를 통해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가, 연결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이 유성 기어 기구를 통해 피니언에 입력되어, 피니언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랙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이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이 로크 기구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로크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로크 기구는 도어가 폐쇄 위치일 때에 도어측에 설치된 로크 핀과 걸림 결합하여 도어의 이동을 로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는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로 변형 가능한 링크 기구와, 링크 기구의 양단부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폐쇄 위치 이외에 있을 때에 링크 기구를 굴곡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링크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 보유 지지 기구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로크 핀에 걸림 결합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동일한 폐쇄 위치에 있어서 직선 상태의 링크 기구의 단부에 걸림 결합하는 제2 걸림 결합부가 설치된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의 이동을 로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는 승강구의 상부 및 하부의 양측에 있어서, 회전함으로써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측 회전 아암 및 하측 회전 아암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측 회전 아암 및 하측 회전 아암의 각각의 선단에는 롤러가 설치되고, 각 롤러는 도어에 형성된 레일의 홈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회전 아암과 슬라이드 베이스 사이에는 연결 막대가 설치되고, 연결 막대는 일단부가 상측 회전 아암측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타단부측이 슬라이드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승강구에 설치된 브래킷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축은 상측 회전 아암 및 하측 회전 아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연결축의 상단부측에 상측 회전 아암이 고정되고, 연결축의 하단부측에는 하측 회전 아암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는 슬라이드 베이스의 이동과 함께 연결 막대를 통해 상측 회전 아암이 회전하고, 또한 상측 회전 아암의 회전과 함께 연결축을 통해 하측 회전 아암도 회전한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의 강성이 작은 경우라도, 플러그 동작 시에, 축부, 가이드부 및 슬라이드 베이스가 배치된 도어의 상부측의 이동에 대한 도어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버리는 상태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9593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21244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플러그 도어 장치는 한 쌍으로 구성된 더블 슬라이딩의 2매의 도어를 개폐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구동 기구가, 피니언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랙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의해,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가, 싱글 슬라이딩의 1매의 도어의 개폐 동작 및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령 랙을 상측 또는 하측의 한쪽만 이용하도록 해도, 랙의 가동 범위는 도어의 개구 폭 이상 필요해지므로,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구에 대해 랙이 크게 돌출되어 버리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는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발생하여,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로크 기구가 플러그 도어 장치에 설치됨으로써, 도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로크 기구는 링크 기구의 양단부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가, 직선 상태의 링크 기구의 단부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로크 동작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플러그 기구에 외력이 작용함으로써, 도어에 덜걱거림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를 로크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회전 아암 및 하측 회전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설치됨으로써, 상측 회전 아암과 함께 하측 회전 아암도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동작 시에,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가 배치된 도어의 상부측에 대한 도어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확보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플러그 도어 장치는 상측 회전 아암 및 하측 회전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축이 필요해지므로, 승강구의 근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을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도 필요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함으로써,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아암을 갖고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와,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 상기 구동륜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륜 부재 및 상기 구동륜 부재와 상기 종동륜 부재에 대해 주회(周回)하도록 권취되고 당해 구동륜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당해 종동륜 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1매의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당해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대면하는 2개의 랙과 당해 2개의 랙 사이에 배치된 피니언을 갖고, 당해 2개의 랙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당해 2개의 랙 중 한쪽이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도어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이 상기 연결부측에 연결되어 있는 배속 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는 축부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를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의 동작은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 기구는 2개의 랙 및 피니언에 의해 구성되는 배속 레일을 통해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도어 구동 기구의 작동 스트로크를 배증시켜 효율적으로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더욱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 및 배속 레일을 통해 1매의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개의 도어 구동 기구가,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 구동륜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륜 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기구의 작동 시에, 구동륜 부재 및 종동륜 부재가 이동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피니언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랙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포함하는 도어 구동 기구와는 달리, 도어 구동 기구의 일부가,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구에 대해 크게 돌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되어,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되게 된다. 또한,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풀리, 스프로킷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무단 형상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벨트, 체인,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1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당해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동 모터와, 선 기어, 당해 선 기어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당해 선 기어의 주위를 공전하는 유성 기어, 당해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유성 기어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당해 유성 기어에 맞물리는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를 갖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전동 모터와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의 선 기어, 캐리어, 링 기어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전동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륜 부재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전동 모터에 의해, 도어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에 의한 도어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2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어 설치된 로크 고정부와,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로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하는 로크 이동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베이스측에 고정된 로크 고정부에 대해 로크 이동부가 차폭 방향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폐쇄 시에 있어서의 도어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보다 덜걱거림 없이 확실하게 도어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를 로크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3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는,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로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접촉부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소정의 규제된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로크 고정부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매끄럽게 이동하므로, 유성 기어 기구의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4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는,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규제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롤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촉부는 회전 가능한 롤러에 의해 로크 고정부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고정부와의 마찰력이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레일 상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3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와 접촉함으로써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면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이동부에 접촉 가능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당해 구동륜 부재가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제2 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가 로크 고정부의 제1 면에 접촉하여, 도어가 로크된다. 한편,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와 로크 고정부의 제2 면이 접촉하여 양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 밸런스된 상태로 되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로크 기구로의 출력이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 및 무단 형상 부재가 작동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직교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이 설치된 로크 고정부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의 구동륜 부재 및 로크 기구로의 구동력의 배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로크 고정부에 제1 면 및 제2 면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기구에 의해, 구동력을 구동륜 부재 및 로크 기구로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3 발명 내지 제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구동륜 부재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종동륜 부재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구동륜 부재에 대해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크 기구에 대해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부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게 됨으로써,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 동작이 도어의 중앙 부분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가 로크되는 위치가 치우쳐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도어가 중앙 부분에서 밸런스 좋게 로크되게 된다. 또한, 도어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구동륜 부재에 대해, 복수의 종동륜 부재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그들을 주회하는 무단 형상 부재를 콤팩트한 영역에 있어서 보다 긴 주회 거리에 걸쳐서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단 형상 부재의 주회 거리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8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이며, 상기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당해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대면하는 2개의 랙과 당해 2개의 랙 사이에 배치된 피니언을 갖고, 당해 2개의 랙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당해 2개의 랙 중 한쪽이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도어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이 상기 연결부측에 연결되어 있는 배속 레일과,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당해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8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어 설치된 로크 고정부와, 상기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로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하는 로크 이동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는 축부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를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의 동작은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 기구는 2개의 랙 및 피니언에 의해 구성되는 배속 레일을 통해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도어 구동 기구의 작동 스트로크를 배증시켜 효율적으로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더욱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베이스측에 고정된 로크 고정부에 대해 로크 이동부가 차폭 방향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폐쇄 시에 있어서의 도어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보다 덜걱거림 없이 확실하게 도어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를 로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를 로크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8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는,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로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 부재를 통해 슬라이드 접촉부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소정의 규제된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로크 고정부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매끄럽게 이동하므로, 도어 구동 기구의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9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는,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규제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롤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촉부는 회전 가능한 롤러에 의해 로크 고정부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고정부와의 마찰력이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레일 상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슬라이드 접촉부가 슬라이드 레일 상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8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 기구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갖고, 상기 구동부는 선 기어, 당해 선 기어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당해 선 기어의 주위를 공전하는 유성 기어, 당해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유성 기어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당해 유성 기어에 맞물리는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구동 기구가, 전동 모터를 갖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연결부를 통해 도어를 이동시키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있어서의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 랙에 의해, 승강구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로서 설치된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를 동시에 개폐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1대의 전동 모터에 의해 쌍 미닫이 도어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전동 모터와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의 선 기어, 캐리어, 링 기어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전동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전동 모터에 의해,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에 의한 도어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를 실현할 수 있다.
제12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8 발명 내지 제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 기구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 상기 구동륜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륜 부재 및 상기 구동륜 부재와 상기 종동륜 부재에 대해 주회하도록 권취되고 당해 구동륜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당해 종동륜 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를 갖고, 1매의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선 기어, 당해 선 기어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당해 선 기어의 주위를 공전하는 유성 기어, 당해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유성 기어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당해 유성 기어에 맞물리는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 및 배속 레일을 통해 1매의 도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개의 도어 구동 기구가,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 구동륜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륜 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기구의 작동 시에, 구동륜 부재 및 종동륜 부재가 이동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의 일부가, 도어가 설치되는 승강구에 대해 크게 돌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되어,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되게 된다. 또한,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풀리, 스프로킷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무단 형상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벨트, 체인,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가 전동 모터와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의 선 기어, 캐리어, 링 기어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전동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륜 부재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전동 모터에 의해, 도어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에 의한 도어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를 실현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12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와 접촉함으로써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면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이동부에 접촉 가능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당해 구동륜 부재가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제2 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가 로크 고정부의 제1 면에 접촉하여, 도어가 로크된다. 한편, 도어의 개폐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와 로크 고정부의 제2 면이 접촉하여 양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 밸런스된 상태로 되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로크 기구로의 출력이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 및 무단 형상 부재가 작동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직교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이 설치된 로크 고정부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의 구동륜 부재 및 로크 기구로의 구동력의 배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로크 고정부에 제1 면 및 제2 면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기구에 의해, 구동력을 구동륜 부재 및 로크 기구로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4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14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연결부를 통해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된 축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도어가 폐쇄될 때에, 당해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당해 축부가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 당해 축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힘인 도어 개폐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 아암을 갖고, 상기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 아암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아암 기구는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도어 개폐력을 취득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부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종동 회전 부재 또는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종동 회전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당해 종동 회전 부재를 원호 형상의 곡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이드 곡면부가 설치된 가이드 곡면 부재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 대해 상기 도어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일부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부가 배치되는 측과 반대측에서 접촉하여, 당해 도어의 일부를 지지하는 도어측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 곡면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력 발생부 및 상기 종동 회전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상기 회전 아암과, 상기 회전 아암에 대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인 개방 방향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회전 아암과 접촉함으로써 당해 회전 아암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는 축부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를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의 동작은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도어 개폐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 아암을 갖는 회전 아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아암 기구에서는 도어로부터 취득된 도어 개폐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전달된 종동 회전 부재가 회전하여, 이 종동 회전 부재가 가이드 곡면부를 따라서 안내됨으로써, 종동 회전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회전 아암이 회전한다. 이로 인해, 축부, 가이드부 및 슬라이드 베이스가 도어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회전 아암 기구가 도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강성이 작은 경우라도, 플러그 동작 시에, 도어의 상부측의 이동에 대한 도어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버리는 상태의 발생이 방지된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결축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가 배치된 도어의 상부측의 이동에 대한 도어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아암을 갖고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 아암 기구에 따르면, 도어 개폐력을 취득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부측에 추가하여, 도어의 일부를 통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에 배치된 도어측 지지부에 의해서도 도어가 지지된다. 이로 인해, 도어의 일부가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지지되게 되어, 회전력 발생부가 도어에 대해 추종하여 작동하는 상태가 상시 확보되게 된다. 또한, 이 회전 아암 기구에서는, 회전 아암의 도어 개방 방향측의 회전 범위가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되므로, 도어가 개방될 때에 회전 아암이 플러그 동작 후에 과도하게 회전하여 도어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아암을 갖고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14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부는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도어 개폐력을 구동력으로서 취득하는 구동력 취득부와, 상기 구동력 취득부에서 취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 회전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력 발생부에 있어서, 도어 개폐력을 구동력으로서 취득하는 기구와, 취득된 구동력으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구가, 분리된 기구로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에 대해 접촉하면서 마찰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력 발생부에 비해, 도어 개폐력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는 제15 발명의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 기구는 상기 규제 부재에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회전 아암의 위치를 보유 지지하도록 당해 회전 아암을 가압 가능한 아암 가압 스프링을 더 갖고, 상기 구동력 취득부는 상기 도어에 고정된 도어측 고정 랙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측 고정 랙에 맞물리는 외치를 갖고, 상기 도어측 고정 랙은 상기 도어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폐력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구동력 취득부에 대해, 도어에 고정된 도어측 고정 랙과 구동 회전 부재의 외주의 외치에 의한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측 고정 랙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설치되므로, 플러그 동작 후에 구동 회전 부재의 외주의 외치가 도어측 고정 랙에 맞물려 과도하게 작동하여 도어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아암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가 개방될 때에, 차량의 전후 방향에 부분적으로 설치된 도어측 고정 랙과 구동 회전 부재의 외주의 외치의 맞물림이 어긋난 후에 있어서도, 규제 부재에 접촉한 위치에서 회전 아암의 위치가 보유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를 로크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도어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아암을 갖고 도어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도어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도어 구동 기구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플러그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측면도이며 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배면도이며 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있어서의 도어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로, 개방 동작이 행해진 도어의 위치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J-J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에 있어서의 도어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8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3과는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18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3과는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8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J-J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28에 있어서의 도어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도 29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플러그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3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측면도이며 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6은 도 33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배면도이며 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3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8은 도 28에 있어서의 도어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9는 도 28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 아암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하는 회전 아암 기구의 M-M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39에 도시하는 회전 아암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도 29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에 있어서의 로크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변형예에 관한 회전 아암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차량의 폭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1)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1)는 1매로 구성되는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은 차량 내측에서 본 모식도로, 차량의 승강구(102)에 대해 도어(104)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플러그 도어 장치(1)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도어(104)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플러그 도어 장치(1)가 승강구(102)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에 수납된 상태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3에서는 차량측의 요소의 도시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1)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로, 도어(104)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플러그 도어 장치(1)의 측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2에 있어서의 도어(104)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측벽(101)에는 승강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도어(104)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승강구(102)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승강구(102)의 상부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103)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후 방향이라 함은, 차량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도 1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차량 측벽(101) 및 프레임(103)은 차량의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승강구(102)를 덮도록 1매의 도어(104)가 설치되어 있다. 1매의 도어(104)는 싱글 슬라이딩 도어이며, 플러그 도어 장치(1)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4)는 그 하방측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이라 함은,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도 2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도어(104)는 폐쇄된 위치인 폐쇄 위치(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승강구(102)를 대략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1)는 차량의 승강구(102)에 설치되고, 도어(104)의 개폐 동작 및 차폭 방향으로 도어(104)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도어 장치(1)는 고정 베이스(11), 슬라이드 베이스(12), 1매의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도어 구동 기구(13), 도어 구동 기구(13)에 의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축부(14), 축부(14)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5), 배속 레일(16), 로크 기구(17), 회전 아암(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고정 베이스(1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11)는 차량의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3)의 일부인 판 형상 부재(103a)에 고정되어 있다(도 5를 참조). 이에 의해, 고정 베이스(11)는 차량의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11)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탄한 판 형상부(11a)와, 판 형상부(11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 지지부(11b, 11b)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지지부(11b)는 블록 형상이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지지부(11b)에는 슬라이드 베이스(12)를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일 부재(11c)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판 형상부(11a)가, 차량의 본체에 대해 각각 고정되는 2매의 판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베이스(12)는 고정 베이스(11)의 하방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11)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 고정 베이스(11)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12)에는 수평 방향이고 평탄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12a)와, 브래킷부(12b)와, 차륜부(12c)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부(12b)는 본체부(12a)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외측[도어(104)측]의 단부에서 본체부(12a)에 대해 하방으로 굴곡된 후 또한 수평 방향으로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굴곡되도록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부(12b)에는 후술하는 배속 레일(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륜부(12c)는 본체부(12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11c) 상을 구름 이동하는 차륜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12)가 고정 베이스(11)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구동 기구, 배속 레일에 대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도어 구동 기구(13)는 슬라이드 베이스(12)의 본체부(12a)에 설치되고, 연결부(19)를 통해 1매의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구동 기구(13)는 본체부(12a)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어 구동 기구(13)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후술하는 도 6을 참조)를 포함하는 구동부(13a), 구동 풀리(13b), 복수의 종동 풀리(13c), 구동 벨트(13d), 복수의 아이들러 풀리(13e)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 풀리(13b)는 구동부(13a)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풀리로서 설치되어 있다. 종동 풀리(13c)는 구동 풀리(13b)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구동 풀리(13b)는 본 실시 형태의 구동륜 부재를, 복수의 종동 풀리(13c)는 본 실시 형태의 종동륜 부재를, 구동 벨트(13d)는 본 실시 형태의 무단 형상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구동 벨트(13d)는 톱니형 벨트이며, 구동 풀리(13b)와 복수의 종동 풀리(13c, 13c)에 대해 주회하도록 그들의 외주에 권취되고, 구동 풀리(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종동 풀리(13c, 13c)를 회전시키는 환형상의 벨트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벨트(13d)에는 연결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아이들러 풀리(13e)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구동 풀리(13b)와 각 종동 풀리(13c) 사이에 있어서, 구동 벨트(13d)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구동 벨트(13d)에 대해 압박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벨트(13d)가 각 아이들러 풀리(13e)의 외주에 대해 소정의 각도에서 권취되어, 구동 벨트(13d)에 소정의 장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13a) 및 구동 풀리(13b)는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종동 풀리(13c, 13c)는 구동 풀리(13b)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도어 구동 기구(13)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차량의 전후 방향과 수직인 면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구성 요소를 일부 생략하여 간략화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또한 도시한 구성 요소를 명료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단면 상태를 도시하는 해칭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후술하는 로크 기구(17)의 외형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3a)는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추가하여,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2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20)는 선 기어(20a), 복수의 유성 기어(20b), 캐리어(20c), 링 기어(20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 기어(20a)에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된다. 복수의 유성 기어(20b)는 선 기어(20a)의 주위에 배치되어, 선 기어(20a)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이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20c)는 복수의 유성 기어(20b)의 각각을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 유성 기어(20b)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20d)는 각 유성 기어(20b)에 맞물리는 내치가 내주에 형성된 링 형상의 기어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링 기어(20d)는 각 유성 기어(20b)에 맞물리는 내치가 형성된 링 형상의 부분이, 통 형상으로 설치된 구동 풀리(13b)의 내측에서 이 구동 풀리(13b)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의 삭감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도어 구동 기구(13)는 유성 기어 기구(20)에 있어서의 선 기어(20a), 유성 기어(20b) 및 링 기어(20d)가 구동 풀리(13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형화가 도모되게 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 도어 장치(1)로서의 가일층의 소형화가 도모되게 된다.
