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524B1 -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524B1
KR102497524B1 KR1020220075575A KR20220075575A KR102497524B1 KR 102497524 B1 KR102497524 B1 KR 102497524B1 KR 1020220075575 A KR1020220075575 A KR 1020220075575A KR 20220075575 A KR20220075575 A KR 20220075575A KR 102497524 B1 KR102497524 B1 KR 10249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abiner
fall prevention
workers
cas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재
Original Assignee
장봉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재 filed Critical 장봉재
Priority to KR10202200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고소 작업자가 추락방지를 위해 착용하는 안전장비인 캐러비나에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여부 및 캐러비나의 정상적인 체결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작업자 또는 주위에 있는 동료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캐러비나의 내주면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센싱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A DEVICE FOR PREVENTING FALL OF THE HIGH PLACE OPERATOR}
본 발명은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 고소 작업자가 추락방지를 위해 착용하는 안전장비인 캐러비나에 부착하여 작업자의 안전여부 및 캐러비나의 정상적인 체결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작업자 또는 주위에 있는 동료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자는 추락의 위험이 매우 높아 다양한 형태의 추락방지 장치가 구비된다.
대표적으로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밴드와 상기 안전밴드에 체결되는 안전로프 및 상기 안전로프의 말단부에 체결되는 캐러비나가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 장비의 캐러비나의 경우 작업자가 현장에 설치되는 안전로프 또는 추락방지용 안전바에 체결하게 되어 있으나,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위해 체결하지 않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36176호(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일측에 안전고리와 전원단자 및 램프를 구비한 버킷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안전고리에 자석을 구비한 안전벨트와, 상기 버킷의 안전고리와 전원단자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와이어와 전선을 구비한 안전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가 버킷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석과 자석센서의 자기장에 의해 센싱되는 안전로프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에 결속하지 않을 경우 버킷에 설치된 램프의 불빛이 빨간색으로 발광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결속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버킷으로부터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활선 고소차량의 버킷과 연동되어 동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버킷을 벗어나 개별적으로 작업할 때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36179호(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2021년 04월 0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5420호(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20년 05월 2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101779호(추락 방지 벨트, 2021년 08월 1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7765호(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2021년 02월 15일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는, 개별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 및 작업자의 추락여부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추락방지용 캐러비나에 휴대용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호환성을 높여 사용상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는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캐러비나의 내주면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센싱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인입되는 인입구(12), 상기 인입구(12)의 내측면 일측에 탄성을 유지하며 돌출형성되어 개폐클립의 접촉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접촉스위치(13), 케이스(1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광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여부 또는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부(14),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되어 ON/OFF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15) 및 외부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가능한 전원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의 케이스(11) 내부에는 메모리모듈, GPS모듈, 자이로모듈, 통신모듈 및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CPU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2)는 플렉시블한 센싱캡(21)과 상기 센싱캡(21)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센서(22)로 구성되고, 상기 센싱캡(21)은 단면이 'U' 또는 '┗┛' 형상으로 일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캐러비나의 내주면 일부분이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싱캡(21)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캐러비나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캐러비나의 크기에 따라 센싱캡의 일측 단부를 절단하여 캐러비나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개별작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 및 작업자의 추락여부 등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추락방지용 캐러비나에 휴대용으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호환성을 높여 사용상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내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적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내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러비나를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현장적용을 도시하기 의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내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적용을 도시한 전개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내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는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비인 캐러비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추락방지용 캐러비나의 정상적인 착용 및 적용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또한, 