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080A -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080A
KR20160135080A KR1020150068339A KR20150068339A KR20160135080A KR 20160135080 A KR20160135080 A KR 20160135080A KR 1020150068339 A KR1020150068339 A KR 1020150068339A KR 20150068339 A KR20150068339 A KR 20150068339A KR 20160135080 A KR20160135080 A KR 20160135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ensor
safety
hook body
we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988B1 (ko
Inventor
황문영
박종배
신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8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harness)와 시공 현장의 구조물을 연결하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식손잡이(120)가 회동하여 열리는 경우 후크몸체(110)의 접촉이 끊어지고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후크몸체(1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130); 후크몸체(110)와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을 다른 물체가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40);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50); 제1센서(130)와 제2센서(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광원부(15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60); 및, 1센서(130), 제2센서(140), 광원부(150) 및 제어부(16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광식 안전후크(100); 발광식 안전후크(10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사시 작업자의 생명줄 역할을 하는 웨빙부(200); 및, 작업자의 안전그네(harness)와 웨빙부(200)의 타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이용한 안전벨트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Luminous Safety Hook and Safety Bel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안전후크의 사용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발광이 이루어지고, 신호등 색상인 적색, 녹색, 황색의 개념을 접목시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안전그네(harness)는 안전벨트(안전대)와 함께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현재 상용화된 안전벨트의 경우 웨빙의 양측에 각각 걸고리 역할을 하는 후크와 카라비너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후크의 경우 걸고리 역할을 하는 후크몸체와 이러한 후크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식손잡이로 구성되고, 개폐식손잡이(120)에는 개폐식손잡이(12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함께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후크와는 달리 후크에 감지용 센서가 설치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도 있는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 제10-2011-0043478호의 경우 작업자의 신체 둘레에 장착되는 인체벨트(안전그네)를 피걸림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체에 있어서, 훅(72)의 갈고리상부재(721)에 피걸림물(73)과 접촉하는 위치에 압력센서(720)를 구비하고, 회로기판(728)에 마련된 제어부는 압력센서(720)의 출력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값을 넘는 하중 또는 압력이 일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 작업자가 낙하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주위에 알리기 위해 경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훅(72)은 추락사고가 발생한 이후에 작동하는 장치로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크에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를 구비하여 추락 방지를 위한 구조물에 후크를 체결할 경우 센서와 함께 구비된 광원부가 점등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서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후크가 추락 방지 구조물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본인은 물론 현장 관리자가 원거리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둘째, 안전벨트에 형광 처리를 함과 동시에, "이동"과 "작업"이라는 문구를 자수로 표기하여 시인성 향상과 함께 작업장 이동시 체결할 안전벨트와 이동후 작업 직전에 체결할 안전벨트를 구분하여 미리 정해진 메뉴얼에 따라 순차적 행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신호등과 같이 적색, 황색, 녹색이라는 3가지 색상 처리를 통하여 누구나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등 체계에 따른 행동요령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장 이동 및 작업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harness)와 시공 현장의 구조물을 연결하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걸고리 역할을 하며 일측이 개방된 후크몸체(110); 상기 후크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식손잡이(120);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회동하여 열리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의 접촉이 끊어지고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130); 상기 후크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몸체(110)와 상기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을 다른 물체가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40); 상기 후크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50); 상기 제1센서(130) 및 상기 제2센서(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5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60); 및, 상기 제1센서(130), 상기 제2센서(140), 상기 광원부(150) 및 상기 제어부(16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30)로부터 상기 후크몸체(110)와의 접촉이 끊어진 후 다시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2센서(140)로부터 상기 후크몸체(110)와 상기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다른 물체가 통과하고 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점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발광식 안전후크를 이용한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식 안전후크(100); 상기 발광식 안전후크(10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사시 작업자의 생명줄 역할을 하는 웨빙부(200); 및, 작업자의 안전그네(harness)와 상기 웨빙부(200)의 타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크에 비접촉식 센서와 접촉식 센서를 구비하여 추락 방지를 위한 구조물에 후크를 체결할 경우 센서와 함께 구비된 광원부가 점등하여 빛을 발생시킴으로서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후크가 추락 방지 구조물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킴으로써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현장 관리자는 작업자들이 후크를 제대로 체결하고 작업하는지 여부를 원거리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광원부는 별도의 조명기구를 휴대하지 않은 작업자들이 보조용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둘째, 안전벨트에 형광 처리를 함과 동시에, "이동"과 "작업"이라는 문구를 자수로 표기하여 시인성 향상과 함께 작업장 이동시 체결할 안전벨트와 이동후 작업 직전에 체결할 안전벨트를 구분하여 미리 정해진 메뉴얼에 따라 순차적 행동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신호등과 같이 적색, 황색, 녹색이라는 3가지 색상 처리를 통하여 누구나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신호등 체계에 따른 행동요령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장 이동 및 작업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후크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센서 부위를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harness)와 시공 현장의 구조물을 연결하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후크에 관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110)는 걸고리 역할을 하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에는 개폐식손잡이(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개폐식손잡이(120)에는 개폐식손잡이(12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함께 구비됨이 일반적이며, 후크몸체(110)와 개폐식손잡이(120)와 같은 구조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후크와 유사한 바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센서(130)는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접촉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후크몸체(110)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된다. 즉 개폐식손잡이(120)와 후크몸체(110)가 맞닿는 개폐식손잡이(120)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후크몸체(110)의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센서(130)는 개폐식손잡이(120)가 회동하여 열리는 경우 후크몸체(110)의 접촉이 끊어지고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후크몸체(1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게 된다.