또한, 캐리어(20c)에 있어서의 외주부의 일부는 로크 출력부(22)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선 기어(20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후술하는 로크 기구(17)에 대해 입력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요동함으로써 출력된 구동력에 대해, 그 구동력의 작용 방향을 변환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직선 방향의 구동력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출력부(22)에 있어서의 구동력을 출력하는 선단 부분에는 출력 롤러(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 롤러(22a)를 통해 캐리어(20c)의 구동력이, 후술하는 로크 기구(17)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에 입력되고, 링 기어(20d)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구동 풀리(13b)에 입력되고,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17)에 입력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구동 풀리(20b)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17)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동 벨트(13d)에 설치되어 도어 구동 기구(13)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19)는 굴곡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9)의 단부는 구동 벨트(13d)에 대해, 2개의 종동 풀리(13c, 13c)에 구동 풀리(13b)를 통하지 않고 권취된 측에 있어서의 이들 종동 풀리(13c, 13c) 사이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9)는 구동 벨트(13d)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굴곡되어 수평으로 도어(104)측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19)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서 후술하는 배속 레일(16)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9)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 단부(1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19a)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축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14)에는 축부(14)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19a)에 고정되는 축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 롤러(14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배속 레일(16)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속 레일(16)은 대면하는 2개의 랙(16a, 16b)과, 피니언(16c)과, 지지 레일(16d)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면하는 2개의 랙(16a, 16b)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랙(16a)과,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랙(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16c)은 2개의 랙(16a, 16b) 사이에 배치되어, 각 랙(16a, 16b)에 설치된 이에 대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피니언(16c)은 지지 레일(16d)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니언(16c)은 연결부(19)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피니언(16c)은 지지 레일(16d)을 통해 연결부(19)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벨트(13d)에 고정된 연결부(19)와, 지지 레일(16d)과, 피니언(16c)은 상대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6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레일(16d)은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을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운 상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레일(16d)은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의 각각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배속 레일(16)에 있어서는, 2개의 랙(16a, 16b) 중 한쪽의 하측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12)의 브래킷부(12b)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측 랙(16a)이 도어(104)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랙(16a)은 도어(104)에 대해, 도어 지지 부재(104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 지지 부재(104a)는 도어(104)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배속 레일(16)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도어 구동 기구(13)의 구동 풀리(13b)가 구동되면, 구동 벨트(13d)에 고정된 연결부(19)와 함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이 맞물리면서 차량의 전후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하는 피니언(16c)에 대해, 피니언(16c)에 맞물리는 상측 랙(16a)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측 랙(16a)은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의 이동 속도에 대해 배의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측 랙(16a)의 하측 랙(16b)에 대한 이동량은 피니언(16c)의 하측 랙(16b)에 대한 이동량에 대해, 동일한 방향에서 배의 이동량으로 된다. 또한, 상측 랙(16a)에 도어 지지 부재(104a)를 통해 연결된 도어(104)도, 상측 랙(16a)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랙(16b)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베이스(12)에 대해, 도어(104)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러그 기구에 대해〕
플러그 도어 장치(1)에 있어서, 도어(104)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플러그 기구는 축부(14), 가이드부(15) 및 롤러 가이드(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플러그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 기구의 도 7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러그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7의 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플러그 기구의 배면도이며 도 7의 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러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도 7 및 도 11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104)가 폐쇄 위치일 때의 플러그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1은 도어(10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될 때에 있어서, 플러그 동작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5,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축부(14), 가이드부(15), 롤러 가이드(23)]는 고정 베이스(11)와 슬라이드 베이스(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9)의 돌출 단부(19a)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23)는 고정 베이스(11)의 판 형상부(11a)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15)는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고정 베이스(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15)는 제1 링크(24)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24)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측을 고정 베이스(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크(24)는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는 제1 회전축(26)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링크(24)의 타단부측의 주연에는 축부(14)의 축부 롤러(14a)를 수용 가능한 제1 절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링크(25)는 판 형상 부재이며, 제1 링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의 근방에 설치된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는 제2 회전축(27)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링크(25)의 주연에는 축부(14)의 축부 롤러(14a)를 수용 가능한 제2 절결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25)에는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 롤러(2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 롤러(28)는 제2 링크(2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고정 베이스(11)에 고정된 롤러 가이드(23)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104)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와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로 축부(14)의 주위가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크(24)는 제1 절결부(24a)의 개구측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보유 지지되고, 또한 제2 링크(25)는 제2 절결부(25a)의 개구측을, 제1 회전축(26)을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24)에 있어서의 제1 절결부(24a) 내로부터 외측을 향해 축부(14)가 이동하는 것이, 제2 링크(25)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도어(104)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 링크(25)의 가이드부 롤러(28)는 제2 절결부(25a)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링크(25)의 제2 회전축(27)은 제2 절결부(25a)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24)와 제2 링크(25) 사이에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헬리컬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헬리컬 스프링(30)의 일단부는 제2 링크(25)에 있어서의 제2 회전축(27)과 가이드부 롤러(28)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1 링크(24)에 있어서의 제1 회전축(26)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링크(25)는 축부(14)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상방에서 볼 때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헬리컬 스프링(30)에 가압된다. 즉,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롤러 가이드(23)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가이드(23)에는 그 측면에 있어서, 가이드부 롤러(28)를 안내하는 경사면(23a)과, 이 경사면(23a)에 연속해서 가이드부 롤러(28)를 안내하는 곡면(23b)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23a)은 롤러 가이드(23)의 측면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도어(104)가 개방되는 방향[이하, 개방 방향으로 기재함. 도 7에 있어서 화살표 G1로 나타냄)을 향할수록,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평탄한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곡면(23b)은 롤러 가이드(23)의 측면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경사면(23a)으로부터 연속해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진 후에 또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오목해지도록 구부러지면서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곡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면(23b)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는, 개방 방향으로 볼록하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는, 도어(104)가 폐쇄되는 방향(개방 방향과 역방향이고, 이하, 폐쇄 방향으로 기재함. 도 7에 있어서 화살표 G2로 나타냄)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회전 아암에 대해〕
도 12는 도 2에 있어서의 도어(104)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102)의 상부 및 하부에는 회전함으로써, 도어(104)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 아암[18(18a, 1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구(102)의 상부에는 상측 회전 아암(18a)이 설치되고, 승강구(102)의 하부에는 하측 회전 아암(18b)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 회전 아암(18a)은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31)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어, 연결축(3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31)은 상하 양단부에 있어서, 차량 측벽(101)에 있어서의 승강구(102)의 테두리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회전 아암(18a)의 선단부에는 대략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측 롤러(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12)의 본체부(12a)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도 4를 참조). 상측 롤러(32)는 긴 구멍(33)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긴 구멍(33)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측 회전 아암(18b)은 연결축(31)의 하측에 고정되어, 연결축(3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측 회전 아암(18b)은 상측 회전 아암(18a)이 회전함으로써, 연결축(3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회전 아암(18b)의 선단부에는 대략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롤러(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04)의 차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하단부측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레일(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레일(35)에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롤러(34)는 도어 레일(35)의 홈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도어 레일(35)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2를 참조).
〔로크 기구에 대해〕
도 13은 로크 기구(17)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로크 기구(17)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17)는 도어(104)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104)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기구(17)는 로크 고정부(36)와 로크 이동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크 고정부(36)는 고정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설치된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6, 도 13 및 도 14에서는 고정 베이스(11)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로크 고정부(3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되고, 판 형상의 부재, 혹은 핀 형상의 부재 등으로서 고정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로크 이동부(37)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17)로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이동부(37)는 도어(104)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로크 고정부(36)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17)는 로크 이동부(37)가 로크 고정부(36)에 접촉함으로써, 도어(104)의 폐쇄 시에 있어서, 도어(104)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이동부(37)는 로크 고정부(36)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38)와, 슬라이드 레일(39)과, 전달 부재(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39)은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39)은 슬라이드 접촉부(38)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40)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달 부재(40)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17)로 출력되는 구동력을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달 부재(40)에는 그 하단부측에 절결 부분(4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 부분(40a)에, 로크 출력부(22)의 출력 롤러(22a)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40)의 상단부측은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에 의해, 로크 기구(17)는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출력부(22)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력이, 전달 부재(40)에 있어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한 출력 롤러(22a)의 이동과 함께,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달 부재(40)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드 레일(3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규제된 슬라이드 접촉부(38)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출력 롤러(22a)는 그 선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형성된 긴 구멍(43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롤러(22a)는 이 긴 구멍(43a)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도 13을 참조). 이에 의해, 출력 롤러(22a)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이 확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3)는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설치된 구동부(13a)의 하우징 등에 대해 고정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접촉부(38)는 슬라이드 블록(41)과 롤러(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41)은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레일(3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규제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블록(41)은 복수의 부재가 일체화되도록 고정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체화된 것 중 한쪽의 부재에 전달 부재(40)의 상단부측이 고정되고, 일체화된 것 중의 다른 쪽의 부재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39)의 레일면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42)는 슬라이드 블록(41)에 대해,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42)는 그 외주 측면에 있어서, 로크 고정부(36)의 측면에 대해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고정부(36)는, 도 6,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교하는 2개의 블록 형상의 부분이 일체화된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고정부(36)의 측면에는 롤러(42)가 접촉 가능한 제1 면(36a), 제2 면(36b) 및 경사면(36c)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면(36a)은 로크 고정부(36)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측면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면(36a)은 차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도어(104)의 폐쇄 시에 있어서 로크 이동부(37)의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있어서의 롤러(42)의 외주와 접촉함으로써, 도어(104)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면(36b)은 로크 고정부(36)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개방 방향측에 면하는 측면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면(3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로크 이동부(37)의 롤러(42)의 외주에 접촉 가능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면(36b)은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구동 풀리(13b)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 구동 풀리(13b)가 회전 구동되도록,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17)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36c)은 로크 고정부(36)에 있어서 제1 면(36a)과 제2 면(36b)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1 면(36a) 및 제2 면(36b)에 연속하는 측면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면(36c)은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으로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면(36a) 및 제2 면(36b)의 양쪽에 대해 경사지는 면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롤러(42)는 제1 면(36a) 및 제2 면(36b)에 의해 로크 고정부(36)에 대해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이 경사면(36c)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제1 면(36a) 및 제2 면(36b) 사이에서의 롤러(42)의 이동이 매끄럽게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
다음에, 플러그 도어 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4)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축부(14)는 상방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 및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의 양쪽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도 7을 참조). 즉, 축부(14)가, 절결부(24a, 25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어(104)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도 6,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17)는 롤러(42)가 로크 고정부(36)의 제1 면(36a)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기구(17) 및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를 통해, 슬라이드 베이스(12)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규제되어, 도어(104)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로크되어 있다.
상기한 폐쇄 위치의 상태로부터, 도어 구동 기구(13)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됨으로써,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가 회전을 개시하여, 선 기어(20a)의 주위의 유성 기어(20b)가 링 기어(20d)와 맞물리면서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20b)의 공전에 수반하는 캐리어(20c)의 요동에 의해, 출력 롤러(22a)가 도 13에 있어서 2점 쇄선의 화살표 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긴 구멍(43a) 내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출력 롤러(22a)와 함께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상기에 의해, 제1 면(36a)에 접촉되어 있던 롤러(42)가, 제1 면(36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는, 제1 면(36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 이동한 롤러(42)의 위치를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17)에 의한 도어(104)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면, 또한 연속해서, 도어 구동 기구(13)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이 계속된다. 이에 의해, 링 기어(20d)를 통해 구동 풀리(13b)에 출력되는 구동력이, 또한 구동 벨트(13d) 및 연결부(19)를 통해 축부(14)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축부(14)는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제2 링크(25)를 동일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5)의 제1 링크(24)에 대한 회전[상방에서 볼 때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의 경사면(23a)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규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4)에 대해 거의 회전하지 않고, 제2 회전축(27)을 통해 제1 링크(24)에,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부 롤러(28)는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링크(24)는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제1 링크(24)가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제2 링크(25)의 가이드부 롤러(28)는 롤러 가이드(23)의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경사면(23a)측으로 끌어 당겨져 있으므로, 경사면(23a)으로부터 가이드부 롤러(28)가 이격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가이드부 롤러(28)가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와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가 축부(14)의 주위를 둘러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로부터, 축부(14)가 개방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가이드부 롤러(28)와 롤러 가이드(23)의 접촉 위치가 경사면(23a)으로부터 곡면(23b)으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 롤러(28)가, 곡면(23b)을 따라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끌어 들여지는 동시에, 제2 링크(25)가, 제1 링크(24)에 대해,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5)에 의한 축부(14)의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이때, 제1 링크(24)의 화살표 H 방향의 회전은 롤러 가이드(23)에 고정된 스토퍼(44)에 대해 제1 링크(24)가 접촉함으로써, 규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15)는 도어(104)가 개방될 때에, 축부(14)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14)가 차폭 방향의 한쪽(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14)를 안내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104)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 있어서, 제1 절결부(24a)가 제1 회전축(26)의 위치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1 링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04)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부 롤러(28)가 축부(14)의 중심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제2 회전축(27)이 축부(14)의 중심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2 링크(25)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15)는 축부(14)로부터의 가압력을 효율적으로 제1 링크(24)의 회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링크(24)가 회전할 때, 축부(14)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축부(14)에 대해 연결부(19)를 통해 연결되는 도어 구동 기구(13)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도어 구동 기구(13)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12)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13) 및 슬라이드 베이스(12)가, 고정 베이스(1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지지부(11b)에 안내되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어(104)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도어(104)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39)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접촉부(38)도, 슬라이드 베이스(12)와 함께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롤러(42)가, 1점 쇄선의 롤러(42b)로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42(42b)]는 로크 고정부(36)의 제2 면(36b)에 접촉한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에 연결된 로크 출력부(22)에는 출력 롤러(22a)를 도 13에 있어서 2점 쇄선의 화살표 I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42)가 제2 면(36b)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의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출력 롤러(22a) 및 전달 부재(40)를 통해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작용함으로써, 롤러(42)가 제2 면(36b)에 압박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롤러(42)가 제2 면(36b)에 압박되어 접촉한 상태에서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17)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이 제2 면(36b)에 있어서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구동 풀리(13b)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 풀리(13b)가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풀리(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벨트(13d)가 구동되어, 연결부(19)와 함께 배속 레일(16)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이동한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4)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4)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4)의 개방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어(104)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는, 축부(14)는 가이드부(15)로부터 차폭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은 없고, 연결부(19)와 함께 개방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1)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로, 개방 동작이 행해진 도어(104)의 위치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어(104)의 개방 동작이 완료되면, 도 15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어(104)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어(104)가 폐쇄될 때에는, 상술한 도어(104)의 개방 동작과 역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도어 구동 기구(13)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되어, 유성 기어 기구(20)를 통해 구동되는 구동 풀리(13b)가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19)에 연결된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4)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어(104)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4)의 폐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축부(14)는 가이드부(15)를 향해 직선적으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15)에 있어서는, 도어(10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제2 링크(25)에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 즉,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의 곡면(23b)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헬리컬 스프링(30)으로부터 인장의 힘이 제2 링크(25)에 작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롤러(28)는 곡면(23b)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롤러(28)의 외주 형상과 대략 동일한 반원호 형상을 갖는 오목부에 끼워 넣고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가 소정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해 온 축부(14)가 제2 절결부(25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제2 링크(25)가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제1 링크(24)도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해 온 축부(14)를 제1 절결부(24a)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도 11을 참조).
