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65B1 -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65B1
KR102217765B1 KR1020200108439A KR20200108439A KR102217765B1 KR 102217765 B1 KR102217765 B1 KR 102217765B1 KR 1020200108439 A KR1020200108439 A KR 1020200108439A KR 20200108439 A KR20200108439 A KR 20200108439A KR 102217765 B1 KR102217765 B1 KR 102217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er
communication unit
rop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톤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톤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톤넷
Priority to KR102020010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와 로프로 연결된 안전고리가 현장에 설치된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걸려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탈부착이 체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투명창;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로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고휘도 LED; 자신의 ID를 저장하고 있는 ID 저장부;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움직임 패턴이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휘도 LED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ID 저장부에 저장된 ID와 경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Safety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falling of the high place worker and safet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와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소작업자가 자신의 신체와 로프로 연결된 안전고리가 현장에 설치된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걸려있는가를 확인하고, 또한 추락 또는 붕괴사고 발생시에 작업자의 추락위치 또는 매몰위치를 즉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부주의 사항으로는 낙하물에 의한 사고, 추락에 의한 사고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사고에 의한 작업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종 안전장구를 착용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신체로부터 연결되어 연장된 안전고리를 현장에 설치된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걸어서 추락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귀찮거나 작업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안전고리를 안전로프에 걸지 않게 되어 작업자들이 추락사고에 계속 노출된 상태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966892호(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에서는 안전고리에 센서를 구비하여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안전고리가 올바르게 걸렸는지를 대한 정보를 원격지로 송신하고,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고리에는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안전고리가 잘 걸려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 접촉센서, 접촉 스위치, 포토커플러 등으로 된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센서는 안전로프에 직접 접촉하여 센싱하는 구조로서, 작업자가 이동할 때 안전고리도 안전로프에서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센서가 고장날 확률이 매우 높고, 또한 이물질 등이 유착되어 오작동의 위험성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아울러,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안전고리의 구조가 변화됨으로써 그 변화된 안전고리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설비가 필요하므로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 제10-0966892*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에 탈부착 방식으로 안전구를 체결하여 로프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안전고리가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올바르게 걸려있는지를 확인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또는 건축물 등의 붕괴 등에 의해 추락 후 매몰되면, 작업자가 착용한 연막 용기로부터 색상을 갖는 연막이 누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신속히 확인 가능하도록 한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는,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탈부착이 체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투명창;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로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고휘도 LED;
자신의 ID를 저장하고 있는 ID 저장부;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움직임 패턴이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휘도 LED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ID 저장부에 저장된 ID와 경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은,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자이로센서에 의해 로프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없거나 움직임 패턴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며, 고유 ID를 갖는 안전구;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고도센서와, 자이로 센서와, 경보부와, 통신부와, 상기 작업자의 고유 ID가 저장된 ID 저장부를 가지며, 상기 안전구와 통신부에 의해 페어링하고, 상기 고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가 기준 높이보다 일정 높이 이상이 된 후 상기 안전구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보부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작업자 디바이스;
상기 안전구로부터 전송되어진 작업자의 고유 ID와 경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인가받아 디스플레이부와 경보부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고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작업자의 급격한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통신부로부터 밸브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밸브를 개방시켜 연막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시키는 연막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버튼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어진 신호를 인가받아 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통신부로부터 밸브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밸브를 개방시켜 연막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시키는 연막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 등에 안전고리가 걸려지지 않아서 소정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로프에 체결된 안전구의 자이로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안전고리에 설치되는 센서 등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안전고리를 연결하는 로프에 안정고리 디바이스만 체결하면 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추락 또는 건축물의 붕괴에 따른 추락 및 매몰 시에 연막을 발생하여 작업자의 사고 위치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 시스템의 회로 블럭도.
도2는 작업자 디바이스의 회로 블럭도.
도3은 관리자 디바이스의 회로 블럭도.
도4는 안전구의 외관 구조도.
