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899B1 -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899B1
KR101530899B1 KR1020137028916A KR20137028916A KR101530899B1 KR 101530899 B1 KR101530899 B1 KR 101530899B1 KR 1020137028916 A KR1020137028916 A KR 1020137028916A KR 20137028916 A KR20137028916 A KR 20137028916A KR 101530899 B1 KR101530899 B1 KR 10153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ding member
holder
housing part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461A (ko
Inventor
베르너 랑
엘마 핀켄베르거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0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easily removable; mounted for bodily outward movement, e.g. when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 B60R1/061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by electrically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 특히 다목적 차량용 외부 미러 배열체(2)로서,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4), 상기 홀더에 체결되는, 바람직하게는 래치식 및 관절연결식으로 체결되는 하우징(6), 및 상기 하우징(6)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차량 외부 미러를 위한 홀딩 부재(8)를 갖는 외부 미러 배열체(2)가 개시된다. 여기서, 하우징(6)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또 단독으로 홀딩 부재(8)를 안내하는 하우징 부분(10)을 갖는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LENGTH-ADJUSTABLE EXTERIOR MIRROR ADJUSTMENT MEAN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특히 다목적 차량용 외부 미러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차량 외부 미러의 각도 또는 정렬을 조절하는 것 뿐만 아니라 차체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조절은, 예를 들면, 초광폭 트레일러를 구비하는 차량에서 운전자에게 후방에 대한 적절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초광폭 트레일러가 견인되지 않는 경우, 외방으로 멀리 돌출하는 차량 외부 미러는 길이 조절을 통해 차체에 더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이것은 공기역학적 이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주차할 때 또는 좁은 통로를 통해 운전할 때 외부 미러의 파손의 우려를 감소시킨다.
공보 DE 39 38 961 A1으로부터 외부 미러의 텔레스코프식 조절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미러는 연속적으로 조절 가능한 텔레스코픽 튜브에 부착되고, 이 텔레스코픽 튜브는 차량 객실 상의 2 개의 평평한 외형의 홀딩 프레임에 의해 관절연결된다. 미러 수단의 이러한 개방형 설계는 공기역학적 관점에서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조인트 및 텔레스코픽 튜브가 환경(element)에 노출되는 단점을 갖는다. 원형의 텔레스코픽 튜브는 변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호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배열체에서의 길이 조절은 외력에 의해 미러 상에 가해지는 토크를 수용할 수도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상호 변위 가능하지만 회전 불가능한 장방형 튜브를 사용하는 발전이 이루어졌다. 정사각형 튜브의 상호에 대한 한정된 상대 위치의 고정은, 예를 들면, 2면 클램핑을 통해 달성되었다. 공기역학적 거동 및 환경으로부터의 보호의 전술한 문제점은 텔레스코프 수단의 주위에 하우징을 조립함으로써 해결되었고, 상기 하우징은 함께 나사체결되는 2 개의 압력 주조 하프(half)로 형성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해결책은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외부 미러로부터 차량 또는 차량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홀더까지의 힘의 적용을 위한 강도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외부 미러 또는 이 차량 외부 미러가 조립되는 홀딩 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 미러 배열체는 단순하게 설계 및/또는 제조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배열체의 중량 감소를 달성하고, 또 강도 요건을 만족시킨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미러용 홀딩 부재는 하우징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이 하우징은 차량에 장착되는 홀더에 고정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서 형성되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이것은 단독으로 홀딩 부재를 안내한다.
홀딩 부재를 안내하는 하우징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므로 이것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미러 수단의 상당한 중량 감소가 발생한다. 더욱이, 일체로서 형성되는 플라스틱 하우징은 상호 나사체결되는 위에서 언급된 압력-주조 하우징 하프보다 상당히 강성이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욱이, 플라스틱 하우징의 경우, 그 설계의 관점에서 큰 자유도가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경제적으로 제조될 뿐만 아니라 적용 사례에 따른 유연한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플라스틱의 일체형 부하-지지(load-carrying) 중공체를 포함하므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홀딩 부재 이외에, 수동식 또는 모터-구동식 조절 메카니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한 조절 메커니즘도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에 스냅 힌지(snap hinge)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딩 부재와 함께 하우징, 이것에 고정되는 차량 외부 미러는 미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좁은 통로 내에서 또는 외력의 적용 하에서 절첩된다.
홀딩 부재를 지지 및 안내하는 하우징 부분은, 홀딩 부재가 하우징 부분 상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이것에 결합되는 글라이드 스트립 상에서 선형적으로 안내되는 평평한 베어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배열체에 의해, 플라스틱 하우징은 소위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 외부 텔레스코픽 튜브의 기능을 취하고, 이것에 의해 외부 미러 배열체의 개별 부품의 수 및 이에 따라 미러 수단의 복잡성이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홀딩 부재의 슬라이딩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저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의 대응하는 글라이드 스트립이 삽입될 수 있다.
글라이드 스트립용 재료로서, 폴리옥시메틸렌(POM)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는 그것의 높은 내마모성 및 낮은 마찰계수로 인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정된 위치에 홀딩 부재 또는 외부 미러를 홀딩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장치가 평평한 베어링 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 이 클러치 장치는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통해 홀딩 부재 및 하우징으로부터의 상대 이동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클러치 장치 대신, 예를 들면, 부품으로 제공되는 래칭 요소를 통해 하우징과 홀딩 부재 사이에서 폼-로킹 끼워맞춤을 달성하는 고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 부분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램핑 레버는 클램핑 장치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 클램핑 레버는 평평한 베어링 부분 상에 제공되는 클램프 부재를 바람직하게는 판 스프링 배열체를 통해 홀딩 부재의 외벽에 대해 편향시킬 수 있는 캠을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 즉 클램프 부재 및 선택적으로 판 스프링 배열체의 통합에 의해, 하우징 부분 내의 홀딩 부재는 추가의 공구 없이 고정 및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평평한 베어링 부분은 홀딩 부재의 선형적 안내의 목적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한정된 위치에 홀딩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일종의 유지 섹션의 작용도 한다. 여기서, 클램핑 레버는, 마찰 끼워맞춤이 클램프 부재와 홀딩 부재의 외벽 사이 뿐만 아니라 홀딩 부재의 외벽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부분 또는 안내 스트립 섹션 사이에도 존재하도록, 클램프 부재 상에 가압된다.