따라서, 축부(14)는 도어(104)가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하여(도 11을 참조), 이 제2 링크(25)를 가압한다. 이때,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의 힘에 저항하여,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축부(14)의 폐쇄 방향으로의 직선적인 이동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이 제2 링크(25)의 회전 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롤러(28)는 롤러 가이드(23)의 곡면(23b)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링크(25)의 회전 시에 있어서는, 제1 링크(24)는 거의 회전하는 일 없이 소정의 위치 혹은 그 근방부에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축부(14)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24)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24)가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축부(14)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도어(104)는 축부(14)와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즉, 도어(104)는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 근방부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끌어 들여져 폐쇄 위치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15)는 도어(104)가 폐쇄될 때에, 축부(14)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14)가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14)를 안내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39)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접촉부(38)도, 슬라이드 베이스(12)와 함께 차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1점 쇄선의 롤러(42b)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롤러(42)가,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롤러(42)가 이동하면, 로크 고정부(36)의 제2 면(36b)으로부터의 반력이 롤러(42)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출력 롤러(22a)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상기에 의해, 도 14에 있어서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로크 고정부(36)의 제1 면(36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롤러(42)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17)에 의한 도어(104)의 로크 상태가 확보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술한 도어(104)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이 행해질 때에는, 승강구(102)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회전 아암[18(18a, 18b)]이 각각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어(104)의 차폭 방향의 이동이 상하의 회전 아암[18(18a, 18b)]에 의해서도 안내되어, 도어(104)의 매끄러운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이상 설명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가이드부(15)는 축부(14)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14)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15)의 동작은 도어(104)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4)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15)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104)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1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 기구(13)는 2개의 랙(16a, 16b) 및 피니언(16c)에 의해 구성되는 배속 레일(16)을 통해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도어 구동 기구(13)의 작동 스트로크를 배증시켜 효율적으로 도어(10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더욱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연결부(19) 및 배속 레일(16)을 통해 1매의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개의 도어 구동 기구(13)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를 포함하는 구동부(13a), 구동부(13a)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풀리(13b), 종동 풀리(13c), 구동 풀리(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 풀리(13c)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구동 벨트)(13d)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기구(13)의 작동 시에, 구동 풀리(13b) 및 종동 풀리(13c)가 이동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피니언에 맞물리는 한 쌍의 랙이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포함하는 도어 구동 기구와는 달리, 도어 구동 기구(13)의 일부가, 도어(104)가 설치되는 승강구(102)에 대해 크게 돌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되어, 싱글 슬라이딩 도어(104)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104)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1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싱글 슬라이딩 도어(104)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구동부(13a)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와 유성 기어 기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 캐리어(20c), 링 기어(20d)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 풀리(13b)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17)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의해, 도어(104)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17)에 의한 도어(104)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13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고정 베이스(11)측에 고정된 로크 고정부(36)에 대해 로크 이동부(37)가 차폭 방향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폐쇄 시에 있어서의 도어(104)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어(104)의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보다 확실하게 도어(104)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104)를 로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104)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1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104)를 로크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 부재(40)를 통해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38)가,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소정의 규제된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로크 고정부(36)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드 접촉부(38)가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매끄럽게 이동하므로, 유성 기어 기구(20)의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를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슬라이드 접촉부(38)는 회전 가능한 롤러(42)에 의해 로크 고정부(36)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블록(41)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고정부(36)와의 마찰력이 슬라이드 접촉부(38)의 슬라이드 레일(39) 상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슬라이드 접촉부(38)가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도어(104)의 폐쇄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37)가 로크 고정부(36)의 제1 면(36a)에 접촉하여, 도어(104)가 로크된다. 한편, 도어(104)의 개폐 시에 있어서는, 로크 이동부(37)와 로크 고정부(36)의 제2 면(36b)이 접촉하여 양자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이 밸런스된 상태로 되고,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 로크 기구(17)로의 출력이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 구동 풀리(13b)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 풀리(13b), 종동 풀리(13c) 및 무단 형상 부재(구동 벨트)(13d)가 작동하여, 도어(104)의 개폐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직교하는 제1 면(36a) 및 제2 면(36b)이 설치된 로크 고정부(36)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의 구동 풀리(13b) 및 로크 기구(17)로의 구동력의 배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로크 고정부(36)에 제1 면(36a) 및 제2 면(36b)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기구에 의해, 구동력을 구동 풀리(13b) 및 로크 기구(17)로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로크 기구(17)에 대해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동부(13a)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4)의 중앙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로크 기구(17)에 의한 로크 동작이 도어(104)의 중앙 부분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104)가 로크되는 위치가 치우쳐 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도어(104)가 중앙 부분에서 밸런스 좋게 로크되게 된다. 또한, 도어(104)의 중앙 부분에 배치된 구동 풀리(13b)에 대해, 복수의 종동 풀리(13c, 13c)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그들을 주회하는 무단 형상 부재(구동 벨트)(13d)를 콤팩트한 영역에 있어서 보다 긴 주회 거리에 걸쳐서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단 형상 부재(13d)의 주회 거리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슬라이드 베이스(12)에 설치되어 연결부(19) 및 배속 레일(16)을 통해 1매의 도어(104)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1개의 도어 구동 기구(13)가,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를 포함하는 구동부(13a), 구동부(13a)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 풀리(13b), 종동 풀리(13c), 구동 풀리(13b)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 풀리(13c)를 회전시키는 구동 벨트(13d)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 구동 기구(13)의 작동 시에, 구동 풀리(13b) 및 종동 풀리(13c)가 이동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13)의 일부가, 도어(104)가 설치되는 승강구(102)에 대해 크게 돌출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이 발생하는 것이 대폭으로 억제되어, 싱글 슬라이딩 도어(104)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되게 된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1)에 따르면, 구동부(13a)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와 유성 기어 기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 캐리어(20c), 링 기어(20d)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구동 풀리(13b)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17)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의해, 도어(104)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에 의한 도어(104)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13a)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2)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2)는 2매로 구성되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에 대해 적합한 것이다. 또한, 도 16은 차량 내측에서 본 모식도로, 차량의 승강구(106)에 대해 도어(108, 109)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J-J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8은 플러그 도어 장치(2)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16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 및 도 18에서는 승강구(106)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에 플러그 도어 장치(2)가 수납될 때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커버의 도면을 생략하고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2)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로, 도어(108, 109)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도 1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플러그 도어 장치(2)의 측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17에 있어서의 도어(108, 109)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또는 동일한 부호를 인용함으로써,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측벽(105)에는 승강구(1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은 도어(108, 109)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승강구(106)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승강구(106)의 상부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107)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후 방향이라 함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도 16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차량 측벽(105) 및 프레임(107)은 차량의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승강구(106)를 덮도록 2매의 도어(108, 109)가 설치되어 있다. 2매의 도어(108, 109)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이며, 플러그 도어 장치(2)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도어(108, 109)는 그 하방측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7을 참조). 여기서,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이라 함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도 17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도어(108, 109)는 폐쇄된 위치인 폐쇄 위치(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승강구(106)를 대략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2)는 차량의 승강구(106)에 설치되어,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 및 차폭 방향으로 도어(108, 109)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도어 장치(2)는 고정 베이스(51), 슬라이드 베이스(52), 2매의 쌍 미닫이 도어(108, 109)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도어 구동 기구(53), 도어 구동 기구(53)에 의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축부[54(54a, 54b)], 축부[54(54a, 54b)]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5(55a, 55b)], 배속 레일[56(56a, 56b)], 로크 기구(57), 회전 아암[58(58a, 58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51)는 차량의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7)의 일부인 브래킷(107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베이스(51)는 차량의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51)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탄한 판 형상부(51a)와, 판 형상부(51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 지지부(51b, 51b)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지지부(51b)는 블록 형상이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지지부(51b)에는 슬라이드 베이스(52)를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일 부재(51c)가 고정되어 있다.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베이스(52)는 고정 베이스(51)의 하방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52)에는 수평 방향이고 평탄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52a)와, 브래킷부(52b)와, 차륜부(52c)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부(52b)는 본체부(52a)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외측[도어(108, 109)측]의 단부에서 본체부(52a)에 대해 하방으로 굴곡된 후 또한 수평 방향으로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굴곡되도록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부(52b)는 복수 설치되어, 본체부(52a)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브래킷부(52b)에는 후술하는 배속 레일[56(56a, 5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륜부(52c)는 본체부(52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51c) 상을 구름 이동하는 차륜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52)가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구동 기구, 배속 레일에 대해〕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도어 구동 기구(53)는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본체부(52a)에 설치되어, 연결부(59)를 통해 2매의 도어(108, 109)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구동 기구(53)는 본체부(52a)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어 구동 기구(53)는 제1 실시 형태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제1 실시 형태의 도 6을 참조. 도 18 내지 도 21에서는 도시를 생략.)를 포함하는 구동부(53a),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는 구동부(53a)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됨으로써 연결부(59)를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는 대면하는 2개의 구동 랙[60(60a, 60b)]과, 구동 피니언(6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면하는 2개의 구동 랙[60(60a, 60b)]은 차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구동 랙(60a)과, 차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구동 랙(6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구동 랙(60a) 및 내측 구동 랙(60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61)은 2개의 구동 랙(60a, 60b) 사이에 배치되어, 각 구동 랙(60a, 60b)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이에 대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피니언(61)은 회전 축심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피니언(61)은 구동부(53a)에 있어서의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링 기어(20d)의 회전과 함께 동일한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 기어(20d)와 함께 구동 피니언(61)이 회전함으로써, 구동 피니언(61)에 맞물리는 2개의 구동 랙(60a, 60b)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부(53a)와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피니언(61)은 슬라이드 베이스(52)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랙[60(60a, 60b)]에는 연결부(59)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53a)는 제1 실시 형태의 구동부(13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구동부(53a)는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추가하여,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2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2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 기어(20a), 복수의 유성 기어(20b), 캐리어(20c), 링 기어(20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 기어(20a), 유성 기어(20b),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선 기어(20a)에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어, 복수의 유성 기어(20b)가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배치되고, 캐리어(20c)가 유성 기어(20b)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20d)는 각 유성 기어(20b)에 맞물리는 내치가 내주에 형성된 링 형상의 기어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20d)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피니언(6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20c)에 있어서의 외주부의 일부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로크 출력부(22)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선 기어(20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로크 기구(57)에 대해 입력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요동함으로써 출력된 구동력에 대해, 그 구동력의 작용 방향을 변환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직선 방향의 구동력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출력부(22)에 있어서의 구동력을 출력하는 선단 부분에는 출력 롤러(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출력부(22)에는 출력 롤러(2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력 롤러축(22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출력 롤러축(22b)을 통해 캐리어(20c)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의 전달 부재(40)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에 입력되고, 링 기어(20d)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입력되고,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동 랙[60(60a, 60b)]에 설치되어 도어 구동 기구(53)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59)는 외측 구동 랙(60a)에 설치되는 연결부(59a)와, 내측 구동 랙(60b)에 설치되는 연결부(59b)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59a) 및 연결부(59b)는 모두 굴곡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a)는 외측 구동 랙(60a)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의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b)는 내측 구동 랙(60b)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의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a)는 외측 구동 랙(60a)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도어(108)측을 향해 연장된 후,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a)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있어서, 배속 레일(56) 중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에 설치된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b)는 내측 구동 랙(60b)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도어(108)측을 향해 연장된 후,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b)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있어서, 배속 레일(56) 중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에 설치된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9a)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축부(5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54a)는 제1 실시 형태의 축부(1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축부(54a)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에 고정되는 