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719B1 -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719B1
KR101530719B1 KR1020090046985A KR20090046985A KR101530719B1 KR 101530719 B1 KR101530719 B1 KR 101530719B1 KR 1020090046985 A KR1020090046985 A KR 1020090046985A KR 20090046985 A KR20090046985 A KR 20090046985A KR 101530719 B1 KR101530719 B1 KR 10153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ess
content
glass plate
m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973A (ko
Inventor
슈사쿠 아키바
가즈타카 하야시
게이 마에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805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307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 Y10T428/315Surface modified glass [e.g., tempered, strengthene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과제) 후처리를 하지 않고 화학 강화에 의해서만 표면 압축 응력을 과대하게 하지 않고 압축 응력층의 깊이를 크게 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의 제공.
(해결 수단)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50 ∼ 74%, Al2O3 을 1 ∼ 10%, Na2O 를 6 ∼ 14%, K2O 를 3 ∼ 15%, MgO 를 2 ∼ 15%, CaO 를 0 ∼ 10%, ZrO2 를 0 ∼ 5% 함유하고,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가 75% 이하,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 Na2O + K2O 가 12 ∼ 25%, MgO 및 CaO 의 함유량의 합계 MgO + CaO 가 7 ∼ 15% 인 유리판을 화학 강화시켜 얻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GLASS PLATE FOR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전형적으로는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PDA), 터치 패널 등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유리 등에 사용되는 유리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PDA 등의 모바일 기기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의 보호 그리고 미관을 높이기 위한 커버 유리 (보호 유리) 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 정보 기기에 대해서는 경량·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커버 유리도 얇게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커버 유리의 두께를 얇게 해 가면, 강도가 저하되어, 사용 중 또는 휴대 중의 낙하 등에 의해 커버 유리 자체가 깨지는 경우가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한다는 본래의 역할을 할 수가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커버 유리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고려되고, 그 방법으로서 유리 표면에 압축 응력층을 형성시키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유리 표면에 압축 응력층을 형성시키는 수법으로서는, 연화점 부근까지 가열한 유리판 표면을 풍랭 등에 의해 급속히 냉각시키는 풍랭 강화법 (물리 강화법) 과, 유리 전이점 이하의 온도에서 이온 교환에 의해 유리판 표면의 이온 반경이 작은 알칼리 금속 이온 (전형적으로는 Li 이온, Na 이온) 을 이온 반경이 더욱 큰 알칼리 이온 (전형적으로는 K 이온) 으로 교환하는 화학 강화법이 대표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유리의 두께는 얇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얇은 유리판에 대하여 풍랭 강화법을 적용하면, 표면과 내부의 온도차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압축 응력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여, 목적의 고강도라는 특성을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후자의 화학 강화법에 의해 강화된 커버 유리가 통상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화학 강화법은 얇은 유리판의 강화에 적절한 방법이지만, 보다 얇은 유리판에 대하여 적용하고자 하면, 높은 표면 압축 응력과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발생하는 내부 인장 응력도 커져 버리는 것이 문제가 된다. 즉, 내부 인장 응력이 크면 표면 압축 응력층보다 깊은 크랙이 생겼을 때에 크랙 선단을 잡아당기는 힘이 크기 때문에 유리가 자발적으로 파괴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유리의 자발적인 파괴를 억제하기 위하여, 내부 인장 응력을 작게 하려면 표면 압축 응력층 깊이를 작게 하면 되지만, 그러면 결손이나 크랙에 대하여 매우 약해져 버려,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다.
화학 강화법에는 이러한 문제가 생각되지만, 모바일 기기의 커버 유리로서는 예를 들어, 몰 백분율 표시 조성이 SiO2 68.4%, Al2O3 10.6%, Na2O 11.9%, K2O 2.3%, MgO 5.6%, CaO 0.3%, TiO2 0.6%, As2O3 0.3% 인 유리 (이하, 이 유리를 유리 A 라고 한다) 를 화학 강화시킨 두께가 0.75㎜ 인 유리판 (이하, 시판 유리판이라고 한다) 이 사용되고 있다. 이 시판 유리판에 대하여 표면 압축 응력 S 및 표면 압축 응력층 두께 t 를 측정한 결과, S 는 648㎫, t 는 48㎛ 였다.
그런데, 커버 유리 제조시에는 유리의 연마가 통상 행해지는데, 그 제 1 단계의 연마에 사용되는 지립의 직경은 100㎛ 가 전형적이고, 이와 같은 지립에 의한 연마에 의해 깊이 40㎛ 의 마이크로 크랙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비특허 문헌 1 의 도 1.18 참조).
이와 같이 시판 유리판의 t 즉 48㎛ 는 유리판에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로 크랙 깊이의 전형치 즉 40㎛ 보다 크기 때문에 시판 유리판은 균열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8/0286548호 명세서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야마네 마사유키 외 편저, 「유리 공학 핸드북」, 초판, 주식회사 아사쿠라 서점, 1999년 7월 5일, p.397
본 발명자는 두께가 2.6㎜ 인 판상 유리 A 를 제작하고, 여러 가지의 온도 (단위: ℃), 시간 (단위: 시간) 으로 KNO3 용융염 중에 침지시켜 화학 강화를 실시하고, 얻어진 유리판의 S (단위: ㎫) 및 t (단위: ㎛)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알 수 있듯이, 유리 A 를 단순히 화학 강화시켜 t 를 48㎛ 정도로 하고자 해도 S 는 1111 ∼ 1128㎫ 가 된다.