판 스프링의 상호 연결은, 클램핑 레버의 작동 중에, 상기 클램핑 레버의 클램핑 작용 및 해방 작용 하에서의 단순한 조작 뿐만 아니라 한정된 클램핑 힘이 달성되도록, 허용오차 매칭(matching)의 역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편향 부하를 한정한다. 이것은 클램핑 효과가 특수한 토크에 의존하고, 또 홀딩 부재가 경우에 따라 고정되지 않고 확실하게 체결되지 않는 종래에 사용되던 포인트 방향(pointwise)으로 배치되는 클램핑 나사에 비해 이점을 갖는다.
클램핑 레버는 클램핑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레버는 외력의 적용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에 공기역학적으로 완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평평한 베어링 부분 외에, 제 1 하우징 부분은 홀딩 부재에 제공되는 슬라이더의 대응하는 그루브와 맞물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내 리브를 갖는 안내 섹션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그루브 및 안내 리브는 홀딩 부재의 조절 방향으로 연장한다. 중공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측에 구성되는 안내 리브와 슬라이더의 그루브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우징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홀딩 부재의 선형적 안내가 더욱 개선된다. 선형적 안내 외에, 홀딩 부재에 고정 상태로 연결되는 슬라이더의 그루브 내에 맞물리는 안내 리브는, 홀딩 부재 또는 차량 외부 미러가 하우징을 향해 비틀림될 수 없도록 보장한다. 슬라이더와 안내 리브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굽힘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의 입력을 위한 한정된 형상이 얻어진다. 슬라이더 및 안내 리브의 상호 작용에 의해, 홀딩 부재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안내 및 센터링(centering)된다.
더욱이, 슬라이더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수단에서의 적용을 위해 통상적으로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자형 튜브형 홀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도록, 또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슬라이더를 개조 또는 개량시킬 수 있도록, 일종의 어댑터의 작용을 한다.
하우징은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를 제 1 하우징 부분에 연결할 수 있는 제 2 하우징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하우징 부분은 그 주 기능, 즉 홀딩 부재 및 조절 메커니즘의 단독의 수용 및 안내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에의 고정은 이것을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하우징 부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구조적으로 동일한 제 1 하우징 부분이 차량 상에 장착되는 상이한 홀더에 고정될 수 있고, 동시에 단지 하나의 대응하여 상이하게 구성되는 제 2 하우징 부분이 사용된다.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 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의 하우징 부분은 홀더에의 체결을 위해 차량 상에 장착되는 고정 부분을 갖는다. 차량 상에 장착되는 이러한 고정 부분은 여기서 하우징의 총 중량을 크게 증가하지 않고 홀더에 하우징 부분을 체결하기 위한 국부 보강의 작용을 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수동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차량 측 고정 부분 내에서 하우징 부분 내로 주조되는 금속 인서트의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하우징의 특성은 금속 플레이트 또는 금속 인서트의 치수에 의해 변화될 수 있고, 또 각각의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적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의 힘은 고정 수단에 의해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 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에 래치식으로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는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의 고정 부분과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래칭 요소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조되는 래칭 투스(latching tooth)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래칭 투스 구조가 홀더에 구성되는 경우, 래칭 조인트는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래칭 조인트가 부식 및 마모를 덜 받도록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밀봉될 수도 있다.
개재되는 래칭 요소는 그루브-스프링(groove-spring) 연결을 통해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의 고정 부분에 폼-로킹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연결되고, 따라서 그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에서 하우징의 한정된 피봇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의 고정 부분은 하우징 상에 구성되는 평평한 베어링 부분을 포함하고, 이 평평한 베어링 부분은 홀더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내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하우징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므로, 따라서 평평한 베어링 부시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법으로 부품의 개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홀딩 부재는 수동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작동될 수 있고, 따라서 차체에 대한 외부 미러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외부 미러 배열체는, 예를 들면, 승객실의 내측으로부터 제어할 수 있는 홀딩 부재를 조절하기 위한 전기 작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은 조작자를 위해 더 편리하다. 전기 작동 유닛을 통한 홀딩 부재의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 유닛은 슬라이더 내에 주조되는 사다리꼴 나사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는 스핀들을 구동할 수 있다. 홀딩 부재가 튜브로서 구성되는 경우, 스핀들은 홀딩 부재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그 결과 상당히 콤팩트한 제작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홀딩 부재는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케이블을 통해 또는 치(tooth)를 갖는 랙 구동체를 통해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작동 유닛은 중공 본체로서 구성되는 제 1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전기 작동 유닛의 차량 측 외주 섹션은 제 1 하우징 부분의 원주 방향의 내벽에 상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작동 유닛은, 전체 조절 메카니즘 및 전기 작동 유닛이 하우징 부분 내에서 시일되도록, 차량 상에 장착되는 제 1 하우징 부분을 폐쇄 및 시일할 수 있다. 전기 작동 유닛 또는 전기 모터의 트렌스미션 커버는 이러한 폐쇄 또는 실링 기능을 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한 구성 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품 내에 2 가지 기능의 통합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는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전기 작동 유닛은, 홀딩 부재가 클램핑 장치를 통해 평평한 베어링 부분에 견고하게 클램핑된 경우에도 홀딩 부재를 조절할 수 있다. 상존하는 장력에 의해, 홀딩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핑 레버는 상시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는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클러치 장치는 전기 작동 유닛과 스핀들 사이에 연결되고, 전기 작동 유닛은 전기 작동 유닛로부터 스핀들로 양 방향으로 홀딩 부재의 조절을 위해 필요한 토크의 전달을 허용하고, 소정의 역치 토크 보다 큰 과부하 토크의 경우에, 전기 작동 유닛과 스핀들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자동적으로 허용한다. 클러치는, 토크 방향 반전의 경우에, 조절 토크가 소정의 자유-이동 각도에 걸쳐 전달되지 않도록 더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편으로 과부하 보호가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 회전 방향의 변경의 경우에, 결정된 정격 속도로의 전기 작동 유닛의 무부하 시동이 허용된다. 양자 모두 전기 작동 유닛의 작동 및 수명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클러치 장치는 전기 작동 유닛 및 스핀들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상태로 연결되는 캐리어에 의해 구동되는 클러치 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는 클러치 벨의 내벽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프링-부하를 받고 또 가압되는 그 외주 상에 균등하게 분포되는 부하를 받는 구름 요소 또는 슬라이딩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클러치 벨의 내벽은 소정의 역치 토크보다 큰 과부하 토크의 경우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름 요소 또는 슬라이딩 요소를 밀어주는 그 내주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융기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무부하 시동을 통해, 클러치 벨의 운동 에너지 및 전기 작동 유닛의 관성 토크의 일부는 구름 요소 및 이에 따라 또한 캐리어에 충격의 형태로 전달되고, 그 후 구름 요소와 돌출부 사이, 즉 클러치 벨과 캐리어 사이의 폼-로킹 끼워맞춤 연결이 맞물리고, 전달될 토크가 전달된다. 통상적 전달 기술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이 효과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오물 오염으로 인한 홀딩 부재와 하우징의 일시적 재밍을 완화시키기 위해, 활용된다.
