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589B1 -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589B1
KR102217589B1 KR1020190050127A KR20190050127A KR102217589B1 KR 102217589 B1 KR102217589 B1 KR 102217589B1 KR 1020190050127 A KR1020190050127 A KR 1020190050127A KR 20190050127 A KR20190050127 A KR 20190050127A KR 102217589 B1 KR102217589 B1 KR 10221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alarm
accident
alarm operation
uni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299A (ko
Inventor
박무언
Original Assignee
박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언 filed Critical 박무언
Priority to KR102019005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58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과 경고 표시를 수행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and display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과 경고 표시를 수행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고소작업 즉, 높은 건물이나 구조물 등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추락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의 일단에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폐쇄형 고리(10)를 형성하고, 안전로프(40)의 타단에는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착탈시키기 위한 후크형 고리(20)를 형성시킨다.
후크형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는 충격완화장치부(30)가 형성된다.
충격완화장치부(30)는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폐쇄형 고리(10)를 장착하고, 후크형 고리(20)를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연결시키고 작업을 하다가 만약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에는 후크형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30)의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안전대(31)가 풀어지고 안전구조물에 연결된 연결고리(40)에서 안전대(31), 안전로프(40) 및 폐쇄형 고리(10)에 전달되는 장력에 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추락시에 충격완화장치부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하우징이 파열되면서 안전대가 풀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락시의 충격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어느 작업장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없었으며, 추락 당사자가 소리를 질러 알리거나 아니면 다른 작업자들에 의해 식별이 되어야 추락 사고임을 알 수 있었지만, 건설 현장의 특성상 수많은 잡음 혹은 기타 작업에 집중하다보면 추락 사고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즉각적인 사후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나 인명 피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외력 발생시에 자동적으로 이를 인지하여 알람 및 경고 표시가 동시에 발생하여 주변에 있는 타인들이 즉각적으로 이를 확인하여 신속한 2차 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인용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518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청각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복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폐쇄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형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경고표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 및 경고표시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며, 동시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과 경고 표시를 수행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청각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동작 전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에 적용될 경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안전로프에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여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로프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가 풀릴 경우에 자동적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가 동작하여 알람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여 추락 사고를 주변에 청각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추락사고 알람이 가능한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경고표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 및 경고표시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며, 동시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고알람동작바(110)는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 내부에 형성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경고표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 및 경고표시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며, 동시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경고표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다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며, 동시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잡아당기는 힘의 강도에 따라 사고알람동작바가 이탈되도록 사전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스프링 혹은 판상스프링을 구성하여 스프링 혹은 판상스프링의 탄성 강도를 조절하여 평상시 활동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1021);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1022);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와 경고표시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기 위한 경고표시부(109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부(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일정 간격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상하 운동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탄성부재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격벽부에는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게 되며, 홀을 통해 사고알람동작바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021)는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제1전극부(102a)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022)는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제2전극부(102b)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는 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터리(104)를 전선과 연결시키게 되는데, 추락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며, 이때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동작되게 되면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와 경고표시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음원발생부(106)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음원은 제조시 저장된 음원이 될 수 있으며, 음원으로는 각종 알람음, 안내 멘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증폭부(107)는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게 되며, 스피커부(108)는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고표시부(1092)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고표시부는 점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점멸동작모듈;
색깔을 달리하여 동작하는 가변색깔모듈;
설정 색깔로 점등되기 위한 항시점등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멸동작모듈은 빨간색으로 일정 간격, 즉, 5초 간격으로 점등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경고표시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가변색깔모듈은 빨간색등, 노란색등, 파란색등, 녹색등으로 구성된다면, 5초 동안은 빨간색등 점등, 6초 ~ 10초 동안은 노란색등 점등, 11초 ~ 15초 동안은 파란색등 점등, 16초 ~ 20초 동안은 녹색등 점등을 반복하게 되는 경고표시등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변색깔모듈은 하나의 엘이디모듈에서 일정 간격 색깔을 달리하여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경고표시부는 일반적인 램프 방식일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엘이디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항시점등모듈은 설정 색깔로 점등되는 것인데, 예를 들어, 화이트색깔로서, 동작 신호 획득시, 설정된 시간 즉, 20분 동안 지속적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경고표시등을 의미한다.
상기한 일실시예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탄성부재의 예시로서 스프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을 제공하는 어떠한 부재라도 상관없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 판상스프링, 탄성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를 도입하여 설치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스위치를 도입할 수도 있다.
즉, 스위치에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접속을 유지하다가 외부 외력에 의해 스위치로부터 이격되게 되면 접속이 해제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음원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경고표시부를 통해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스위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동작 전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통해, 사고알람동작장치 동작 전후를 비교해보면,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어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동작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외부로 이격되고,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동작하게 된다.
이후,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와 경고표시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알람 및 경고 표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외력은 일실시예에서는 추락에 따른 중력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저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부;와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공사현장에 구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는 고유식별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부를 통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적으로 관리단말기(200)로 송출하게 된다.
공사 현장의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혹은 현장사무소가 될 것이며, 기타 장소의 경우에는 중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 혹은 근거리 통신 방식 혹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 혹은 이동통신 방식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 관리저장부, 정보분석부, 사고정보출력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관리저장부는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정보분석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고정보출력부에 의해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공사 현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공사 현장의 B 사고알람동작장치는 김한국이라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사전에 관리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게 된다.
이때, A 공사 현장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고유식별 정보인 A-B라는 식별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정보분석부에서는 A-B라는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추락 사고자는 '김한국'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위치추적부를 구성함으로써, 동작 신호 발생시에 위치 정보를 관리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위치한 공사 현장이 넓은 장소를 가지고 있다면,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자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인명구조용드론에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관리센터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공사장을 관리하는 관리센터에 설치 구성된 관리센터서버에 관리자단말기에서 사고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동작 신호를 인명구조용드론으로 제공함으로써, 인명구조용드론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인명구조용드론에 설치 구성된 로프를 사고 발생한 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당 로프를 잡고 해당 사고 건물의 안정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중앙케이스(1100);와 상측케이스(1200);와 하측케이스(1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케이스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성하는 이유는 충격 발생시,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중앙케이스(1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면(1110)은 개방되고, 정면(1120)의 하단부에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배면(1130)의 하단부에는 연결고리(20)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a)가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1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양측면(11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17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바닥면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을 구멍을 뚫지 않고, 홈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충격 발생시 원활하게 중앙케이스로부터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멍을 관통하게 된다면 충격흡수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외압에서만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측케이스(1200)는 중앙케이스(1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2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상측결합돌기부(1170)를 하측결합홈(126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상측에 형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측케이스(1300)는 중앙케이스(1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3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37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하측결합홈(1160)에 상측결합돌기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1200) 혹은 하측케이스(1300)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작업자가 케이스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충격완화장치부(30)가 파손되지 않았는지, 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통해,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과 경고 표시를 동시에 수행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청각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고알람동작장치
200 : 관리단말기
1000 :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

