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043B1 -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 Google Patents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043B1
KR102431043B1 KR1020220085924A KR20220085924A KR102431043B1 KR 102431043 B1 KR102431043 B1 KR 102431043B1 KR 1020220085924 A KR1020220085924 A KR 1020220085924A KR 20220085924 A KR20220085924 A KR 20220085924A KR 102431043 B1 KR102431043 B1 KR 10243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elt
vest
fix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규
김형철
손순복
Original Assignee
(주)일신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22008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밝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작업용 조끼에 있어서,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로 통풍구조의 망사천(11)을 포함하는 조끼몸체(10); 상기 조끼몸체(10)의 중심부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21)에 의해 가슴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인 가슴고정벨트(20);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하부측 조끼몸체(10)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31)에 의해 배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통전연결된 배터리(32a)에 의해 일정 밝기로 통전발광되고, 좌우측 표면에 수직으로 상하단이 재봉고정된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가 각각 형성되는 추락방지벨트(30);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삼각고정링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삼각고정링부(41)의 외측단에 일체로 용접고정되는 원형몸체(42a)를 갖고 원형몸체(42a) 전방선단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나사돌부(42b)를 갖으며 외측나사돌부(42b) 선단면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공(42c)을 갖고 작동공(42c) 후방측에 공간이 확장되어 밀폐커버(42e)에 의해 수밀되게 밀폐되는 스위치공간(42d)을 갖으며 스위치공간(42d)에 안착되어 스프링(42h)에 의해 작동공(42c)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의 스위치작동돌부(42g)가 작동공(42c) 내부로 삽입되고 스위치작동돌부(42g) 눌림시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 및 배터리(32a)와 통전연결되어 발광시키며 스위치작동돌부(42g) 돌출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전원단락되어 소등되는 엘이디스위치(42f)를 갖는 체결스위치몸체(42)가 각각 형성되며, 체결스위치몸체(42)의 외측나사부(42b)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내측나사부(43b)를 갖고 작동공(42c)에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를 점등시키는 점등바(43a)를 갖는 체결고정구(43)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 및 일단이 안전로프(53)나 안전로프(53)에 연결된 좌우측 안전로프 연결용 안전고리(52,52a)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판체로 통공형성된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의 체결스위치몸체(42) 외측나사돌부(42b)에 삽입되어 체결고정구(43)에 의해 체결고정되면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를 발광점등시키고 체결고정구(43)의 나사풀림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누르는 힘이 해소되어 스위치작동돌부(42g)가 돌출되면서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가 소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 체결고정구(43)의 풀림상태를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50,50a)를 구비하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망사천 구조의 조끼몸체와 가슴고정벨트와 추락방지벨트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와 탈착식 작업알림판을 구비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활동이 편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실용성이 뛰어나고, 좌우측 랜턴삽입공에 의해 랜턴에 의한 야간작업시에도 두 손 사용이 손쉬우며, 추락방지벨트의 다수개 엘이디에 의해 야간작업시 조명으로 사용되면서도 동시에 다수개 엘이디의 점멸상태에 따라서 작업자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의 고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Work vest with fall prevention safety device for safety diagnosis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활동이 편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실용성이 뛰어나고, 좌우측 랜턴삽입공에 의해 랜턴에 의한 야간작업시에도 두 손 사용이 손쉬우며, 추락방지벨트의 다수개 엘이디에 의해 야간작업시 조명으로 사용되면서도 동시에 다수개 엘이디의 점멸상태에 따라서 작업자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의 고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각종 구조물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이다.