융기된 부분의 개수는 구름 요소 또는 슬라이딩 요소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 각도 및 이것을 구비하는 클러치 벨과 캐리어 사이 또는 전기 작동 유닛과 스핀들 사이의 유격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슬라이더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슬라이더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슬라이더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홀딩 부재의 단부 섹션을 도시하고;
도 8은 홀딩 부재의 단부 섹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전기 작동 유닛과 스핀들 사이에 연결되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클러치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홀딩 부재의 조절 중의 토크-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홀딩 부재의 조절 중의 추가의 토크-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의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차량에 장착되는 홀더(4), 하우징(6) 및 홀딩 부재(8)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2)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홀딩 부재(8)는 차량 외부 미러(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6)은 제 1 하우징 부분(10) 및 제 2 하우징 부분(12)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하우징 부분(10)은 단독으로 홀딩 부재(8)를 지지 및 안내하고, 본질적으로 제 2 하우징 부분(12)은 하우징(6)을 홀더(4)에 부착시키는 작용만 한다.
제 1 하우징 부분(10)은 홀더(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그 측면 상에 슬라이딩 부분(14)을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부분(14) 내에 홀딩 부재(8)가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다. 본질적으로 슬라이딩 부분(14)은 제 1 하우징 부분(10) 내의 원통형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이 리세스는 POM으로 제조되는 글라이드 스트립(16)(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부분(14)은 반경 방향 개구(18)를 포함하고, 이 반경 방향 개구(18) 내에 클램핑 부재(20)가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수용된다. 클램핑 부재(20)는 홀딩 부재(8)에 대해 상보적으로 구성되고, 즉 원통상으로 오목하게 구성되고, 홀딩 부재(8)의 외벽에 평평하게 위치된다(도 2 참조). 클램핑 부재(20)는 홀딩 부재(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대면하는 그 측면 상에 리세스(22)를 갖고, 리세스(22)는 판 스프링(24)에 의해 부하를 받는다.
슬라이딩 부분(14) 내에, 수동 작동 가능한 클램핑 레버(26)가 회전 가능하게 더 배치되고, 피봇 축선(K)은 홀딩 부재(8)의 중심-축선(A)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횡단 방향 축선이고, 이 횡단 방향 축선은 클램핑 부재(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클램핑 레버(26)는, 피봇 축선(K)을 중심으로 하는 클램핑 레버(26)의 피봇 운동 시에, 판 스프링(24) 상에 가압되어 이것을 홀딩 부재(8)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캠(28)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22)는 판 스프링(24)의 스탬핑 힘을 통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고, 홀딩 부재(8)의 외벽의 부분과 억지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을 형성하고, 또 슬라이딩 부분(14)의 원통형 리세스의 반대측에 위치된 측면에서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홀딩 부재(8)를 더욱 가압한다.
도 2는 피봇 축선(K)에 평행하고 중심-축선(A)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슬라이딩 부분(14)은, 클램핑된 상태의 클램핑 레버(26)(도 1에 도시됨)가 슬라이딩 부분(14) 또는 제 1 하우징 부분(10)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그 내측에 은닉되는, 리세스(30)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리세스(30)는 클램핑 레버(26)를 작동시키기 위해 손이나 공구로 클램핑 레버(26)를 파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더욱이, 제 1 하우징 부분(10)은 홀더 측 상의 슬라이딩 부분(14)과 경계를 이루고, 또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을 둘러싸는 얇은 벽의 중공체 섹션(32)을 포함한다. 도 1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체(32)는 중심-축선(A)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또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에 고정되는 슬라이더(40)의 대응하는 종방향 그루브(38)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물리는 2 개의 내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호 마주보는 안내 리브(36)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0)가 홀딩 부재(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안내 리브(36)와 그루브(38)의 상호 작용에 의해, 홀딩 부재(8)는 확실하게 중심-축선(A)을 따라 변위될 수 있으나 상기 중심-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다. 차량 외부 미러 또는 홀딩 부재(8)에 가해지는 임의의 외력은 안내 리브(36)에 의해 수용된다. 여기서, 안내 리브(36)의 축방향 범위는 하우징(6) 내의 홀딩 부재(8)의 적어도 최대 변위에 대응한다.