도5는 안전구의 회로 블럭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 시스템의 회로 블럭도이고, 도2는 작업자 디바이스의 회로 블럭도이며, 도3은 관리자 디바이스의 회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4는 안전구의 외관 구조도이고, 도5는 안전구의 회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작업자 디바이스(100), 관리자 디바이스(200), 안전구(300)로 구성된다.
작업자 디바이스(100)는 도2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 밴드 또는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지는데, 상기 몸체에는 컨트롤러(101), 고도센서(102), 자이로 센서(103), 작업자 버튼(104), ID저장부(105), 경보부(106), 통신부(107), 연막용기(109)를 갖추고 있다.
상기 고도센서(102)는 작업자의 작업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고 있는지를 측정하고, 또한, 기준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상적인 고도센서는 기압에 의해 고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자의 초기 위치인 지면을 기준 고도로 설정하기 되는데, 이때 건축현장의 지면이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면 고도센서에 의해 항상 고소작업의 위치에 있다고 측정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현재 작업자의 위치인 지면을 기준고도 '0'으로 설정하고, 이로부터 작업자의 작업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이로 센서(103)는 작업자의 급격한 위치변화 즉 추락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건축물에서 추락 시 그 위치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작업자 버튼(104)은 비상시에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연막 분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ID 저장부(105)는 작업자 본인의 고유 ID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경보부(106)는 작업자에게 청각적인 신호에 의해 안전고리의 체결여부를 경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신부(107)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IoT 통신에 의해 안전구(300)와 페어링하여 안전구(300)로부터 발생된 경보신호를 수신하며, 원격지의 관리자 디바이스(200) 또는 미리 설정된 중앙관제소 또는 소방관제소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상호 통신하는 것이다.
상기 연막용기(109)는 색상을 갖는 연막제가 충전되어 밸브(109-1)가 개방되면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하는 것으로서, 연막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눈에 쉽게 띄는 주황색, 노란색, 빨간색 등의 색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101)는 상기 각 회로 블럭들을 통합 제어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자 디바이스(100)의 내부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200)는 도3에서와 같이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형태이거나 또는 관리자가 웨어러블 형태로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30), 청각적인 경보를 알리는 경보부(240), 관리자 버튼(250), 통신부(220), 그리고 이들을 통합제어하는 MPU(2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구(300)는 도4에서와 같이 일단이 작업자의 작업 밴드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안전고리(600)가 구비된 로프(5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고리(600)는 안전로프 등의 추락방지용 안전장비에 걸려서 체결된다.
안전구(300)는 안전고리(600)의 근접한 위치, 예를 들면 10cm 이내에서 로프(500)에 체결되는데, 상기 로프(500)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가 위치하여 상호간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즉,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반원통형으로 된 구조로서, 내측 상하방향으로 로프(500)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가 결합되었을 때 상측과 하측에는 로프(500)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로프삽입공(330)이 형성되며, 그 로프 삽입공(330)에는 로프(500)와의 밀착력 및 누수방지를 위한 패킹(31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310) 및 제2케이스(320)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각각 투명창(311,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창(311,322)을 통하여 경보를 위한 LED 광이 표출된다.
상기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에 의해 로프(500)가 관통되어 내삽되는 원통형의 케이스를 갖는 안전구(300)가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도5에서와 같이 로프(5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350)와, 자신의 ID를 저장하는 ID 저장부(380)와, 컨트롤러(34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는 고휘도 LED(360)와,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100)와 페어링 하며,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 또는 IoT 통신에 의해 원격지의 관리자 디바이스(200) 또는 미리 설정된 중앙관제소 또는 소방관제소와 통신하는 통신부(370)로 구성된다.