축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9b)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축부(5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54b)는 제1 실시 형태의 축부(1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축부(54b)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에 고정되는 축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배속 레일[56(56a, 5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에 설치되는 배속 레일(56a)과,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에 설치되는 배속 레일(56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속 레일(56a) 및 배속 레일(5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모두, 제1 실시 형태의 배속 레일(16)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배속 레일(56a, 56b)은, 모두,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동시에 대면하는 2개의 랙[상측 랙(16a), 하측 랙(16b)]과, 양 랙(16a, 16b)에 맞물리는 피니언(16c)과, 피니언(16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양 랙(16a, 16b)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레일(16d)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피니언(16c)은 연결부(59a)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배속 레일(56a)의 피니언(16c)은 배속 레일(56a)의 지지 레일(16d)을 통해 연결부(59a)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랙(60a)에 고정된 연결부(59a)와,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은 상대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피니언(16c)은 연결부(59b)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배속 레일(56b)의 피니언(16c)은 배속 레일(56b)의 지지 레일(16d)을 통해 연결부(59b)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랙(60b)에 고정된 연결부(59b)와,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은 상대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는, 2개의 랙(16a, 16b) 중 한쪽의 하측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브래킷부(52b)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측 랙(16a)이 도어(108)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랙(16a)은 도어(108)에 대해, 도어 지지 부재(108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 지지 부재(108a)는 도어(108)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는, 2개의 랙(16a, 16b) 중 한쪽의 하측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브래킷부(52b)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측 랙(16a)이 도어(109)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랙(16a)은 도어(109)에 대해, 도어 지지 부재(108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도어 지지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도어 지지 부재는 도어(109)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도어 구동 기구(53)의 구동 피니언(61)이 구동되면, 구동 랙(60a)에 고정된 연결부(59a)와 함께 배속 레일(56a)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배속 레일(56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배속 레일(16)과 마찬가지로, 상측 랙(16a)이,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의 이동 속도의 배의 속도로 피니언(16c)의 이동 거리의 배의 거리를 이동한다. 그 결과, 배속 레일(56a)의 하측 랙(16b)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 대해, 상측 랙(16a)에 도어 지지 부재(108a)를 통해 연결된 도어(108)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 피니언(61)이 구동되면, 상기한 배속 레일(56a)의 작동 타이밍과 동시 타이밍에서, 구동 랙(60b)에 고정된 연결부(59b)와 함께 배속 레일(56b)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도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때, 구동 랙(60b)이 구동 랙(60a)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배속 레일(56b)의 피니언(16c)이 배속 레일(56a)의 피니언(16c)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도, 상측 랙(16a)이,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의 이동 속도의 배의 속도로 피니언(16c)의 이동 거리의 배의 거리를 이동한다. 그 결과, 배속 레일(56b)의 하측 랙(16b)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 대해, 상측 랙(16a)에 도어 지지 부재를 통해 연결된 도어(109)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어(109)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 도어 장치(2)에 있어서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108, 109)가 대칭적으로 개폐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기구, 회전 아암에 대해〕
플러그 도어 장치(2)에 있어서, 도어(108, 109)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플러그 기구는 축부[54(54a, 54b)], 가이드부[55(55a, 55b)] 및 롤러 가이드(23, 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08)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가 축부(54a), 가이드부(55a) 및 롤러 가이드(23)로 구성되고, 도어(109)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가 축부(54b), 가이드부(55b) 및 롤러 가이드(23)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108)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와, 도어(109)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는, 모두,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 기구[축부(14), 가이드부(15), 롤러 가이드(2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가이드부(55a)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4)와 마찬가지로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연결부(59a)의 돌출 단부에 설치된 축부(54a)를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의 가이드부(55b)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4)와 마찬가지로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연결부(59b)의 돌출 단부에 설치된 축부(54b)를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플러그 기구[축부(14), 가이드부(15), 롤러 가이드(23)]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에 대해,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를 통해 수평으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한 선 대칭의 배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회전 아암(58)은 승강구(106)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고, 이 회전 아암(58)으로서, 도어(108)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 아암(58a)과, 도어(109)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 아암(58b)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아암(58a) 및 회전 아암(58b)은, 모두,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아암(18)과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연결축(31)의 상단부측에 고정된 상측 회전 아암(18a)과, 연결축(31)의 하단부측에 고정된 하측 회전 아암(18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아암(58a)은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회전 아암(18)과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회전 아암(58b)은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회전 아암(58a)에 대해,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를 통해 수평으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한 선 대칭의 배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크 기구에 대해〕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57)는 도어(108, 109)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108, 109)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기구(57)는 로크 핀[63(63a, 63b)]과, 링크 기구[64(64a, 64b, 64c)]와,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와, 로크 고정부(62)와, 로크 이동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크 핀[63(63a, 63b)]은 구동 랙[60(60a, 60b)] 또는 연결부[59(59a, 59b)]에 고정된 아암 부재(66a, 66b)에 설치된 핀 형상의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66a)는 구동 랙(60a) 또는 연결부(59a)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아암 부재(66b)는 구동 랙(60b) 또는 연결부(59b)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66a, 66b)는 구동 랙[60(60a, 60b)] 또는 연결부[59(59a, 59b)]로부터 차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부재(66a, 66b)에는 차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측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부분이 더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66a, 66b)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차량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측을 향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아암 부재(66a, 66b)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선단측의 단부에, 각 로크 핀(63a, 63b)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핀(63a)은 아암 부재(66a)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로크 핀(63b)은 아암 부재(66b)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2는 링크 기구(64) 및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에 대해 가이드 플레이트(43)와 함께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64)는 연직면 내에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로 변형 가능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64)는 3개의 링크(64a, 64b, 64c)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중앙의 링크(64a)는 중앙부에 있어서 연결 핀(67a)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4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설치된 구동부(53a)의 하우징 등에 대해 고정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3)에는 연결 핀(67a)이 설치되는 위치의 하방에 있어서, 출력 롤러(22a)가 배치되는 긴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 롤러(22a)는 이 긴 구멍(43a)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중앙의 링크(64a)의 일단부에는 연결 핀(67b)을 통해 링크(64b)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앙의 링크(64a)의 타단부에는 연결 핀(67c)을 통해 링크(64c)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64b)에 있어서의 링크(64a)에 연결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핀(67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64c)에 있어서의 링크(64a)에 연결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핀(67e)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64)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상기의 핀(67d, 67e)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가이드 홈(43b, 43c)에 단부가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링크(64a)에 있어서는, 연결 핀(67a)과 연결 핀(67b)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된 부분의 테두리부에 의해, 긴 구멍(43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개방되어 출력 롤러(22a)에 접촉 가능한 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64)에 있어서는, 긴 구멍(43a)을 따라서 이동하는 출력 롤러(22a)에 대해 오목부(68)에서 접촉한 링크(64a)가, 연결 핀(6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링크(64a)의 회전과 함께, 핀(67d, 67e)의 이동 방향이 가이드 홈(43b, 43c)에 의해 규제된 링크(64b, 64c)가, 연결 핀(67b, 67c)을 중심으로 하여 링크(64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링크 기구(64)는 직선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 변형되게 된다.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는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와, 한 쌍의 가압 스프링(70a, 70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링크 기구(64)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64)에 대해[연결 핀(67a)에 대해] 대칭으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부재(69a)는 가이드 플레이트(43)에 대해, 회전축(7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부재(69b)는 가이드 플레이트(43)에 대해, 회전축(73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는 그 주연부에 있어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걸림 결합부(71a, 71b) 및 제2 걸림 결합부(72a, 72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71a) 및 제2 걸림 결합부(72a)는 걸림 결합 부재(69a)에 설치되고, 제1 걸림 결합부(71b) 및 제2 걸림 결합부(72b)는 걸림 결합 부재(69b)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71a)는 로크 핀(63a)에 걸림 결합 가능한 오목 부분으로서 설치되고, 제1 걸림 결합부(71b)는 로크 핀(63b)에 걸림 결합 가능한 오목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 결합부(72a)는 핀(67d)에 걸림 결합 가능한 오목 부분으로서 설치되고, 제2 걸림 결합부(72b)는 핀(67e)에 걸림 결합 가능한 오목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핀(67d)에 있어서, 제2 걸림 결합부(72a)에 걸림 결합 가능한 부분은, 가이드 홈(43b)에 접촉 가능한 부분에 대해 동일 축심 상에서 단 형상으로 직경 확장한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핀(67e)에 있어서, 제2 걸림 결합부(72b)에 걸림 결합 가능한 부분은 가이드 홈(43c)에 접촉 가능한 부분에 대해 동일 축심 상에서 단 형상으로 직경 확장한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 스프링(70a, 70b)은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를 각각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70a)은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스프링 부재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설치된 돌기에 대해 걸림 지지되고, 회전축(73a)의 주위를 권취된 후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스프링 부재에 있어서의 타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에 설치된 돌기에 대해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압 스프링(70a)은 회전축(73a)을 중심으로 하여,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걸림 결합 부재(69a)를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스프링(70b)은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스프링 부재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43)에 설치된 돌기에 대해 걸림 지지되고, 회전축(73b)의 주위를 권취된 후에,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스프링 부재에 있어서의 타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b)에 설치된 돌기에 대해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압 스프링(70b)은 회전축(73b)을 중심으로 하여,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걸림 결합 부재(69b)를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3은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 있어서, 링크 기구(64)가 직선 상태로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에 걸림 결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3에서는 링크 기구(64), 걸림 결합 부재(69a, 69b), 긴 구멍(43a), 가이드 홈(43b, 43c), 출력 롤러(22a) 등의 정면측에서(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링크 기구(64)가 직선 상태로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하고 있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제1 걸림 결합부(71a, 71b)에 있어서 로크 핀(63a, 63b)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가 요동하여 출력된 구동력이 로크 출력부(22)의 출력 롤러(22a)에 출력되면, 출력 롤러(22a)가 긴 구멍(43a)을 도면 중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에 의해, 출력 롤러(22a)가 링크(64a)의 오목부(68)에 접촉하고, 링크(64a)가 연결 핀(6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링크(64b, 64c)가 링크(64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에 대한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의 걸림 결합이 어긋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의 출력된 구동력에 의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가 작동하여 구동 랙(60a, 60b) 또는 연결부(59a, 59b)와 함께 아암 부재(66a, 66b)가 이동하면, 로크 핀(63a, 63b)도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크 핀(63a, 63b)이 이동하면, 링크 기구(64)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걸림 결합이 어긋나 있으므로,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가압 스프링(70a, 70b)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크 핀(63a, 63b)과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1 걸림 결합부(71a, 71b)의 걸림 결합이 어긋나게 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 및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상태가, 도 24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도 2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가압 스프링(70a, 70b)에 의한 스프링력에 의해 도 24에 도시하는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링크 기구(64)가 직선 상태로 연장되는 움직임을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의해 구속하고 있다. 즉, 걸림 결합 부재(69a)의 외측 테두리부(74a)가 링크 기구(64)에 있어서의 핀(67d)측의 단부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걸림 결합 부재(69b)의 외측 테두리부(74b)가 링크 기구(64)에 있어서의 핀(67e)측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크 기구(64)가,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에 의해 굴곡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출력 롤러(22a)가 링크(64a)의 오목부(68)에 보유 지지되고, 유성 기어 기구(20)에 있어서의 캐리어(20c)로의 출력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아암 부재(66a, 66b)와 함께 로크 핀(63a, 63b)이 도어(108, 109)의 폐쇄 방향을 향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크 핀(63a, 63b)이 이동하면, 로크 핀(63a, 63b)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1 걸림 결합부(71a, 71b)에 걸림 결합하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가압 스프링(70a, 70b)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 및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상태가, 도 25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가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에 대향하고 있고, 링크 기구(64)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가 요동하여, 로크 출력부(22)의 출력 롤러(22a)가 긴 구멍(43a)을 도면 중 화살표 L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링크(64a)가 연결 핀(67c)의 근방에서 출력 롤러(22a)에 가압되게 된다. 이에 의해, 링크(64a)가 연결 핀(6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도 26은 로크 기구(57)에 있어서의 로크 고정부(62) 및 로크 이동부(37)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로크 고정부(62)는 고정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설치된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로크 고정부(62)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로크 고정부(36)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제1 면(36a) 및 경사면(36c)이 설치되어 있다. 단, 로크 고정부(62)는 제2 면(36b)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로크 고정부(36)와는 다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있어서, 링크 기구(64)를 굴곡 상태로 보유 지지하는 외측 테두리부(74a, 7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 피니언(61)이 회전 구동되도록,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이 달성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고정부(62)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2 면(36b)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로크 이동부(37)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로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이동부(37)는 도어(108, 109)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로크 고정부(62)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57)는 로크 이동부(37)가 로크 고정부(62)에 접촉함으로써, 도어(108, 109)의 폐쇄 시에 있어서,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로크 이동부(37)는 제1 실시 형태의 로크 이동부(37)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로크 고정부(62)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38)와, 슬라이드 레일(39)과, 전달 부재(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접촉부(38)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블록(41)과 롤러(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39) 및 전달 부재(40)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달 부재(40)는 로크 출력부(22)에 있어서의 출력 롤러축(22b)에 고정되어 있다(도 21을 참조). 도 21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4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출력 롤러축(22b)은 가이드 플레이트(43)의 긴 구멍(43a)을 관통하여, 전달 부재(40)의 하단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43a)을 관통하는 출력 롤러축(22b)에 대해, 긴 구멍(4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출력 롤러(22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
다음에, 플러그 도어 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축부[54(54a, 54b)]는 가이드부[55(55a, 55b)]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도 20,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57)는 롤러(42)가 로크 고정부(62)의 제1 면(36a)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기구(57) 및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를 통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규제되어, 도어(108, 109)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로크되어 있다.