이상으로부터, 시판 유리판은 유리 A 를 단순히 화학 강화시킨 것만으로는 얻어지지 않고, 화학 강화시킨 후에 S 또는 t 를 작게 하는 어떠한 처리 (후처리) 를 실시하여 시판 유리판은 제조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후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은 유리 A 의 이온 교환 속도가 너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후처리를 하지 않고 화학 강화에 의해서만 t 를 예를 들어 40㎛ 초과, S 를 예를 들어 1050㎫ 미만으로 할 수 있는 유리, 그러한 유리를 화학 강화시켜 얻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및 그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을 디스플레이 보호에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1
본 발명은,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50 ∼ 74%, Al2O3 을 1 ∼ 10%, Na2O 를 6 ∼ 14%, K2O 를 3 ∼ 15%, MgO 를 2 ∼ 15%, CaO 를 0 ∼ 10%, ZrO2 를 0 ∼ 5% 함유하고,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가 75% 이하,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가 12 ∼ 25%, MgO 및 CaO 의 함유량의 합계 MgO + CaO 가 7 ∼ 15% 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 (본 발명의 유리)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로서, Na2O 가 12% 이하, K2O 가 4% 이상, Na2O + K2O 가 14% 이상, MgO + CaO 가 8% 이상, Na2O + K2O 에서 Al2O3 함유량을 감한 차이가 10% 이상이며, BaO 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이 1% 미만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 (본 발명의 유리 1)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1 로서, SrO 또는 BaO 를 함유하는 경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가 15% 이하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를 제 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1 로서, SiO2 가 60 ∼ 70%, Al2O3 이 2 ∼ 8%, Na2O 가 11% 이하, K2O 가 6 ∼ 12%, MgO 가 4 ∼ 14%, CaO 가 0 ∼ 8%, ZrO2 가 0 ∼ 4%, Na2O + K2O 가 16 ∼ 20% 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로서, SiO2 가 60 ∼ 70%, Al2O3 이 2 ∼ 8%, K2O 가 8% 이하, MgO 가 6% 이상, Na2O + K2O 가 18% 이하이며, K2O 함유량에 1.7 을 곱한 것과 Na2O 함유량의 합 Na2O + 1.7K2O 가 19% 미만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 (본 발명의 유리 2A)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로서, SiO2 가 63% 이상, Al2O3 이 3% 이상, Na2O 가 8% 이상, K2O 가 8% 이하, MgO 가 6 ∼ 14%, CaO 가 0 ∼ 1%, ZrO2 가 1 ∼ 4%, Na2O + K2O 가 14 ∼ 17% 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 (본 발명의 유리 2B)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2B 로서, K2O 함유량에 1.7 을 곱한 것과 Na2O 함유량의 합 Na2O + 1.7K2O 가 19% 미만인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를 제공한다.
또한,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50 ∼ 74%, Al2O3 을 1 ∼ 10%, Na2O 를 6 ∼ 14%, K2O 를 3 ∼ 15%, MgO 를 2 ∼ 15%, CaO 를 0 ∼ 10%, ZrO2 를 0 ∼ 5% 함유하고,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가 75% 이하,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가 12 ∼ 25%, MgO 및 CaO 의 함유량의 합계 MgO + CaO 가 7 ∼ 15% 인 유리판을 화학 강화시켜 얻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본 발명의 유리판), 즉 본 발명의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을 화학 강화시켜 얻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으로서, 상기 유리판이 플로트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및 당해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화학 강화 유리판을 갖고, 당해 화학 강화 유리판이 본 발명의 유리판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이온 교환 속도를 과대하게 하지 않고 상기 t 를 증대시키려면 K2O 함유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유효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 강화 처리와는 별도로 실시하는 후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의 S 를 예를 들어 1050㎫ 미만으로 하면서 t 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로트법에 의한 제조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화학 강화 처리와는 별도로 실시하는 후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의 S 를 예를 들어 750㎫ 미만으로 하면서 t 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황산염에 의한 청징에 바람 직한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가 얻어진다. 즉, 기포 품질이 양호한 화학 강화용 디스플레이 장치 유리를 환경 부하를 낮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두께는 전형적으로는 0.2 ∼ 1.0㎜ 이다. 0.2㎜ 미만에서는 화학 강화시켜도 실용 강도의 관점에서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t 는 2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20㎛ 이하에서는 깨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전형적으로는 45㎛ 이상 또는 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리판의 S 는 전형적으로는 300㎫ 이상 1050㎫ 미만이다. 300㎫ 미만에서는 깨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2A 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리판의 S 는 전형적으로는 300㎫ 이상 750㎫ 미만이며, 본 발명의 유리 2B 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유리판의 S 는 전형적으로는 700㎫ 이상 1050㎫ 미만이다.
본 발명의 유리판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판상의 본 발명 유리를 화학 강화시켜 얻어진다.