또한 컨트롤러(340)는 상기 자이로센서(350)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움직임이 비정상적인 경우라면, 상기 고휘도 LED(360)를 점등시켜 투명창(311,322)을 통해 경보에 대한 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출하도록 하며, ID 저장부(380)에 저장된 자신의 ID와 페어링된 작업자 디바이스(100)로 통신부(37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아울러, 자신의 ID를 통신부(370)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 디바이스(200) 또는 미리 설정된 중앙관제소 또는 소방관제소로 전송하게 되어 경보상황임을 알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작업자 디바이스(100)를 작업시 착용하는 작업 밴드 또는 벨트에 고정시키거나 작업복에 부착시켜 착용하게 되며, 이러한 작업자의 작업 밴드 또는 벨트에 안전고리(600)가 구비된 로프(500)의 일단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안전구(300)를 안전고리(600)에 근접한 로프(500)의 위치에 체결하게 되면, 작업자 디바이스(100)와 안전구(300)가 근접한 상태에서 서로 페어링된다.
즉, 작업자 디바이스(100)의 ID와 안전고구(300)의 ID에 의해 서로 페어링되는 것이다.
또한,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로프(500)의 움직임을 확인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걸었는지를 비접촉식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작업 현장의 지면 위치에서 작업자 버튼을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101)는 고도센서(102)로부터 현재의 고도정보를 입력받아 기준고도 '0'으로 설정하게 된다.
즉, 작업 현장이 해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작업 현장의 지면을 기준고도로 설정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 위치를 판단하고자 함이며, 이때 지면으로부터 2~3m 이상의 고소작업이 이루어질 때만 안전고리의 미체결에 대한 경보를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고소작업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안전고리의 미체결에 대한 경보를 굳이 발생하지 않아야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면보다 높은 2~3m 이상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컨트롤러(101)는 고도센서(102)로부터 입력되는 고도 측정값을 입력받아 경보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안전구(300)로부터 경보신호가 발생되면, 통신부(107)를 통해 입력받아 경보부(106)를 통해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고리 미체결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안전구(300)는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소정시간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정상적인 움직임이라면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라면 경보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건 경우에는 작업자의 이동에 의해 안전고리(600)가 안전로프 상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움직임이 감지된다.
따라서,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설정시간 예를 들면 10초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고나 정상적인 움직임이라고 판단되면, 컨트롤러(340)는 경보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걸지 않았다면, 안전고리(600)가 작업장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움직이더라도 로프(500)의 길이에 의해 자이로센서(350)가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걸었을 때와는 다르게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될 것이다.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움직임을 감지되지 못한 시간이 설정시간을 넘어서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라면, 컨트롤러(340)는 안전고리(600)가 안전로프에 걸려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고휘도 LED(360)를 점등시켜, 투명창(311,322)을 통해 안전고리 미체결에 대한 가시적인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즉, 투명창(311,322)이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에서나 가시적인 경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컨트롤러(350)는 통신부(370)를 통해 작업자 디바이스(100)로 경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이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판단은 컨트롤러(340)에서 행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움직임 즉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걸었을 때 자이로센서(350)에 의해 감지되는 로프(500)의 움직임 패턴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즉 안전고리(600)를 안전로프에 걸지 않고, 바닥에 놓아둔다거나 바닥에서 끌고 다닐 때의 안전고리(600)의 움직임 패턴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안전고리(600)가 안전로프에 체결된 경우에는 로프(500)가 자연스럽게 흔들리는 움직임 패턴이 나타날 것이고, 반면에 바닥에 놓아둔다거나 바닥에서 끌고 다닐 때는 안전고리(600)에 근접하여 안전구(300)가 위치하게 되므로, 움직임 패턴이 정지되거나 또는 자연스럽게 흔들리는 움직임 패턴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로프(500)의 정상적 및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의 데이터는 인공지능에 의해 딥러닝되어 학습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340)는 자이로센서(350)로부터 감지된 움직임 패턴에 