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편의상 조명, 공구 등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를 착용한 작업자는 어두운 공간(공사 중, 공사 완료, 사용 중, 사용 후의 교량 내부, 건물 내부, 구조물 내부 등)에 들어가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 때, 작업자는 안전 점검 및 진단 수칙표와 안전 점검 및 진단 기구를 비교 검토하면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한손에 조명을 들고 나머지 한손에 안전 점검 및 진단 수칙표와 안전 점검 및 진단 기구를 번갈아들고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수행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 소모가 적고 환경친화적인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하여 휘도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휘도확산을 위하여 반사지 및 여러 장의 프리즘시트를 사용하여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안정성 및 착용감이 편하며 휴대폰 배터리로 쉽게 재충전이 이루어지는 발광형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의 벨트 부분에 휴대폰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고, 상기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원공급부(10)와; 상기 전원공급부(10)에 연결된 각각의 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저전류 방식으로 장시간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각형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와; 상기 각형 엘이디를 장착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절연필름(Polyimide) 위에 동박을 붙인 회로기판인 플렉시블 피씨비(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20)와;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20)에 의해 회로를 구성하는 각형 엘이디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프리즘시트(30)와; 상기 각형 엘이디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정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시트(40)와; 상기 프리즘시트(30)와 반사시트(40)에 의해 확산, 반사되는 상기 각형 엘이디의 빛을 산란하여 넓게 분포시키는 확산시트(50); 로 이루어진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가 특허등록 제10-0692197호(2007.03.13. 공고)로 개시된바, 조끼에서 조명이 제공되므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조명등을 들고 작업하는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안전조끼는,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건강 문제나 여러 외인(화재 등에 의해 호흡기에 질식성 물질이 유입된 상황 등)에 의해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게 알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도 본인의 안전 점검 및 진단 작업에 집중하기 때문에 쓰러진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골든타임을 놓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로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0);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위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받는 감지부(200); 상기 조끼 몸체(100)에 설치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는 알람부(300); 상기 감지부(200)에 감지된 입력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 및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조명을 방사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조끼 몸체(100)의 외면에 고정되는 케이스(210);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에 관통되는 당김줄(220);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을 센싱하여 센싱데이터를 생성하는 당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당김센서를 통하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상기 당김줄(220)을 당기는 동작을 상기 입력 동작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당김센서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당김줄(220)의 당김이 지속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고, 임계값 미만인 경우 오작동으로 판단하는 오작동 판단부(410); 상기 오작동 판단부(410)에서 전송된 센싱데이터를 예외판단부(430)로 전달하는 오작동 중단부(420);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전송된 후, 미리 설정된 예외 판단 시간 내에 상기 오작동 중단부(420)에서 센싱데이터가 다시 전송되는 경우 예외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예외 작동부(440)로 전송하는 예외 판단부(430); 및 상기 예외 판단부(430)에서 상기 예외 작동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300)를 작동시키는 예외 작동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줄(220)은, 길이 변화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되는 전도성 탄성체이며, 상기 당김센서는,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상기 전도성 탄성체의 당김 여부를 센싱하는 저항센서이며, 상기 당김줄(220)의 일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면에 관통되고 상기 당김줄(220)의 타단이 상기 케이스(210)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지고,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당김줄(220)이 수용되는 매듭을 가지고 상기 조끼 몸체(100)의 전방에 재봉되는 고정후크(230)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가 특허등록 제10-2081082호(2020.02.25.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는, 위급상황에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입력동작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함으로써,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러한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반면에, 안전 점검 중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X밴드와 같은 별도의 추락방지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백용 가스발생장치(11)를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10)(10')를 착용시 조끼와 같이 각각 몸의 앞뒷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고, 연결수단(2)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조끼와 같이 착용이 가능한 형태를 유지하게 하며, 케이스(10)(10')의 내부에는 가스발생장치(11)를 설치하고 가스발생장치(11)의 출구가 돌출되는 케이스(10)(10')의 외부면에는 공지된 것과 같은 에어백(12)을 절첩된 상태로 커버(13)의 내부에 설치하여 가스가 분출되면 커버(13)를 찢으면서 크게 부풀어지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10)(10')의 상단부에는 상부를 향하는 형태로 가스발생장치(11')를 설치한 후, 역시 상부를 향하도록 에어백(12')이 설치되어 머리부분을 보호하도록 구성하며,
