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950B1 -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950B1
KR101526950B1 KR1020100101761A KR20100101761A KR101526950B1 KR 101526950 B1 KR101526950 B1 KR 101526950B1 KR 1020100101761 A KR1020100101761 A KR 1020100101761A KR 20100101761 A KR20100101761 A KR 20100101761A KR 101526950 B1 KR101526950 B1 KR 10152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ensor
worker
load
safety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478A (ko
Inventor
오사무 모리노
아키토모 코즈키
미치히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링크스 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노링크스 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훅을 건 상태에서 전도나 만일의 낙하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것을 검지하여 작업원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안전띠를 제공한다.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를 피걸림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에 있어서, 훅(72)이, 갈고리상부재(721)에 있어서 피걸림물(73)과 접촉하는 위치에 압력센서(720)를 구비한다. 회로기판(728)에 마련된 제어부는 압력센서(720)의 출력신호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을 소정 시간 넘게 검출한 경우에, 작업자가 낙하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위에 알리기 위해 경보를 통지한다.

Description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SAFETY BELT AND SYSTEM FOR CHECKING A USAGE STATUS OF THE SAFETY BELT}
본 발명은 고소(高所) 작업시 등에 작업원이 장착하는 안전띠와, 그 사용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 등의 고소에서 작업할 때에는 전락(轉落) 방지를 위해 작업자의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안전띠는 작업자의 몸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와, 몸통 벨트에 한쪽 끝이 연결되는 로프형상의 연결체('구명줄' 또는 '랜야드(lanyard)'라고도 불림)와, 연결 벨트의 다른쪽 끝에 고정된 훅을 구비한다. 작업자는 인체 벨트를 신체에 장착하고, 작업 장소에 설치된 메인 로프(親綱)나 트랩 등에 훅을 걺으로써 작업시의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인체 벨트로서는 주로 몸통 둘레에 장착하는 몸통 벨트형과, 몸통부뿐만 아니라 어깨나 대퇴에도 벨트를 통해 전신을 유지하는, 이른바 풀 하네스(full harness)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추락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안전띠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종래 메인 로프나 트랩에 대한 훅의 장착상태를 검출하여,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는 구조(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나, 훅에 의류 등이 끼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는 구조(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26723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7-44166호
상기와 같이, 종래 안전띠의 훅의 장착상태를 확인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원이 안전띠를 올바르게 착용하여 사용하고 있다면 작업원이 지면에 전락하는 일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르게 착용, 사용하고 있어도 작업원이 매달리게 되거나 혹은 부주의로 인해 발을 헛디뎌 낙하할 뻔한 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이러한 케이스들도 방지해야만 하는 사고이다. 따라서 훅을 건 상태에서 큰 하중, 예를 들면 작업원의 낙하시의 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여 작업원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접속되며,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훅을 구비한 연결체와, 제어장치를 가지는 안전띠로서, 상기 연결체가, 상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는 하중검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하중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지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훅을 건 상태로 예를 들면 추락시와 같은 큰 하중이 걸렸을 경우에 이것을 검지하여 작업원의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안전띠와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하네스형 안전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훅 행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가 구비하는 훅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가 구비하는 훅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가 구비하는 훅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상태확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연결체의 사용상태의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감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이력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훅의 하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의 외관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훅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확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확인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확인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확인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의 외관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접속되며,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훅을 구비한 연결체와, 제어장치를 가지는 안전띠로서, 상기 연결체가, 상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는 하중검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하중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지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한 구성이다.
하중검지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소에서 낙하하여, 예를 들면 안전띠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경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위 사람이 작업자를 재빨리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하중검지센서로서는 감압 고무 등을 이용한 감압센서나 변형 게이지(strain gauge) 등, 하중 또는 압력을 수치로서 검지할 수 있는 센서나, 단선센서와 같이,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간접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센서 등, 각종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하중검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상기 피(被)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는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와, 상기 인체 벨트를 피걸림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와, 상기 인체 벨트에 장착된 제어장치를 구비한 안전띠로서, 상기 연결체가,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장착된 훅과,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장착되어 상기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훅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로서,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을 소정 시간 넘게 검출한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경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한다.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을 소정 시간 넘게 검출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고소에서 낙하하여, 예를 들면 안전띠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경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위 사람이 작업자를 재빨리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압력센서로서는 감압 고무 등을 이용한 감압센서나 변형 게이지 등, 하중 또는 압력을 검지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각종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안전띠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서,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 검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상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풀림방지부재가 개폐된 것을 검출하고, 또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소정값을 넘지 않는 하중 또는 압력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상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와 압력센서의 출력신호의 조합에 기초하여 연결체가 피걸림물에 연결된 것을 확실하게 검출하고, 이것을 작업자 또는 그 주위 사람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바람직한 구성의 안전띠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서, 상기 안전띠의 소정의 수납위치에 상기 훅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납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납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훅이 상기 소정의 수납위치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없고, 또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훅의 풀림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납위치에서 훅이 빠진 후에 연결체가 피걸림물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훅이 풀렸다고 판단하고 이것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의 안전띠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수신부가, 한 사람의 작업원이 사용하는 2개의 연결체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2개의 연결체의 한쪽만이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2개의 연결체의 훅이 바꿔걸기 작업중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의 연결체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한쪽의 연결체가 피걸림물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바꿔걸기 작업중인 것을 올바르게 검출하여 이것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의 안전띠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통지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통지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은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접속되며,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훅을 구비한 연결체와,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은 상기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확인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가, 상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는 하중검지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하중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지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확인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감시화면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원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감독자 등이 이 확인장치를 봄으로써 작업원의 안전을 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하중검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인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은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와, 상기 인체 벨트를 피걸림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와, 상기 인체 벨트에 장착된 제어장치를 구비한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확인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가,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장착된 훅과,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장착되어 상기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훅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로서,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확인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을 소정 시간 넘게 검출한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경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감시화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작업원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감독자 등이 이 확인장치를 봄으로써 작업원의 안전을 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인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의 과거 이력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이력화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확인장치를 보는 감독자 등은 작업원 또는 안전띠의 상황의 과거 이력을 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1-1. 하네스형 안전띠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하네스형 안전띠(1)를 전개한 도면이다. 하네스형 안전띠(1)는 좌우의 어깨 벨트(11, 11), 좌우의 넓적다리 벨트(12, 12), 몸통 벨트(13) 등의 벨트군으로 구성된다.
좌우 한쌍의 어깨 벨트(11, 11)는 등부에서 교차하여, 등부에서 흉부에 걸쳐 어깨너머로 상반신에 장착된다. 어깨 벨트(11, 11)의 한쪽 끝은 어깨에서 흉부를 지나 허리부의 좌우의 연결부재(17, 17)에 삽입된다. 연결부재(17, 17)로부터 아래쪽에 있어서, 어깨 벨트(11, 11)는 넓적다리 벨트(12, 12)로 이어져 있다.
또한 어깨 벨트(11, 11)의 다른쪽 끝은 등부의 교차부에서 좌우의 허리부를 지나 연결부재(17, 17)에 삽입된다. 연결부재(17, 17)로부터 아래쪽에 있어서 어깨 벨트(11, 11)에는 제1 버클(31), 제2 버클(41)이 결합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넓적다리 벨트(12, 12)는 허리부의 연결부재(17, 17)로부터 허리 뒤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들어간다. 넓적다리 벨트(12, 12)는 가랑이부에서 교차한 후, 위쪽을 향해 다시 허리부에 이른다. 그리고 넓적다리 벨트(12, 12)에는 제1 끼워넣기 플레이트(32), 제2 끼워넣기 플레이트(4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몸통 벨트(13)가 좌우의 연결부재(17, 17)에 삽입되어 있다. 몸통 벨트(13)의 한쪽 끝에는 제3 버클(51)이 결합되고, 다른쪽 끝에는 제3 끼워넣기 플레이트(52)가 결합되어 있다.