상기한 폐쇄 위치의 상태로부터, 도어 구동 기구(53)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됨으로써,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가 회전을 개시하고, 선 기어(20a)의 주위의 유성 기어(20b)가 링 기어(20d)와 맞물리면서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20b)의 공전에 수반하는 캐리어(20c)의 요동에 의해, 출력 롤러(22a) 및 출력 롤러축(22b)이 도 23에 있어서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긴 구멍(43a) 내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출력 롤러축(22b)과 함께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도어(108)의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가, 양단부에서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에 걸림 결합한 직선 상태(도 22 및 도 23을 참조)로부터, 양단부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로의 걸림 결합이 어긋난 굴곡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제1 면(36a)에 접촉되어 있던 롤러(42)가, 제1 면(36a)으로부터 어긋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1 걸림 결합부(71a, 71b)에 걸림 결합되어 있던 로크 핀(63a, 63)이, 제1 걸림 결합부(71a, 71b)로부터 어긋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6에서는 제1 면(36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 이동한 롤러(42)의 위치를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57)에 의한 도어(108, 109)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하면, 또한 연속해서, 도어 구동 기구(53)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이 계속된다. 이에 의해, 링 기어(20d)를 통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의 구동 피니언(61)에 출력되는 구동력이, 또한 구동 랙(60a, 60b) 및 연결부(59a, 59b)를 통해 축부(54a, 54b)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축부(54a, 54b)의 각각은 도어(108, 109)를 각각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각 가이드부(55a, 55b)의 제2 링크(25)를 동일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각 가이드부(55a, 55b)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5)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즉, 가이드부(55a, 55b)는 도어(108, 109)가 개방될 때에, 축부(54a, 54b)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54a, 54b)가 차폭 방향의 한쪽[도어(108)의 개방 방향 및 도어(109)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54a, 54b)를 안내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55a, 55b)가 작동할 때, 축부(54a, 54b)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축부(54a, 54b)에 대해 연결부(59a, 59b)를 통해 연결되는 도어 구동 기구(53)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도어 구동 기구(53)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53) 및 슬라이드 베이스(52)가, 고정 베이스(5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지지부(51b)에 안내되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어(108, 109)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39)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접촉부(38)도, 슬라이드 베이스(52)와 함께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26에 있어서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롤러(42)가, 1점 쇄선의 롤러(42b)로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롤러(42)는, 로크 고정부(62)에는 접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상태의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의 움직임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또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에 연결된 로크 출력부(22)에는 출력 롤러(22a)를 도 23에 있어서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접촉하여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출력 롤러(22a) 및 링크 기구(64)에 작용함으로써, 링크 기구(64)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압박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압박되어 접촉한 상태에서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이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있어서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구동 피니언(61)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 피니언(61)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피니언(61)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랙(60a, 60b)이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연결부(59a, 59b)와 함께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8, 109)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가 각각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8, 109)의 개방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는, 축부(54a, 54b)는 가이드부(55a, 55b)로부터 차폭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은 없고, 연결부(59a, 59b)와 함께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어(108, 109)가 폐쇄될 때에는, 상술한 도어(108, 109)의 개방 동작과 역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도어 구동 기구(53)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되어, 유성 기어 기구(20)를 통해 구동되는 구동 피니언(61)이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59a, 59b)에 연결된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8, 109)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8, 109)의 폐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축부(54a, 54b)는 가이드부(55a, 55b)를 향해 각각 직선적으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축부(54a, 54b)는 도어(108, 109)가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각 가이드부(55a, 55b)에 있어서의 제2 링크(25)에 접촉하여 이 제2 링크(25)를 가압한다. 그리고, 각 가이드부(55a, 55b)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5)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즉, 가이드부(55a, 55b)는 도어(108, 109)가 폐쇄될 때에, 축부(54a, 54b)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54a, 54b)가 차폭 방향의 다른 쪽[도어(108)의 폐쇄 방향 및 도어(109)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54a, 54b)를 안내한다. 또한, 이때, 도어(108, 109)는 축부(54a, 54b)와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즉, 도어(108, 109)는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 근방부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끌어 들여져 폐쇄 위치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면,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슬라이드 레일(39) 상에 설치된 슬라이드 접촉부(38)도, 슬라이드 베이스(52)와 함께 차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 26에 있어서 1점 쇄선의 롤러(42b)로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롤러(42)가,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로크 핀(63a, 63b)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1 걸림 결합부(71a, 71b)에 각각 걸림 결합하여, 걸림 결합 부재(69a, 69b)를 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가, 굴곡 상태의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에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회전하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74a, 74b)에 의한 링크 기구(64)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출력 롤러(22a)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링크(64a)가 회전하여,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제2 걸림 결합부(72a, 72b)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이때, 캐리어(20c)로부터 출력 롤러축(22b)을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도어(108)의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도 26에 있어서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로크 고정부(62)의 제1 면(36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롤러(42)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57)에 의한 도어(108, 109)의 로크 상태가 확보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술한 도어(108, 109)의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이 행해질 때에는,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양측의 상하에 설치된 회전 아암[58(58a, 58b)]이 각각 회전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의 이동이 회전 아암[58(58a, 58b)]에 의해서도 안내되어, 도어(108, 109)의 매끄러운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이상 설명한 플러그 도어 장치(2)에 따르면, 가이드부[55(55a, 55b)]는 축부[54(54a, 54b)]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54(54a, 54b)]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55(55a, 55b)]의 동작은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55(55a, 55b)]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5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2)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구동 기구(53)는 2개의 랙(16a, 16b) 및 피니언(16c)에 의해 구성되는 배속 레일[56(56a, 56b)]을 통해 도어(108, 109)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도어 구동 기구(53)의 작동 스트로크를 배증시켜 효율적으로 도어(108, 109)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도 더욱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2)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도어 장치(2)에 따르면, 고정 베이스(51)측에 고정된 로크 고정부(62)에 대해 로크 이동부(37)가 차폭 방향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폐쇄 시에 있어서의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어(108, 109)의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보다 확실하게 도어(108, 109)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된다. 따라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108, 109)를 로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108, 109)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5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2)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폐쇄 시에 있어서 덜걱거림 없이 도어(108, 109)를 로크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2)에 따르면, 도어 구동 기구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를 갖는 구동부(53a)와, 이 구동부(53a)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연결부(59a, 59b)를 통해 도어(108, 109)를 이동시키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구동 랙(60a, 60b)에 의해, 승강구(106)에 설치된 한 쌍의 도어(108, 109)로서 설치된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를 동시에 개폐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1대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의해 쌍 미닫이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2)에 따르면, 구동부(53a)가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와 유성 기어 기구(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 캐리어(20c), 링 기어(20d)에 있어서, 그 중 하나에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다른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출력되고, 남은 하나로부터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1대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의해,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 플러그 동작, 로크 기구(57)에 의한 도어(108, 109)의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효율이 좋은 구동부(53a)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 도어 장치(3)의 전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3)는 2매로 구성되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에 대해 적용된다. 또한, 도 27은 차량 내측에서 본 모식도로, 차량의 승강구(106)에 대해 도어(108, 109)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J-J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9는 플러그 도어 장치(3)의 정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27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7 및 도 29에서는 승강구(106)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에 플러그 도어 장치(3)가 수납될 때의 차량 내측에 배치되는 커버의 도면을 생략하고 도시하고 있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3)의 평면도로서의 모식도로, 도어(108, 109)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31은 도 29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플러그 도어 장치(3)의 측면도로서의 모식도이며, 도 28에 있어서의 도어(108, 109)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2매로 구성되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에 대해 적용되는 플러그 도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1매로 구성되는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전체 구성에 대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측벽(105)에는 승강구(1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7은 도어(108, 109)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승강구(106)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승강구(106)의 상부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프레임(107)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전후 방향이라 함은, 차량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고, 도 27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차량 측벽(105) 및 프레임(107)은 차량의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승강구(106)를 덮도록 2매의 도어(108, 109)가 설치되어 있다. 2매의 도어(108, 109)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이며, 플러그 도어 장치(3)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도어(108, 109)는 그 하방측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8을 참조). 여기서, 차량의 폭 방향(이하, 「차폭 방향」이라고도 기재함)이라 함은,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고, 도 28에 있어서 양방향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이다. 또한, 도어(108, 109)는 폐쇄된 위치인 폐쇄 위치(도 27 및 도 28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승강구(106)를 대략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7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3)는 차량의 승강구(106)에 설치되어,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 및 차폭 방향으로 도어(108, 109)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러그 도어 장치(3)는 고정 베이스(51), 슬라이드 베이스(52), 2매의 쌍 미닫이 도어(108, 109)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도어 구동 기구(53), 도어 구동 기구(53)에 의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구동되는 축부[54(54a, 54b)], 축부[54(54a, 54b)]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5(55a, 55b)], 배속 레일[56(56a, 56b)], 로크 기구(57),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 베이스(51)는 차량의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7)의 일부인 브래킷(107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베이스(51)는 차량의 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51)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평탄한 판 형상부(51a)와, 판 형상부(51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드 지지부(51b, 51b)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 지지부(51b)는 블록 형상이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지지부(51b)에는 슬라이드 베이스(52)를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레일 부재(51c)가 고정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2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베이스(52)는 고정 베이스(51)의 하방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52)에는 수평 방향이고 평탄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본체부(52a)와, 브래킷부(52b)와, 차륜부(52c)가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부(52b)는 본체부(52a)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외측[도어(108, 109)측]의 단부에서 본체부(52a)에 대해 하방으로 굴곡된 후 또한 수평 방향으로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굴곡되도록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부(52b)는 복수 설치되어, 본체부(52a)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 개소로부터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브래킷부(52b)에는 후술하는 배속 레일[56(56a, 56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륜부(52c)는 본체부(52a)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 부재(51c) 상을 구름 이동하는 차륜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52)가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구동 기구, 배속 레일에 대해〕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도어 구동 기구(53)는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본체부(52a)에 설치되어, 연결부(59)를 통해 2매의 도어(108, 109)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구동 기구(53)는 본체부(52a)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어 구동 기구(53)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를 포함하는 구동부(53a),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는 구동부(53a)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됨으로써 연결부(59)를 이동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는 대면하는 2개의 구동 랙[60(60a, 60b)]과, 구동 피니언(6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면하는 2개의 구동 랙[60(60a, 60b)]은 차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구동 랙(60a)과, 차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구동 랙(6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구동 랙(60a) 및 내측 구동 랙(60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61)은 2개의 구동 랙(60a, 60b) 사이에 배치되어, 각 구동 랙(60a, 60b)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된 이에 대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피니언(61)은 회전 축심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피니언(61)은 구동부(53a)에 있어서의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에 대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링 기어(20d)의 회전과 함께 동일한 회전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 기어(20d)와 함께 구동 피니언(61)이 회전함으로써, 구동 피니언(61)에 맞물리는 2개의 구동 랙(60a, 60b)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부(53a)와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피니언(61)은 슬라이드 베이스(52)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랙[60(60a, 60b)]에는 연결부(59)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53a)는 구동원으로서 설치되어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모터를 구성하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에 추가하여,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2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20)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선 기어(20a), 복수의 유성 기어(20b), 캐리어(20c), 링 기어(20d)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 기어(20a)에는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된다. 복수의 유성 기어(20b)는 선 기어(20a)의 주위에 배치되어, 선 기어(20a)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이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캐리어(20c)는 복수의 유성 기어(20b)의 각각을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 유성 기어(20b)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20d)는 각 유성 기어(20b)에 맞물리는 내치가 내주에 형성된 링 형상의 기어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20d)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있어서의 구동 피니언(6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20c)에 있어서의 외주부의 일부는 로크 출력부(22)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선 기어(20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로크 기구(57)에 대해 입력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출력부(22)는 캐리어(20c)가 요동함으로써 출력된 구동력에 대해, 그 구동력의 작용 방향을 변환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직선 방향의 구동력으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출력부(22)에 있어서의 구동력을 출력하는 선단 부분에는 출력 롤러(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출력부(22)에는 출력 롤러(2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출력 롤러축(22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출력 롤러축(22b)을 통해 캐리어(20c)의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의 전달 부재(40)에 입력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에 입력되고, 링 기어(20d)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입력되고, 캐리어(20c)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로부터의 구동력이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에 입력되고, 선 기어(20a), 캐리어(20c) 및 링 기어(20d)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동 랙[60(60a, 60b)]에 설치되어 도어 구동 기구(53)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59)는 외측 구동 랙(60a)에 설치되는 연결부(59a)와, 내측 구동 랙(60b)에 설치되는 연결부(59b)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59a) 및 연결부(59b)는 모두 굴곡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a)는 외측 구동 랙(60a)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의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b)는 내측 구동 랙(60b)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의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a)는 외측 구동 랙(60a)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도어(108)측을 향해 연장된 후,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a)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있어서, 배속 레일(56) 중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에 설치된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59b)는 내측 구동 랙(60b)에 고정된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도어(108)측을 향해 연장된 후,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9b)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에 있어서, 배속 레일(56) 중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에 설치된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9a)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축부(5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54a)에는 축부(54a)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에 고정되는 축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 롤러(5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9b)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굴곡되고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출 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축부(54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54b)에는 축부(54b)에 있어서의 돌출 단부에 고정되는 축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 롤러(54c)가 설치되어 있다.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하는 배속 레일[56(56a, 5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측에 설치되는 배속 레일(56a)과,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9)측에 설치되는 배속 레일(56b)로 구성되어 있다. 배속 레일(56a) 및 배속 레일(5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속 레일(56a, 56b)은, 모두, 대면하는 2개의 랙(16a, 16b)과, 피니언(16c)과, 지지 레일(16d)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대면하는 2개의 랙(16a, 16b)은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랙(16a)과,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랙(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피니언(16c)은 2개의 랙(16a, 16b) 사이에 배치되어, 각 랙(16a, 16b)에 설치된 이에 대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피니언(16c)은 지지 레일(16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피니언(16c)은 연결부(59a)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배속 레일(56a)의 피니언(16c)은 배속 레일(56a)의 지지 레일(16d)을 통해 연결부(59a)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랙(60a)에 고정된 연결부(59a)와,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은 상대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피니언(16c)은 연결부(59b)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배속 레일(56b)의 피니언(16c)은 배속 레일(56b)의 지지 레일(16d)을 통해 연결부(59b)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랙(60b)에 고정된 연결부(59b)와,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은 상대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피니언(16c)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레일(16d)은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을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레일(16d)은 상측 랙(16a) 및 하측 랙(16b)의 각각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배속 레일(56a)에 있어서는, 2개의 랙(16a, 16b) 중 한쪽의 하측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브래킷부(52b)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측 랙(16a)이 도어(108)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랙(16a)은 도어(108)에 대해, 도어 지지 부재(108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 지지 부재(108a)는 도어(108)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는, 2개의 랙(16a, 16b) 중 한쪽의 하측 랙(16b)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브래킷부(52b)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측 랙(16a)이 도어(109)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측 랙(16a)은 도어(109)에 대해, 도어 지지 부재(108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도어 지지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도어 지지 부재는 도어(109)를 현가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도어 구동 기구(53)의 구동 피니언(61)이 구동되면, 구동 랙(60a)에 고정된 연결부(59a)와 함께 배속 레일(56a)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이 맞물리면서 차량의 전후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하는 피니언(16c)에 대해, 피니언(16c)에 맞물리는 상측 랙(16a)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측 랙(16a)은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의 이동 속도에 대해 배의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측 랙(16a)의 하측 랙(16b)에 대한 이동량은 피니언(16c)의 하측 랙(16b)에 대한 이동량에 대해, 동일 방향에서 배의 이동량으로 된다. 또한, 상측 랙(16a)에 도어 지지 부재(108a)를 통해 연결된 도어(108)도, 상측 랙(16a)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 랙(16b)이 연결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대해, 도어(108)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 피니언(61)이 구동되면, 상기한 배속 레일(56a)의 작동 타이밍과 동시 타이밍에서, 구동 랙(60b)에 고정된 연결부(59b)와 함께 배속 레일(56b)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도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동한다. 이때, 구동 랙(60b)이 구동 랙(60a)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고, 배속 레일(56b)의 피니언(16c)이 배속 레일(56a)의 피니언(16c)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배속 레일(56b)에 있어서도, 상측 랙(16a)이, 하측 랙(16b)에 대해, 피니언(16c)의 이동 속도의 배의 속도로 피니언(16c)의 이동 거리의 배의 거리를 이동한다. 그 결과, 배속 레일(56b)의 하측 랙(16b)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 대해, 상측 랙(16a)에 도어 지지 부재를 통해 연결된 도어(109)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어(109)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플러그 도어 장치(3)에 있어서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108, 109)가 대칭적으로 개폐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기구에 대해〕
플러그 도어 장치(3)에 있어서, 도어(108, 109)를 차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플러그 기구는 축부[54(54a, 54b)], 가이드부[55(55a, 55b)] 및 롤러 가이드(23, 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08)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가 축부(54a), 가이드부(55a) 및 롤러 가이드(23)로 구성되고, 도어(109)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가 축부(54b), 가이드부(55b) 및 롤러 가이드(23)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108)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와, 도어(109)측의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기구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가이드부(55a)는 연결부(59a)의 돌출 단부에 설치된 축부(54a)를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의 가이드부(55b)는 연결부(59b)의 돌출 단부에 설치된 축부(54b)를 안내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 및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는 마찬가지로 구성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의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와,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역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에 대해,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를 통해 수평으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한 선 대칭의 배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3은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도 33의 D-D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33의 E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6은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배면도이며 도 33의 F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4 내지 도 36은 도 33 및 도 37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3 내지 도 36은 도어(108)가 폐쇄 위치일 때의 플러그 기구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37은 도어(10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될 때에 있어서, 플러그 동작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9, 도 31 내지 도 37에 도시하는 플러그 기구[축부(54a), 가이드부(55a), 롤러 가이드(23)]는 고정 베이스(51)와 슬라이드 베이스(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5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59a)의 돌출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23)는 고정 베이스(51)의 판 형상부(51a)의 하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부(55a)는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고정 베이스(5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부(55a)는 제1 링크(24)에 있어서, 고정 베이스(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24)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일단부측을 고정 베이스(5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크(24)는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는 제1 회전축(26)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링크(24)의 타단부측의 주연에는 축부(54a)의 축부 롤러(54c)를 수용 가능한 제1 절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링크(25)는 판 형상 부재이며, 제1 링크(2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의 근방에 설치된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는 제2 회전축(27)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링크(25)의 주연에는 축부(54a)의 축부 롤러(54c)를 수용 가능한 제2 절결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25)에는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 롤러(28)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 롤러(28)는 제2 링크(2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회전축(2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고정 베이스(11)에 고정된 롤러 가이드(23)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어(108)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본 상태에 있어서,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와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로 축부(54a)의 주위가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크(24)는 제1 절결부(24a)의 개구측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보유 지지되고, 또한 제2 링크(25)는 제2 절결부(25a)의 개구측을, 제1 회전축(26)을 향하는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하도록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24)에 있어서의 제1 절결부(24a) 내로부터 외측을 향해 축부(54a)가 이동하는 것이, 제2 링크(25)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도어(108)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 링크(25)의 가이드부 롤러(28)는 제2 절결부(25a)보다도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링크(25)의 제2 회전축(27)은 제2 절결부(25a)보다도 차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24)와 제2 링크(25) 사이에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헬리컬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헬리컬 스프링(30)의 일단부는 제2 링크(25)에 있어서의 제2 회전축(27)과 가이드부 롤러(28)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는 제1 링크(24)에 있어서의 제1 회전축(26)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링크(25)는 축부(54a)의 구속을 해제하는 방향[상방에서 볼 때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헬리컬 스프링(30)에 가압된다. 즉,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롤러 가이드(23)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가이드(23)에는 그 측면에 있어서, 가이드부 롤러(28)를 안내하는 경사면(23a)과, 이 경사면(23a)에 연속해서 가이드부 롤러(28)를 안내하는 곡면(23b)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23a)은 롤러 가이드(23)의 측면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도어(108)가 개방되는 방향[도어(108)의 개방 방향. 도 33에 있어서 화살표 G1로 나타냄]을 향할수록,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평탄한 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곡면(23b)은 롤러 가이드(23)의 측면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경사면(23a)으로부터 연속하여,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구부러진 후에 또한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오목하도록 구부러지면서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곡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면(23b)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는, 개방 방향으로 볼록하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는, 도어(108)가 폐쇄되는 방향[도어(108)의 폐쇄 방향. 도어(108)의 개방 방향과 역방향이고, 도 33에 있어서 화살표 G2로 나타냄]을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회전 아암 기구에 대해〕
도 38은 도 28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 도 28 및 도 38에 도시하는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는 도어(108, 109)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도어(108, 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 109)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는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108, 109)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힘인 도어 개폐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 아암(8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 아암 기구(75a)는 도어(108)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회전 아암 기구(75b)는 도어(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9)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아암 기구(75a, 75b)는 승강구(106)의 하부측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8 및 도 38에 있어서는, 도 27의 J-J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상태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회전 아암 기구(75a)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대응하는 위치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어(108)측의 회전 아암 기구(75a)와, 도어(109)측의 회전 아암 기구(75b)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 아암 기구(75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회전 아암 기구(75b)의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어(108)측의 회전 아암 기구(75a)와, 도어(109)측의 회전 아암 기구(75b)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역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회전 아암 기구(75b)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대한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구성이, 회전 아암 기구(75a)에 대해,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위치를 통해 수평으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한 선 대칭의 배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9는 회전 아암 기구(75a)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하는 회전 아암 기구(75a)의 M-M선 화살표 위치에서 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41은 회전 아암 기구(75a)의 측면도이다. 도 38 내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아암 기구(75a)는 회전력 발생부(76), 종동 회전 부재(77), 가이드 곡면 부재(78), 도어측 지지부(79), 회전 아암(80), 규제 부재(81), 아암 가압 스프링(82), 중간 기어(83), 보조 롤러(8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력 발생부(76)는 도어(108)로부터 전술한 도어 개폐력[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108)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의 힘]을 취득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력 발생부(76)는 구동력 취득부(76a)와 구동 회전 부재(76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력 취득부(76a)는 도어(108)로부터 도어 개폐력을 구동력으로서 취득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동 회전 부재(76b)는 구동력 취득부(76a)에서 취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력 취득부(76a)는 도어(108)에 대해 그 차폭 방향의 내측에 고정된 도어측 고정 랙(85)과,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에 설치되어 도어측 고정 랙(85)의 이에 맞물리는 외치(8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치(86)가 외주에 설치된 구동 회전 부재(76b)는 평기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측 고정 랙(85)은 도어(108)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전체 길이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측 고정 랙(85)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도어(10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도어(108)의 플러그 동작 중에는 외치(86)에 대해 맞물리고, 플러그 동작 종료 시점에서 외치(86)에 대한 맞물림이 어긋나도록 설정되어 있다.