제2센서(140)는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후크몸체(110)와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을 다른 물체가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데, 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센서(1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후크몸체(1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광원부(150)는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데, 다양한 종류의 형태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에너지 효율 및 제품의 크기 등을 고려할 때 LED 램프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원부(150)의 경우에도 제2센서(140)와 마찬가지로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후크몸체(1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제1센서(130) 및 제2센서(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광원부(15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60)는 제1센서(130)로부터 후크몸체(110)와의 접촉이 끊어진 후 다시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제2센서(140)로부터 후크몸체(110)와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다른 물체가 통과하고 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점등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작업 공간에 존재하는 쇠파이프나 기타 구조물에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개폐식손잡이(120)가 반드시 열였다가 닫혀야 하는데, 이러한 개폐 동작은 제1센서(130)에 의하여 감지되고, 작업 공간의 쇠파이프와 같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후크몸체(110)와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를 통과하면 제2센서(140)에 의하여 감지되는 거리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감지 거리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2센서는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체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면 광원부(150)가 점등하여 체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되고, 이와 같이 광원부(150)의 점등을 통하여 작업자 본인은 물론 다른 작업자들도 동료가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제대로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제대로 체결되지 않은 경우 즉시 시정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170)는 제1센서(130), 제2센서(140), 광원부(150) 및 제어부(16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후크몸체(110)나 개폐식손잡이(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70)는 다양한 종류의 밧데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센서(130), 제2센서(140), 광원부(150), 제어부(160) 및 전원공급부(17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모듈화되어 개폐식손잡이(12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나의 몸체로 모듈화될 경우 종래의 안전후크에 이러한 모듈을 부착함으로써 손쉽게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모듈은 개폐식손잡이(120)뿐만 아니라 후크몸체(110)의 내측면에 적절한 위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후크몸체(110)는 황색 또는 녹색으로 표면처리가 되고, 개폐식손잡이(120)는 적색으로 표면처리가 되는데, 이와 같이 교통신호등에서 채택하는 황색, 녹색, 적색을 적용한 이유는 신호등 체계에 따른 행동요령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장 이동 및 작업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하여는 아래의 안전벨트 부분에서 함께 설명한다.
아울러 표면처리 방법은 특정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 알려진 도장 방법, 도금 방법, 산화피박 처리 방법 등 다양한 방식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형광처리가 함께 됨이 바람직하다.
도4 및 도5에는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이용한 안전벨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안전벨트는 발광식 안전후크(100), 웨빙부(200), 및 연결부(300)로 구성된다.
발광식 안전후크(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가 사용된다.
웨빙부(200)는 발광식 안전후크(10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사시 작업자의 생명줄 역할을 하며, 현재 시중에서 판매 중인 여러 종류의 안전벨트에 적용된 웨빙들과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작업자의 안전그네(harness)와 웨빙부(200)의 타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카라비너나 이와 유사한 구조의 것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웨빙부(200)는 형광처리되고 특정 문자가 표시된다.
즉, 후크몸체(110)가 황색인 경우 웨빙부(200)도 황색으로 형광처리되고, 후크몸체(110)가 녹색인 경우 웨빙부(200)도 녹색으로 형광처리 된다.
아울러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에는 "이동"이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에는 "작업"이라는 단어가 표시되는데, 이러한 "이동"이나 "작업"이라는 단어는 적색실로 자수(刺繡)를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작업 공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와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가 한 조를 이루면서 함께 사용된다.