안내 리브(36)와 연결되는 중공체 섹션(32)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안내 섹션을 형성한다. 따라서, 홀딩 부재(8)는 한편으로 슬라이딩 부분(14)에서 뿐만 아니라 안내 리브(36)에서 안내된다. 더욱이, 슬라이딩 부분(14) 및 안내 리브(36)는 굽힘 모멘트를 갖는다. 슬라이더(40)가 안내 리브(36) 내로 안내되는 위치와 슬라이딩 부분(14) 사이의 긴 레버 암으로 인해, 굽힘력은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슬라이더(40)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정면도, 도 5는 측면도,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슬라이더(40)는 본질적으로 입방체 형상의 본체로서, 이 본체는 2 개의 대향 측면 상에 종방향 그루브(38)를 포함하고, 제 3 측면 상에 2 개의 내방향으로 돌출하고 상호 마주보고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46)를 갖는 원통형 리세스(42)를 포함한다. 슬라이더(40)가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에 도입될 때, 돌출부(46)는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에 제공되는 종방향 슬롯(48)(도 7 및 도 8 참조) 내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40)는 높은 강성을 갖고, 또 홀딩 부재(8)를 통해 도입되는 굽힘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를 제 1 하우징 부분(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더(40)는 또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특별 주문되는 특성을 구비하는 일체화된 부품이다.
단부 섹션(34)의 외경 및 리세스(42)의 내경은 억지 끼워맞춤으로서의 허용오차를 갖는다. 더욱이, 슬라이더(40)(도시되지 않음)는 대응하는 리턴 스프링 내에서 또는 대응하는 리세스(52)(도 8 참조) 내에서 탄성적으로 또한 폼-로킹(form-locking) 끼워맞춤 상태로 맞물리는 스냅 후크(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40)는 홀딩 부재(8) 상에 고정 상태로 회전 불가능하게 위치되고, 그것에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사다리꼴 나사를 갖는 나사산을 가진 중심 구멍(54)은 리세스(42)의 저면에 구성되고, 이 구멍은 전기 모터(60) 및 트랜스미션(62)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작동 유닛(58)을 통해 구동되는 스핀들(56)과 작동 가능한 연결 상태에 있다. 전기 작동 유닛(58) 뿐만 아니라 스핀들은 도 1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홀더, 예를 들면, 트렌스미션 커버(64)의 측 상에 위치되는 전기 작동 유닛(58)의 섹션은 제 1 하우징 부분(10)의 내부에 대해 상보적으로 구성되고, 그러므로 제 1 하우징 부분(10) 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조절 메커니즘은 외부로부터 폐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시일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스핀들(56)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 스핀들(56)과 맞물림 상태로 위치되는 슬라이더(40)는 스핀들(56)의 축선을 따라 이동되고, 이 축선은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의 중심-축선(A)과 일치되고, 동시에 홀딩 부재(8)의 변위 축선을 나타내고, 슬라이더(40)에 고정 상태로 연결되는 홀딩 부재(8)는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여기서, 제 1 하우징 부분(10)의 안내 리브(36)는 슬라이더(40)의 종방향 그루브(38)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홀딩 부재(8)의 외벽은 슬라이딩 부분(14) 내에서 글라이드 스트립(16)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홀딩 부재(8)와 하우징(6) 사이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기서 클램핑 레버(26)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클램핑 부재(20)는 홀딩 부재 상에 상시 압력을 가하고, 또 스프링-부하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 전기 모터(60)는 홀딩 부재(8)를 작동시킬 때 평평한 베어링 부분(14)과 홀딩 부재(8)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해야 한다. 그러나, 극복되어야 할 마찰력은 글라이드 스트립(16)에 의해 감소된다. 차량 외부 미러 및/또는 홀딩 부재(8)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전기 작동 유닛(58)은 정지될 수 있고, 위치는 클램핑 레버(26) 및 클램핑 부재(20)를 통해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작동 유닛(58)은 해제되어 오프(off)될 수 있다.
글라이드 스트립(16)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대안적으로 클램핑 레버(26)가 홀딩 부재(8)의 작동 전에 해제된 후, 작동 후에 클램핑될 수 있다.
도 1에서 추가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부분(10)은 차량 상에 장착되는 홀더(4)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더(4)는 중심-축선(A)에 대해 수직으로 운동하는 중공 원통형 부분(66)을 포함하고, 이 중공 원통형 부분(66)에 대해 하우징(6)은 피봇 축선(S)을 중심으로 피봇 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홀더(4)의 원통형 부분(66)은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래칭 투스 구조(latching tooth geometry; 68)를 포함하고, 또 나사 연결부(74)를 통해 제 1 하우징 부분(10)의 고정 부분(72)에 래칭 요소(7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홀더(4)는 반대 측 상에서 제 2 하우징 부분(12)을 통해 하우징(6)에 연결된다. 또한, 홀더(4)의 원통형 부분(66)은, 제 2 하우징 부분(12)이 제 1 하우징 부분(10)에 연결되는 경우, 고정 부분(80)의 내측에 구성되는 원통형 평평한 베어링 부시(7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76)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더욱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하우징 내의 금속 인서트(82)는 제 1 및/또는 제 2 하우징 부분(10, 12)의 얇은 벽의 고정 부분(72, 80) 내로 주조되고, 이 금속 인서트는 고정 부분(72, 80)을 보화하고, 또 하우징(6)으로부터 홀더(4)에 힘을 가하는 작용을 한다.
도 1로부터 더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부분(10)의 고정 부분(72)은 래칭 요소(70)에 외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86)와 폼-로킹 끼워맞춤으로 맞물리는 그루브(84)를 포함한다. 홀더(4)는 제 1 하우징 부분(10) 내로 주조 성형된 금속 인서트(82) 내로 래칭 요소(70)를 통해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 요소(70)는 제 1 하우징 부분(1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폼-로킹 끼워맞춤은 그루브-스프링 연결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홀더(4)의 원통형 조인트 부분(66)은 래칭 요소(70)에 대해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편향되고, 원통형 조인트 부분(66)은, 대응하여 가해지는 소정의 크기의 피봇 토크 하에서 래칭 요소(70)가 홀더(4)의 래칭 투스 구조(68)에 관하여 스프링 프리-로드(pre-load)에 대해 비틀림 운동하도록, 제 1 및 제 2 하우징 부분(10, 12)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고,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6)과 홀더(4) 사이의 피봇 운동을 허용한다.