도 1은 하네스형 안전띠(1)를 전개한 상태의 도면이다. 장착시에는 몸통 벨트(13)가 허리 둘레를 조이도록 환형상으로 배치된다. 도면의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는 넓적다리 벨트(12, 12)는 장착시에는 교차부 부근에서 위쪽으로 구부러져 가랑이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하네스형 안전띠(1)를, 작업원은 고소 작업을 할 때에 장착한다. 넓적다리 벨트(12, 12)를 가랑이부에 장착하고, 어깨 벨트(11, 11)를 어깨에 건 상태에서, 제1 버클(31)과 제1 끼워넣기 플레이트(32)를 연결하고, 제2 버클(41)과 제2 끼워넣기 플레이트(42)를 연결한다. 또한 제3 버클(51)과 제3 끼워넣기 플레이트(52)를 몸통부의 앞면에서 연결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제3 버클(31, 41, 51)로서 원터치식인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 밖에도 슬라이드식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좌우의 어깨 벨트(11, 11)는 등부의 교차부에 있어서 각각 연결부재(18)에 삽입되어 있다. 연결부재(18)에는 링(19)이 장착되어 있다. 링(19)에는 연결 벨트(14)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 벨트(14)의 다른쪽 끝에도 링(16)이 장착되어 있고, 이 링(16)에 1개의 연결체(랜야드)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링(19)에는 다른 1개의 연결체(랜야드)가, 다른 1개의 연결 벨트(14)를 통해(혹은 연결 벨트(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장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 벨트(14)를 이용하지 않고, 링(19)에 직접 2개의 연결체(랜야드)를 장착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작업원은 연결체의 한쪽 끝에 마련된 훅을 피걸림물인 메인 로프나 트랩이나 기둥 등에 걺으로써 안전하게 고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연결체나 훅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하네스형 안전띠(1)는 상술한 대로 2개의 연결체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안전띠(1)에서 사용하는 2개의 연결체는 완전히 같은 사양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1개의 연결체가 주연결체로서 기능하고, 다른 1개의 연결체가 주연결체의 보조로서 기능하는 보조 연결체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조 연결체를 주연결체보다도 짧게 해도 된다.
또한, 좌우의 어깨 벨트(11, 11)를 가슴 부근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벨트(15)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 벨트(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컨트롤 박스(21)(제어장치)와 연결부(22)로 연결되며, 컨트롤 박스(21)와 연결부(22)는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컨트롤 박스(21)의 케이스의 앞면에는 램프창(214)과, 스위치(215)와, 스피커 커버(216)가 마련되어 있다. 램프창(214)의 내부에는 LED 등의 광원이 마련되어 있다. 스피커 커버(216)의 내부에는 부저음 등의 경고음이나 합성 음성에 의한 경고 메시지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광원 및 스피커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또한, 안전띠(1)에는 고소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2개의 연결체의 훅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2개의 훅 행거(25, 25)(훅 수납부재)를 어깨 벨트(11, 11)의 앞면에 가지고 있다. 도 3은 훅 행거(25)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 행거(25)는 연결체의 훅을 걸어서 유지할 수 있도록 갈고리상으로 형성된 훅 유지부(251)를 구비하고 있다. 훅 행거(25)는 훅 행거(25)에 연결체의 훅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납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상기 수납센서로서, 압력이 걸리면 밀려 들어가는 레버(252)와, 이 레버(252)가 밀려 들어갔을 때에 온 상태가 되는 스위치센서(253a)를 구비하고 있다. 훅 행거(25)에는 스위치센서(253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센서(253a)의 검출 결과는 후술하겠지만, 컨트롤 박스(21) 내의 송수신 유닛(211)으로 무선 통신에 의해 보내진다. 또한, 훅 행거(25)에 훅이 걸려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납센서의 일례로서, 여기서는 레버(252)를 이용한 기계식 센서를 예시했지만, 수납센서는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홀 소자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홀 소자를 이용할 경우, 연결체의 훅과 훅 행거(25) 중 어느 한쪽에 자석을 마련하고 다른쪽에 홀 소자를 마련함으로써 훅이 훅 행거(25)에 걸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수납센서로서 스위치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IC 태그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훅 행거(25)에, 안테나와 IC 칩을 내장한 IC 태그를 장착하고, 훅측에, IC 칩에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와, IC 칩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이 훅 행거(25)에 수납되면, 훅으로부터의 신호를 IC 칩이 수신하고, IC 칩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훅측의 수신부가 받음으로써 훅이 수납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IC 태그를 이용하면, 훅과 훅 행거의 조합이 올바른지 아닌지 등을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훅 행거(25)에 신호의 송수신부를 마련하고, 훅측에 IC 태그를 장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 박스(21)에 훅 행거(25)를 장착하고, 동시에, 훅에 IC 칩을 장착하고, 컨트롤 박스(21)에 IC 칩으로부터의 신호의 송수신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송수신부는 컨트롤 박스(21)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훅측의 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2. 연결체 및 훅의 구성>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연결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체(7)에서는 로프(70)의 한쪽 끝에 카라비너(karabiner)(71)가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 훅(72)이 고정되어 있다. 연결체(7)의 길이는 임의이다. 또한 로프(70)로서는 섬유 로프에 한하지 않고, 적당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임의의 띠형상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체(7)의 로프(70)의 도중, 혹은 카라비너(71) 또는 훅(72)과의 접속 부위에, 작업자가 낙하하거나 했을 때에 로프(70)에 걸리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쇼크 앱소버)를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훅(7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고리상부재(721)와, 풀림방지장치(풀림방지부재)(722)와, 안전장치(723)를 가지고 있다. 풀림방지장치(722)는 리벳(726)을 축으로 해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안전장치(723)는 슬라이드 홈(7231)을 가진다. 안전장치(723)는 리벳(724)을 축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전장치(723)의 슬라이드 홈(7231) 안에, 풀림방지장치(722)에 장착된 리벳(725)이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 홈(7231)은 작업원이 안전장치(723)를 쥐었을 때에, 리벳(725)이 이 슬라이드 홈(7231) 안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나아가 이 상태에서 작업원이 안전장치(723)를 쥔 상태인 채로 풀림방지장치(722)를 쥐었을 때에, 리벳(725)이 이 슬라이드 홈(7231) 안을 더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드 홈(7231)은 작업원이 안전장치(723)를 쥐지 않은 상태에서 풀림방지장치(722)에 외력이 걸려도 풀림방지장치(722)가 개폐동작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72)은 풀림방지장치(722)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센서(729)(개폐상태 검출센서)와, 훅(72)이 피걸림물에 걸렸을 때에 밀려 들어가는 레버형상부재(727)와, 이 레버형상부재(727)가 밀려 들어갔을 때에 온 상태가 되어 피걸림물로부터 훅(72)에 걸리는 하중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720)와, 회로기판(728)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기판(728)에는 개폐센서(729) 및 압력센서(72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처리하고, 후술하는 센터장치에의 송신처리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회로기판(728)에는 전지(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전지로부터는 필요에 따라, 훅(72)에 마련된 각종 센서에도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의 온/오프는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를 온/오프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훅(72)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훅(72)의 정지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는 훅(72)의 안전장치(723)가 잠금상태로 되어 있고, 풀림방지장치(722)는 갈고리상부재(721)에 대하여 닫힌 상태(닫힘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원이 훅(72)의 안전장치(723)의 하부를, 갈고리상부재(721)측으로 누르도록 쥐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전장치(723)는 리벳(724)을 축으로 해서, 도 6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 인해, 리벳(725)이 슬라이드 홈(7231) 안을, 도 6에서는 거의 연직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에 의해, 안전장치(723)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작업원이 안전장치(723)를 쥔 채 풀림방지장치(722)를 쥐면, 풀림방지장치(722)는 리벳(726)을 축으로 해서, 도 6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리벳(725)은 슬라이드 홈(7231) 안을, 도 6에서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림방지장치(722)가 갈고리상부재(721)에 대하여 개방된 상태(열림상태)가 된다. 즉, 훅(72)은 작업원이 안전장치(723)를 먼저 쥐고 해제상태로 하지 않으면 풀림방지장치(722)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슬라이드 홈(7231)이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훅(72)의 풀림방지장치(722)가 의도하지 않게 열림상태가 되어 훅(72)이 피걸림물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안전장치(723) 안에 마련된 개폐센서(729)는 안전장치(723)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되었을 때, 풀림방지장치(722)가 열림상태가 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센서출력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전장치(723)의 상태(잠금상태 또는 해제상태)에 기초하여, 풀림방지장치(722)가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풀림방지장치(722)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개폐센서(729)로서는 기계식 센서, 압력센서, 또는 스위치센서 등의 임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센서(720)에 의한 검출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훅(72)에는 메인 로프나 트랩 등의 피걸림물에 훅(72)을 걸었을 때에, 상기 피걸림물이 갈고리상부재(721)에 접촉하는 위치에 레버형상부재(727)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형상부재(72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72)이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을 때에는 갈고리상부재(721)의 내부둘레측으로 약간 돌출해 있지만, 훅(72)이 피걸림물에 걸리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걸림물로부터의 응력으로 인해 갈고리상부재(721)의 외부둘레측을 향해 밀려 들어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센서(720)는 이와 같이 갈고리상부재(721)가 밀려 들어갔을 때, 그 하중의 크기를 검출한다. 또한, 압력센서(720)로서는 하중 또는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감압센서, 하중계, 또는 변형 게이지 등의 임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1-3. 안전띠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다음으로 상기의 하네스형 안전띠(1) 및 연결체(7)가 올바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확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확인 시스템은 하네스형 안전띠(1)와, 2개의 연결체(7)와, 센터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연결체(7) 중, 주연결체로서 이용되는 쪽을 연결체(7a)라고 표기하고, 보조 연결체로서 이용되는 쪽을 연결체(7b)라고 표기한다. 또한, 연결체(7a, 7b)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각각 a, b의 참조 부호를 부기한다. 예를 들면, 연결체(7a)의 훅에는 참조 부호 72a를 부기하고, 연결체(7b)의 훅에는 참조 부호 72b를 부기한다.