작업 공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만 이동할 공간의 구조물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고, 이동을 한 후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를 이동한 공간의 구조물에 함께 체결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호등과 같이 적색, 황색, 녹색이라는 3가지 색상 처리를 통하여 신호등 체계에 따른 행동요령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장 이동 및 작업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즉, 발광식 안전후크(100)의 적색으로 표면처리된 개폐식손잡이(120)를 누르거나 푸는 동작을 할 때는 작업을 중지하고[적색:작업중지], 황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의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이동할 공간의 구조물에 1차 체결하는 과정에서도 작업 중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황색;작업대기], 해당 작업 공간으로 이동을 완료환 후 녹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의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이동한 공간의 구조물에 2차 체결을 완료한 후[녹색:작업시작] 작업을 시작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안전의식의 습관화를 위하여 일반인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있는 신호등의 사회적 규칙과 유사한 방식을 채택하여 안전의식의 습관화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안전수칙을 단계별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신호등 적색의 경우 통행이 금지된다는 개념에 따라 작업자도 적색의 개폐식손잡이(12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는 이동 및 작업을 중지하도록 규제하고, 신호등 황색의 경우 교통신호가 변환되기 직전의 중간과정 또는 대기과정이라는 개념에 따라 황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의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이동할 공간의 구조물에 1차 체결하는 과정에서도 작업을 계속 중지하고 1차 체결이 완료되면 작업은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작업장만 이동하도록 규제하고, 신호등 녹색의 경우 통행이 시작된다는 개념에 따라 작업 공간으로 이동을 완료환 후 녹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의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이동한 공간의 구조물에 2차 체결을 완료한 후 작업을 시작하도록 규제하는 것이다.
작업 공간의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만 사용될 수 있는데, 작업 공간의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만 작업 공간의 구조물에 체결하고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황색 처리된 안전벨트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황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는 연결부(300)에서 제거하고 사용하면 되고, 적색 처리된 개폐식손잡이(120)를 누르거나 푸는 동작을 할때 작업을 중지하고[적색;작업중지], 녹색으로 처리된 안전벨트의 발광식 안전후크(100)를 작정 공간의 구조물에 체결을 완료한 후[녹색:작업시작] 작업을 시작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발광식 안전후크
110:후크몸체
120:개폐식손잡이
130:제1센서
140:제2센서
150:광원부
160:제어부
170:전원공급부
200:웨빙부
300:연결부

Claims (9)

  1.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harness)와 시공 현장의 구조물을 연결하는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후크에 관한 것으로서,
    걸고리 역할을 하며 일측이 개방된 후크몸체(110);
    상기 후크몸체(110)의 개방된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식손잡이(120);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와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회동하여 열리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의 접촉이 끊어지고 상기 개폐식손잡이(120)가 닫히는 경우 상기 후크몸체(11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130);
    상기 후크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몸체(110)와 상기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을 다른 물체가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140);
    상기 후크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상기 개폐식손잡이(1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50);
    상기 제1센서(130) 및 상기 제2센서(1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5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60); 및,
    상기 제1센서(130), 상기 제2센서(140), 상기 광원부(150) 및 상기 제어부(16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센서(130)로부터 상기 후크몸체(110)와의 접촉이 끊어진 후 다시 접촉이 이루어졌다는 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제2센서(140)로부터 상기 후크몸체(110)와 상기 개폐식손잡이(120)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 다른 물체가 통과하고 있다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만 점등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
  2. 제1항에서,
    상기 제1센서(130), 상기 제2센서(140), 상기 광원부(150), 상기 제어부(160) 및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하나의 몸체로 모듈화되어 상기 개폐식손잡이(120) 또는 상기 후크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후크몸체(110)는 황색 또는 녹색으로 표면처리가 되고,
    상기 개폐식손잡이(120)는 적색으로 표면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
  4. 제3항에 기재된 발광식 안전후크를 이용한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식 안전후크(100);
    상기 발광식 안전후크(100)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어 유사시 작업자의 생명줄 역할을 하는 웨빙부(200); 및,
    작업자의 안전그네(harness)와 상기 웨빙부(200)의 타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이용한 안전벨트.
  5. 제4항에서,
    상기 후크몸체(110)가 황색인 경우 상기 웨빙부(200)도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것이 사용되고,
    상기 후크몸체(110)가 녹색인 경우 상기 웨빙부(200)도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구비한 안전벨트.
  6. 제5항에서,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상기 웨빙부(200)에는 "이동"이라는 단어가 표시되고,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상기 웨빙부(200)에는 "작업"이라는 단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구비한 안전벨트.
  7. 제6항에서,
    상기 웨빙부(200)에 표시되는 "이동"이나 "작업"이라는 단어는 적색실로 자수(刺繡)를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구비한 안전벨트,
  8. 제5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작업 공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와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가 한 조를 이루면서 함께 사용되고,
    작업 공간의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구비한 안전벨트.