종동 회전 부재(77)는 회전력 발생부(76)의 구동 회전 부재(76b)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간 기어(83)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평기어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기어(83)는 평기어로서 설치되어 있고,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에 대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108)의 개폐 방향의 이동과 함께 도어측 고정 랙(85)이 이동하고, 도어측 고정 랙(85)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에 맞물리는 구동 회전 부재(76b)가 회전하고, 또한 구동 회전 부재(76b)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83)가 회전한다. 그리고, 중간 기어(83)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에 맞물리는 종동 회전 부재(77)가 회전하게 된다.
가이드 곡면 부재(78)는 종동 회전 부재(77)에 접촉하는 동시에, 종동 회전 부재(77)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 부재(77)를 원호 형상의 곡면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이드 곡면부(78a)가 설치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곡면 부재(78)는 차량의 본체인 차량 측벽(105)측에 설치된 차량측 브래킷(87)에 대해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곡면 부재(78)에는 차량측 브래킷(87)에 고정되는 단부측과 반대측에 있어서, 가이드 곡면부(78a)가 형성된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곡면부(78a)가 형성된 부분은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와 그 양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테두리부를 갖는 부채 형상의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곡면부(78a)에는 원호 형상의 곡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동시에 종동 회전 부재(77)의 외주의 이에 대해 맞물리는 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종동 회전 부재(77)가 가이드 곡면부(78a)의 외치에 대해 맞물리면서 회전함으로써, 이 종동 회전 부재(77)가, 도 39에서 1점 쇄선의 양방향 화살표 N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곡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회전 아암(80)은 도어(108)의 차폭 방향의 내측에 있어서 도어측 고정 랙(85)의 근방에 배치되어, 가이드 곡면 부재(78)에 대해 회전축(8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아암(80)은 수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평판 형상의 부분과, 이 한 쌍의 평판 형상의 부분을 고정하여 연결하는 측벽 부분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아암(80)은 상하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판 형상의 부분에 있어서, 회전력 발생부(76)에 있어서의 구동 회전 부재(76b)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중간 기어(83) 및 종동 회전 부재(77)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81)는 회전 아암(80)에 대해 도어(108)가 개방되는 방향인 개방 방향측에 설치되고, 도어(108)가 개방될 때에 회전 아암(80)과 접촉함으로써 회전 아암(8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규제 부재(81)는 스토퍼 브래킷(81a)과 스토퍼 고무(81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브래킷(81a)은 가이드 곡면 부재(78)에 대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고정된 부재로서 설치되고,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가이드 곡면 부재(78)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고무(81b)는 스토퍼 브래킷(81a)에 대해 고정된 고무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 고무(81b)는 스토퍼 브래킷(81a)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중도 부분에 있어서 스토퍼 브래킷(81a)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 아암(80)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9에서는 구동 회전 부재(76b), 중간 기어(83) 및 종동 회전 부재(77)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 회전 아암(80)이, 도어(108)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하고, 스토퍼 고무(81b)에 접촉하여 회전 범위가 규제된 상태가,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아암 가압 스프링(82)은 회전 아암(80)이 규제 부재(81)에 접촉한 위치(도 39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그 회전 아암(80)의 위치를 보유 지지하도록 회전 아암(80)을 가압 가능한 스프링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 가압 스프링(82)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 가압 스프링(82)의 일단부측의 단부는 중간 기어(83)의 회전축과 동일 축심 상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핀(8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아암 가압 스프링(82)의 타단부측의 단부는 차량측 브래킷(87)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스프링 지지용 브래킷(87a)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핀(9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암 가압 스프링(82)은 타단부측의 단부인 핀(90)측에 대해, 일단부측의 단부측인 핀(89)측을 인장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 가압 스프링(82)의 타단부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90)은 회전 아암(80)의 회전축(88) 및 규제 부재(81)에 대해, 차폭 방향에 있어서는 내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는 회전 아암(80)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가압 스프링(82)은 도어(108)가 폐쇄 위치인 상태로부터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는 상태까지 이동하여 회전 아암(80)이 회전할 때에, 회전축(88)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암 가압 스프링(82)은 도어(108)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어 회전 아암(80)이 규제 부재(81)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회전 아암(80)을 규제 부재(81)에 대해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어측 지지부(79)는 회전력 발생부(76)에 대해 도어(108)측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9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측 지지부(79)는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가, 도어(108)의 일부인 도어 레일(91)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 회전력 발생부(76)가 배치되는 측[도어 레일(91)에 대한 차폭 방향의 내측]과 반대측에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측 지지부(79)는 도어(108)의 일부로서의 도어 레일(91)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레일(91)은 도어(108)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어 레일(91)은 도어(108)에 있어서, 하방으로 개방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79b)에 대해 연직축 방향의 회전축을 통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가, 상기한 홈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롤러(79a)는 도어 레일(91)에 대해 차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접촉하는 동시에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 레일(91)에 대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회전 아암(8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설치된 보조 롤러(84)가 배치되어 있다. 보조 롤러(84)는 그 회전축이 구동 회전 부재(76b)의 회전축과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고, 구동 회전 부재(76b)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롤러(84)는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의 사이에서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 함께 도어 레일(91)을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9b)은 도어 레일(91)의 하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79b)은 차폭 방향의 외측의 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79b)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는 보조 롤러(84)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어(108)의 이동에 수반하는 회전 아암(80)의 회전 시에, 지지 프레임(79b)이 회전 아암(80)에 대해 회전하고,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 및 보조 롤러(84)에 의해 도어 레일(91)이 지지되게 된다.
〔로크 기구에 대해〕
도 29,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로크 기구(57)는 도어(108, 109)의 폐쇄 위치에서 도어(108, 109)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기구(57)는 로크 핀[63(63a, 63b)]과, 링크 기구(64)와,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와, 로크 고정부(62)와, 로크 이동부(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로크 핀[63(63a, 63b)]은 구동 랙[60(60a, 60b)] 또는 연결부[59(59a, 59b)]에 고정된 아암 부재(66a, 66b)에 설치된 핀 형상의 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66a)는 구동 랙(60a) 또는 연결부(59a)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아암 부재(66b)는 구동 랙(60b) 또는 연결부(59b)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암 부재(66a, 66b)는 구동 랙[60(60a, 60b)] 또는 연결부[59(59a, 59b)]로부터 차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 부재(66a, 66b)에는 차폭 방향의 내측의 단부측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는 부분이 더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66a, 66b)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차량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승강구(106)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측을 향해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아암 부재(66a, 66b)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선단측의 단부에, 각 로크 핀(63a, 63b)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크 핀(63a)은 아암 부재(66a)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로크 핀(63b)은 아암 부재(66b)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차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64)는 3개의 링크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연직면 내에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로 변형 가능한 기구로서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64)에 있어서의 중앙의 링크(64a)는 중앙부에 있어서 연결 핀(67a)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4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3)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 설치된 구동부(53a)의 하우징 등에 대해 고정된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3)에는 상기한 연결 핀(67a)이 설치되는 위치의 하방에 있어서, 출력 롤러(22a)가 배치되는 긴 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출력 롤러(22a)는 이 긴 구멍(43a)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출력 롤러(22a)는 링크 기구(64)의 중앙의 링크(64a)에 대해 걸림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출력 롤러(22a)의 긴 구멍(43a)을 따른 이동에 수반하여, 링크 기구가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는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링크 기구(64)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링크 기구(64)에 대해[연결 핀(67a)에 대해] 대칭으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 있어서, 직선 상태의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에 걸림 결합하는 동시에, 로크 핀(63a, 63b)에도 걸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상태에 있어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가 요동하여 출력된 구동력이 로크 출력부(22)의 출력 롤러(22a)에 출력되면, 출력 롤러(22a)의 이동에 수반하여 직선 상태의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 변형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걸림 결합 부재(69a, 69b)와 링크 기구(64)의 걸림 결합이 어긋나게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출력된 구동력에 의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가 작동하여 구동 랙(60a, 60b) 또는 연결부(59a, 59b)와 함께 아암 부재(66a, 66b)가 이동하면, 로크 핀(63a, 63b)도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을 향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크 핀(63a, 63b)이 이동하면, 링크 기구(64)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걸림 결합이 어긋나 있으므로,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로크 핀(63a, 63b)과의 걸림 결합이 어긋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부재(69a, 69b)는 링크 기구(64)가 직선 상태로 연장되는 움직임을 외측 테두리부에 의해 구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 기구(64)가, 링크 보유 지지 기구(65)에 의해 굴곡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출력 롤러(22a)가 링크(64a)에 보유 지지되고, 유성 기어 기구(20)에 있어서의 캐리어(20c)로의 출력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작동하면, 아암 부재(66a, 66b)와 함께 로크 핀(63a, 63b)이 도어(108, 109)의 폐쇄 방향을 향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크 핀(63a, 63b)이 이동하면, 로크 핀(63a, 63b)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하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도시하지 않은 가압 스프링의 가압 방향과 반대로 회전한다. 그리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링크 기구(64)에 걸림 결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가 요동하여, 로크 출력부(22)의 출력 롤러(22a)가 긴 구멍(43a)을 이동함으로써,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도 42는 로크 기구(57)에 있어서의 로크 고정부(62) 및 로크 이동부(37)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로크 고정부(62)는 고정 베이스(51)에 고정되어 설치된 블록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로크 이동부(37)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로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로크 이동부(37)는 도어(108, 109)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로크 고정부(62)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의 면(36a)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기구(57)는 로크 이동부(37)가 로크 고정부(62)에 접촉함으로써, 도어(108, 109)의 폐쇄 시에 있어서,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이동부(37)는 로크 고정부(36)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38)와, 슬라이드 레일(39)과, 전달 부재(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39)은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되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39)은 슬라이드 접촉부(38)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40)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달 부재(40)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로 출력되는 구동력을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40)는 로크 출력부(22)에 있어서의 출력 롤러축(22b)에 고정되어 있다(도 32를 참조). 도 32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4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출력 롤러축(22b)은 가이드 플레이트(43)의 긴 구멍(43a)을 관통하여, 전달 부재(40)의 하단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43a)을 관통하는 출력 롤러축(22b)에 대해, 긴 구멍(43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출력 롤러(22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에 의해, 로크 기구(57)는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출력부(22)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력이, 전달 부재(40)에 있어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성 기어 기구(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한 출력 롤러축(22b)의 이동과 함께,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전달 부재(40)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드 레일(3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규제된 슬라이드 접촉부(38)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접촉부(38)는 슬라이드 블록(41)과 롤러(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41)은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레일(39)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규제되는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41)은 전달 부재(40)의 상단부측이 고정되는 동시에, 슬라이드 레일(39)의 레일면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42)는 슬라이드 블록(41)에 대해,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42)는 그 외주 측면에 있어서, 로크 고정부(36)의 측면에 대해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고정부(62)의 측면에는 롤러(42)가 접촉 가능한 면(3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면(36a)은 로크 고정부(62)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내측에 면하는 측면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면(36a)은 차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도어(108, 109)의 폐쇄 시에 있어서 로크 이동부(37)의 슬라이드 접촉부(38)에 있어서의 롤러(42)의 외주와 접촉함으로써,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
다음에, 플러그 도어 장치(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축부[54(54a, 54b)]는 가이드부[55(55a, 55b)]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또한, 도어(108, 109)가 폐쇄 위치일 때에는, 도 31, 도 32 및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57)는 롤러(42)가 로크 고정부(62)의 면(36a)에 접촉하고 있다. 이로 인해, 로크 기구(57) 및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를 통해, 슬라이드 베이스(52)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규제되어, 도어(108, 109)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로크되어 있다.