PC(6)는 예를 들면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이라면, 건설 현장 내에 마련된 현장 감독실 등에 PC(6)가 설치되어 있다. PC(6)에는 안전띠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PC(6)는 안전띠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무선 LAN 등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전띠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PC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체(7a)의 훅(72a)에는 상술한 대로 압력센서(720a) 및 개폐센서(729a)와, 회로기판(728a)이 마련되어 있다. 회로기판(728a)에는 압력센서(720a) 및 개폐센서(729a)로부터 각각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무선 송신하는 송신 유닛(7281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결체(7b)의 훅(72b)의 구성도 기본적으로는 이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하네스 안전띠(1)의 컨트롤 박스(21)에는 제어부(210)와, 송수신 유닛(211)과, 3색의 LED 광원(212)과, 스피커(213)가 마련되어 있다. 송수신 유닛(211)은 훅(72a)의 송신 유닛(7281a) 및 훅(72b)의 송신 유닛(7281b)으로부터 센서 등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건넨다. 또한 송수신 유닛(211)은 훅 행거(25, 25)에 각각 마련된 스위치센서(253)(여기서는 253a, 253b라고 표기함)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건넨다.
제어부(210)는 CPU, RAM 등을 구비하고, 컨트롤 박스(21)의 전체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센터장치로서의 PC(6)에 송신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LED 광원(212)이나 스피커(213)를 이용하여 작업원에게 경고를 행한다. 송수신 유닛(211)은 제어부(210)가 검지한 훅의 상태 등의 정보를 PC(6)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LED 광원(212)은 제어부(210)로부터의 발광 지시를 받아 발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LED 광원(212)은 RGB 3색의 발광 LED를 구비하여, RGB 3색의 발광 LED를 점등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광원(212)은 RGB 3색의 발광 LED를 각각 따로따로 점등시킴으로써 적색, 청색, 황색, 흰색의 4색의 빛을 점등 혹은 점멸시킨다. 또한 발광색은 4색에 한하지 않고, 원색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을 제시할 수 있다. LED 광원(212)으로 출력된 빛은 램프창(214)을 통해 외부에 통지된다. 램프창(214)은 아크릴 등의 소재로 구성되며, LED 광원(212)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산란하여, 주위에서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컨트롤 박스(21)에, 작업원이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CCD 카메라 등이 마련되어 있는 양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양태에 의하면,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한 음성이나 CCD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등을 송수신 유닛(211)을 통해 PC(6)에 송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터장치로서의 PC(6)를 보는 감독자가, 작업원으로부터 현장 상황 등을 보다 알기 쉽게 통지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PC(6)는 제어부(61)와, 송수신 유닛(62)과, 모니터(63)와, 마이크(64)와, 스피커(65)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 유닛(62)은 하네스 안전띠(1)의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으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제어부(61)에 건넨다. 제어부(61)는 이 신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모니터(63)에 표시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 마이크(64) 및 스피커(65)를 통해 작업원에게 지시를 내린다. 또한, 마이크(64) 및 스피커(65) 대신에 휴대전화나 트랜시버(transceiver)를 이용하여 작업원에게 지시를 내리도록 해도 된다.
훅(72a, 72b)의 송신 유닛(7281a, 7281b)과,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과, PC(6)의 송수신 유닛(62) 사이의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IEEE 802.11에 규정되어 있는 무선 LAN 방식이나, 블루투스(등록상표)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훅(72a, 72b)의 송신 유닛(7281a, 7281b)과, 하네스 안전띠(1)의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 사이의 통신은 적절한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이어도 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 따른 확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원은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하네스형 안전띠(1)를 신체에 장착하고, 다음으로 하네스형 안전띠(1)에 2개의 연결체(7a, 7b)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체(7a, 7b)의 훅(72a, 72b)은 하네스형 안전띠(1)의 훅 행거(25, 25)에 각각 걸려 있다. 여기서 작업원이 훅(72a, 72b)의 전원 스위치를 온으로 함으로써, 개폐센서(729a, 729b), 압력센서(720a, 720b), 및 회로기판(728a, 728b)에의 전원공급이 개시된다. 또한, 훅 행거(25)의 스위치센서(253a, 253b)에의 전원공급은 이 전원 스위치의 온 에 연동하여 개시되도록 해도 되고, 별개의 스위치를 마련해서 제어해도 된다. 상기의 각 센서는 전원공급이 개시되면 소정의 타이밍으로 주기적으로 센서출력신호를 송신 유닛(7281a, 7281b)에 보낸다. 송신 유닛(7281a, 7281b)은 상기 센서출력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제어부(211)에 보낸다.
작업원은 규정된 높이까지 도달하기 전에 연결체(7a, 7b)의 훅(72a, 72b)을 메인 로프 또는 트랩 등의 피걸림물에 거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원이 연결체(7a)를 피걸림물에 거는 것으로 한다. 이때 작업원은 먼저 훅 행거(25)로부터 훅(72a)을 풀기 위해, 주연결체(7a)의 훅(72a)의 안전장치(723a)를 쥐고나서 풀림방지장치(722a)를 쥠으로써, 풀림방지장치(722a)를 갈고리상부재(721a)에 대하여 열림상태로 한다. 이때 개폐센서(729a)로부터, 안전장치(723a)가 해제상태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센서출력신호가, 송신 유닛(7281a) 및 송수신 유닛(211)을 통해 제어부(210)에 보내진다. 이로 인해 제어부(210)에 있어서, 훅(72a)의 개폐부재(722a)가 열림상태로 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동시에 훅(72a)이 훅 행거(25)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스위치센서(253a)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210)는 훅(72a)이 훅 행거(25)로부터 떨어져 있는 오프훅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는 LED 광원(212)에 의해 표시됨과 아울러 PC(6)에도 보내진다.
다음으로 작업원이 피걸림물에 훅(72a)을 걸고 손을 떼면, 피걸림물이 훅(72a)의 갈고리상부재(721a)에 마련된 레버형상부재(727a)를 밀어 넣도록 작용한다. 이때, 훅(72a)의 자중(예를 들면 2N)이 걸림으로써,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이 변동한다. 따라서 제어부(210)에 있어서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을 감시함으로써, 훅(72a)이 피걸림물에 걸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훅(72a)이 피걸림물에 올바르게 걸려 있으면, 작업원이 훅(72a)에서 손을 뗌으로써, 풀림방지장치(722a)가 갈고리상부재(721a)에 대하여 닫힘상태로 돌아가고, 안전장치(723)도 해제상태(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잠금상태(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 돌아간다. 이로 인해, 개폐센서(729a)의 센서출력신호가, 풀림방지장치(722a)의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값에서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화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이, 무하중시의 값에서, 그보다도 큰 값으로 변화할 것이다. 여기서, 개폐센서(729a)의 센서출력신호가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값에서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화한 후,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해도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이 무하중의 값일 경우, 제어부(210)는 훅(72a)이 피걸림물에서 풀린 상태(비(非)걸림상태)라고 판정한다. 한편 개폐센서(729a)의 센서출력신호가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값일 때에,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이 무하중시의 값보다도 큰 값이면, 제어부(210)는 훅(72a)이 피걸림물에 올바르게 걸려 있는 상태(걸림상태)라고 판정한다. 또한, 개폐센서(729a)의 센서출력신호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보다도 오랫동안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면, 제어부(210)는 훅(72a)의 풀림방지장치(722a) 또는 안전장치(723a)에 어떠한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상태라고 판정한다.