Claims (3)

  1.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복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폐쇄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형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경고표시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 및 경고표시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며, 동시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1021);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1022);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와 경고표시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경고 표시를 수행하기 위한 경고표시부(109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바닥면(1110)은 개방되고, 정면(1120)의 하단부에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가 형성되며, 배면(1130)의 하단부에는 연결고리(20)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a)가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1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17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바닥면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케이스(1100);와
    상기 중앙케이스(1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2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상측결합돌기부(1170)를 하측결합홈(1260)에 결합시키는 상측케이스(1200);와
    상기 중앙케이스(1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3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37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하측결합홈(1160)에 상측결합돌기부를 결합시키는 하측케이스(1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0127A 2019-04-29 2019-04-29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KR10221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27A KR102217589B1 (ko) 2019-04-29 2019-04-29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27A KR102217589B1 (ko) 2019-04-29 2019-04-29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99A KR20200126299A (ko) 2020-11-06
KR102217589B1 true KR102217589B1 (ko) 2021-02-19

Family

ID=7357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27A KR102217589B1 (ko) 2019-04-29 2019-04-29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5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303A1 (en) * 2003-11-04 2005-06-23 Hsu Samuel W. Safety belt device having warning device
JP6005353B2 (ja) * 2011-11-25 2016-10-12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帯への落下検知体と報知器との組み込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522A (ja) * 1995-08-10 1997-02-18 Takatsugu Oizumi 安全ベルト
KR200175180Y1 (ko) 1999-09-17 2000-03-15 최기봉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303A1 (en) * 2003-11-04 2005-06-23 Hsu Samuel W. Safety belt device having warning device
JP6005353B2 (ja) * 2011-11-25 2016-10-12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帯への落下検知体と報知器との組み込み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99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2401B2 (en) Safety belt and system for checking a usage status of the safety belt
KR102186674B1 (ko) 안전 장치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JP7122780B2 (ja) 安全帯用発報装置
WO2011057306A1 (en) Monitoring headgear and system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JP2014153876A (ja) 騒音環境下における作業者間情報伝達システム,作業者間情報伝達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伝達方法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055418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102217589B1 (ko) 외력 발생시 알람과 경고 표시가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JP2017215915A (ja) トランシーバを用いた騒音環境下作業者間安全システム,作業者間安全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情報伝達方法
KR102047341B1 (ko) 사용자 위기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726B1 (ko)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CN2899322Y (zh) 消防员火场多点无线呼救装置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101916403B1 (ko)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방지용 장치
WO2023212279A1 (en) Issuing emergency alert(s) for detected life-threatening events involving power systems
KR20210000451A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CN202711419U (zh) 一种智能消防员呼救器
JP2010252879A (ja) 安全帯の使用促進装置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EP3815067B1 (en) Improved arboriculture safety system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