판상의 본 발명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원료를 적당량 조합(調合)하고, 약 1400 ∼ 1600℃ 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탈포, 교반 등에 의해 균질화하고, 주지된 플로트법, 다운드로법, 프레스법 등에 의해 판상으로 성형하고, 서랭 후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 연마 가공을 실시하여 제조된다.
화학 강화의 방법으로서는 유리판 표층의 Na2O 와 용융염 중의 K2O 를 이온 교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가열된 질산칼륨 (KNO3) 용융염에 유리판을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유리판에 원하는 표면 압축 응력을 갖는 화학 강화층 (표면 압축 응력층) 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은 유리판의 두께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400 ∼ 550℃ 의 KNO3 용융염에 2 ∼ 20 시간 유리 기판을 침지시키는 것이 전형적이다.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400 ∼ 500℃, 2 ∼ 16 시간의 조건으로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침지 시간은 2 ∼ 10 시간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유리 전이점 Tg 는, 유리 1 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는 540 ∼ 610℃, 유리 2A, 2B 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는 580 ∼ 640℃ 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점도가 104dPa·s 가 되는 온도 T4 는 1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90℃ 초과에서는 유리의 성형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118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점도가 102dPa·s 가 되는 온도 T2 는 16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650℃ 초과에서는 용융이 곤란해져, 미용융물 등의 제품 결점이 많아질 우려가 있고, 또는 용융 설비가 고가가 될 우려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16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실투 온도는 상기 T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것이 아니면, 예를 들어 플로트법을 적용했을 때에 실투가 발생하여 성형하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실투 온도란 유리를 15 시간 그 온도로 유지했을 때에 실투가 석출되는 온도의 최고치이다.
본 발명의 유리의 비중은 2.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6 초과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유리의 50 ∼ 350℃ 에 있어서의 평균 선팽창 계수는 전형적으로는 80×10-7 ∼ 130×10-7/℃ 이다.
본 발명의 유리 중, 유리 1 은 화학 강화 처리와는 별도로 실시하는 후처리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의 S 를 예를 들어 750㎫ 미만으로 하면서 t 를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양태이다. 유리 2A 및 유리 2B (이하, 이들 유리를 유리 2 라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유리 제조시의 청징을 황산염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양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리의 조성에 대하여,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몰 백분율 표시 함유량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iO2 는 유리의 골격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필수적이다. 50% 미만에서는 유리로서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내후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60% 이상이다. 또한, 유리 2A 에 있어서는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62% 이상이며, 유리 2B 에 있어서는 63% 이상이다.
SiO2 가 74% 초과에서는 유리의 점성이 증대되어 용융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전형적으로는 68% 이하이다. 또한, 유리 2A 에서는 SiO2 는 70% 이하이다.
Al2O3 은 이온 교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필수적이다. 1% 미만에서는 이온 교환 속도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전형적으로는 3% 이상이다. 또한, 유리 2A 에서는 Al2O3 은 2% 이상이며, 유리 2B 에서는 3% 이상이다.
Al2O3 이 10% 초과에서는 유리의 점성이 높아져 균질한 용융이 곤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전형적으로는 7% 이하이다. 또한, 유리 2A 에서는 Al2O3 은 8% 이하이다.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가 75% 초과에서는 고온에서의 유리의 점성이 증대되어, 용융이 곤란해진다. 전형적으로는 72% 이하이다. 또한, 동일 합계는 6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66% 미만에서는 안정적인 유리가 얻어지기 어려워지거나, 내후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어, 전형적으로는 68% 이상이다.
Na2O 는 이온 교환에 의해 표면 압축 응력층을 형성시키고, 또한 유리의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필수적이다. 6% 미만에서는 이온 교환에 의해 원하는 표면 압축 응력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7% 이상, 전형적으로는 8% 이상이다. 또한, 유리 2B 에서는 Na2O 는 8% 이상이다.
Na2O 가 14% 초과에서는 Tg 이 낮아지고 따라서 변형점이 낮아지거나, 또는 내후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전형적으로는 12% 이하이다. 또한, 유리 1 에서는 Na2O 는 12%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전형적으로는 10% 이하이다.
K2O 는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임과 함께, 화학 강화에 있어서의 이온 교환 속도를 크게 하여 원하는 S 와 t 를 얻도록 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필수적이다. 3% 미만에서는 용융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이온 교환 속도가 저하된다. 전형적으로는 4% 이상이다. 또한, 유리 1 에서는 K2O 는 4%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전형적으로는 7% 이상이다. 또한, K2O 의 질량 백분율 표시 함유량은 3% 이상인 것이 전형적이다.
K2O 가 15% 초과에서는 내후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전형적으로는 11% 이하이다. 또한, 유리 2 에서는 K2O 는 8%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7% 이하, 전형적으로는 6% 이하이다.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 R2O 가 12% 미만에서는 원하는 이온 교환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또한, 유리 1, 유리 2B 에서는 R2O 는 14% 이상이며, 유리 1 에서는 바람직 하게는 1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이상, 전형적으로는 17% 이상이다.
R2O 가 25% 초과에서는 유리의 내후성을 비롯한 화학적 내구성이 낮아진다.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전형적으로는 19% 이하이다. 또한, 유리의 염기성도를 저하시키고 황산염에 의한 청징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위하여, 유리 2A 에서는 R2O 는 18% 이하, 유리 2B 에서는 17% 이하이다.