상기의 폐쇄 위치의 상태로부터, 도어 구동 기구(53)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됨으로써, 유성 기어 기구(20)의 선 기어(20a)가 회전을 개시하여, 선 기어(20a)의 주위의 유성 기어(20b)가 링 기어(20d)와 맞물리면서 선 기어(20a)의 주위를 공전하기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유성 기어(20b)의 공전에 수반하는 캐리어(20c)의 요동에 의해, 출력 롤러(22a) 및 출력 롤러축(22b)이 긴 구멍(43a) 내를 한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출력 롤러축(22b)과 함께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도어(108)의 개방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가, 양단부에서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한 직선 상태로부터, 양단부의 걸림 결합이 어긋난 굴곡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로크 고정부(62)의 면(36a)에 접촉하고 있던 롤러(42)가, 면(36a)으로부터 어긋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하고 있던 로크 핀(63a, 63)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로부터 어긋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42에서는 면(36a)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 이동한 롤러(42)의 위치를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57)에 의한 도어(108, 109)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되면, 또한 연속해서, 도어 구동 기구(53)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의 구동이 계속된다. 이에 의해, 링 기어(20d)를 통해 랙 앤드 피니언 기구(53b)의 구동 피니언(61)에 출력되는 구동력이, 또한 구동 랙(60a, 60b) 및 연결부(59a, 59b)를 통해 축부(54a, 54b)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축부(54a, 54b)의 각각은 도어(108, 109)를 각각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각 가이드부(55a, 55b)의 제2 링크(25)를 동일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플러그 기구의 작동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 33 내지 도 37에 도시하는 도어(108)측의 플러그 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어(109)측의 플러그 기구의 작동의 설명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5)의 제1 링크(24)에 대한 회전[상방에서 볼 때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의 경사면(23a)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규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4)에 대해 거의 회전하지 않고, 제2 회전축(27)을 통해 제1 링크(24)에,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부 롤러(28)는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링크(24)는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제1 링크(24)가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 제2 링크(25)의 가이드부 롤러(28)는 롤러 가이드(23)의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경사면(23a)측으로 끌어 당겨져 있으므로, 경사면(23a)으로부터 가이드부 롤러(28)가 이격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가이드부 롤러(28)가 경사면(23a)을 따라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와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가 축부(54a)의 주위를 둘러싼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로부터, 축부(54a)가 개방 방향으로 더욱 이동하면, 가이드부 롤러(28)와 롤러 가이드(23)의 접촉 위치가 경사면(23a)으로부터 곡면(23b)으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 롤러(28)가, 곡면(23b)을 따라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끌어 들여지는 동시에, 제2 링크(25)가, 제1 링크(24)에 대해,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즉,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25)에 의한 축부(54a)의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이때, 제1 링크(24)의 화살표 H 방향의 회전은 롤러 가이드(23)에 고정된 스토퍼(44)에 대해 제1 링크(24)가 접촉함으로써, 규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55(55a, 55b)]는 도어(108, 109)가 개방될 때에, 축부(54a, 54b)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54a, 54b)가 차폭 방향의 한쪽[도어(108)의 개방 방향 및 도어(109)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54a, 54b)를 안내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55a, 55b)가 작동할 때, 축부(54a, 54b)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축부(54a, 54b)에 대해 연결부(59a, 59b)를 통해 연결되는 도어 구동 기구(53)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도어 구동 기구(53)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베이스(52)에도,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에 의해, 도어 구동 기구(53) 및 슬라이드 베이스(52)가, 고정 베이스(51)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지지부(51b)에 안내되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어(108, 109)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가, 도어(108, 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 109)를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의 회전 아암 기구(75)의 작동의 설명에 대해서는, 도 38 내지 도 41에 도시하는 도어(108)측의 회전 아암 기구(75a)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어(109)측의 회전 아암 기구(75b)의 작동의 설명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우선, 도어(108)가 폐쇄 위치인 상태일 때에는, 회전 아암 기구(75a)는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외치(86)가 도어측 고정 랙(85)에 맞물리고, 회전 아암(80)이 도 39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108)의 플러그 동작이 개시되면, 도어(108)의 이동에 수반하여, 구동 회전 부재(76b)가 외치(86)에 있어서 도어측 고정 랙(85)에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도어 개폐력으로서의 구동력이 구동력 취득부(76a)에서 취득되게 된다. 또한, 이때,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 보조 롤러(84)가, 도어 레일(91)을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108)의 이동과 함께, 구동 회전 부재(76b)가 회전하고, 이 구동 회전 부재(76b)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83)가 회전하고, 또한 중간 기어(83)에 맞물리는 종동 회전 부재(77)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때, 종동 회전 부재(77)는 가이드 곡면 부재(78)의 가이드 곡면부(78a)의 외치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가이드 곡면부(78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가이드 곡면 부재(7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아암(80)이, 도어(108)의 이동에 수반하여,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도어(108)가 이동하면, 회전 아암(80)은 도 39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규제 부재(81)의 스토퍼 고무(81b)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 아암(80)의 회전 범위가 규제되어, 회전 아암(80)은 정지한 상태로 된다. 또한,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도어(108)가 이동하면, 도어(108)에 있어서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설치된 도어측 고정 랙(85)과 외치(86)의 맞물림이 어긋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8)가 개방될 때에 있어서의 구동력 취득부(76a)에 의한 도어(108)의 도어 개폐력의 취득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도어(108)의 플러그 동작 후, 도어(108)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도어(108)의 도어 레일(91)의 이동과 함께,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 보조 롤러(84)가,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아암 가압 스프링(82)에 의해, 회전 아암(80)의 위치가, 규제 부재(81)에 접촉한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기구 및 회전 아암 기구(75)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굴곡 상태의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의 움직임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로크 기구(57)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에 있어서 발생한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링 기어(20d)로부터 구동 피니언(61)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 피니언(61)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 피니언(61)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랙(60a, 60b)이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연결부(59a, 59b)와 함께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8, 109)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가 각각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8, 109)의 개방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는, 축부(54a, 54b)는 가이드부(55a, 55b)로부터 차폭 방향으로 힘을 받는 일은 없고, 연결부(59a, 59b)와 함께 도어(108, 109)의 개방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어(108, 109)가 폐쇄될 때에는, 상술한 도어(108, 109)의 개방 동작과 역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도어 구동 기구(53)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방식의 브러시리스 전동 모터(21)가 구동되어, 유성 기어 기구(20)를 통해 구동되는 구동 피니언(61)이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59a, 59b)에 연결된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의 지지 레일(16d) 및 피니언(16c)이 전술한 개방 동작의 경우와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배속 레일(56a, 56b)에 있어서, 슬라이드 베이스(52)에 고정된 하측 랙(16b)에 대해, 도어(108, 109)에 연결된 상측 랙(16a)이, 피니언(16c)에 대해 배속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108, 109)의 폐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축부(54a, 54b)는 가이드부(55a, 55b)를 향해 각각 직선적으로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55a)에 있어서는, 도어(108)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헬리컬 스프링(30)에 의해 제2 링크(25)에 상방에서 볼 때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 즉, 가이드부 롤러(28)가 롤러 가이드(23)의 곡면(23b)에 접촉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헬리컬 스프링(30)으로부터 인장의 힘이 제2 링크(25)에 작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롤러(28)는 곡면(23b)에 있어서의 가이드부 롤러(28)의 외주 형상과 대략 동일한 반원호 형상을 갖는 오목부에 끼워 넣고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4) 및 제2 링크(25)가 소정의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해 온 축부(54a)가 제2 절결부(25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서, 제2 링크(25)가 보유 지지된다. 또한, 제1 링크(24)도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해 온 축부(54a)를 제1 절결부(24a)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위치에서 보유 지지된다(도 37을 참조).
따라서, 축부(54a)는 도어(108)가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에 제2 링크(25)의 제2 절결부(25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하여(도 37을 참조), 이 제2 링크(25)를 가압한다. 이때, 제2 링크(25)는 헬리컬 스프링(30)의 힘에 저항하여, 제2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축부(54a)의 폐쇄 방향으로의 직선적인 이동이 방해되는 일은 없다. 이 제2 링크(25)의 회전 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 롤러(28)는 롤러 가이드(23)의 곡면(23b)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 링크(25)의 회전 시에 있어서는, 제1 링크(24)는 거의 회전하는 일 없이 소정의 위치 혹은 그 근방부에서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축부(54a)는 제1 링크(24)의 제1 절결부(24a)의 내측 테두리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링크(24)를 폐쇄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24)가 제1 회전축(26)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축부(54a)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도어(108)는 축부(54a)와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즉, 도어(108)는 완전 개방인 상태의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폐쇄 위치 근방부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으로 끌어 들여져 폐쇄 위치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55a, 55b)는 도어(108, 109)가 폐쇄될 때에, 축부(54a, 54b)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54a, 54b)가 차폭 방향의 다른 쪽[도어(108)의 폐쇄 방향 및 도어(109)의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축부(54a, 54b)를 안내하는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가, 도어(108, 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 109)를 차폭 방향의 외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도어(108)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지지 롤러(79a, 79a)와 보조 롤러(84)가, 도어 레일(91)에 대해 구름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108)가 폐쇄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하여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개시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도어측 고정 랙(85)이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외치(86)에 맞물리는 위치까지 도달한다. 또한, 도어(108)의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개시되면, 도어(108)의 이동에 수반하여, 구동 회전 부재(76b)가 외치(86)에 있어서 도어측 고정 랙(85)에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도어 개폐력으로서의 구동력이 구동력 취득부(76a)에서 취득되게 된다. 이때, 구동 회전 부재(76b)는 도어(108)의 개방 동작 시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108)의 이동과 함께, 구동 회전 부재(76b)가 회전하고, 이 구동 회전 부재(76b)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83)가 회전하고, 또한 중간 기어(83)에 맞물리는 종동 회전 부재(77)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때, 종동 회전 부재(77)는 가이드 곡면 부재(78)의 가이드 곡면부(78a)의 외치와 맞물리면서 회전하고, 가이드 곡면부(78a)를 따라서, 도어(108)의 개방 동작 시와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가이드 곡면 부재(7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아암(80)이, 도어(108)의 이동에 수반하여,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108)가 폐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도어(108)가 폐쇄될 때에 있어서의 구동력 취득부(76a)에 의한 도어(108)의 도어 개폐력의 취득이 종료되고, 회전 아암(80)의 회전도 정지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기구 및 회전 아암 기구(75)에 의한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로크 핀(63a, 63b)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각각 걸림 결합하여, 걸림 결합 부재(69a, 69b)를 회전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굴곡 상태의 링크 기구(64)의 양단부에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 결합 부재(69a, 69b)가 회전하면, 걸림 결합 부재(69a, 69b)의 외측 테두리부에 의한 링크 기구(64)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로 된다. 이로 인해, 유성 기어 기구(20)의 캐리어(20c)로부터 출력 롤러(22a)를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링크(64a)가 회전하고, 링크 기구(64)가 굴곡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변형된다. 그리고, 링크 기구(64)의 양단부가, 걸림 결합 부재(69a, 69b)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이때, 캐리어(20c)로부터 출력 롤러축(22b)을 통해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달 부재(40)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도어(108)의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고, 슬라이드 블록(41)도 슬라이드 레일(39) 상을 도어(108)의 폐쇄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도 42에 있어서 2점 쇄선의 롤러(42a)로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로크 고정부(62)의 면(36a)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롤러(42)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57)에 의한 도어(108, 109)의 로크 상태가 확보되어, 플러그 기구에 의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플러그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플러그 도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이상 설명한 플러그 도어 장치(3)에 따르면, 가이드부[55(55a, 55b)]는 축부[54(54a, 54b)]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축부[54(54a, 54b)]를 차폭 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부[55(55a, 55b)]의 동작은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에 추종하는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 상황에 맞추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55(55a, 55b)]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어(108, 109)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5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3)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3)에 따르면, 도어(108, 109)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도어 개폐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회전 아암(80)을 갖는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에서는 도어(108, 109)로부터 취득된 도어 개폐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전달된 종동 회전 부재(77)가 회전하고, 이 종동 회전 부재(77)가 가이드 곡면부(78a)를 따라서 안내됨으로써, 종동 회전 부재(77)를 보유 지지하는 회전 아암(80)이 회전한다. 이로 인해, 축부[54(54a, 54b)], 가이드부[55(55a, 55b)] 및 슬라이드 베이스(52)가 도어(108, 109)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가 도어(108, 109)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도어(108, 109)의 강성이 작은 경우라도, 플러그 동작 시에, 도어(108, 109)의 상부측의 이동에 대한 도어(108, 109)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버리는 상태의 발생이 방지된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결축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플러그 동작을 행하기 위한 기구가 배치된 도어(108, 109)의 상부측의 이동에 대한 도어(108, 109)의 하부측의 이동의 추종성이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 아암(80)을 갖고 도어(108, 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 109)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에 따르면, 도어 개폐력을 취득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부(76)측에 추가하여, 도어(108, 109)의 일부를 통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반대측에 배치된 도어측 지지부(79)에 의해서도 도어(108, 109)가 지지된다. 이로 인해, 도어(108, 109)의 일부가 차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도록 지지되게 되고, 회전력 발생부(76)가 도어(108, 109)에 대해 추종하여 작동하는 상태가 상시 확보되게 된다. 또한, 이 회전 아암 기구[75(75a, 75b)]에서는 회전 아암(80)의 도어 개방 방향측의 회전 범위가 규제 부재(81)에 의해 규제되므로, 도어(108, 109)가 개방될 때에 회전 아암(80)이 플러그 동작 후에 과도하게 회전하여 도어(108, 109)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108, 109)에 대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힘을 작용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53)로 개폐 동작과 플러그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소형의 플러그 도어 장치(3)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회전 아암(80)을 갖고 도어(108, 109)의 플러그 동작을 보조하도록 도어(108, 109)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는 플러그 도어 장치(3)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3)에 따르면, 회전력 발생부(76)에 있어서, 도어 개폐력을 구동력으로서 취득하는 기구와, 취득된 구동력으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기구가, 분리된 기구로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108, 109)에 대해 접촉하면서 마찰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력 발생부에 비해, 도어 개폐력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도어 장치(3)에 따르면, 도어 개폐력을 효율적으로 취득할 수 있는 구동력 취득부(76a)에 대해, 도어에 고정된 도어측 고정 랙(85)과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외치(86)에 의한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어측 고정 랙(85)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설치되므로, 플러그 동작 후에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외치(86)가 도어측 고정 랙(85)에 맞물려 과도하게 작동하여 도어(108, 109)의 이동을 방해해 버리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아암 가압 스프링(8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108, 109)가 개방될 때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치된 도어측 고정 랙(85)과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외치(86)의 맞물림이 어긋난 후에 있어서도, 규제 부재(81)에 접촉한 위치에서 회전 아암(80)의 위치가 보유 지지되게 된다.
[변형예에 대해]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한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구동 기구에 있어서, 종동 풀리가 2개 설치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종동 풀리가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2)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로서 구동 풀리, 종동 풀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구동륜 부재, 종동륜 부재가 스프로킷 등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무단 형상 부재로서 톱니형 구동 벨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무단 형상 부재로서, V벨트, 체인, 와이어 등이 사용되는 형태여도 된다.
(3)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가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축부가 도어에 직접적으로 설치된 형태여도 된다.
(4) 가이드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즉, 가이드부는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에,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가 차량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이동하도록 축부를 안내하는 동시에, 도어가 폐쇄될 때에, 축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축부가 차량의 폭 방향의 다른 쪽으로 이동하도록 축부를 안내 가능한 형상이면 된다.
(5) 제3 실시 형태에서는, 2매로 구성되는 더블 슬라이딩의 쌍 미닫이 도어에 대해 적용된 플러그 도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1매로 구성되는 싱글 슬라이딩 도어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된다.
(6)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구동 기구가,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지 않아도 된다. 풀리 혹은 스프로킷 등으로서 구성된 구동륜 부재 및 종동륜 부재와, 구동륜 부재 및 종동륜 부재에 권취되는 벨트, 체인, 와이어 등으로서 구성된 무단 형상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도어 구동 기구를 실시해도 된다.
(7) 회전력 발생부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력 발생부가, 주회하는 벨트 부재를 갖고, 이 벨트 부재가 도어에 접촉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주회하여 회전하는 기구로서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도어에 접촉하여 도어 개폐력을 취득함으로써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력 발생부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가이드 곡면 부재에 있어서의 가이드 곡면부는 회전력 발생부의 벨트 부재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종동 회전 부재가, 벨트 부재의 내측에 있어서 회전 아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가이드 곡면 부재와의 사이에서 벨트 부재를 끼우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회전력 발생부로서의 벨트 부재의 회전력이 종동 회전 부재에 전달되고, 가이드 곡면부에 대해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하면서 주회하는 벨트 부재의 회전과 종동 회전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 부재가 가이드 곡면부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8) 도어측 고정 랙과, 도어측 고정 랙에 맞물리는 톱니형 벨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회전력 발생부가 설치된 회전 아암 기구를 실시해도 된다. 도 43은 변형예에 관한 회전 아암 기구(92)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3에 도시하는 회전 아암 기구(92)는 도어측 고정 랙(85), 양면 톱니형 벨트(94), 구동 회전 부재(76b)를 구비하여 구성된 회전력 발생부(9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3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양면 톱니형 벨트(94)는 무단 형상의 벨트 부재로서 설치되고, 내주면 및 외주면에 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면 톱니형 벨트(94)의 내측에는 회전 아암(8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면 톱니형 벨트(94)는 내주면의 이에 있어서 구동 회전 부재(76b)의 외주의 이와 종동 회전 부재(77)의 외주의 이에 대해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에 대해 주회하도록 권취되어 있다.