도 9는 트랜스미션(62)과 스핀들(56) 사이에 연결되는 클러치(9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클러치(90)는 트랜스미션(62)의 트랜스미션 스테이지(63)로부터 클러치 벨(91)을 통해 캐리어(92)에, 그리고 최종적으로 캐리어(9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핀들(56)에 토크를 전달한다. 트랜스미션 스테이지(63)는 클러치 벨(91)의 외치(93)와 치합된다. 원통형상 또는 링 형상의 클러치 벨(91)의 내주(94)에 돌출부 또는 캠(95)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고, 이 돌출부 또는 캠(95)은 압축 스프링(96)을 통해 캐리어(9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되는 롤러(97)와 상호 작용한다. 클러치(90)의 이러한 상호 작용 및 기능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캐리어(92)는 외주 상에 균등하게 분포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외측으로 개방되는 리세스(98)(도 9에서는 4 개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이 리세스 내에 압축 스프링(96)이 수용된다. 이들 압축 스프링(96)은 그 단부에 배치되는 롤러(97)에 클러치 벨(91)의 내주(94)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부하를 가한다. 여기서, 롤러(97)는 그 대부분이 리세스(98) 내에 위치된다. 클러치 벨(91)이 트랜스미션 스테이지(63)를 통해 구동되는 경우, 롤러(97)는 돌출부(95) 중 하나에 접촉할 때까지 클러치 벨(91)의 돌출부(95) 사이에서 내주(94)에서 원주 방향으로 롤링한다. 돌출부(95)는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롤러(97)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스프링 힘은, 캐리어(92)의 롤러와 클러치 벨(91)의 돌출부(95)가 일종의 폼-로킹 끼워맞춤을 형성하고, 그러므로 클러치 벨(91)로부터 캐리어(92)까지, 그 결과 스핀들(56)까지 토크를 전달하도록, 스핀들(56)의 정상 구동 하에서 그리고 홀딩 부재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 힘이 내측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클러치 벨(91)의 방향 변경의 경우에, 캐리어(92)는 롤러(97)가 이 회전 방향에서 다음의 돌출부(95)에 대해 주행하여 이 돌출부와 위에서 언급된 폼-로킹 끼워맞춤이 될 때까지 정지한다.
과부하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롤러(97)는, 롤러(97)가 래치팅(ratchetting) 클러치의 원리에 따라 돌출부(95)를 극복하도록, 그리고 클러치 벨(91)과 캐리어(92) 사이에 더 큰 상대 회전이 허용되도록, 소정의 역치 토크(MK) 하에서 압축 스프링(96)에 대항하는 돌출부(95)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작동 유닛(58)의 손상이 방지된다.
도 10은 시간-토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홀딩 부재(8)의 편위에 의해, 롤러(97)는 클러치 벨(91)의 돌출부(95)에 위치하고, 따라서 슬라이딩 부분(14) 내에서 홀딩 부재(8)와 클램핑 부재(20) 사이에서 적어도 마찰 토크(MR)에 도달해야 하는 결정된 토크를 전달한다.
홀딩 부재(8)가 자체의 최대 신장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예를 들면, 스톱으로 인해, 홀딩 부재(8) 및 이것을 구비하는 스핀들(56) 및/또는 캐리어(92)는 추가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클러치 벨(91)이 더욱 구동되는 경우, 클러치 벨(91)은 비교적 신속하게 클러치 토크(MK), 즉 클러치(9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MK)에 도달하고, 이 토크는 돌출부(95)와 압축 스프링(96)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클러치 토크(MK)에 도달한 경우, 롤러(97)는, 돌출부(95)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된다. 그 결과, 롤러(97)는 돌출부(95) 사이의 내주 부분(94) 상에서 롤링하고, 즉 롤러(97)는 자유롭게 롤링한다. 롤러(97)와 클러치 벨(91) 사이의 구름 마찰 토크(MW)는 마찰 토크(MR)의 미만, 즉 정상적으로 전달되는 토크의 미만에 위치한다. 소정의 회전 각도(φ) 후에, 롤러(97)는 다시 대응하는 돌출부(95)에 대해 주행하고, 클러치 토크(MK)가 초과되는 경우에 이 돌출부(95)를 통과한다.
클러치 벨(91)의 회전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롤러(97)는 다음의 돌출부까지 반대 방향으로 롤링한다. 이것은, 방향의 변경 시, 돌출부(95)의 반대측 플랭크가 롤러(97)와 접촉할 때까지 부하 없이 자유-이동 호 길이(φ)를 통해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롤러(97)와 돌출부(95) 사이, 즉 클러치 벨(91)과 캐리어(92) 사이의 폼-로킹 끼워맞춤이 구성되고, 전달될 토크(MR)가 전달되기 전에, 클러치 벨(91)의 운동 에너지 및 모터의 관성 질량의 일부는 충격(S)의 형태로 롤러(97) 및 이것을 구비하는 캐리어(92)에 부여된다.
통상적 전달 기술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이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에서는 활용된다. 즉, 클러치 작동이 개시될 때(도 10의 위상 II)까지 홀딩 부재의 신장 이동(도 10에서 위상 I)이 계속되는 경우, 스핀들(56)을 구비하는 슬라이더(40)의 가벼운 부하가 배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부하 또는 재밍은 방향 변경 시에 충격 또는 임펄스(impulse) 입력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게다가, 홀딩 부재(8)는 하우징(6) 내측의 오물 오염으로 인해 재밍될 수 있다. 이러한 재밍이 제 1 충격에 의해 해제되지 않고, 또한 클러치 토크(MK)가 초과되는 경우, 클러치(90)는 래칭-오버된다. 캐리어(92) 상에 그리고 이에 따라 스핀들(56) 상에 가해지는 이러한 방법으로 생성되는 주기적 임펄스 입력는 오물 입자의 점차적인 해방을 유발한다. 따라서, 홀딩 부재(8)와 하우징(6) 사이의 재밍을 유발하는 오물 입자는 효과적으로 해방될 수 있다.