유리의 염기성도를 저하시키고 황산염에 의한 청징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위하여, 유리 2A 에서는 상기 Na2O + 1.7K2O 는 19% 미만이 된다. 유리 2B 에 있어서도 Na2O + 1.7K2O 는 19%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의 염기성도를 저하시키고 황산염에 의한 청징성을 향상시킨다」란, 황산나트륨에 의한 청징의 경우에 대하여 말하면 황산나트륨의 분해 온도를 1500℃ 정도 이하로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R2O 에서 Al2O3 함유량을 감한 차이 R2O - Al2O3 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미만이면 t 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t 가 작아지는 것은 Tg 가 낮아지고 따라서 변형점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유리 1 에서는 R2O - Al2O3 은 10% 이상이다.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에서 R2O 를 감한 차이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초과에서는 상기 T2 가 1650℃ 를 초과하여 용융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Li2O 는 변형점을 낮게 하여 응력 완화를 일어나기 쉽게 하고, 그 결과 안정적인 표면 압축 응력층을 얻을 수 없게 하는 성분이므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유하는 경우라도 그 함유량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미만이다.
또한, Li2O 는 화학 강화 처리시에 KNO3 등의 용융염 중에 용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Li 를 함유하는 용융염을 이용하여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하면 표면 압축 응력이 현저히 저하된다. 즉, 본 발명자는 Li 를 함유하지 않는 KNO3, Li 를 0.005 질량%, 0.01 질량%, 0.04 질량% 함유하는 KNO3 을 이용하여 후에 기재하는 예 (後揭例) 19 의 유리를 450℃ 6 시간의 조건으로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한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염이 Li 를 0.005 질량% 함유하고 있는 것만으로 표면 압축 응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Li2O 는 이 관점에서는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K2O 의 함유량과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의 비는 0.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이상, 전형적으로는 0.5 초과이다.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용융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임과 함께, Tg 가 낮아지고 따라서 변형점의 조절에 유효한 성분이다.
BaO 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중에서 이온 교환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가장 크므로, BaO 는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하거나, 함유하는 경우라도 그 함유량 은 1%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1 에서는 함유하는 경우라도 1% 미만으로 해야 한다.
SrO 는 필요에 따라 함유해도 되지만, MgO, CaO 에 비해 이온 교환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크므로 함유하는 경우라도 그 함유량은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SrO 또는 BaO 를 함유하는 경우 그들의 함유량의 합계는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미만이다.
MgO 및 CaO 는 이온 교환 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서, 적어도 MgO 를 2% 이상 함유해야 한다.
MgO 가 2% 미만에서는 용융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전형적으로는 6.5% 이상이다. 또한, 유리 2 에서는 MgO 는 6%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전형적으로 10% 이상이다.
MgO 가 15% 초과에서는 이온 교환 속도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또한, 유리 1 에서는 MgO 는 1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 12% 이하이며, 유리 2B 에서는 MgO 는 14% 이하이다.
CaO 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전형적으로는 1% 이상이다. 그 함유량이 10% 초과에서는 이온 교환 속도가 저하된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 전형적으로는 6% 이하이다. 또한, 유리 2A 에서는 CaO 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그 함유량은 전형적으로는 1% 이하이며, 유리 2B 에서는 1% 이하로 해야 한다.
CaO 를 함유하는 경우, MgO 와 CaO 의 함유량의 비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상이다.
MgO 및 CaO 의 함유량의 합계 MgO + CaO 는 7 ∼ 15% 이며, 전형적으로는 8% 이상이며, 유리 1 에서는 8%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MgO 및 CaO 의 질량 백분율 표시의 함유량의 합계는 전형적으로는 5.1% 이상이다.
MgO + CaO 와 Al2O3 의 함유량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전형적으로는 1.5 이상이다.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함유량의 합계 RO 는 2% 초과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이하에서는 용융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변형점의 조절이 곤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 전형적으로는 8% 이상이다. 15% 초과에서는 이온 교환 속도가 저하되고, 실투되기 쉬워지거나, 또는 변형점이 지나치게 낮아질 우려가 있다.
유리 2B 를 제외한 본 발명의 유리에서는 ZrO2 는 필수는 아니지만, 이온 교환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5% 까지의 범위에서 함유해도 된다. 5% 초과에서는 이온 교환 속도를 크게 하는 효과가 포화되고, 또한 용융성이 악화되어 미용융물로서 유리 중에 남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rO2 를 함유시킴으로써 화학 강화 처리 후의 유리의 비커스 경도가 증대된다. ZrO2 는 바람직하게는 4% 이하, 전형적으로는 2% 이하이다. ZrO2 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전형적으로는 1% 이상이다.
유리 2B 에 있어서는 ZrO2 는 필수이며, 1 ∼ 4% 함유한다. 전형적으로는 1.5 ∼ 3% 이다.
본 발명의 유리 1 은, 전형적으로는 SiO2 가 60 ∼ 70%, Al2O3 이 2 ∼ 8%, Na2O 가 11% 이하, K2O 가 6 ∼ 12%, MgO 가 4 ∼ 14%, CaO 가 0 ∼ 8%, ZrO2 가 0 ∼ 4%, Na2O + K2O 가 16 ∼ 20% 이다.