캐러비나의 위치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작업장의 위치 및 추락여부 등도 판단하고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종합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하는 캐러비나의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센싱부(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캐러비나의 내주면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센싱부(2)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몸체부(1)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인입되는 인입구(12), 상기 인입구(12)의 내측면 일측에 탄성을 유지하며 돌출형성되어 개폐클립의 접촉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접촉스위치(13), 케이스(1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광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여부 또는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부(14),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되어 ON/OFF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15) 및 외부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가능한 전원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의 케이스(11) 내부에는 메모리모듈, GPS모듈, 자이로모듈, 통신모듈 및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CPU(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모듈은 충전지 또는 교채가능한 배터리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이로모듈은 작업자의 추락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급격한 위치변동 즉, 급격한 높이차이를 인식하여 작업자의 추락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케이스(11)는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단부가 회동되어 접하는 부분인 캐러비나가 개방된 부분 일부분을 내삽하며 체결되고,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인입구(12)의 개방면이 캐러비나의 내주면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인입구(12)의 개방된 부분을 설치방향을 캐러비나의 내주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는 것은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의 회동방향에 따라 배치하는 것이므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캐러비나의 종류에 따라 개폐클립이 캐러비나의 외주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회동될 경우 인입구(12)의 개방면의 방향을 캐러비나의 외주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촉스위치(13)는 인입구(12)의 내측면 일측에 탄성력을 구비하며 돌출 한쌍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면 일부분에 일개 또는 그 이상이 배치되어 형성되거나, 함몰된 내측면에 구비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접촉스위치(13)는 탄성력을 갖는 볼스위치 또는 눌림스위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위치(13)는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촉되고 가압되면 몸체부(1)에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촉스위치(13)에 개폐클립이 비접촉되거나 또는 접촉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클립이 캐러비나의 개방된 부분을 정상적으로 닫아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식부(14)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광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동을 위한 잔존배터리량의 표시, 정상동작여부의 표시, 식별을 위한 ID와 같은 인식정보의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상상황 발생시 이를 표시하는 광신호 및 비상알람 등의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스위치(15)는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버튼형스위치 또는 토글형 스위치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6)는 통신기능이 가능한 충전단자로 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는 CPU의 전원모듈을 충전하거나, CPU의 메모리모듈에 제어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센싱부(2)는 플렉시블한 센싱캡(21)과 상기 센싱캡(21)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센서(22)로 구헝된다.
이때, 상기 센싱캡(21)은 단면이 'U' 또는 '┗┛' 형상으로 일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캐러비나의 내주면 일부분이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센싱캡(21)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캐러비나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러비나의 크기에 따라 센싱캡의 일측 단부를 절단하여 캐러비나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센싱캡(2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센서(22) 내측에 접촉되는 안전바 또는 로프와 같은 안전시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센서(22)는 몸체부(1)에 구비되는 CPU와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는 캐러비나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전개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러비나를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러비나의 동작을 도시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는 사각형상의 캐러비나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센싱부(2a)의 센싱캡(21a)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태를 띄고, 센싱캡(21a)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 또한 각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센싱부(2a)의 센싱캡(21a) 또한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센싱캡(21a)의 일측면에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센서(22a)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센싱부(2a)와 연결되는 몸체부(1a)도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a), 상기 케이스(11a)의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인입되는 인입구(12a), 상기 인입구(12a)의 내측면 일측에 탄성을 유지하며 돌출형성되어 개폐클립의 접촉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접촉스위치(13a), 케이스(11a)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광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여부 또는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부(14a), 상기 케이스(11a)의 일측에 구비되어 ON/OFF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15a) 및 외부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가능한 전원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16a)로 구성되어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의 정상동작여부 등을 판단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시 안전여부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A)는 작업자가 