  9. 제8항에서,
    작업 공간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황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만 이동할 공간의 구조물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고, 이동을 한 후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를 이동한 공간의 구조물에 함께 체결하고,
    작업 공간의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 녹색으로 형광처리된 웨빙부(200)가 사용된 안전벨트만 작업 공간의 구조물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식 안전후크를 구비한 안전벨트.

KR1020150068339A 2015-05-15 2015-05-15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KR10170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39A KR101701988B1 (ko) 2015-05-15 2015-05-15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339A KR101701988B1 (ko) 2015-05-15 2015-05-15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080A true KR20160135080A (ko) 2016-11-24
KR101701988B1 KR101701988B1 (ko) 2017-02-03

Family

ID=5770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339A KR101701988B1 (ko) 2015-05-15 2015-05-15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40B1 (ko) * 2020-09-21 2021-02-23 유봉수 스마트 안전고리 시스템
GB2591083A (en) * 2020-01-02 2021-07-21 Cape Industrial Services Ltd Safety harness system
KR2021011788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102497524B1 (ko) * 2022-06-21 2023-02-08 장봉재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US11633633B2 (en) 2018-02-09 2023-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having inductive sensor for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JP2024011230A (ja) * 2022-07-14 2024-01-25 株式会社つくし工房 ランヤード及びランヤード用の発光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55B1 (ko) * 2019-12-13 2022-03-23 임홍규 스마트 안전고리
KR20230141404A (ko) 2022-03-30 2023-10-10 (주)엘센 안전고리 센서 장치 및 안전고리 센싱 방법
KR102623196B1 (ko) * 2023-06-01 2024-01-11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스마트 안전고리의 체결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478A (ko) * 2009-10-20 2011-04-27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전대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KR20140002303A (ko) * 2012-06-29 2014-0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JP2014004005A (ja) * 2012-06-21 2014-01-16 Kajima Corp 安全帯使用状態確認システム、安全帯使用状態確認方法、及び安全帯のフック
JP2014140545A (ja) * 2013-01-24 2014-08-07 Energia Communications Inc フック連結確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478A (ko) * 2009-10-20 2011-04-27 후지이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안전대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JP2014004005A (ja) * 2012-06-21 2014-01-16 Kajima Corp 安全帯使用状態確認システム、安全帯使用状態確認方法、及び安全帯のフック
KR20140002303A (ko) * 2012-06-29 2014-0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JP2014140545A (ja) * 2013-01-24 2014-08-07 Energia Communications Inc フック連結確認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633B2 (en) 2018-02-09 2023-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 protection equipment having inductive sensor for connection status and control
GB2591083A (en) * 2020-01-02 2021-07-21 Cape Industrial Services Ltd Safety harness system
KR2021011788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218840B1 (ko) * 2020-09-21 2021-02-23 유봉수 스마트 안전고리 시스템
KR102497524B1 (ko) * 2022-06-21 2023-02-08 장봉재 고소 작업자 추락방지 장치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JP2024011230A (ja) * 2022-07-14 2024-01-25 株式会社つくし工房 ランヤード及びランヤード用の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88B1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988B1 (ko)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US7942544B2 (en) Hose mounted visual indicating device
CN106788527B (zh) 具有监控功能的安全帽及其监控方法
KR102248119B1 (ko) IoT를 활용한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
JP2010094375A (ja) 安全帯および安全帯の装着確認システム
KR102055418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US20230021571A1 (en) Smart trigger system
KR102431043B1 (ko)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CN202075821U (zh) 多色声光报警器
KR101676813B1 (ko) 개인인명구조용 경보기
CN206791722U (zh) 用于有害环境中的操作者的衣物及由该操作者使用的设备
JP3176548U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20262873A3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9850710A (zh) 电梯的厅门安全装置、电梯的厅门安全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梯
CN209084463U (zh) 安全帽多角度预警灯装置
KR200387960Y1 (ko) 안전대
KR20220080285A (ko) 스마트 안전대
KR102015243B1 (ko) 발광 헬멧
KR20220160973A (ko) 고소작업시 안전고리 체결 여부 감지 시스템 및 안전고리 체결 여부 감지 방법
CN203581356U (zh) 多功能应急救援救生衣
KR20040040415A (ko) 비상탈출용 유도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499400B1 (ko) 작업장 안전사고 방지용 복합 경고등 장치
JP2004229721A (ja) 安全ベルト
CN205722302U (zh) 倒闸操作和检修作业中使用的挂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