또한, 압력센서(720a)에 소정값(예를 들면 300N)을 넘는 하중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넘게 가해진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작업원이 발판 등의 고소에서 낙하한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압력센서(720a)에 소정값을 넘는 하중(예를 들면 300N)이 걸렸지만,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이내에 소정값 이하로 되돌아간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작업원이 전도했지만 낙하는 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서, 훅(72)의 압력센서(720)의 센서출력신호와, 안전장치(723)의 개폐센서(729)의 센서출력신호와, 훅 행거(25)의 스위치센서(253)의 출력신호의 조합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검출할 수 있는 패턴을 설명한다. 여기서 훅 A는 훅(72a), 훅 B는 훅(72b)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훅 A에 관하여, '걸림'란은 압력센서(720a)로 검출되는 하중의 크기를 나타낸다. '하중(소)'란에서 × 기호가 적혀 있는 것은 전혀 하중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이고, ○ 기호가 적혀 있는 것은 하중이 검출되지만, 그 검출값이 소정의 범위 내(예를 들면 2N∼300N)인 경우이다. 또한, '하중(대)'란에서 × 기호가 적혀 있는 것은 압력센서(720a)의 검출값이 소정값(예를 들면 300N)을 넘지 않는 경우이고, ○ 기호가 적혀 있는 것은 검출된 하중이 상기 소정값을 넘은 경우이다. '안전장치'란에 '개방'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은 개폐센서(729)로부터, 안전장치(723)가 해제상태인 동시에, 풀림방지장치(722)가 열림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센서출력신호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안전장치'란에 '닫힘'이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은 개폐센서(729)로부터, 안전장치(723)가 잠금상태인 동시에, 풀림방지장치(722)가 닫힘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센서출력신호가 출력된 것을 나타낸다. '훅 행거'란은 훅 행거(25)에 걸려 있는 것이 검출된 훅의 수를 나타낸다. 이 수는 제어부(210)가 훅 행거(25)의 스위치센서(253)로부터의 센서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다. '표시내용'란은 PC(6)의 모니터(63)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내고, '색' 및 '부저'란은 LED 광원(212) 및 스피커(213)에 의해 실현되는 램프 표시와 부저음 울림(鳴動)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제어부(210)는 도 9의 표에 나타낸 것과 같은 패턴에 따라, 통지해야 할 내용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최상단(No.1)에 나타나 있는 조합의 경우, 훅 행거(25)에 걸려 있는 훅의 수가 '2'라고 검출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10)는 훅(72)의 상태에 관계 없이 '대기중'이라는 표시를 모니터(63)에 출력한다. 또한, 두번째 단(No.2) 및 세번째 단(No.3)의 경우는 훅(72a, 72b)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압력센서(720)에 소정값보다도 작은 하중이 걸려 있는 동시에, 풀림방지장치(722)가 열림상태에 있다. 이것은 상기 훅(72)이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만, 풀림방지장치(722) 및 안전장치(723)가 확실하게 닫힌 상태가 아님을 나타낸다. 따라서, LED 광원(212)에 의한 적색 라이트의 점등과, 스피커(213)에 의한 부저음의 울림에 의해 작업자에게 주의를 촉구한다.
또한 예를 들어 열두번째 단(No.12) 및 열세번째 단(No.13)에 나타나 있는 조합일 경우에는 훅 72a 또는 72b의 압력센서(720a, 720b)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이 3초 넘게 걸린 것이 검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작업원이 고소에서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제어부(210)는 LED 광원(212)을 제어하여 적색 라이트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을 울림으로써 주위 사람들이 낙하 현장을 발견하기 쉽게 한다. 또한 PC(6)의 모니터(63)에 낙하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예컨대 점멸 표시시킴으로써, 모니터(63)를 보고 있는 감독자에게 사고 발생을 재빨리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여섯번째 단(No.6) 및 열한번째 단(No.11)에 나타나 있는 조합일 경우에는 훅 72a 또는 72b 중 한쪽이 훅 행거에 수납되어 있으면서, 다른쪽 훅이 피걸림물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피걸림물에 걸린 훅의 안전장치가 눌린 것이 검출되어 있다. 이 상황은 본래는 피걸림물에 걸린 훅을 풀기 전에 다른 한쪽 훅을 피걸림물에 걸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원이 그 순서를 준수하지 않아 피걸림물에 걸려 있는 훅이 풀려 버리면 무(無)몸통줄 상태(안전띠가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가 되어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이 상황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LED 광원(212)을 제어하여 황색 라이트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을 울림으로써, 무몸통줄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작업원에게 경고한다. 또한, PC(6)의 모니터(63)에도 무몸통줄 상태일 가능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예컨대 점멸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훅의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해서 낙하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검지하여 신속하게 경고할 수 있으며, 만일의 사고 발생시에도 감독자나 주위의 작업원이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컨트롤 박스(21)는 LED 광원(212)의 발광상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작업원에게 훅의 상태 등을 통지하게 하였지만, 컨트롤 박스(21)의 스피커(213)를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에 의한 통지를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훅이 2개 모두 올바르게 걸려 있습니다. 작업을 시작해도 됩니다.", "훅이 올바르게 걸려 있지 않습니다. 다시 훅의 연결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면 된다.
<1-4. PC(6)에서의 관리용 화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에서는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이 PC(6)의 송수신 유닛(62)에, 제어부(210)에 의한 상태 판정 결과를 송신한다. 그리고 PC(6)에서는 송수신 유닛(62)으로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61)가 작업원 개개인의 연결체 장착상황을 나타내는 감시화면(도 10 참조)을 모니터(63)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시계열 이력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감시화면에는 작업원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오늘 작업을 하는 작업원의 이름이 미리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각 작업원이 사용하는 하네스형 안전띠(1)의 식별번호(어드레스)도 작업원명과 대응시켜 입력해 둔다.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에는 하네스형 안전띠(1)의 식별번호가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송수신 유닛(211)을 통해 PC(6)에 송신하는 정보의 헤더에 식별번호를 내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PC(6)는 복수의 작업원의 하네스형 안전띠(1)의 송수신 유닛(211)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어느 작업원에게 대응하는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감시화면에는 하네스형 안전띠(1), 훅 A(훅(72a)), 훅 B(훅(72b)) 각각의 전지 상황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 기호는 전지가 정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표시가 ○ 기호가 아닐 경우에는, 감독자는 즉시 전지를 갈아 넣도록 작업원에게 지시할 필요가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감시화면에는 또한 훅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도 9에 나타낸 패턴에 따라서 표시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감독자는 예를 들면 ○○이치로 작업원은 훅 A가 피걸림물에서 빠져 있으므로 이 작업원에게 즉시 훅의 장착상태를 확인하도록 지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A 훅 풀림'은 적색, '작업 종료'는 청색, '바꿔걸기 작업중'은 황색과 같이, 색 또는 점멸의 유무 등에 의해 훅 상태에 따라서 표시 양태를 다르게 해, 안전도가 낮은 상태에 있는 작업원을 알아보기 쉬운 표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색 표시는 컨트롤 박스(21)의 LED 광원(212)의 발광색과 맞추면 상태를 알기 쉬워 편리하다.