본 발명의 유리는 본질적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성분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그러한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들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5% 이하이다. 이하, 상기 그 밖의 성분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ZnO 는 유리의 고온에서의 용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2% 까지 함유해도 되는 경우가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플로트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등에는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초과에서는 플로트 성형시에 환원되어 제품 결점이 될 우려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ZnO 는 함유하지 않는다.
B2O3 은 고온에서의 용융성 또는 유리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예를 들어 1% 까지 함유해도 되는 경우가 있다. 1% 초과에서는 균질한 유리를 얻기 어려워져, 유리의 성형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전형적으로는 B2O3 은 함유하지 않는 다.
TiO2 는 유리 중에 존재하는 Fe 이온 (Fe2+, Fe3+) 의 산화 환원 상태를 변화시켜 가시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유리가 착색될 우려가 있으므로, 함유한다고 해도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형적으로는 함유하지 않는다.
유리의 용융시의 청징제로서, SO3, 염화물, 불화물 등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단, 터치 패널 등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시역에 흡수를 갖는 Fe2O3, NiO, Cr2O3 등 원료 중의 불순물로서 혼입되는 성분은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질량 백분율 표시로 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실시예
표 2 ∼ 7 의 예 1 ∼ 35, 예 38 ∼ 47 에 대하여, SiO2 내지 ZrO2, Li2O 또는 TiO2 까지의 란에 몰 백분율 표시로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질산염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 원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유리로서 400g 이 되도록 칭량하고, 또한 상기 조성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SO3 환산으로 0.4 질량% 에 상당하는 황산나트륨을 첨가한 것에 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백금제 도가니에 넣고, 1600℃ 의 저항 가열식 전기로에 투입하여, 3 시간 용융시키고, 탈포, 균질화한 후, 틀재에 흘려 넣고, 소정의 온도에서 서랭시켜, 유리 블록을 얻었다. 이 유리 블록으로부터 사이즈가 40㎜×40㎜, 두께가 0.8㎜ 가 되도록 절단, 연삭하고, 마지막으로 양면을 경면으로 가공하여, 판상의 유리를 얻었다. 또한, 표 중의 「R2O-Al」은 상기 R2O 에서 Al2O3 함유량을 감한 것, 「Na + 1.7K」는 Na2O 함유량과 K2O 함유량을 1.7 배한 것의 합이고, 또한 표 2 ∼ 7 의 몰 백분율 표시 조성에 대응하는 질량 백분율 표시 조성을 표 8 ∼ 13 에 나타낸다.
예 1 ∼ 17, 19 ∼ 35 는 실시예, 예 38 ∼ 46 은 비교예이다. 예 18, 36, 37 은 실시예, 예 48 ∼ 57 은 비교예이지만 이와 같은 용융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고, 예 47 은 별도로 준비한 소다라임 실리카 유리의 예로서 비교예이다.
이들 유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즉, 이들 유리를 450℃ 의 KNO3 용융염에 각각 6 시간 침지시키고, 화학 강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각 유리에 대하여, 오리하라 제작소사 제조 표면 응력계 FSM-6000 으로 표면 압축 응력 S (단위: ㎫) 및 압축 응력층의 두께 t (단위: ㎛) 를 측정 하였다. 결과를 표 2 ∼ 7 의 해당란에 나타낸다. 표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를 사용한 것의 S 는 300㎫ 이상 1024㎫ 이하이며, 게다가 t 는 45㎛ 이상으로서, 원하는 압축 응력층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 18, 36, 37, 48 ∼ 57 의 S, t 는 조성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예 5, 40, 47 에 대해서는 Tg (단위: ℃), T2 (단위: ℃), T4 (단위: ℃), 비중 ρ, α (단위: 10-7/℃) 를 측정하였다. 또한, 예 19, 20 에 대해서는 Tg, T2, T4, α 를, 예 24 ∼ 26 에 대해서는 Tg, α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의 해당란에 나타낸다. 또한, 그 밖의 예에 대하여 조성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이들의 값을 구한 것도 함께 표에 나타낸다.
또한, 예 1, 4 ∼ 10, 15 ∼ 17, 19 ∼ 35, 40, 43 ∼ 47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투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상기 T4 의 온도에 유리를 15 시간 유지했을 때에 유리에 실투가 발생하는지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중의 「D」란의 ○ 은 상기 시험에서 실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 는 실투가 발생한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T4 에서 실투가 발생하는 것이라도 (T4 + 40℃) 에서 실투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 로 나타낸다.