또한, 양면 톱니형 벨트(94)는 외주면에 설치된 이에 있어서 도어측 고정 랙(85)에 맞물리는 동시에 가이드 곡면부(78a)에 형성된 외치에도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의 이동에 수반하여, 양면 톱니형 벨트(94)가 도어측 고정 랙(85)과 맞물리면서 주회하도록 회전하고, 양면 톱니형 벨트(94)에 내측에서 맞물리는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도 회전한다. 그리고, 가이드 곡면부(78a)의 외치에 대해 맞물리면서 주회하는 양면 톱니형 벨트(94)의 회전과 종동 회전 부재(77)의 회전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 부재(77)가 가이드 곡면부(78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 아암(8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회전 부재(76b) 및 종동 회전 부재(77)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는 맞물리는 대상이 다르고, 양면 톱니형 벨트(94)의 내주면에 대해 맞물려 있다. 또한, 회전력 발생부(93)의 양면 톱니형 벨트(94)가, 가이드 곡면 부재(78)의 가이드 곡면부(78a)에 접촉하고 있다.
(9) 회전 아암으로서 회전 동작 시에 신축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형태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곡률 반경이 변화되도록 형성된 곡면을 따라서 종동 회전 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곡면부가 설치된 가이드 곡면 부재를 구비하는 형태를 실시해도 된다. 이들 형태의 경우, 도어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 있어서 회전 아암 기구의 배치 스페이스의 가일층의 콤팩트화가 가능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차량의 폭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플러그 도어 장치
11 : 고정 베이스
12 : 슬라이드 베이스
13 : 도어 구동 기구
13a : 구동부
13b : 구동 풀리(구동륜 부재)
13c : 종동 풀리(종동륜 부재)
13d : 구동 벨트(무단 형상 부재)
14 : 축부
15 : 가이드부
16 : 배속 레일
16a, 16b : 랙
16c : 피니언
19 : 연결부
102 : 승강구
104 : 도어

Claims (16)

  1. 차량에 설치되어, 1매의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도어 구동 기구를 구비한 플러그 도어 장치이며,
    상기 플러그 동작에 따라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구동 기구는,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와 상기 구동륜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 종동륜 부재에 대해 주회하도록 권취된 무단 형상 부재가 상기 차량의 승강구의 전후 방향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당해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구동력이 상기 구동륜 부재 및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차량에 고정된 로크 고정부와,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로크 이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는,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레일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롤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이동부에 접촉하는 면으로서 상기 로크 이동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8. 차량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는 플러그 동작을 행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이며,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구동 기구와,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당해 도어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로크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차량의 본체에 고정된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어 설치된 로크 고정부와,
    상기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에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서 접촉하는 로크 이동부를 갖고,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는,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슬라이드 접촉부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대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베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도어 구동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로 출력되는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접촉부는,
    블록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규제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로크 고정부에 접촉 가능한 롤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 기구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됨으로써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랙 앤드 피니언 기구를 갖고,
    상기 구동부는 선 기어, 당해 선 기어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당해 선 기어의 주위를 공전하는 유성 기어, 당해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유성 기어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당해 유성 기어에 맞물리는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 기구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동륜 부재, 상기 구동륜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륜 부재 및 상기 구동륜 부재와 상기 종동륜 부재에 대해 주회하도록 권취되고 당해 구동륜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당해 종동륜 부재를 회전시키는 무단 형상 부재를 갖고, 1매의 상기 도어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부는 선 기어, 당해 선 기어에 맞물리는 동시에 자전하면서 당해 선 기어의 주위를 공전하는 유성 기어, 당해 유성 기어를 자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유성 기어를 공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 및 당해 유성 기어에 맞물리는 링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유성 기어 기구를 더 갖고,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고, 상기 선 기어, 상기 캐리어 및 상기 링 기어 중 남은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이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고정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이동부와 접촉함으로써 당해 도어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면과,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이동부에 접촉 가능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구동륜 부재에 입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당해 구동륜 부재가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유성 기어 기구로부터 상기 로크 기구에 입력되는 구동력과 밸런스되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제2 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도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7023813A 2011-03-10 2012-03-07 플러그 도어 장치 KR101533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3106 2011-03-10
JPJP-P-2011-053107 2011-03-10
JP2011053106A JP5615741B2 (ja) 2011-03-10 2011-03-10 プラグドア装置
JP2011053107A JP5872778B2 (ja) 2011-03-10 2011-03-10 プラグドア装置
JP2011068584A JP5615748B2 (ja) 2011-03-25 2011-03-25 プラグドア装置
JPJP-P-2011-068584 2011-03-25
PCT/JP2012/055747 WO2012121268A1 (ja) 2011-03-10 2012-03-07 プラグドア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67A Division KR101738790B1 (ko) 2011-03-10 2012-03-07 플러그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310A KR20130135310A (ko) 2013-12-10
KR101533904B1 true KR101533904B1 (ko) 2015-07-03

Family

ID=46798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67A KR101738790B1 (ko) 2011-03-10 2012-03-07 플러그 도어 장치
KR1020137023813A KR101533904B1 (ko) 2011-03-10 2012-03-07 플러그 도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67A KR101738790B1 (ko) 2011-03-10 2012-03-07 플러그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403422B2 (ko)
EP (3) EP3162992B1 (ko)
KR (2) KR101738790B1 (ko)
CN (3) CN105863407B (ko)
TW (4) TWI565613B (ko)
WO (1) WO2012121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7101B2 (en) * 2010-04-16 2013-09-03 Yale Security Inc. Door closer assembly
CN105863407B (zh) 2011-03-10 2018-06-15 纳博特斯克有限公司 塞拉门装置
KR101459229B1 (ko) * 2013-05-15 2014-11-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동차 도어 구조
AT514885B1 (de) * 2013-09-23 2015-10-15 Knorr Bremse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Schwenkschiebetürmodul für ein Schienenfahrzeug mit verbesserter Übertotpunktverriegelung
KR20150074806A (ko) * 2013-12-24 2015-07-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JP5938463B2 (ja) 2013-12-26 2016-06-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ロック装置及びプラグドアシステム
JP2015132104A (ja) * 2014-01-14 2015-07-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開閉体開閉装置
JP6356555B2 (ja) * 2014-09-19 2018-07-1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開閉装置およびプラグドア装置
JP6346835B2 (ja) 2014-09-22 2018-06-2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開閉装置およびプラグドア装置
DE102014115932A1 (de) * 2014-10-31 2016-05-04 Dorma Deutschland Gmbh Türantrieb
JP6542540B2 (ja) * 2015-02-10 2019-07-1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JP6530612B2 (ja) * 2015-02-10 2019-06-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戸吊装置
CN104989216B (zh) * 2015-07-09 2017-01-04 铜陵有色金属集团铜冠建筑安装股份有限公司 一种齿条驱动的电动铁门
JP6697933B2 (ja) * 2016-04-01 2020-05-2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CN106314465A (zh) * 2016-08-25 2017-01-11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新型塞拉门侧立集成安装机构
DE202016105214U1 (de) * 2016-09-19 2017-12-21 Gebr. Bode Gmbh & Co. Kg Schwenkschiebetüranordnung für ein Fahrzeug
FR3072408B1 (fr) * 2017-10-18 2021-11-26 Alstom Transp Tech Procede et systeme de diagnostic de fonctionnement d'un dispositif automatique ou semi-automatique d'acces a un vehicule de transport
JP7042093B2 (ja) * 2018-01-30 2022-03-2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CN108583601B (zh) * 2018-06-28 2023-09-12 株洲联诚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电动侧窗
JP2022078791A (ja) * 2020-11-13 2022-05-2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EP4001562A1 (en) * 2020-11-13 2022-05-25 Nabtesco Corporation Plug door device
RU2765326C1 (ru) * 2020-11-24 2022-01-2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ральский завод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АО "Уралтрансмаш")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я прислонно-сдвижной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20146855A (ko) * 2021-04-26 2022-1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윙인 타입 도어 구조
CN112874551B (zh) * 2021-05-06 2021-11-05 常州市宏发纵横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开度平移车门结构
DE102022000716B3 (de) * 2022-02-28 2023-07-27 Knorr-Bremse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Türsystem und Personenbeförderungsfahrzeug
CN114790864B (zh) * 2022-04-29 2023-09-26 江苏沃特加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单开塞拉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626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搬送装置
JP2010095939A (ja) * 2008-10-17 2010-04-30 Nabtesco Corp プラグ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326A (en) * 1977-03-17 1979-03-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Mass transit vehicle door control apparatus
US4152870A (en) * 1978-01-13 1979-05-08 Canadair Limited Slidable door closure and hanger system for passenger vehicle
IT1203828B (it) * 1983-06-28 1989-02-23 Fiat Ferroviaria Savigliano Porta a due battenti scorrevoli particolarmente per veicoli ferrotranviari
JPH04501445A (ja) * 1989-05-10 1992-03-12 ドルマ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 ゲゼルシャフト 自動式のスライディングドア
US6189265B1 (en) * 1993-10-05 2001-02-20 Ife Industrie-Einrichtungen Fertigungs-Aktiengesellschaft One- or two-leaf sliding door, swinging door or pocket door
US5483769A (en) * 1993-12-07 1996-01-16 Mark Iv Transportation Products Corporation Door drive equipment for mass transit vehicle
FI100517B (fi) 1995-09-13 1997-12-31 Kone Oy Menetelmä hissin tasonoven sulkemisessa ja mukaanottaja
JP2963068B2 (ja) 1997-03-07 1999-10-1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販機等の持出し回転型ヒンジ
FR2763034B1 (fr) 1997-05-09 1999-07-02 Faiveley Transport Dispositif operateur de porte, porte pourvue de ce dispositif et vehicule ferroviaire equipe d'au moins un tel dispositif et/ou porte
JPH1148783A (ja) 1997-08-08 1999-02-23 Asmo Co Ltd スライド式ドア開閉装置
JP3618535B2 (ja) 1998-01-14 2005-02-09 株式会社成田製作所 扉開閉装置
DE19830900A1 (de) 1998-07-10 2000-01-13 Ewald Witte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ß
US6139073A (en) 1998-08-31 2000-10-3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Lock assembly
US7246688B2 (en) * 1998-12-23 2007-07-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system
US6446389B1 (en) * 2000-04-14 2002-09-1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Tandem sliding door operator
SE517947C2 (sv) * 2000-11-21 2002-08-06 Safenet I Harads Ab Manövreringsmekanism för fordonsdörr
US6688042B2 (en) * 2001-05-05 2004-02-10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Central lock mechanism
AT412339B (de) * 2002-04-22 2005-01-25 Wittur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und verriegelung von aufzugstüren mit mitnehmerkufen
AT500017B8 (de) 2003-01-21 2007-02-15 Knorr Bremse Gmbh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GB2403265B (en) * 2003-06-25 2005-12-28 Manganese Bronze Components Lt Sliding plug doors
JP3875967B2 (ja) * 2003-08-12 2007-01-3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ZA200406978B (en)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4584021B2 (ja) * 2005-05-13 2010-11-1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ック付開閉装置
ATE416960T1 (de) 2005-09-23 2008-12-15 Fahrzeugtechnik Dessau Ag Rail Einrichtung zur bewegung des türblattes einer schwenkschiebetür, insbesondere für schienenfahrzeuge
DE202005015169U1 (de) * 2005-09-27 2007-02-15 Gebr. Bode Gmbh & Co. Kg Schwenkschiebetür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ahrgasttür für Fahrzeuge des öffentlichen Personennahverkehrs
JP4789588B2 (ja) 2005-11-11 2011-10-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JP4975413B2 (ja) 2006-11-10 2012-07-1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ック付開閉装置
JP4938416B2 (ja) * 2006-11-10 2012-05-2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ック付開閉装置
EP2079894B1 (en) 2006-11-10 2012-08-15 Nabtesco Corporatio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ith lock
DE102007033281A1 (de) 2007-07-17 2009-01-22 CADEA-Gesellschaft für Anwendung und Realisierung computerunterstützter Systeme mbH Fahrzeug mit mindestens einer Hecktür
CN102187042B (zh) 2008-10-17 2014-05-14 纳博特斯克株式会社 塞拉门装置
JP4885252B2 (ja) 2009-04-14 2012-02-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扉
ES2377631B1 (es) * 2009-04-16 2013-02-05 Klein Ibérica, S.A. Dispositivo de desplazamiento simultáneo para puertas correderas.
CN201428357Y (zh) * 2009-07-14 2010-03-24 北京博得交通设备有限公司 直线导轨式微动塞拉门
DE202009010695U1 (de) * 2009-08-07 2010-12-23 Gebr. Bode Gmbh & Co. Kg Türflügelantriebsvorrichtung mit teleskopierendem Türflügel
JP5703592B2 (ja) 2010-05-21 2015-04-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TWI447290B (zh) * 2011-03-09 2014-08-01 Nabtesco Corp Attach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615748B2 (ja) 2011-03-25 2014-10-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プラグドア装置
CN105863407B (zh) 2011-03-10 2018-06-15 纳博特斯克有限公司 塞拉门装置
WO2013035592A1 (ja) 2011-09-09 2013-03-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ック付開閉装置
EP2860079B1 (en) * 2012-06-06 2018-01-31 Nabtesco Corporation Railway vehicle plug door device and railway vehicle plug d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626A (ja) * 1997-02-25 1998-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搬送装置
JP2010095939A (ja) * 2008-10-17 2010-04-30 Nabtesco Corp プラグ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2992A1 (en) 2017-05-03
EP3162992B1 (en) 2019-05-15
EP2685034A4 (en) 2015-09-23
TW201522137A (zh) 2015-06-16
TW201716278A (zh) 2017-05-16
KR20130135310A (ko) 2013-12-10
TW201247459A (en) 2012-12-01
EP3176352B1 (en) 2021-04-28
TWI560090B (ko) 2016-12-01
CN105863428B (zh) 2018-01-16
CN105863407A (zh) 2016-08-17
CN105863428A (zh) 2016-08-17
US9797171B2 (en) 2017-10-24
EP2685034B1 (en) 2017-01-11
US20150145264A1 (en) 2015-05-28
TW201522136A (zh) 2015-06-16
US9403422B2 (en) 2016-08-02
TWI565613B (zh) 2017-01-11
TWI501892B (zh) 2015-10-01
CN105863407B (zh) 2018-06-15
US9316030B2 (en) 2016-04-19
EP3176352A1 (en) 2017-06-07
EP2685034A1 (en) 2014-01-15
KR20150039615A (ko) 2015-04-10
WO2012121268A1 (ja) 2012-09-13
TWI636909B (zh) 2018-10-01
US20140020299A1 (en) 2014-01-23
CN103415668A (zh) 2013-11-27
KR101738790B1 (ko) 2017-05-22
CN103415668B (zh) 2016-05-11
US20160305169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904B1 (ko) 플러그 도어 장치
KR101264978B1 (ko) 플러그 도어 장치
JP5165528B2 (ja) プラグドア装置
EP3225494B1 (en) Plug door device
JP5872778B2 (ja) プラグドア装置
US6637286B2 (en) Drive device for motor vehicle sliding sunroofs
JP5615748B2 (ja) プラグドア装置
US7077773B2 (en) Drive assembly with dynamic tensioning device
JP2012188858A5 (ko)
JP6200973B2 (ja) プラグドア装置
JP2016104962A (ja) ドア駆動機構
JP6267975B2 (ja) 車両用開閉装置
JP2017087914A (ja) 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