또한 PC(6)에 있어서, 모니터(63)에의 표시와 함께, 스피커(65)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통지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치로씨의 훅 A가 빠져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를 음성 출력하면, 감독자가 보다 확실하게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원 본인 및 작업원 주변의 사람뿐만 아니라, 관리실 등 떨어진 장소에 있는 감독자도 작업원에 의한 하네스형 안전띠(1) 및 연결체(7)의 장착상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원에 의한 하네스형 안전띠(1) 및 연결체(7)의 올바른 장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체제를 정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61)가,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으로부터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그 시계열 이력을 기록하고, 작업원 개개인의 이력화면을 생성하여 모니터(63)에 표시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작업이 있었던 날(이 예에서는 어느 달의 8일∼13일)을 복수의 시간대(이 예에서는 5개의 시간대)로 분할하고, 분할된 시간대 각각에 대하여 '미장착 작업' 또는 '충격'이 있던 경우에 이것을 기호로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미장착 작업'으로서 화면상에 △ 마크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상기 작업원이 훅이 풀린 채로 작업하고 있던 시간대를 나타낸다. 또한 '충격'으로서 화면상에 × 마크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상기 작업원의 전도 또는 낙하가 검지된 시간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력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함으로써, 감독자가 하네스형 안전띠(1) 및 연결체(7)를 올바르게 장착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작업원이 없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도 또는 낙하의 빈도를 감시하여, 이들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화면 디자인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들 양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5.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PC(6)에 의해 복수의 작업원의 하네스형 안전띠(1)의 장착상태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 형태는 예를 들면 건설 현장 등 다수의 작업원이 있을 경우, 관리실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 적합하다. 이 이외의 형태로서, 예를 들면 PC(6) 대신에 휴대전화 또는 PDA 등의 휴대단말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하네스형 안전띠(1)에 연결체를 2개 결합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연결체를 1개만 이용하는 양태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된다. 또한 하네스형 대신에 몸통 벨트형 안전띠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훅(72)에 대한 하중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레버형상부재(727)의 움직임에 따라 하중을 검지하는 압력센서(720)를 예시했지만, 압력센서의 실시양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형상부재(727) 및 압력센서(720) 대신에, 갈고리상부재(721)에 변형 게이지(820)를 내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훅(72)에 하중이 걸린 것에 따른 갈고리상부재(721)의 변형량을 변형 게이지(820)가 검출하고, 이 변형량에 기초하여 훅(72)에 대한 하중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기판(728)에 있어서, 변형 게이지(820)의 출력을 증폭하는 앰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고리상부재(721)에 있어서, 레버형상부재(727)가 밀려 들어갔을 때에 온이 되는 스위치(830)(예를 들면 홀 소자 등)를 마련함과 아울러, 훅(72)과 연결체(7)의 접속 부위에 스프링(831)과 스위치(832)를 구비한 구성도 바람직하다. 도 13의 구성에서는, 스위치(830)는 소정값(예를 들면 2N) 이상의 하중을 검출했을 때에 훅(72)이 피걸림물에 걸린 것을 검지한다. 스위치(832)는 스프링(831)의 신장량이, 소정값(예를 들면 300N)의 하중이 걸렸을 때의 신장량을 넘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 온이 된다. 즉, 스위치(832)의 센서출력신호에 의해, 전도 또는 낙하가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스위치(832)로서는 예를 들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온·오프 설정을 가지는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상기의 설명에서는 압력센서(720)가 훅(72)에 대한 하중(단위는 N)을 검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훅(72)에 대한 압력(단위는 Pa)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2-1. 안전띠의 구성>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의 외관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는 랜야드형의 연결체(2)이다. 연결체(2)는 로프(70), 훅(24), 및 카라비너(71)를 구비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2)를 구입한 사용자는 소지한 인체 벨트(하네스형 및 몸통 벨트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됨)에, 이 연결체(2)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 연결체(2)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컨트롤 박스(21)와 함께 이용된다. 즉, 이 연결체(2)와 컨트롤 박스(21)를 세트 판매하고, 작업자는 연결체(2)를 소지한 인체 벨트에 장착하고, 인체 벨트에 컨트롤 박스(21)를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훅(2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훅(24)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고리상부재(241)와, 풀림방지장치(풀림방지부재)(242)와, 안전장치(243)를 가지고 있다. 풀림방지장치(242)는 리벳(246)을 축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안전장치(243)는 슬라이드 홈(2431)을 가진다. 안전장치(243)는 리벳(244)을 축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전장치(243)의 슬라이드 홈(2431) 안에, 풀림방지장치(242)에 장착된 리벳(245)이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드 홈(2431)은 작업원이 안전장치(243)를 쥐었을 때에, 리벳(245)이 이 슬라이드 홈(2431) 안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나아가 이 상태에서 작업원이 안전장치(243)를 쥔 상태인 채로 풀림방지장치(242)를 쥐었을 때에, 리벳(245)이 이 슬라이드 홈(2431) 안을 더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드 홈(2431)은 작업원이 안전장치(243)를 쥐지 않은 상태에서 풀림방지장치(242)에 외력이 걸려도 풀림방지장치(242)가 개폐동작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24)은 풀림방지장치(242)의 개폐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레버(247)와 스위치(248)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247) 및 스위치(248)는 작업원이 안전장치(243)를 쥔 상태로 풀림방지장치(242)를 쥐었을 때에, 레버(247)가 밀려 들어가 스위치(248)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248)가 온이면 풀림방지장치(242)는 닫힘상태에 있고, 스위치(248)가 오프이면 풀림방지장치(242)는 열림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풀림방지장치(242)가 닫힘상태에 있을 때에 스위치(248)가 온, 열림상태가 되었을 때에 스위치(248)가 오프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압센서에 의해 풀림방지장치(242)가 열림상태가 되었음을 검지하는 구성에 비교해서, 검지 수준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훅(24)은 갈고리부 레버(249)와 스위치(2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부 레버(249)는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렸을 때에 밀려 들어간다. 갈고리부 레버(249)는 이와 같이 밀려 들어가면 스위치(250)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250)가 온이면, 갈고리부 레버(249)는 밀려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즉,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한편 스위치(250)가 오프이면, 갈고리부 레버(249)는 밀려 들어간 상태(즉,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린 상태)에 있다.
스위치(250)에 관해서도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온, 걸린 상태에서 오프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검지 수준을 설정할 필요가 없고, 오작동이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훅(24)의 걸림시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하중의 방향이 비스듬한 경우에 오작동하거나 하는 일도 없고, 걸림시에 스위치(250)에 하중이 가해지는 일도 없으므로 스위치(250)의 내구성이 향상한다는 효과도 있다.
훅(24)은 또한 안전장치(243)의 위쪽에 훅 행거 금구(255)를 구비하고 있다. 훅 행거 금구(255)는 인체 벨트측에 장착되는 훅 행거에 훅(24)을 걸 때 이용된다. 훅 행거 금구(255)는 아래쪽에 개구부(255a)를 가지고 있으며, 인체 벨트측의 훅 행거에 개구부(255)를 씌우도록 걺으로써 훅 행거에 훅(24)을 걸 수 있다.
훅 행거 금구(255)의 내부에는 레버(256)와 스위치(257)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256)는 훅 행거 금구(255)가 훅 행거에 걸렸을 때에, 훅 행거에 눌려서 스위치(257)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257)가 온이면, 훅(24)은 훅 행거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한편 스위치(257)가 오프이면, 훅(24)은 훅 행거에 걸린 상태에 있다.
훅(24)의 기부(基部)에는 전지 홀더(258), 안테나(259), 회로기판(260)이 마련되어 있다. 전지 홀더(258)는 안테나(259)나 회로기판(260)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지를 수용한다. 안테나(259)는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훅(24)의 기부 선단에는 단선센서(261)가 마련되어 있다. 회로기판(260)은 스위치(248, 250, 257)로부터의 온/오프 정보나 단선센서(261)로부터의 센서 정보를 받아서 처리하고, 안테나(259)를 통해 연결체(2)의 사용상황 등을 외부에 송신한다.
단선센서(261)는 작업자의 추락 등으로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이 하중으로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내부에서 리드선이 단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선센서(261)에서 단선이 발생하면, 회로기판(260)이 이 단선을 검지함으로써 추락 하중이 가해진 것을 판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선센서(261)를 훅(24)의 기부 선단에 마련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단선센서(26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선센서(261)는 인장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 위치인 것을 조건으로 해서, 훅(24)의 임의의 부위에 마련할 수 있다.
<2-2. 연결체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다음으로 상기의 연결체(2)가 올바르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확인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확인 시스템은 연결체(2)와, 센터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6)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는 2개의 연결체(2)를 인체 벨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연결체(2)를 2a, 2b라고 표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연결체(2a, 2b)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각각 a, b의 참조 부호를 부기한다. 예를 들면, 연결체(2a)의 훅에는 참조 부호 24a를 부기하고, 연결체(2b)의 훅에는 참조 부호 24b를 부기한다.
PC(6)는 예를 들면 관리실 등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이라면, 건설 현장 내에 마련된 현장 감독실 등에 PC(6)가 설치되어 있다. PC(6)에는 연결체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PC(6)는 연결체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무선 LAN 등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결체의 상태확인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적인 PC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체(2)에 있어서, 스위치(250, 248, 257)에서 회로기판(260)에 보내진 정보는 회로기판(260)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회로(262)에서 처리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50)로부터는,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은 경우는 온 신호, 걸려 있는 경우는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스위치(248)로부터는, 풀림방지장치(242)가 닫힘상태/열림상태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온/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스위치(257)로부터는, 훅(24)이 훅 행거에 걸려 있지 않은 경우는 온 신호, 걸려 있는 경우는 오프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단선센서(261)로부터는, 작업자가 추락한 경우 등에 걸리는 큰 하중이 걸렸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회로(262)는 이들 신호를 받아 훅(24)의 상태나 작업자의 상태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회로기판(260)에 마련된 송신 유닛(263)으로부터, 안테나(259)를 통해 송신된다. 송신 데이터는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211)에 있어서 수신된다.
컨트롤 박스(21)의 송수신 유닛에서 수신된 데이터는 컨트롤 박스(21) 내의 제어부(210)로 건네져서 처리된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LED(212)나 스피커(213)를 구동하여 작업자에게 지시나 경고 등을 준다. 또한, 제어부(210)는 연결체(2)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PC(6)에 송신한다. PC(6)의 송수신 유닛(62)이 이 데이터를 받아,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감시 업무를 행한다. 또한, 도 16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PC(6)로부터 감독자의 휴대단말 등으로 작업자의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 등을 보내도록 해도 된다.