예 19 ∼ 35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황산염 분해에 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유리 중에 잔존하고 있는 SO3 량을 1350℃ 및 1500℃ 에서 측정하고, 그 차 Δ 를 산출하였다 (단위: 질량%). 유리 중의 기포를 줄이기 위해서는 Δ 는 0.08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 36, 48 ∼ 57 에 대해서는 조성으로부터의 Δ 추정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Δ 추정치가 0.4 ∼ 0.9 질량% 인 것은 표에는 「0.08」이라고 기재한다.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2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3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4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5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6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7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8
Figure 112009032293923-pat00009
Figure 112009032293923-pat00010
Figure 112009032293923-pat00011
Figure 112009032293923-pat00012
Figure 112009032293923-pat00013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유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용융염 (KNO3) 중의 Li 함유량과 이 용융염을 이용하여 화학 강화 처리한 유리의 표면 압축 응력 CS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유리 중의 ZrO2 함유량과 화학 강화 처리 후의 유리 (후에 기재하는 예 5, 9, 10 의 유리와, 몰 백분율 표시 조성이 SiO2:64.0%, Al2O3:5.4%, Na2O:9.6%, K2O:9.1%, MgO:5.4%, CaO:4.0%, ZrO2:2.5% 인 유리와, 동일 표시 조성이 SiO2:64.0%, Al2O3:5.3%, Na2O:9.6%, K2O:9.1%, MgO:5.2%, CaO:4.0%, ZrO2:2.7% 인 유리와, 동일 표시 조성이 SiO2:66.8%, Al2O3:11.0%, Na2O:13.1%, K2O:2.5%, MgO:6.1%, CaO:0.6% 인 유리) 의 비커스 경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50 ∼ 74%, Al2O3 을 1 ∼ 10%, Na2O 를 6 ∼ 14%, K2O 를 3 ∼ 15%, MgO 를 2 ∼ 15%, CaO 를 0 ∼ 1.1%, ZrO2 를 0 ∼ 5% 함유하고, SiO2 및 Al2O3 의 함유량의 합계가 75% 이하,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 Na2O + K2O 가 12 ∼ 25%, MgO 및 CaO 의 함유량의 합계 MgO + CaO 가 7 ∼ 15% 이고, 유리판의 두께가 0.2~1.0 mm 인 유리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Na2O 가 12% 이하, K2O 가 4% 이상, Na2O + K2O 가 14% 이상이며, Na2O + K2O 에서 Al2O3 함유량을 감한 차이가 10% 이상, MgO + CaO 가 8% 이상이며, 상기 유리판이 BaO 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이 1% 미만인 유리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SiO2 가 60 ∼ 70%, Al2O3 이 2 ∼ 8%, Na2O 가 11% 이하, K2O 가 6 ∼ 12%, MgO 가 4 ∼ 14%, ZrO2 가 0 ∼ 4%, Na2O + K2O 가 16 ∼ 20% 인 유리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의 B2O3 이 0 ∼ 1% 이고, SrO 및 Ba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그 함유량의 합계가 2% 미만인 유리판.
  5. 제 4 항에 있어서,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62 ∼ 70%, Al2O3 을 2 ∼ 10%, Na2O 를 7 ∼ 14%, K2O 를 3 ∼ 8%, MgO 를 6.5 ∼ 13%, ZrO2 를 0 ∼ 4% 함유하고,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 Na2O + K2O 가 14 ∼ 19% 인 유리판.
  6.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산화물 기준의 몰 백분율 표시로, SiO2 를 63 ∼ 68%, Al2O3 을 3 ∼ 10%, Na2O 를 8 ∼ 13%, K2O 를 3 ∼ 6%, MgO 를 10 ∼ 13% 함유하고, Na2O 및 K2O 의 함유량의 합계 Na2O + K2O 가 16 ∼ 18% 인 유리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K2O 함유량에 1.7 을 곱한 것과 Na2O 함유량의 합 Na2O + 1.7K2O 가 19% 미만인 유리판.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K2O 를 4 ∼ 6% 함유하는 유리판.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gO 를 10.5 ∼ 13% 함유하는 유리판.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트법에 의해 제조된 유리판.
KR1020090046985A 2008-05-30 2009-05-28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KR101530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2579 2008-05-30
JP2008142579 2008-05-30
JPJP-P-2009-109236 2009-04-28
JP2009109236 2009-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73A KR20090124973A (ko) 2009-12-03
KR101530719B1 true KR101530719B1 (ko) 2015-06-22

Family

ID=4138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985A KR101530719B1 (ko) 2008-05-30 2009-05-28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5829B2 (ko)
JP (1) JP5444846B2 (ko)
KR (1) KR101530719B1 (ko)
CN (1) CN101591139B (ko)
TW (1) TWI439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50515T3 (es) 2008-08-08 2015-11-10 Corning Incorporated Artículos de vidrio reforzado y métodos para su elaboración
EP2805929A1 (en) * 2009-10-19 2014-11-2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plate for substr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ft panel
JP5621239B2 (ja) * 2009-10-20 2014-11-12 旭硝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ガラス板、ディスプレイ装置用板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8678B1 (ko) * 2010-02-08 2010-08-27 노바테크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투명 전극 일체형 봉지 모듈의 제조 방법
CN102782772A (zh) * 2010-03-05 2012-11-14 卡尔斯特里姆保健公司 透明导电膜、制品及方法
CN102892722B (zh) 2010-05-19 2015-01-21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强化用玻璃及显示装置用玻璃板
WO2011152414A1 (ja) 2010-06-03 2011-12-08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0921A (ja) 2010-06-18 2012-02-02 Asahi Glass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ガラスおよびガラス板
JP2012036074A (ja) * 2010-07-12 2012-02-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
WO2012008586A1 (ja) 2010-07-15 2012-01-19 旭硝子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5838967B2 (ja) * 2010-08-24 2016-01-06 旭硝子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および製造方法
KR101964542B1 (ko) * 2010-09-27 2019-04-01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화학 강화용 유리, 화학 강화 유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WO2012057232A1 (ja) * 2010-10-27 2012-05-03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6615A (ja) * 2010-12-16 2012-07-05 Asahi Glass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
JP5834793B2 (ja) * 2010-12-24 2015-12-24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5612233B1 (ja) * 2010-12-24 2014-10-22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
JPWO2012090695A1 (ja) * 2010-12-27 2014-06-05 旭硝子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JP5839338B2 (ja) * 2011-01-18 2016-01-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
DE102011009769A1 (de) 2011-01-28 2012-08-02 Eglass Asia Ltd. Hochfestes Alkali-Alumo-Silikatglas
JP5850401B2 (ja) * 2011-02-10 2016-02-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板
JP5929898B2 (ja) 2011-03-18 2016-06-08 旭硝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用化学強化ガラス
TWI591039B (zh) 2011-07-01 2017-07-11 康寧公司 具高壓縮應力的離子可交換玻璃
WO2013042739A1 (ja) * 2011-09-22 2013-03-28 旭硝子株式会社 強化用ガラス板
EP2762459B1 (en) 2011-09-29 2018-12-26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Cover glass fo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2004007B1 (ko) 2011-09-29 2019-07-25 샌트랄 글래스 컴퍼니 리미티드 화학 강화 유리 및 그 제조 방법
MX366947B (es) 2011-10-25 2019-07-30 Corning Inc Composiciones de vidrio de aluminosilicato alcalinoterreo con durabilidad quimica y mecanica mejorada.