자유 이동은 또한 전기 모터(60)가 정격 속도 미만의 속도까지 거의 무부하에서 시동될 수 있다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송급 속도(feed rate)의 절환에 의해, 롤러(97)가 클러치 벨(91)의 파형상으로 융기된 부분의 플랭크의 직전에서 송급 시에 제공되는 회전 방향에 대해 정지하도록, 스핀들(56)의 정지 위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캐리어(92)의 정지 위치가 새롭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방향의 변경에 의해, 플랭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플랭크가 롤러(97)와 접촉할 때까지 자유-이동 호 길이(φ)를 통해 부하 없이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러치(90)는 캐리어(92)와 클러치 벨(91) 사이에 큰 유격(φ)을 포함한다. 그러나, 모터(60)와 홀딩 부재(8) 사이의 운동학적 체인(kinematic chain)이 클램핑에 의해 단절되므로,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2)와 관련하여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클러치(90) 내의 유격은 홀딩 부재(8)와 하우징(6) 사이의 유격으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도 11은 홀딩 부재(8)의 조절의 경우의 추가의 토크-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과부하의 경우의 부하 토크를 도시하지 않고, 회전 방향(R1)의 통상적인 변경의 경우의 부하 토크를 도시한다. 클러치 벨(91)의 내주(94)의 돌출부(95)가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롤러(97)가 클러치 벨(91)의 내주(94)에서 반대 방향으로 돌출부(95)와 만날 때까지 기지의 시간이 경과된다. 전달 가능한 토크는, 롤러(97)가 클러치 벨(91)의 내주면(94) 상에서 롤링하는 경우에 존재하는 마찰 토크(MW)로 감소된다. 그 때까지 무부하인 롤러(97)가 다음 돌출부(95)의 플랭크와 만나는 경우, 관성 조건의 충격 토크는 롤러(95) 상에 작용하지만, 이 것은 정상 작동 토크로 신속하게 감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외부 미러 배열체(102)를 도시한다. 이것은, 홀딩 부재(8)의 조절이 전기 작동 유닛를 통해 실행되지 않고 수동으로 실행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외부 미러 배열체와 상이하고,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만 설명한다.
전기 작동 유닛(58) 뿐만 아니라 스핀들(56)도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더는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슬라이더(140)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입방체 형상의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는 2 개의 반대 측면 상에 종방향 그루브(138)을 포함하고, 이 종방향 그루브(138)는 안내 리브(36)를 수용할 수 있다. 원통형 리세스(42) 및 양자 모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6) 대신, 슬라이더(140)는 재료 브릿지(bridge; 146)에 의해 분리되는 2 개의 반원통상 리세스(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140)는,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마찬가지로, 홀딩 부재(8)의 종방향으로 분할된 단부 섹션(34)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140)는 확실한(폼-로킹)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또한 홀딩 부재(8)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홀딩 부재(8)의 단부 섹션(34)에 대한 축방향 고정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실행할 수 있다.
수동 변형의 경우, 클램핑 레버(26)는 홀딩 부재(8)의 조절 전에 해제되고, 위치는 조절 후에 클램핑 레버(26)를 폐쇄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도 12에서 홀더(4)의 체결이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상기 제 1 실시형태(도 1 참조)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위에서, 플라스틱으로 일체로서 형성되는 하우징 부분이 단독으로 차량 외부 미러를 위한 홀딩 부재를 지지 및 안내하는 2 개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가 설명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도 요건을 만족시키는 가볍고 경제적인 외부 미러 배열체가 달성된다.
물론, 전술한 외부 미러 배열체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딩 부재의 조절은 케이블이나 랙(rack) 구동체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호 상보적인 요소들, 예를 들면, 슬라이더와 홀딩 부재의 단부 섹션 또는 리브 사이의 연결은 반대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는 제 1 하우징 부분 내의 대응하는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축방향 길이는 홀딩 부재의 필요한 변위에 따라 단축시키기나 신장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안내 리브는 금속 인서트로 보강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더는 모든 측면으로부터, 즉 4 개의 안내 리브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최대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안내 리브 및/또는 제 1 하우징 부분에 스톱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각 하우징 부분의 고정 부분의 금속 인서트는 예상되는 비틀림 및 굽힘 모멘트에 따라 더 길거나 더 두껍게 설계될 수 있다.
더욱이, 상황에 따라, 슬라이딩 부분 내의 글라이드 스트립은 생략되거나 글라이드 스트립 대신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는 그 적용이 설명된 외부 미러 배열체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다른 외부 미러 배열체 및 이 기술 분야 이외의 시스템으로 이전될 수 있는 독립된 발명으로서 고려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클램핑 장치의 단독의 독립된 보호를 제안할 권리를 가진다.