이하, 훅(24a, 24b)의 상태에 따른 제어의 예를 몇 가지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예는 어디까지나 구체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각 스위치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궁리할 수 있으며, 이하의 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a: 단선센서(261)에 의해 단선이 검지된 경우>
훅(24a, 24b)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선센서(261)로부터 단선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이것은 추락 사고가 발생했음을 나타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이 데이터를 받으면, LED(212)를 점등시키거나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이나 경고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한다. 이로 인해, 주위의 작업자나 감독자가 추락 사고가 일어났음을 조기에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데이터는 PC(6)에도 보내지며, 제어부(61)가, 추락 사고가 일어난 것을 알리는 화면을 모니터(63)에 표시시키거나 스피커(65)로부터 부저음이나 경고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한다.
<b: 스위치(257)가 오프로 된 경우>
스위치(257)가 오프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이것은 훅(24)이 인체 벨트의 훅 행거에 걸려 있음을 나타낸다.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연결체(2)의 사용 개시시(예를 들면 컨트롤 박스(21)의 전원이 투입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훅(24a)의 스위치(257a)와 훅(24b)의 스위치(257b) 모두가 오프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스피커(213)로부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하여 연결체(2)의 올바른 착용을 재촉한다.
<c: 스위치(248)가 오프로 된 경우>
스위치(248)로부터 오프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이것은 풀림방지장치(242)가 열림상태가 된 것을 나타낸다. 스위치(248)로부터 오프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온으로 되돌아가지 않을 경우에는 풀림방지장치(242)가 어떠한 이유(예를 들면 작업복 등에 걸린 상태)로 개방된 채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LED(212)를 점등시키거나,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이나 경고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하여, 작업자에게 풀림방지장치(242)를 점검하도록 지시한다.
<d: 스위치(250)가 오프로 된 경우>
스위치(250)로부터 오프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 이것은 훅(24)이 피걸림물에 걸린 것을 나타낸다.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예를 들면, 훅(24a) 또는 훅(24b)의 스위치(257)가 온이 되고나서(즉 상기 훅이 훅 행거에서 풀리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훅의 스위치(250)가 오프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훅이 피걸림물에 올바르게 걸려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LED(212)를 점등시키거나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이나 경고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하여 작업자에게 훅(24)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2개의 연결체(2a, 2b)를 장착한 작업자는 상시 2개의 연결체를 피걸림물에 걸고 작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통상은 1개의 연결체(여기서는 연결체(2a)라고 함)를 피걸림물에 걸고, 예를 들면 발판상을 이동하는 경우 등에 다른 1개의 연결체(2b)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사용방법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즉, 연결체(2a)를 현재의 피걸림물에서 이동처의 피걸림물로 바꿔 거는 동안에 연결체(2b)를 보조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연결체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를 없앤다. 혹은 현재의 피걸림물에 연결체(2a)가 걸린 상태에서 이동처의 피걸림물에 연결체(2b)를 걸고나서 연결체(2a)를 풀고 이동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의 어느 방법을 취하는 경우에도 작업중에 훅(24a)의 스위치(250a)와, 훅(24b)의 스위치(250b)가 동시에 온이 된 경우에는 어느쪽 훅도 피걸림물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컨트롤 박스(21)의 제어부(210)는 LED(212)를 점등시키거나 스피커(213)로부터 부저음이나 경고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하여 작업자에게 훅(24)의 상태를 점검하도록 지시한다.
<2-3. 연결체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의 변형예>
도 16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 이하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장치로서의 PC(6)를 생략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21) 내에 메모리(214)를 더 마련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214)에는 스위치(250a, 250b)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회로(262a, 262b)에 의한 판정 결과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하루의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 등에, 메모리(214)로부터 축적 데이터를 읽어내 분석함으로써, 연결체(2a, 2b)의 장착상황 등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컨트롤 박스(21)에 있어서, 송수신 유닛(211) 대신에 수신 유닛(215)이 마련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컨트롤 박스(21)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컨트롤 박스(21)에 마련되어 있던 제어부(210)나, 필요에 따라서 LED(212) 및 스피커(213)를 연결체(2a, 2b) 중 어느 하나의 회로기판(260)에 마련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모리(264)가 더 마련되어 있다. 메모리(264)에는 스위치(25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부(210)에 의한 판정 결과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하루의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 등에 메모리(264)로부터 축적 데이터를 읽어내 분석함으로써 연결체(2)의 장착상황 등을 해석할 수 있다. 도 18의 구성에서는, 회로기판(260a)에는 회로기판(260b)의 송신 유닛(263b)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265a)이 마련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체(2)를 1개만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송수신 유닛은 불필요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도 스위치(25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제어회로(262)에 의한 판정 결과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26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구성에 대하여, LED(212)나 스피커(213) 등을 더 추가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들 실시형태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부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3-1. 연결체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전띠는 랜야드형의 연결체(3)이다. 도 2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3)의 외관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체(3)는 로프(30), 훅(34), 및 카라비너(35)를 구비한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체(3)를 구입한 사용자는 소지한 인체 벨트(하네스형 및 몸통 벨트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됨)에 이 연결체(3)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 연결체(3)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컨트롤 박스(21)와 함께 사용된다. 즉, 이 연결체(3)와 컨트롤 박스(21)를 세트 판매하고, 작업자는 연결체(3)를 소지한 인체 벨트에 장착하고, 인체 벨트에 컨트롤 박스(21)를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체(3)는 작업자가 추락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훅(34) 내부가 아니라, 로프(30) 내부에 단선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연결체(3)의 훅(34)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선센서(261)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훅(34)의 구성은 단선센서(261)를 구비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형태의 훅(24)과 거의 같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3-2. 단선센서의 예>
여기서, 로프(30)에 마련되는 단선센서의 예를 몇 가지 나타낸다.
먼저,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프(30)의 코어에 리드선이 삽입되어 있다. 도 21(b)는 도 21(a)의 로프(30)의 단면도이다. 즉, 로프(30)는 리드선(301)의 둘레에 수지섬유(302)를 두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수지섬유(302)는 인장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신장이 있지만, 리드선(301)은 인장되면 단선된다. 따라서, 추락 등으로 강한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에, 리드선(301)이 단선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리드선(301)의 단선은 예를 들면, 훅(34)에 마련된 회로기판(제2 실시형태의 회로기판(260)과 동일)상의 회로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로프(30)의 도중에 쇼크 앱소버(303)가 마련되어 있다. 쇼크 앱소버(303)를 마련하는 위치는 훅(34)에 가까운 측이어도 되지만, 작업자의 신체에 가까운 측(즉 카라비너(35)에 가까운 측)에 있는 편이 추락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쇼크 앱소버(303)는 수지 커버(304)의 내부에, 벨트(305)가 접혀서 수용된 구성이다. 로프(30)에 강한 인장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수지 커버(304)가 찢어지고 벨트(305)가 연신(延伸)됨으로써 로프(30)에 걸리는 충격력이 흡수된다. 또한, 벨트(305)는 어느 정도의 신장을 가지는 수지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이 쇼크 앱소버(303)에 리드선(306)이 내장되어 있다. 리드선(306)의 길이는 벨트(305)의 길이보다도 짧다. 벨트(305)의 양 끝은 리드선(306)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벨트(305)가 연신할 때에 리드선(306)이 단선하여, 작업자가 추락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리드선(306)의 단선은 예를 들면 훅(34)에 마련된 회로기판(제2 실시형태의 회로기판(260)과 동일)상의 회로로 검출할 수 있다.