에어백(12)(12')의 가스발생장치(11)(11')를 작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지된 신호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신호발생 수단으로서 로프를 신호발생 수단에 연결하여 로프가 당겨짐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발생토록 하고, 로프의 반대쪽 끝에 걸고리를 구성하여 작업위치의 적절한 장소에 걸어두는 수단을 포함하며, 신호발생 수단으로서 인체에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심장의 박동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추락함에 의한 인체 열의 변화 또는 심장의 박동 변화 또는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이용하여 가스발생장치를 작동토록 하고, 신호발생수단으로서 작업자의 양발에 접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양발이 바닥에 닿아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동안 접촉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추락으로 판단하여 가스발생장치를 작동하게끔 하거나, 또는 추락이 예상되는 바닥에 센서를 설치하고 작업자의 몸에 그에 반응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면서 일정거리에서 지면의 센서가 감지되면 가스발생장치를 작동시켜 에어백을 펼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가 특허등록 제10-0717083호(2007.05.14. 공고)로 개시된바, 추락을 감지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신속하게 에어백이 펼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추락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추락을 감지할 수 있는 신호발생수단으로써 로프, 열감지센서, 심장박동센서, 속도감지센서, 접지센서를 제공하여 가스발생장치를 작동시 평소 예민하게 반응하는 센서로 인해서 작업자의 평소 작업에 제약이 많아 착용이 불편하고, 센서의 고장이 잦아 실제 추락시 작동여부가 불확실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전조끼(1)의 앞뒤와 상부에 몸체와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용 케이스(2)들을 구성하여 가스발생장치(20)와 연결된 공지의 에어백(200)들이 절첩된 상태로 설치된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1)의 뒤쪽 어깨 부분에는 낙하산용 케이스(3)를 설치하여 낙하산형 튜브(30)를 로프(5)와 연결시켜 내장하여 구성되고, 안전조끼(1)의 허리밴드(10) 부분에는 낙하산형 튜브(30)를 활용할 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4)를 형성하며, 안전조끼(1)는 몸의 앞뒤를 가로지르는 X 자 반도형이고, 허리밴드(10) 부분에서 하부로 V자형 밴드(1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가 특허등록 제10-0805656호(2008.02.20. 공고)로 개시된바, 고층 건물에서 작업할 때 추락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반면에, 착용시 활동이 아주 불편하고, 추락시 신호발생 수단에 의해 가스발생장치(20)의 가스로 에어백(200)과 낙하산형 튜브(30)를 팽창시키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실용성이 떨어지며, 고장의 염려가 많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특허등록 제10-0692197호(2007.03.13. 공고) (KR) 특허등록 제10-2081082호(2020.02.25. 공고) (KR) 특허등록 제10-0717083호(2007.05.14. 공고) (KR) 특허등록 제10-0805656호(2008.02.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망사천 구조의 조끼몸체와 가슴고정벨트와 추락방지벨트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와 탈착식 작업알림판을 구비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활동이 편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실용성이 뛰어나고, 좌우측 랜턴삽입공에 의해 랜턴에 의한 야간작업시에도 두 손 사용이 손쉬우며, 추락방지벨트의 다수개 엘이디에 의해 야간작업시 조명으로 사용되면서도 동시에 다수개 엘이디의 점멸상태에 따라서 작업자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의 고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밝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작업용 조끼에 있어서,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로 통풍구조의 망사천(11)을 포함하는 조끼몸체(10);
상기 조끼몸체(10)의 중심부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21)에 의해 가슴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인 가슴고정벨트(20);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하부측 조끼몸체(10)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31)에 의해 배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통전연결된 배터리(32a)에 의해 일정 밝기로 통전발광되고, 좌우측 표면에 수직으로 상하단이 재봉고정된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가 각각 형성되는 추락방지벨트(30);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삼각고정링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삼각고정링부(41)의 외측단에 일체로 용접고정되는 원형몸체(42a)를 갖고 원형몸체(42a) 전방선단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나사돌부(42b)를 갖으며 외측나사돌부(42b) 선단면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공(42c)을 