의해 안전고리(600)의 체결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 패턴에 의해 안전고리(600)가 안전로프에 체결된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15-0124627호(센서를 이용한 동작 인식 방법 및 장치), 공개특허 제10-2015-0118639호(모션 인식을 위한 센서 값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디바이스(100)는 안전구(300)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생하여 안전고리를 안전로프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바닥에 놓여진 로프(500)에 체결된 안전구(300)가 점등됨으로써 주위의 동료나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서 안전고리 체결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340)는 통신부(37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자 디바이스(200)로 자신의 ID를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자신의 관리자 디바이스(200)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안전고리 미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 또는 IoT 통신망으로 된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100) 또는 안전구(300)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인가받아 MPU(210)로 제공하고, 상기 MPU(21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안전고리 미체결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경보부(240)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관리자는 해당 작업자에게 안전고리를 착용을 위한 경고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종래와 같이 안전고리에 마이크로 스위치, 접촉센서, 접촉 스위치, 포토커플러 등으로 된 접촉식 센서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센서 장착을 위한 안전고리의 구조 변화가 필요없고, 간단히 로프(500)에 체결되는 안전구(300)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안전고리 미체결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건축중인 건물이 붕괴되어 작업자가 콘크리트 더미에 매몰된 경우에 그 매몰된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여 구조를 하여야 하지만, 대부분 매몰된 위치를 추측하여 구조하게 되므로 구조 지연에 따라 작업자의 생존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컨트롤러(101)는 연막용기(109)의 밸브(109-1)를 개방시켜 충전된 연막제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더미 사이 공간으로 연막제가 피어 올라 구조자가 작업자의 매몰 위치를 쉽게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우, 관리자 디바이스(200)의 관리자 버튼(250) 즉, 연막 분출에 대한 버튼과 매몰된 작업자의 이름 또는 ID를 입력하게 되면, 이러한 작업자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 MPU(210)는 해당 작업자의 ID 정보와 연막 분출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하게 되고, 작업자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07)를 통해 그 ID 정보와 연막 분출신호를 수신받아 컨트롤러(101)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01)는 ID 저장부(106)에 저장된 작업자의 ID와 일치하면, 연막용기(109)의 밸브(1091-1)를 개방시켜 연막용기(109)의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시킴으로써 작업자의 매몰위치를 구조자들이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건물 붕괴 후 작업자가 의식이 있어서, 자신의 작업자 단말기(100)의 작업자 버튼(104) 즉 연막 분출버튼을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101)는 곧바로 밸브 제어신호를 밸브(109-1)로 출력하고, 이로 인해 밸브(109-1)가 개방되어 연막용기(109)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자들이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작업자의 추락시에도 추락위치를 신속히 판단하기 위하여 이러한 연막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방안으로는, 상기에서와 같이 자이로 센서(103)로부터 입력된 값을 컨트롤러(101)에서 제공받고, 컨트롤러(101)는 밸브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109-1)를 제어하여 연막용기(109)로부터 연막제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자이로 센서(103)로부터 설정한 값보다 큰 위치변화값이 입력되면, 이는 추락사고 발생을 의미하므로 컨트롤러(101)는 밸브 제어신호에 의해 밸브(109-1)를 개방시킴으로써 연막용기(109)에서 연막제가 분출되도록 하여 사고가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막 발생을 위한 연막용기(109)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연막제가 압축되어 충전되므로, 매몰 사고시에 분출된 연막제가 붕괴된 콘트리트 더미의 틈을 통해 상승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에게 추락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구조자들이 이를 신속하게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컨트롤러(101)는 통신부(107)를 통하여 작업자의 추락시 자이로 센서(103)는 작업자의 급격한 위치변화 정보를 감지하여 원격지의 관리자 디바이스(200)로 작업자 ID와 경보신호를 관리자 디바이스(200)로 전송하게 되면, 관리자 디바이스(200)는 근거리 통신 또는 IoT 통신망으로 된 통신부(220)를 통해 이를 인가받아 MPU(210)로 제공하고, 상기 MPU(210)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해당 작업자의 위급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게 되고, 또한 동시에 경보부(240)를 통해 청각적으로 위급상황을 알리게 된다.