Claims (16)

  1.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2; 102)로서,
    자동차 상에 장착되는 홀더(4);
    상기 홀더(4)에 고정되는 하우징(6); 및
    상기 하우징(6) 내에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차량 외부 미러용 홀딩 부재(8)를 갖고,
    상기 하우징(6)은 제 1 하우징 부분(10)을 갖고,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은 플라스틱으로 일체로서 형성되고, 또 홀딩 부재(8)를 단독으로 안내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의 차량 측 고정 부분(72)은 상기 차량 측 고정 부분(72)을 상기 홀더(4)에 체결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8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82)는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에 주조되는 금속 인서트인,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은, 상기 홀딩 부재(8)가 상기 하우징 부분(10)에 직접 선형적으로 안내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에 통합되는 글라이드 스트립(16) 상에서 선형적으로 안내되는 평평한 베어링 부분(1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베어링 부분(14)에 상기 홀딩 부재(8)를 고정 상태로 클램핑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클램핑 장치(20, 24, 26, 28)가 제공되고, 상기 홀딩 부재(8)의 외벽에 대해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램핑 레버(26)의 캠(28)을 통해 장착될 수 있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레버(26)는, 클램핑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의 리세스(30)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안내 리브(36)를 갖는 안내 섹션(32, 3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리브(36)는, 상기 홀딩 부재(8)에 배치되고 또 그것에 고정 상태로 연결되는 슬라이더(40; 140)의 대응하는 그루브(38; 138) 내에 맞물리고, 상기 그루브(38; 138) 및 안내 리브(36)는 상기 홀딩 부재(8)의 조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은 제 2 하우징 부분(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은 상기 제 2 하우징 부분(120)을 통해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홀더(4)에 연결될 수 있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자동차 상에 장착되는, 상기 제 2 하우징 부분(12)의 고정 부분(80)은 상기 제 2 하우징 부분(10) 내에 주조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10)의 고정 부분(72)과 상기 홀더(4) 사이에 배치되는 래칭 요소(70)와 작동 가능한 연결을 유지하는 일체로 형성되는 래칭 투스 구조(latching tooth geometry; 6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하우징 부분(12)의 고정 부분(80)에 구성되는 평평한 베어링 부시(78)을 위한 수용 부분(76)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8)는 전기 작동 유닛(58)을 통해,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슬라이더(40) 내에 형성되는 사다리꼴 나사와 맞물리는 스핀들(56)을 통해, 또는 상기 슬라이더(40)와 결합되는 케이블을 통해, 또는 랙 구동체를 통해 조절될 수 있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은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의 차량 측 외주 섹션은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의 원주 방향의 내벽에 대해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은, 상기 홀딩 부재(8)가 상기 하우징 부분(10)에 직접 선형적으로 안내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부분에 통합되는 글라이드 스트립(16) 상에서 선형적으로 안내되는 평평한 베어링 부분(14)을 포함하고,
    상기 평평한 베어링 부분(14)에 상기 홀딩 부재(8)를 고정 상태로 클램핑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클램핑 장치(20, 24, 26, 28)가 제공되고, 상기 홀딩 부재(8)의 외벽에 대해 상기 제 1 하우징 부분(10)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클램핑 레버(26)의 캠(28)을 통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은, 상기 홀딩 부재(8)가 상기 클램핑 장치(20, 24, 26, 28)를 통해 상기 평평한 베어링 부분(14)에 견고하게 가압된 경우에도, 상기 홀딩 부재(8)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클러치 장치(90)는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과 상기 스핀들(56)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 작동 유닛은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으로부터 상기 스핀들(56)로 양 방향으로 상기 홀딩 부재(8)의 조절을 위해 필요한 토크(MR)의 전달을 허용하고, 소정의 역치 토크(MK)보다 큰 과부하 토크의 경우에는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과 상기 스핀들(56) 사이의 상대 회전을 자동적으로 허용하고, 상기 클러치 장치(90)는 토크 방향 반전의 경우에 소정의 자유-이동 각도(φ)에 걸쳐 상기 홀딩 부재(8)의 조절을 위해 필요한 부하 토크(MR)를 전달하지 않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90)는 상기 전기 작동 유닛(58), 및 상기 스핀들(56)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상태로 연결되는 캐리어(92)에 의해 구동되는 클러치 벨(clutch bell; 91)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92)는, 외주 상에 균등하게 분포되고 상기 클러치 벨(91)의 내벽(94)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스프링-부하를 받고 또 가압되는 구름 요소(97) 또는 슬라이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 벨(91)의 내벽(94)은 그 내주 상에 균등하게 분포되는 융기된 부분(95)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된 부분(95)은 상기 소정의 역치 토크(MK)보다 큰 과부하 토크의 경우에 상기 구름 요소(97) 또는 슬라이딩 요소를 밀어주는,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된 부분(95)의 개수는 상기 구름 요소(97) 또는 슬라이딩 요소의 개수보다 많은, 자동차용 외부 미러 배열체.
KR1020137028916A 2011-04-27 2011-10-19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 KR101530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2295A DE102011002295B3 (de) 2011-04-27 2011-04-27 Längenverstellbare Außenspiegelanordnung
DE102011002295.3 2011-04-27
PCT/EP2011/068280 WO2012146322A1 (de) 2011-04-27 2011-10-19 Längenverstellbare aussenspiegelv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61A KR20140007461A (ko) 2014-01-17
KR101530899B1 true KR101530899B1 (ko) 2015-06-23

Family

ID=4489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16A KR101530899B1 (ko) 2011-04-27 2011-10-19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333918B2 (ko)
EP (1) EP2701951B1 (ko)
JP (1) JP5946900B2 (ko)
KR (1) KR101530899B1 (ko)
CN (1) CN103562009B (ko)
BR (2) BR112013030530B1 (ko)
DE (1) DE102011002295B3 (ko)
EA (1) EA027621B1 (ko)
ES (1) ES2616452T3 (ko)
PL (1) PL2701951T3 (ko)
RU (1) RU2568512C2 (ko)
WO (1) WO2012146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3646B1 (de) 2013-06-26 2017-10-11 MEKRA LANG GmbH & Co. KG Gelenkvorrichtung zur schwenkbaren verbindung eines ersten mit einem zweiten gelenkarm, sowie spiegelhalterung und spiegel mit derartiger gelenkvorrichtung