갖고 작동공(42c) 후방측에 공간이 확장되어 밀폐커버(42e)에 의해 수밀되게 밀폐되는 스위치공간(42d)을 갖으며 스위치공간(42d)에 안착되어 스프링(42h)에 의해 작동공(42c)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의 스위치작동돌부(42g)가 작동공(42c) 내부로 삽입되고 스위치작동돌부(42g) 눌림시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 및 배터리(32a)와 통전연결되어 발광시키며 스위치작동돌부(42g) 돌출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전원단락되어 소등되는 엘이디스위치(42f)를 갖는 체결스위치몸체(42)가 각각 형성되며, 체결스위치몸체(42)의 외측나사부(42b)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내측나사부(43b)를 갖고 작동공(42c)에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를 점등시키는 점등바(43a)를 갖는 체결고정구(43)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 및
일단이 안전로프(53)나 안전로프(53)에 연결된 좌우측 안전로프 연결용 안전고리(52,52a)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판체로 통공형성된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의 체결스위치몸체(42) 외측나사돌부(42b)에 삽입되어 체결고정구(43)에 의해 체결고정되면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를 발광점등시키고 체결고정구(43)의 나사풀림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누르는 힘이 해소되어 스위치작동돌부(42g)가 돌출되면서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가 소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 체결고정구(43)의 풀림상태를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50,50a)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가슴고정벨트(20)는, 정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가 각각 돌출고정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후방측으로 돌출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벨트로, 일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전방선단부통공(61,61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2,62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후방선단부통공(63,63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4,64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 일정간격 다수개가 통공형성되어 랜턴(66)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랜턴삽입공(65,65a)이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60,60a)를 더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중심부에 매직테이프(2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상부 조끼몸체(10)에 수평되게 재봉고정되고 중심부에 매직테이프(71)를 갖는 후방측상부벨트(70); 및
직사각형상의 박판이나 천 재질로, 전면에는 "안전진단"이라는 작업명이 문자표시되고,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매직테이프(24)와 후방측상부벨트(70)의 매직테이프(71)에 대응되어 탈착되는 상하단매직테이프(81,82)가 각각 형성되는 탈착식 작업알림판(80)을 더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다수개 엘이디(32)가 위치된 주변부에는, 상기 엘이디(32)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비닐층(32c)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방수비닐층(32c) 내측에는 엘이디(32) 빛의 확산을 위한 반사층부(32b)를 더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망사천 구조의 조끼몸체와 가슴고정벨트와 추락방지벨트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와 탈착식 작업알림판을 구비하여,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활동이 편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실용성이 뛰어나고, 좌우측 랜턴삽입공에 의해 랜턴에 의한 야간작업시에도 두 손 사용이 손쉬우며, 추락방지벨트의 다수개 엘이디에 의해 야간작업시 조명으로 사용되면서도 동시에 다수개 엘이디의 점멸상태에 따라서 작업자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의 고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의 모습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분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C부분의 체결모습을 보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의 탈착식 작업안림판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의 작용후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는,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밝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작업용 조끼로, 조끼몸체(10)와, 가슴고정벨트(20)와, 추락방지벨트(30)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와,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50,50a)와,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60,60a)와, 후방측상부벨트(70)와, 탈착식 작업알림판(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끼몸체(10)는,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로, 통풍구조의 망사천(11)을 포함한다.
상기 가슴고정벨트(20)는, 상기 조끼몸체(10)의 중심부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21)에 의해 가슴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이다.
상기 가슴고정벨트(20)는, 정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가 각각 돌출고정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후방측으로 돌출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중심부에는 매직테이프(24)가 고정결합된다.