<3-3. 단선센서의 변형예>
상기의 예에서는 작업자의 추락을 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리드선을 이용한 단선센서를 예시했지만, 단선센서 이외에 가속도 센서, 변형 게이지(로드 셀을 포함함), 또는 압전소자 등의 스위치센서 등을 로프(30) 또는 카라비너(35)에 마련함으로써도 추락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하네스형 안전띠
2 연결체
3 연결체
30 로프
303 쇼크 앱소버
305 벨트
6 PC
61 제어부
62 송수신 유닛
21 컨트롤 박스
210 제어부
211 송수신 유닛
25 훅 행거
7 연결체
70 로프
71 카라비너
72 훅
720 압력센서
721 갈고리상부재
722 풀림방지장치
723 안전장치
728 회로기판
729 개폐센서

Claims (15)

  1.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접속되며,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훅을 구비한 연결체와, 제어장치를 가지는 안전띠로서,
    상기 연결체가, 상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는 하중검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하중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지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하중검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피(被)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이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소정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을 소정 시간 넘게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경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상기 풀림방지부재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개폐상태 검출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폐상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풀림방지부재가 개폐된 것을 검출하고, 또 상기 압력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소정값을 넘지 않는 하중 또는 압력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상기 안전띠의 소정의 수납위치에 상기 훅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수납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납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훅이 상기 소정의 수납위치에 수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없고, 또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훅의 풀림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상태 검출센서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풀림방지부재가 개폐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연결체가 상기 피걸림물로부터 풀리려고 하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수신부가 한 사람의 작업원이 사용하는 2개의 연결체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2개의 연결체 중 한쪽만이 상기 피걸림물에 연결되었다고 판단될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 상기 2개의 연결체의 훅이 바꿔걸기 작업중인 것을 통지하는 통지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통지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통지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작업원과는 떨어진 장소에 배치된 확인장치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통지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훅의 기부(基部)에 마련된 단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상기 연결체에 포함된 단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가 쇼크 앱소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선센서가, 상기 쇼크 앱소버에 포함된 리드선의 단선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13. 로프와, 상기 로프의 한쪽 끝에 접속되며, 작업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 벨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다른쪽 끝에 접속된 훅을 구비한 연결체와, 제어장치를 구비한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확인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가, 상기 연결체에 허용범위를 넘는 하중이 걸린 것을 검지하는 하중검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하중검지센서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검지신호로부터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상황에 따른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 통지동작을 행하는 통지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확인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감시화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훅이, 갈고리상부재와, 상기 갈고리상부재의 개구에 대하여 개폐동작하는 풀림방지부재와, 상기 하중검지센서의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검지센서가, 상기 갈고리상부재에 있어서 피걸림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된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장치는 상기 제어장치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또는 상기 안전띠의 상황의 과거 이력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이력화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의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KR1020100101761A 2009-10-20 2010-10-19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KR101526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1795 2009-10-20
JPJP-P-2009-241795 2009-10-20
JP2010162269A JP5116815B2 (ja) 2009-10-20 2010-07-16 安全帯およびその使用状況確認システム
JPJP-P-2010-162269 2010-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78A KR20110043478A (ko) 2011-04-27
KR101526950B1 true KR101526950B1 (ko) 2015-06-08

Family

ID=4306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761A KR101526950B1 (ko) 2009-10-20 2010-10-19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82401B2 (ko)
EP (1) EP2314354B1 (ko)
JP (1) JP5116815B2 (ko)
KR (1) KR101526950B1 (ko)
CN (1) CN102039014B (ko)
TW (1) TWI4357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101767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고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6012A (en) * 2010-12-01 2012-06-06 Dessa Ltd Alarm for fall arrest system
WO2012109444A2 (en) 2011-02-09 2012-08-16 Baillargeon Paul D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the monitoring of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 of same
GB2491376B (en) * 2011-06-01 2014-01-08 Fall Safe Assist Ltd Hip impact protector
CN102512773B (zh) * 2012-02-02 2013-10-23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安全绳佩戴状态远程监测装置
CN102659021A (zh) * 2012-05-16 2012-09-12 硅密(常州)电子设备有限公司 带有感应晶圆花篮功能的起吊装置
KR101398030B1 (ko) * 2012-06-29 2014-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JP5822796B2 (ja) * 2012-07-17 2015-11-24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帯用フックへのicタグ収容構造
GB2510096B (en) * 2012-11-01 2015-08-26 Skanska Uk Plc Safety equipment
KR101390276B1 (ko) * 2012-11-20 2014-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대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US9498659B2 (en) * 2013-03-09 2016-11-22 Alexander Andrew, Inc. View pack for shock absorbing lanyard
CN103272345B (zh) * 2013-06-07 2016-01-20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杆塔作业的防坠安全带
FR3008528B1 (fr) * 2013-07-09 2016-12-23 Total Raffinage Marketing Dispositif de detection de chute pour une ligne de vie ; installation de ligne de vie equipee d'un tel dispositif; methode de detection de chute associee
US10138102B2 (en) * 2013-07-23 2018-11-27 Viki V. Walbridge Warning and message delivery and logging system utilizable in a fall arresting and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same
CN103474902A (zh) * 2013-08-25 2013-12-25 国家电网公司 导线走线踏板
CN103611223A (zh) * 2013-11-17 2014-03-05 国家电网公司 一种攀登输电塔的防坠落装置
JP6198608B2 (ja) * 2014-01-15 2017-09-20 リンナイ株式会社 グリル
US9511245B2 (en) * 2014-03-28 2016-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fety harness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O2015154146A1 (en) * 2014-04-10 2015-10-15 Lockliv Holdings Pty. Ltd. Monitoring and alert system and method for latching mechanisms
CN105013104A (zh) * 2014-04-16 2015-11-04 振锋企业股份有限公司 安全钩
JP6315188B2 (ja) * 2014-04-21 2018-04-25 株式会社システック 外し後警報猶予手段を備えたフック掛け検出装置
KR102250225B1 (ko) 2014-07-24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194445U (ja) * 2014-09-11 2014-11-20 アークフィール株式会社 保護帯装着状況管理システム
US9480866B2 (en) * 2014-10-21 2016-11-01 The Boeing Company Line connector having a lin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82611Y1 (ko) * 2015-01-30 2017-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 작업 안전장비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4815405A (zh) * 2015-04-14 2015-08-05 国网河南省电力公司济源供电公司 一种高空防坠落安全带
KR101701988B1 (ko) * 2015-05-15 2017-02-03 삼성물산(주)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CN105005238A (zh) * 2015-07-01 2015-10-28 武汉理工大学 一种应变触发的高空防护自动控制系统
USD776355S1 (en) * 2015-08-10 2017-01-10 Skysaver Rescue Ltd. Harness for a personal rescue device
KR101766530B1 (ko) 2015-08-12 2017-08-09 주식회사 포스코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CN105118232B (zh) * 2015-08-17 2017-11-21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海上风电场作业人员安全状态监测方法及系统
CN105107101A (zh) * 2015-09-23 2015-12-02 成都乐维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预警安全带
US9715806B2 (en) 2015-12-02 2017-07-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nitoring of fall protection harness using a body area network
BR112018013439A2 (pt) * 2015-12-30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istema eletrônico de comunicação de evento de queda
WO2017116603A1 (en) 2015-12-31 2017-07-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all detection alert/alarm device and method
US10610710B2 (en) * 2016-03-11 2020-04-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all protection radio frequency emergency beacon
CN105841651B (zh) * 2016-03-19 2019-09-20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非侵入性生物传感系统
CN205449023U (zh) * 2016-03-19 2016-08-10 深圳市前海康启源科技有限公司 非侵入性生物传感装置
CN113368428B (zh) * 2016-04-14 2022-11-15 霍尼韦尔国际公司 具有无线坠落指示器的承重坠落保护连接器
US10496045B2 (en) * 2016-10-14 2019-12-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event generation and monitoring
CN106492368B (zh) * 2017-01-06 2022-07-05 湖南大唐先一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prs通讯技术的电厂高空作业智能安全带
CA3058573A1 (en) * 2017-03-31 2018-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RU2726811C1 (ru) * 2017-04-03 2020-07-15 3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с защитным кожухом и втулочным узлом
WO2018204522A1 (en) * 2017-05-02 2018-11-08 Control Dynamics, Inc.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WO2018204769A1 (en) 2017-05-04 2018-11-08 Modjoul, Inc. Wearable electronic belt device