RU2652773C2 (ru) 2011-10-25 2018-04-28 Корнинг Инкорпорейтед Композиции стекла с повышенной химической и механической стойкостью
WO2013073685A1 (ja) 2011-11-18 2013-05-23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および化学強化ガラス
KR20130124754A (ko) * 2012-05-07 2013-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EP2855383B1 (en) * 2012-05-31 2021-06-16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able transition metal-containing glasses
US10273048B2 (en) 2012-06-07 2019-04-30 Corning Incorporated Delamination resistant glass containers with heat-tolerant coatings
US20150241909A1 (en) * 2012-10-16 2015-08-27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TW201429914A (zh) 2012-12-07 2014-08-01 Asahi Glass Co Ltd 白色玻璃
US9890074B2 (en) * 2013-02-21 2018-02-13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glass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cover
JP6195941B2 (ja) 2013-03-15 2017-09-13 ショット グラス テクノロジーズ (スゾウ)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chott Glass Technologies (Suzhou) Co., Ltd. 可撓性の超薄板化学強化ガラス
WO2014148020A1 (ja) * 2013-03-22 2014-09-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化学強化用ガラス組成物、強化ガラス物品、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のカバーガラス
US9703011B2 (en) 2013-05-07 2017-07-11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a gradient layer
US9359261B2 (en) 2013-05-07 2016-06-07 Corning Incorporated Low-color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a multilayer optical film
US9110230B2 (en) 2013-05-07 2015-08-18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retained optical properties
US9366784B2 (en) 2013-05-07 2016-06-14 Corning Incorporated Low-color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a multilayer optical film
US9684097B2 (en) 2013-05-07 2017-06-20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articles with retained optical properties
JP5761473B2 (ja) * 2013-06-06 2015-08-12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および化学強化ガラス並びに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US10941071B2 (en) * 2013-08-02 2021-03-09 Corning Incorporated Hybrid soda-lime silicate and aluminosilicate glass articles
US10160688B2 (en) 2013-09-13 2018-12-25 Corning Incorporated Fracture-resistant layered-substrate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6135773B2 (ja) * 2013-12-13 2017-05-31 旭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用ガラスおよび化学強化ガラス並びに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US9335444B2 (en) 2014-05-12 2016-05-10 Corning Incorporated Durable and scratch-resistant anti-reflective articles
US11267973B2 (en) 2014-05-12 2022-03-08 Corning Incorporated Durable anti-reflective articles
JP5935931B2 (ja) * 2014-07-16 2016-06-15 旭硝子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
US9790593B2 (en) 2014-08-01 2017-10-17 Corning Incorporated Scratch-resistant material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GB201505091D0 (en) * 2015-03-26 2015-05-06 Pilkington Group Ltd Glass
CN104803601A (zh) * 2015-04-08 2015-07-29 四川旭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铝强化盖板玻璃组合物及其制造工艺
US10457585B2 (en) 2015-04-21 2019-10-29 Agc Glass Europe Chemically temperable glass sheet
EP3770649A1 (en) 2015-09-14 2021-01-27 Corning Incorporated High light transmission and scratch-resistant anti-reflective articles
US10043903B2 (en) 2015-12-21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with source/drain stress liner
WO2017120424A1 (en) 2016-01-08 2017-07-13 Corning Incorporated Chemically strengthenable lithium aluminosilicate glasses with inherent damage resistance
CN206541281U (zh) * 2016-10-12 2017-10-03 肖特玻璃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电子器件结构及其使用的超薄玻璃板
CN106865982B (zh) * 2017-03-03 2019-05-24 四川旭虹光电科技有限公司 电容式触控系统保护用玻璃
WO2019186114A1 (en) * 2018-03-27 2019-10-03 Pilkington Group Limited Laminated glazing
US11591255B2 (en) 2018-05-22 2023-02-28 Corning Incorporated Low temperature moldable sheet forming glass compositions
DE102019117498B4 (de) 2018-07-06 2024-03-28 Schott Ag Gläser mit verbesserter Ionenaustauschbarkeit
DE102018116483A1 (de) 2018-07-06 2020-01-09 Schott Ag Chemisch vorspannbare Gläser mit hoher chemischer Resistenz und Rißbeständigkeit
DE102018116464A1 (de) 2018-07-06 2020-01-09 Schott Ag Chemisch vorspannbare, korrosionsstabile Gläser
WO2020037042A1 (en) 2018-08-17 2020-02-20 Corning Incorporated Inorganic oxide articles with thin, durable anti-reflective structures