상기 추락방지벨트(30)는,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하부측 조끼몸체(10)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31)에 의해 배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통전연결된 배터리(32a)에 의해 일정 밝기로 통전발광되고, 좌우측 표면에 수직으로 상하단이 재봉고정된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다수개 엘이디(32)가 위치된 주변부에는 엘이디(32)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비닐층(32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수비닐층(32c) 내측에는 엘이디(32) 빛의 확산을 위한 반사층부(32b)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는,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삼각고정링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삼각고정링부(41)의 외측단에 일체로 용접고정되는 원형몸체(42a)를 갖고 원형몸체(42a) 전방선단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나사돌부(42b)를 갖으며 외측나사돌부(42b) 선단면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공(42c)을 갖고 작동공(42c) 후방측에 공간이 확장되어 밀폐커버(42e)에 의해 수밀되게 밀폐되는 스위치공간(42d)을 갖으며 스위치공간(42d)에 안착되어 스프링(42h)에 의해 작동공(42c)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의 스위치작동돌부(42g)가 작동공(42c) 내부로 삽입되고 스위치작동돌부(42g) 눌림시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 및 배터리(32a)와 통전연결되어 발광시키며 스위치작동돌부(42g) 돌출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전원단락되어 소등되는 엘이디스위치(42f)를 갖는 체결스위치몸체(42)가 각각 형성되며, 체결스위치몸체(42)의 외측나사부(42b)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내측나사부(43b)를 갖고 작동공(42c)에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를 점등시키는 점등바(43a)를 갖는 체결고정구(4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50,50a)는, 일단이 안전로프(53)나 안전로프(53)에 연결된 좌우측 안전로프 연결용 안전고리(52,52a)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판체로 통공형성된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의 체결스위치몸체(42) 외측나사돌부(42b)에 삽입되어 체결고정구(43)에 의해 체결고정되면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를 발광점등시키고 체결고정구(43)의 나사풀림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누르는 힘이 해소되어 스위치작동돌부(42g)가 돌출되면서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가 소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 체결고정구(43)의 풀림상태를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60,60a)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의 벨트로, 일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전방선단부통공(61,61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2,62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후방선단부통공(63,63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4,64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 일정간격 다수개가 통공형성되어 랜턴(66)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랜턴삽입공(65,65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후방측상부벨트(70)는,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상부 조끼몸체(10)에 수평되게 재봉고정되고 중심부에 매직테이프(71)를 갖는다.
상기 탈착식 작업알림판(80)은, 직사각형상의 박판이나 천 재질로, 전면에는 "안전진단"이라는 작업명이 문자표시되고,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매직테이프(24)와 후방측상부벨트(70)의 매직테이프(71)에 대응되어 탈착되는 상하단매직테이프(81,82)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활동이 편하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으면서도 실용성이 뛰어나고, 좌우측 랜턴삽입공(65,65a)에 의해 랜턴(66)에 의한 야간작업시에도 작업자의 두 손 사용이 손쉬우며, 추락방지벨트(30)의 다수개 엘이디(32)에 의해 야간작업시 조명으로 사용되면서도 동시에 다수개 엘이디(32)의 점멸상태에 따라서 작업자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고정구(50,50a)와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의 고정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바로 확인하고, 이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끼몸체 11 ; 망사천
20 : 가슴고정벨트 21 : 고정장치
22,22a : 전방좌우측고정볼트 23,23a : 후방좌우측고정볼트
24 : 매직테이프
30 : 추락방지벨트 31 : 고정장치
32 ; 엘이디 32a : 배터리
32b : 반사층부 32c : 방수비닐층
33,33a : 좌우측수직고정밴드
40,40a :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
41 : 삼각고정링부 42 : 체결스위치몸체
42a : 원형몸체 42b : 외측나사부
42c : 작동공 42d : 스위치공간
42e : 밀폐커버 42f : 엘이디스위치
42g : 스위치작동돌부 42h : 스프링
43 : 체결고정구 43a : 점등바
43b : 내측나사부
50,50a :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