CN107290087A (zh) * 2017-05-10 2017-10-24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所 一种安全带对人体压迫力的测试装置
CN107080905A (zh) * 2017-06-14 2017-08-22 江苏菲泽科技发展有限公司 弹簧线安全绳
JP7066478B2 (ja) * 2017-06-26 2022-05-13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安全帯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及び、安全帯使用状況監視方法
JP6881157B2 (ja) * 2017-08-24 2021-06-02 日本製鉄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9477B2 (ja) * 2017-10-02 2021-08-18 富士通株式会社 作業判定プログラム、作業判定方法および作業判定装置
CN114613102A (zh) * 2017-10-27 2022-06-10 霍尼韦尔国际公司 智能高度安全系统
CN107715340A (zh) * 2017-11-06 2018-02-23 金陵科技学院 一种带有拍摄的高安全性安全带
CN108050616A (zh) * 2017-11-23 2018-05-1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连接装置、空调器室外机及空调器
CN109603027B (zh) * 2018-01-01 2020-08-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力系统登高辅助装置
CN108287081A (zh) * 2018-01-19 2018-07-17 上海恒润申启多媒体有限公司 一种安全扣的检测系统、方法及娱乐设施
EP3749420B1 (en) * 2018-02-09 2023-10-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having inductive sensor for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CN108525153A (zh) * 2018-05-04 2018-09-14 乐清市盛邦安防有限公司 一种智能挂钩以及智能挂钩的控制系统
CN112154015B (zh) * 2018-05-23 2022-05-03 3M创新有限公司 用于坠落保护设备的冲击指示器及使用方法
JP6936546B2 (ja) * 2018-06-27 2021-09-1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安全帯フックかけ忘れ防止監視システム
JP2020043964A (ja) * 2018-09-18 2020-03-26 株式会社プロップ 安全帯用発報装置
EP3863733A4 (en) * 2018-10-12 2021-12-01 MSA Technology, LLC HARNESS BACK PLATE AND STRAP ARRANGEMENT
EP3895138A4 (en) * 2019-01-14 2022-01-19 MSA Technology, LLC FALL SAFETY COMPLIANCE SYSTEM AND PROCEDURES
US11633632B2 (en) * 2019-03-22 2023-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protection system with monitoring system
KR102211426B1 (ko) 2019-05-16 2021-02-03 (주) 세이프온 체결 탐지용 훅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대
JP2020189068A (ja) * 2019-05-20 2020-11-26 ワシノ機工株式會社 墜落制止用器具使用状態監視装置
CN110420409B (zh) * 2019-07-04 2020-11-0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八研究所 一种双安全钩坠落防护装置
CN110559570A (zh) * 2019-09-02 2019-12-13 成都建工第五建筑工程有限公司 感应装置、检测系统及安全挂钩
US11247080B2 (en) * 2019-10-10 2022-02-15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suring worker safety
CN112675449A (zh) * 2019-10-17 2021-04-20 黄炜皓 安全钩环及坠落防护系统
CN110975188B (zh) * 2019-11-22 2021-05-04 宝泉安全防护用品(金华)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领域的高品质安全绳
KR102377955B1 (ko) * 2019-12-13 2022-03-23 임홍규 스마트 안전고리
CN111091682A (zh) * 2019-12-17 2020-05-01 福建工程学院 一种斜屋顶作业管理系统
CN110975185A (zh) * 2019-12-23 2020-04-1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衡水市桃城区供电分公司 一种基于气压传感器的防止安全带低挂高用的方法
KR102376720B1 (ko) * 2020-01-06 2022-03-21 (주)엘센 안전고리 체결시스템과 안전고리 체결제어방법
US11465746B2 (en) 2020-02-17 2022-10-11 Jeff Joh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eatbelt compliance in commercial passenger aircraft
US11065481B1 (en) * 2020-05-19 2021-07-20 Us Safety Technologies Llc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US11623108B2 (en) 2020-05-19 2023-04-11 Us Safety Technologies Llc Safety harness motion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for use
KR102454506B1 (ko) * 2020-06-19 2022-10-14 (주)엘센 작업자 안전감독 시스템
CN111888685B (zh) * 2020-06-23 2022-08-09 武汉瑞莱保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单钩安全带及安全管理系统
CN111888686B (zh) * 2020-06-23 2022-08-02 武汉瑞莱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钩安全带及安全管理系统
US11663897B2 (en) * 2020-07-16 2023-05-30 Joseph Clinton Meyers Apparatus for anchoring a fall protection system and transmitting a fall alert
JP7480994B2 (ja) 2020-07-29 2024-05-10 サンコー株式会社 係止状態検出装置
KR102669990B1 (ko) * 2020-12-30 2024-05-30 (주)엘센 안전고리장치
CN112827090A (zh) * 2021-01-21 2021-05-25 中建三局四川建筑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5g的高空作业安全装置
EP4319886A1 (en) * 2021-04-09 2024-02-14 Bosch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Monitoring device for a fall protection system for persons and fall protection system for persons
US11857816B2 (en) * 2021-06-01 2024-01-02 Down Safely LLC Fall prevention safety interlock
CN114034422A (zh) * 2021-11-25 2022-02-11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安全带坠落冲击指示装置
CN114288581A (zh) * 2022-01-05 2022-04-08 郑鸿 一种安全挂钩、安全绳及安全实现方法
CN114470549A (zh) * 2022-01-26 2022-05-1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曲靖供电局 一种具有报警功能的安全带组件
WO2024018325A1 (en) * 2022-07-20 2024-01-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connector comprising deformable section with interruptible signal-transmissive pathway
CN115445115B (zh) * 2022-09-22 2023-08-15 山东大学 一种安全带挂钩状态识别装置
CN115738116B (zh) * 2022-11-29 2023-09-08 广东兆安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防坠装置
CN116271601A (zh) * 2023-02-08 2023-06-23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安全带坠落检测挂扣、安全带坠落监测预警装置及方法
KR200497601Y1 (ko) * 2023-07-27 2024-01-03 초연결 주식회사 산업용 안전 연결 고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639A (en) * 1971-11-26 1973-07-24 F Brookes Safety belt alarm system
US20030150283A1 (en) * 2002-02-13 2003-08-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US20090173578A1 (en) * 2004-05-15 2009-07-09 Fallsafe Limited Personal height rescu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440U (ko) * 1981-03-09 1982-09-13
US4660679A (en) * 1986-02-10 1987-04-28 Meyer Ostrobrod Safety alarm tripod
DE3805161A1 (de) * 1988-01-20 1989-08-03 Schmidt Feinmech Verfahren zum messen einer beschleunigung, beschleunigungssenso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0411050U (ko) * 1990-05-16 1992-01-29
US5871063A (en) * 1997-01-22 1999-02-16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latch sensor system
JP3986656B2 (ja) 1998-03-23 2007-10-03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自動警告装置及び作業用安全帯
JP3390421B2 (ja) * 2001-02-20 2003-03-24 株式会社弥生機工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JP2002336367A (ja) * 2001-05-18 2002-11-26 Fujita Corp 安全帯用発信機及び安全帯の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JP2004097691A (ja) * 2002-09-12 2004-04-02 Endo Kogyo Kk 荷重検出機能付き墜落防止器
US20050189176A1 (en) * 2004-02-10 2005-09-01 Demeyer Gerald Safety harness with removable outer shell
US8312964B2 (en) * 2004-04-06 2012-11-20 Harris Jr Rano J Personal emergency descender system and methods of use
EP1588908A1 (en) * 2004-04-22 2005-10-26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amp; ENGINEERING S.A. Seat belt warning system
JP4582503B2 (ja) * 2005-05-06 2010-11-17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JP2007044166A (ja) 2005-08-08 2007-02-2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取付確認センサ
US7830246B2 (en) * 2005-10-12 2010-11-09 Elesys North America, Inc. Occupant sensor and method for seat belt or other monitoring
CN101263947B (zh) * 2007-03-15 2010-10-13 攀士福安全防护用品(上海)有限公司 自锁式双保险安全钩
US7813856B2 (en) * 2007-10-03 2010-10-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seatbelt monitoring system and process
JP4992729B2 (ja) * 2008-01-11 2012-08-08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US7752925B2 (en) * 2008-09-25 2010-07-13 Delphi Technologies, Inc. Seat belt assembly including resistive film for determining tension
KR100902778B1 (ko) * 2008-11-26 2009-06-12 주식회사 휴메이트 안전장치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의 정상 착용 여부 판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639A (en) * 1971-11-26 1973-07-24 F Brookes Safety belt alarm system
US20030150283A1 (en) * 2002-02-13 2003-08-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Seat Belt Tension Sensor
US20090173578A1 (en) * 2004-05-15 2009-07-09 Fallsafe Limited Personal height rescu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5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286381B1 (ko) 2019-06-25 2021-08-05 주식회사 한림기술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10101767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고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6815B2 (ja) 2013-01-09
CN102039014A (zh) 2011-05-04
KR20110043478A (ko) 2011-04-27
JP2011104339A (ja) 2011-06-02
TW201127441A (en) 2011-08-16
EP2314354A3 (en) 2015-04-08
CN102039014B (zh) 2013-08-21
EP2314354A2 (en) 2011-04-27
EP2314354B1 (en) 2018-11-28
TWI435740B (zh) 2014-05-01
US20110090079A1 (en) 2011-04-21
US8482401B2 (en)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50B1 (ko) 안전띠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KR10196472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JP6369838B2 (ja) 安全装置
JP5147636B2 (ja) 安全帯および安全帯の装着確認システム
JP7122780B2 (ja) 安全帯用発報装置
US20170332742A1 (en)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CN113519016A (zh) 坠落保护合规系统和方法
CN113368428B (zh) 具有无线坠落指示器的承重坠落保护连接器
US9993671B2 (en) Fall protection device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JP6005353B2 (ja) 安全帯への落下検知体と報知器との組み込み構造
JP2002336367A (ja) 安全帯用発信機及び安全帯の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AU2006207863B2 (en) Fall notifying apparatus
US20200260824A1 (en) System having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CN100500547C (zh) 起重机保护装置
GB2486012A (en) Alarm for fall arrest system
JP2006187502A (ja) 緩降機
CN106457004B (zh) 制动器装置及其监控系统
JPH11104257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2217589B1 (ko)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JP2021068116A (ja) 高所作業現場用警報システム
EP3619381B1 (en)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KR20230086298A (ko) 안전고리 체결 감지장치
KR20240062466A (ko) IoT를 활용한 추락방지대 체결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287473A1 (en) Apparatus for anchoring a fall protection system and transmitting a fall al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