안전바 또는 기타 추락방지을 위한 안전부재에 정상적으로 캐러비나를 체결하였는지를 독립적으로 감지하고, 자이로모듈 등을 이용하여 추락여부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음성시그널 또는 광시그널 등을 표시하기도 하지만, 현장에 설치되는 통신단말기(B) 등을 통하여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용 종합추락방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하여 작업자의 고소작업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현장적용을 도시하기 의한 예시도인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소작업을 위해 현장에 설치되는 비계발판 또는 골조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통신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작업자의 위치정보 위험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CPU에 포함되는 GPS모듈 및 자이로모듈 등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통신단말기로 전송받아 작업자의 위치 및 추락과 같은 비상상황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외부에 더 구비될 수 있는 작업자 종합추락방지 시스템의 서버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몸체부 2 : 센싱부
11 : 케이스 12 : 인입구
13 : 접촉스위치 14 : 표식부
15 : 메인스위치 16 : 접속단자
21 : 센싱캡 22 : 센서

Claims (6)

  1. 고소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접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몸체부(1)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함몰형성되고 캐러비나의 개폐클립이 인입되는 인입구(12), 상기 인입구(12)의 내측면 일측에 탄성을 유지하며 돌출형성되어 개폐클립의 접촉여부를 판단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접촉스위치(13), 상기 케이스(1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광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여부 또는 이상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식부(14),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되어 ON/OFF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15) 및 외부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 내부에 구비되는 충전가능한 전원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16)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캐러비나의 내주면에 외삽되어 고정되는 센싱부(2)는 플렉시블한 센싱캡(21)과 상기 센싱캡(21)의 일측면에 복수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센서(22)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1)와 센싱부(2)는 캐러비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케이스(11) 내부에는 메모리모듈, GPS모듈, 자이로모듈, 통신모듈 및 전원모듈을 포함하는 CPU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캡(21)은 단면이 'U' 또는 '┗┛' 형상으로 일측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에 캐러비나의 내주면 일부분이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캡(21)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캐러비나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캐러비나의 크기에 따라 센싱캡의 일측 단부를 절단하여 캐러비나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KR1020220075575A 2022-06-21 2022-06-21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KR10249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75A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2-06-21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75A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2-06-21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524B1 true KR102497524B1 (ko) 2023-02-08

Family

ID=8522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575A KR102497524B1 (ko) 2022-06-21 2022-06-21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5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KR20200055420A (ko)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217765B1 (ko) 2020-08-27 2021-02-22 주식회사 트리톤넷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20210036179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베이스캠프코리아 지하철 터널내 먼지 제거 장치
KR20210101779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추락 방지 벨트
KR20220015771A (ko) * 2020-07-31 2022-02-08 수퍼게이트 주식회사 안전 고리의 지능형 모니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KR20200055420A (ko) 2018-11-13 2020-05-21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10036179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베이스캠프코리아 지하철 터널내 먼지 제거 장치
KR20210101779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추락 방지 벨트
KR20220015771A (ko) * 2020-07-31 2022-02-08 수퍼게이트 주식회사 안전 고리의 지능형 모니터 방법
KR102217765B1 (ko) 2020-08-27 2021-02-22 주식회사 트리톤넷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893B (zh) 指示供气式呼吸器系统中的危险暴露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ES2816349T3 (es) Método y sistema computarizados de seguimiento y advertencia de proximidad para el personal, la planta y el equipo que funcionan tanto por encima como por debajo del suelo o su movimiento entre ellos
US10060582B2 (en) Modular flashlight system with retention device
AU2009262154B2 (en) Personal alarm device for headwear for proximity detection system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CA2648721C (en) Power cord mounted electronic module for portable lamp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1875184B1 (ko) 소방관 위급 상황 경보기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GB2459944A (en) Article of safety wear with gas alarm indicator
KR102497524B1 (ko)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US20180117373A1 (en) Method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all of a Worker
EP3620265A1 (en) Tool system
KR20190037902A (ko) 활선경보 기능이 있는 안전모의 조명장치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KR101112760B1 (ko) Rfid 기반 위험요소 감지 안전모
CN214677782U (zh) 一种智能安全帽和矿工安全监测系统
CN109791720B (zh) 可穿戴设备及包括其的监控系统
KR101822759B1 (ko) 스마트 우산
GB2591083A (en) Safety harness system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US20120105224A1 (en) Light emitting beacon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