51 : 고정공 52,52a : 좌우측 안전로프 연결용 안전고리
53 : 안전로프
60,60a :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
61,61a : 전방좌우측선단부통공 62,62a : 고정너트
63,63a : 후방좌우측선단부통공 64,64a : 고정너트
65,65a : 좌우측 랜턴삽입공
66 : 랜턴
70 : 후방상부벨트 71 : 매직테이프
80 : 탈착식 작업알림판 81,82 : 상하단매직테이프

Claims (4)

  1.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밝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추락을 방지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작업용 조끼에 있어서,
    시설물 안전 점검 및 진단을 하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로 통풍구조의 망사천(11)을 포함하는 조끼몸체(10);
    상기 조끼몸체(10)의 중심부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21)에 의해 가슴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인 가슴고정벨트(20);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하부측 조끼몸체(10)에 수평으로 재봉고정되어 작업자의 착용시 고정장치(31)에 의해 배부위에서 착용고정되고 또한 착용분리되는 일정 폭을 갖는 벨트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통전연결된 배터리(32a)에 의해 일정 밝기로 통전발광되고, 좌우측 표면에 수직으로 상하단이 재봉고정된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가 각각 형성되는 추락방지벨트(30);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좌우측수직고정밴드(33,33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삼각고정링부(41)가 각각 형성되고, 삼각고정링부(41)의 외측단에 일체로 용접고정되는 원형몸체(42a)를 갖고 원형몸체(42a) 전방선단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나사돌부(42b)를 갖으며 외측나사돌부(42b) 선단면 중심에서 후방측으로 통공형성되는 작동공(42c)을 갖고 작동공(42c) 후방측에 공간이 확장되어 밀폐커버(42e)에 의해 수밀되게 밀폐되는 스위치공간(42d)을 갖으며 스위치공간(42d)에 안착되어 스프링(42h)에 의해 작동공(42c)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의 스위치작동돌부(42g)가 작동공(42c) 내부로 삽입되고 스위치작동돌부(42g) 눌림시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 및 배터리(32a)와 통전연결되어 발광시키며 스위치작동돌부(42g) 돌출시 다수개의 엘이디(32)가 전원단락되어 소등되는 엘이디스위치(42f)를 갖는 체결스위치몸체(42)가 각각 형성되며, 체결스위치몸체(42)의 외측나사부(42b)에 대응되어 나사결합되는 내측나사부(43b)를 갖고 작동공(42c)에 대응되게 돌출되고 상기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의 엘이디(32)를 점등시키는 점등바(43a)를 갖는 체결고정구(43)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 및
    일단이 안전로프(53)나 안전로프(53)에 연결된 좌우측 안전로프 연결용 안전고리(52,52a)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판체로 통공형성된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안전고리 체결상태 표시작동구(40,40a)의 체결스위치몸체(42) 외측나사돌부(42b)에 삽입되어 체결고정구(43)에 의해 체결고정되면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눌러 상기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를 발광점등시키고 체결고정구(43)의 나사풀림시 점등바(43a)가 엘이디스위치(42f)의 스위치작동돌부(42g)를 누르는 힘이 해소되어 스위치작동돌부(42g)가 돌출되면서 다수개 엘이디스위치(42f)가 소등되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 체결고정구(43)의 풀림상태를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측 안전고리 연결용 안전벨트 고정구(50,50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고정벨트(20)는, 정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가 각각 돌출고정형성되고, 후면부 좌우측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후방측으로 돌출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가 각각 돌출형성되며;
    벨트로, 일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전방좌우측고정볼트(22,22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전방선단부통공(61,61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2,62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후방좌우측고정볼트(23,23a)에 대응되게 통공형성된 좌우측후방선단부통공(63,63a)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너트(64,64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좌우측 상단부에 일정간격 다수개가 통공형성되어 랜턴(66)이 삽입고정되는 좌우측랜턴삽입공(65,65a)이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착탈식 어깨보호구(60,60a)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중심부에 매직테이프(2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가슴고정벨트(20) 후방측 상부 조끼몸체(10)에 수평되게 재봉고정되고 중심부에 매직테이프(71)를 갖는 후방측상부벨트(70); 및