그러므로, 관리자는 이러한 경보신호에 의해 즉시 상황을 판단하여 사고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200)에는 경찰서 또는 소방서의 연락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곧바로 통신부(220)를 통해 구조요청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작업자 디바이스
101 : 컨트롤러
102 : 고도 센서
103 : 자이로 센서
104 : 작업자 버튼
105 : ID 저장부
106 : 경보부
107 : 통신부
109 : 연막용기
110 : 비콘부
200 : 관리자 디바이스
210 : MPU
220 : 통신부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경보부
250 : 관리자 버튼
300 : 안전구
310,320 : 케이스
311,322 : 투명창
330 : 로프 삽입공
331 : 패킹
340 : 컨트롤러
350 : 자이로 센서
360 : 고휘도 LED
370 : 통신부
380 : ID 저장부
500 : 로프
600 : 안전고리

Claims (4)

  1.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를 가운데 두고 양측에서 탈부착이 체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 투명창;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여 회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로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인 경보를 발생하는 고휘도 LED;
    자신의 ID를 저장하고 있는 ID 저장부;
    경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거나 움직임 패턴이 비정상적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휘도 LED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상기 ID 저장부에 저장된 ID와 경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2. 안전고리와 연결된 로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자이로센서에 의해 로프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없거나 움직임 패턴이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발생하며, 고유 ID를 갖는 안전구;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고도센서와, 자이로 센서와, 경보부와, 통신부와, 상기 작업자의 고유 ID가 저장된 ID 저장부를 가지며, 상기 안전구와 통신부에 의해 페어링하고, 상기 고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작업자의 위치가 기준 높이보다 일정 높이 이상이 된 후 상기 안전구로부터 경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경보부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작업자 디바이스;
    상기 안전구로부터 전송되어진 작업자의 고유 ID와 경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인가받아 디스플레이부와 경보부를 통해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디바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고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작업자의 급격한 위치 변화가 감지되면, 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통신부로부터 밸브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밸브를 개방시켜 연막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시키는 연막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는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버튼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자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자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어진 신호를 인가받아 밸브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통신부로부터 밸브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밸브를 개방시켜 연막용기의 내부에 충전된 연막제를 분출시키는 연막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0200108439A 2020-08-27 2020-08-27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102217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39A KR102217765B1 (ko) 2020-08-27 2020-08-27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39A KR102217765B1 (ko) 2020-08-27 2020-08-27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765B1 true KR102217765B1 (ko) 2021-02-22

Family

ID=746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39A KR102217765B1 (ko) 2020-08-27 2020-08-27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7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54B1 (ko) 2022-04-19 2022-07-12 (주)채움종합건설 추락방지를 위한 작업자 안전고리 체결확인시스템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20220168320A (ko) * 2021-06-16 2022-12-23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고리의 가설구조물 체결 여부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3-02-08 장봉재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102055418B1 (ko) * 2019-08-21 2019-12-12 주식회사 트리톤넷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20200055420A (ko) *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200055420A (ko) *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55418B1 (ko) * 2019-08-21 2019-12-12 주식회사 트리톤넷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20A (ko) * 2021-06-16 2022-12-23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고리의 가설구조물 체결 여부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620876B1 (ko) * 2021-06-16 2024-01-05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고리의 가설구조물 체결 여부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418954B1 (ko) 2022-04-19 2022-07-12 (주)채움종합건설 추락방지를 위한 작업자 안전고리 체결확인시스템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3-02-08 장봉재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765B1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US8928482B2 (en) Personal fall protection system monitoring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US11207550B2 (en) Controlled descent self-retracting lanyard
KR10179015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US10043368B1 (en) Fall detection system
US9390609B2 (en) Monitoring apparatus
KR102055418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EP3443547A1 (en) Fall detection system
US9214076B2 (en) Firefighter&#39;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TW202045223A (zh) 具有監測系統之墜落防護系統
KR101676813B1 (ko) 개인인명구조용 경보기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US20130154825A1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30120279A (ko)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 시스템
KR20210050730A (ko)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경보장치
KR102229620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20190113150A (ko) 추락방지 시스템
KR20220015770A (ko) 지능형 안전 고리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