DE102013016542A1 (de) * 2013-10-04 2015-04-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uß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225738A1 (de) * 2013-12-12 2015-06-18 Robert Bosch Gmbh Träger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optischen Einrichtungen in einem Kraftfahrzeug
CN104999964A (zh) * 2015-06-29 2015-10-28 林智勇 智能刹车灯故障检测器
DE102016107498A1 (de) 2016-04-22 2017-10-26 Ficosa International Gmbh Außenspiegelanordnung
US9969333B2 (en) 2016-05-13 2018-05-15 Deere & Company Extendable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16225763B3 (de) * 2016-12-21 2018-05-17 Mekra Lang Gmbh & Co. Kg Lageranordnung, befestigungsvorrichtung hiermit, sowie anbauteil für fahrzeuge mit dieser befestigungsvorrichtung
DE202018001338U1 (de) 2018-03-13 2018-04-03 Michael Sappl Spiegelhalter-Schnellanbausatz
IT201800007201A1 (it) * 2018-07-13 2020-01-13 Supporto per collegare uno specchio retrovisore ad un corrispondente veicol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8642A (en) * 1958-12-04 1961-05-25 Cipa Comm Comptoir Inentions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which may be required for towing trailers
US6276808B1 (en) * 1999-06-24 2001-08-21 Magna Mirror Systems Inc. Modular extending mirro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2540A (en) 1939-10-12 1944-02-22 Jesse W Hale Coupling device
US2511518A (en) 1945-11-28 1950-06-13 William T Stephens Fluid shaft coupling
DE3141534C2 (de) 1981-10-20 1984-03-22 Bergwerksverband Gmbh, 4300 Essen Überlastschutzkupplung mit federbelasteten Mitnehmern
DE3205513C1 (de) 1982-02-16 1983-03-31 Jean Walterscheid Gmbh, 5204 Lohmar Drehmomentbegrenzungskupplung
GB2131503A (en) 1982-12-09 1984-06-20 Desoutter Ltd Power tool with overload release clutch
EP0349428B1 (fr) 1988-06-30 1993-01-2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systèmes colloidaux dispersibles d'une protéine, sous forme de nanoparticules
JPH0761784B2 (ja) 1988-08-12 1995-07-05 株式会社本田ロック ターンオーバー式ドアミラー
RU2031266C1 (ru) 1988-12-19 1995-03-20 Василий Гаврилович Путилин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US5313336A (en) 1989-02-15 1994-05-17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DE8906260U1 (ko) * 1989-05-20 1989-07-06 Iveco Magirus Ag, 7900 Ulm, De
JPH02149334U (ko) * 1989-05-24 1990-12-19
DE3938961A1 (de) * 1989-11-24 1991-05-29 Kloeckner Humboldt Deutz Ag Teleskopierbare verstellung fuer aussenrueckspiegel an fahrzeugen
JPH0733952Y2 (ja) * 1991-08-29 1995-08-02 民志 王 車両のフェンダーミラー
JPH0586689A (ja) 1991-09-26 1993-04-06 Utsumi Bussan:Kk 建築物の屋根構成工法
DE9207818U1 (ko) * 1992-06-05 1992-09-17 Bergkessel, Peter, 1000 Berlin, De
DE4328994C2 (de) * 1993-08-28 1995-09-21 Reitter & Schefenacker Gmbh Um eine stehende Achse verschwenkbarer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DE19734169B4 (de) 1997-08-07 2007-02-15 Mekra Lang Gmbh & Co. Kg Nutzfahrzeug mit einem Spiegel im Frontbereich
US6799856B2 (en) 2001-05-02 2004-10-05 Magna Mirror Systems, Inc. Coordinated pivoting and extending vehicle mirror
US6325518B1 (en) 1999-03-12 2001-12-04 Donnelly Corporation Extendab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DE60028023T2 (de) 1999-04-09 2006-11-30 Magna Mirror Systems Inc., Alto AUSZIEH- UND SCHWENKBARE RüCKSPIEGELANORDNUNG
FR2839027B1 (fr) * 2002-04-29 2004-12-03 Ficomirrors France Sas Retroviseur exterieur de vehicule automobile
JP4193785B2 (ja) * 2003-11-19 2008-12-1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動格納装置の車両への取付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車両用電動格納装置及びこの車両用電動格納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車両
RU2266215C1 (ru) * 2004-06-18 2005-12-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АВТОКОМПОНЕНТОВ" Наружное двойное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NL1031808C2 (nl) 2006-05-12 2007-11-15 Eaton Automotive Bv Scharnierconstructie.
JP4924482B2 (ja) * 2008-03-04 2012-04-25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ミラー
DE102009003672A1 (de) 2009-03-25 2010-09-30 Mekra Lang Gmbh & Co. Kg Gelenkverbi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8642A (en) * 1958-12-04 1961-05-25 Cipa Comm Comptoir Inentions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which may be required for towing trailers
US6276808B1 (en) * 1999-06-24 2001-08-21 Magna Mirror Systems Inc. Modular extending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701951T3 (pl) 2017-06-30
ES2616452T3 (es) 2017-06-13
EP2701951A1 (de) 2014-03-05
KR20140007461A (ko) 2014-01-17
US9333918B2 (en) 2016-05-10
RU2568512C2 (ru) 2015-11-20
CN103562009A (zh) 2014-02-05
DE102011002295B3 (de) 2012-08-30
RU2013151814A (ru) 2015-06-10
WO2012146322A1 (de) 2012-11-01
US20140111879A1 (en) 2014-04-24
BR112013030530B1 (pt) 2021-02-17
EA027621B1 (ru) 2017-08-31
JP5946900B2 (ja) 2016-07-06
BR102012010117A2 (pt) 2015-09-08
CN103562009B (zh) 2016-11-16
JP2014512308A (ja) 2014-05-22
EA201301206A1 (ru) 2014-04-30
BR112013030530A2 (pt) 2016-09-27
EP2701951B1 (de)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899B1 (ko) 길이 조절 가능한 외부 미러 조절 수단
KR101501674B1 (ko) 자동차 외부 미러 조절 수단을 위한 자동 절환 클러치
EP2199513B1 (en) Adjusting device having a spindle drive
US7392834B2 (en) Protection device with replaceable adaptor parts
CN106065752B (zh) 机电式撑杆和允许及防止车辆的闭合构件的运动的方法
KR101467422B1 (ko) 가동 차량 패널용 선형 구동 액추에이터
US8256317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JP2010519443A (ja) コンパクトなケーブル駆動式パワースライドドア機構
US20020021509A1 (en) Extendable mirror with improved detent
JP7135814B2 (ja) ローラユニット
JP2007106407A (ja) 交換可能なアダプタ部分を有する保護装置
JP3627040B2 (ja) 車両用の燃料フィラドアキャッチ
CN112922486B (zh) 车门停止装置
US20220098914A1 (en) Braking device
JP3550546B2 (ja) ヒンジ機構
CN214615974U (zh) 车门限位器及车辆
CN114687630A (zh) 车门限位器及车辆
JPH05187159A (ja) 車両開閉体の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