    직사각형상의 박판이나 천 재질로, 전면에는 "안전진단"이라는 작업명이 문자표시되고, 후면 상단부에는 상기 가슴고정벨트(20)의 매직테이프(24)와 후방측상부벨트(70)의 매직테이프(71)에 대응되어 탈착되는 상하단매직테이프(81,82)가 각각 형성되는 탈착식 작업알림판(80)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벨트(30)의 다수개 엘이디(32)가 위치된 주변부에는, 상기 엘이디(32)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비닐층(32c)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방수비닐층(32c) 내측에는 엘이디(32) 빛의 확산을 위한 반사층부(32b)를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1020220085924A 2022-07-12 2022-07-12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10243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924A KR102431043B1 (ko) 2022-07-12 2022-07-12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924A KR102431043B1 (ko) 2022-07-12 2022-07-12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043B1 true KR102431043B1 (ko) 2022-08-10

Family

ID=8284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924A KR102431043B1 (ko) 2022-07-12 2022-07-12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651B1 (ko) 2022-09-01 2023-01-0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작업자 추락 안전 장치
KR102663712B1 (ko) * 2023-07-26 2024-05-03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97B1 (ko) 2005-08-31 2007-03-13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100717083B1 (ko) 2006-07-25 2007-05-14 차오남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
KR100805656B1 (ko) 2007-03-19 2008-02-20 차오남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
JP2015223292A (ja) * 2014-05-27 2015-12-14 藤井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を備えた安全帯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KR102081082B1 (ko) 2019-11-26 2020-02-25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KR102217765B1 (ko) * 2020-08-27 2021-02-22 주식회사 트리톤넷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JP2021168983A (ja) * 2018-09-18 2021-10-28 株式会社プロップ 安全帯用発報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97B1 (ko) 2005-08-31 2007-03-13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100717083B1 (ko) 2006-07-25 2007-05-14 차오남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
KR100805656B1 (ko) 2007-03-19 2008-02-20 차오남 추락 대비용 안전조끼
JP2015223292A (ja) * 2014-05-27 2015-12-14 藤井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を備えた安全帯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JP2021168983A (ja) * 2018-09-18 2021-10-28 株式会社プロップ 安全帯用発報装置
KR102081082B1 (ko) 2019-11-26 2020-02-25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KR102217765B1 (ko) * 2020-08-27 2021-02-22 주식회사 트리톤넷 고소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구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651B1 (ko) 2022-09-01 2023-01-0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작업자 추락 안전 장치
KR102663712B1 (ko) * 2023-07-26 2024-05-03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043B1 (ko)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US5697099A (en) Helmet with an alarm
JP2018519032A5 (ko)
US9308400B2 (en) Indicator arrangement, regulator release button, and breathing apparatus
KR102081082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US6075445A (en) High-temperature warning unit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KR20110043478A (ko) 안전대 및 그 사용상황 확인 시스템
KR100892662B1 (ko) 단독형 화재연기 감지기
US11887451B2 (en) Hazard detector with optical status indicator
US8128269B2 (en) Smoke environment personnel identification apparatus
KR20190088360A (ko) 안전 진단용 조명 조끼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EP2527243B1 (en) Light for a Life Vest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20220075076A (ko)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JP2008174886A (ja) ヘルメット用被覆体。
JP2010252879A (ja) 安全帯の使用促進装置
KR200478577Y1 (ko)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KR101791171B1 (ko) 소방관용 생체신호감지 경보장치
KR102526119B1 (ko) 텍스타일형 캠핑용 가스 탐지장치
KR101354946B1 (ko) 안전 보조 시스템
KR102169217B1 (ko) 휴대형 능동 gps 단말 장치
KR20030087133A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JP2007508885A (ja) 消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