US11951713B2 (en) 2020-12-10 2024-04-09 Corning Incorporated Glass with unique fracture behavior for vehicle windshield
CN115259672B (zh) * 2022-06-24 2023-08-08 成都光明光电有限责任公司 透明微晶玻璃和透明微晶玻璃制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439A (ja) * 1986-05-17 1987-11-24 Ishizuka Glass Ltd 化学強化用ガラス
US6333285B1 (en) * 1997-04-11 2001-12-25 Saint-Gobain Vitrage Glass composition and chemically tempered glass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1664B1 (ko) * 1969-07-10 1974-10-11 Asahi Glass Co Ltd
US5296294A (en) * 1987-02-03 1994-03-22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panel resistant to coloring when irradiated with electron rays
FR2697242B1 (fr) * 1992-10-22 1994-12-16 Saint Gobain Vitrage Int Vitrage trempé chimique.
FR2704852B1 (fr) * 1993-05-06 1995-07-07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de renforcement d'objets en verre.
GB2299991B (en) * 1995-04-20 1998-09-09 Ag Technology Corp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disk
GB2335423A (en) * 1998-03-20 1999-09-22 Pilkington Plc Chemically toughenable glass
JP4635297B2 (ja) * 1999-06-08 2011-02-23 旭硝子株式会社 基板用ガラスおよびガラス基板
FR2801302B1 (fr) * 1999-11-22 2001-12-2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traitement de substrats en verre et substrats en verre pour la realisation d'ecrans de visualisation
US6949485B2 (en) * 2000-06-01 2005-09-27 Asabi Glass Company, Limited Glass for substrate and glass substrate
JP3995902B2 (ja) * 2001-05-31 2007-10-24 Hoya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情報記録媒体
US20030110803A1 (en) * 2001-09-04 2003-06-19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disks, and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disks
US7309671B2 (en) * 2002-05-24 2007-12-18 Nippon Sheet Glass Co., Ltd. Glass composition, glass article,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131314A (ja) 2002-10-09 2004-04-30 Asahi Glass Co Ltd 透明導電膜付き化学強化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64298B2 (en) * 2002-10-29 2011-06-21 Hoya Corporation Glass for chemical strengthening, substrate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a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a
JP4213077B2 (ja) * 2004-04-28 2009-01-21 Hoya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66511B2 (en) * 2007-05-18 2010-02-23 Corning Incorporated Down-drawable,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for cover plate
JP5467490B2 (ja) 2007-08-03 2014-04-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強化ガラス基板
US20090073130A1 (en) * 2007-09-17 2009-03-19 Apple Inc. Device having cover with integrally formed sensor
US8153016B2 (en) * 2007-10-03 2012-04-10 Apple Inc. Shaping a cover glass
EP2252558A4 (en) * 2008-02-08 2014-08-27 Corning Inc DAMAGING RESISTANT, CHEMICALLY PREVENTED PROTECTIVE GLASS
US8232218B2 (en) * 2008-02-29 2012-07-31 Corning Incorporated Ion exchanged, fast cooled glasses
US8347651B2 (en) * 2009-02-19 2013-01-0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parating strengthened gla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439A (ja) * 1986-05-17 1987-11-24 Ishizuka Glass Ltd 化学強化用ガラス
US6333285B1 (en) * 1997-04-11 2001-12-25 Saint-Gobain Vitrage Glass composition and chemically tempered glass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73A (ko) 2009-12-03
CN101591139B (zh) 2012-12-19
CN101591139A (zh) 2009-12-02
JP2010275126A (ja) 2010-12-09
US8715829B2 (en) 2014-05-06
TWI439435B (zh) 2014-06-01
TW201004886A (en) 2010-02-01
JP5444846B2 (ja) 2014-03-19
US20090298669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7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판
JP6278152B1 (ja) 化学強化用ガラス
TWI491571B (zh) 用於顯示器裝置的玻璃板,用於顯示器裝置的平板玻璃及其製造方法
JP7400738B2 (ja) 化学強化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36096B2 (ja) 化学強化ガラ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学強化用ガラス
JP5672405B2 (ja) 板ガラス
JP5051329B2 (ja) 化学強化用ガラス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ガラス板
JP6670462B2 (ja) 強化ガラス
JPWO2018186402A1 (ja) 化学強化ガラス
KR20120118409A (ko) 화학 강화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화학 강화용 유리
KR2011013814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유리 및 유리판
US11479503B2 (en)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JPWO2012077796A1 (ja) 化学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JP7420152B2 (ja) 化学強化ガラス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170931A1 (ja) 強化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