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77Y1 -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77Y1
KR200478577Y1 KR2020140002514U KR20140002514U KR200478577Y1 KR 200478577 Y1 KR200478577 Y1 KR 200478577Y1 KR 2020140002514 U KR2020140002514 U KR 2020140002514U KR 20140002514 U KR20140002514 U KR 20140002514U KR 200478577 Y1 KR200478577 Y1 KR 200478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safety vest
controller
wir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664U (ko
Inventor
손승봉
Original Assignee
손승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봉 filed Critical 손승봉
Priority to KR2020140002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7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시트 상면에 엘이디가 설치된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에 설치하되, 작업의 현장에 맞게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의 전면이나 후면, 어깨 등 착용자가 원하는 착용자 자신이 작업의 현장에 맞게 위치를 변경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업 현장이든지 작업자의 위치를 타인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후면에 반사시트(33)가 설치된 안전조끼에 있어서,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구에 포켓지퍼(12)가 설치되고 일측 소정위치에 전선구멍(11a)이 형성된 제어기포켓(11)과,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와 어깨부분에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투명포켓(31)과, 제어기포켓(11)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기(41)와, 상기 투명포켓(3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반사시트(33)의 반사면측에 엘이디(34)가 설치되되, 엘이디(34)가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된 엘이디커버(35) 내측에 설치되는 반사발광체(30)와, 제어기(41)와 반사발광체(30)의 엘이디(34)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36)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Safety vest having a light-emitting devece}
본 고안은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시트 상면에 엘이디가 설치된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에 설치하되, 작업의 현장에 맞게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의 전면이나 후면, 어깨 등 착용자가 원하는 착용자 자신이 작업의 현장에 맞게 위치를 변경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업 현장이든지 작업자의 위치를 타인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작업용 안전조끼에는 앞가슴과 등판부분에 반사시트를 부착하거나, 또는 엘이디가 설치된 시트(이하, 엘이디시트라고 칭함)를 부착하여 어두운 현장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타인이 그 작업자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작업용 안전조끼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사시트 또는 엘이디시트가 안전조끼의 앞가슴과 등판 부분에만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이러한 일반적인 작업용 안전조끼를 착용한 작업자가 어두운 현장에서 있을 경우에 그 작업자의 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또 다른 작업자가 아래를 내려봐도 그 작업자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렇게 아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그 작업자의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눈에 보이지 않게 되어 크레인 등의 설비에 매달린 물체를 그곳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각종 작업도구 및 자재 등과 같은 물품을 아래로 내려보내는 경우에 커다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815호(2012.03.09공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시트 상면에 엘이디를 설치하여 어두운 작업현장에서도 타인의 눈에 쉽게 뜨일 수 있도록 반사발광체를 구성하고, 이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에 설치하되,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위치에 맞게 반사발광체를 착용자 본인이 안전조끼의 전면이나 후면(등판부), 어깨 등 원하는 위치를 변경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업 현장이든지 작업자의 위치를 타인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전후면에 반사시트가 설치된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구에 포켓지퍼가 설치되고 일측 소정위치에 전선구멍이 형성된 제어기포켓과,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와 후면부와 어깨부분에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투명포켓과, 상기 제어기포켓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투명포켓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반사시트의 반사면측에 엘이디가 설치되되, 엘이디가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된 엘이디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반사발광체와, 상기 제어기와 반사발광체의 엘이디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발광체가 설치되는 위치의 외피 및 그에 대응하는 내피와 제어기포켓과 근접한 내피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팔이 끼워지는 팔끼움부의 내주연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수개의 전선삽입터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커버의 후면에는 형성되는 것으로 반사시트의 후면을 관통하며 엘이디의 전선접속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끝부분이 결속되는 전선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는, 안전조끼에 설치하는 반사발광체를 반사시트 상면에 엘이디를 설치하여 어두운 작업현장에서도 타인의 눈에 쉽게 뜨여서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고, 그 보다는 이 반사발광체를 안전조끼에 설치하되,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위치에 맞게 반사발광체를 착용자 본인이 안전조끼의 전면이나 후면(등판부), 어깨 등 원하는 위치를 변경하며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작업 현장이든지 작업자의 위치를 타인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제어기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발췌도.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되는 반사발광체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반사발광체를 매직테이프로 탈부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조끼(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에 반사발광체(30)를 설치하되,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반사발광체(30)를 착탈 또는 삽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반사발광체(30)를 안전조끼(100)의 원하는 위치에 착탈 또는 삽탈가능하게 설치한다고 하는 것은,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 모두에 반사발광체(30)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그렇게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 모두에 반사발광체(30)를 설치하게 되면 안전조끼(100)의 판매가격이 상승되므로,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 중에서 한 두 곳을 선택하여 반사발광체(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반사발광체(30)를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 중에서 어느 한 두 곳의 위치를 정하여 설치하는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조끼(100)을 착용한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현장과 여건에 따라 타인에게 작업자가 잘 보일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한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나, 후면부(20) 또는 어깨부분 중에서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반사발광체(30)를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기 위에서는 설치수단이 필요한데, 설치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서보는 바와 같이 안전조끼(100)의 소정위치에 일측이 개구된 투명포켓(31)을 설치하고, 그 투명포켓(31)의 내부에 반사발광체(30)를 삽탈되게 설치하는 일실시예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직테이프(32)로 탈부착되게 설치하는 이실시예가 있다.
상기 반사발광체(30)는 일면이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시트(33)의 반사면에 엘이디(34)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엘이디(34)가 설치된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는 엘이디커버(35)가 반사시트(33)의 반사면측에 설치되고, 엘이디(34)의 전선접속단자(34a)는 반사시트(33)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반사시트(33)의 후면으로 관통되어 노출된 전선접속단자(34a)에는 엘이디(34)에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 및 온오프되게 하는 제어기(41)와 연결되는 전선(36)이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전선(36)과 전선접속단자(34a)가 연결된 부분을 납땜부(37)라고 칭한다.
또한, 상기 엘이디커버(35)의 후면에는 반사시트(33)의 후방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는 전선고리(38)가 형성되어 전선(36)의 끝부분을 전선고리(38)에 결속한 뒤에 전선접속단자(34a)와 근접한 단부를 납땜으로 결합하여 전선(36)이 당겨지더라도 납땜부(37)가 단락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시트(33) 후면에서 전선접속단자(34a)와 전선(36)의 끝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실리콘과 같은 밀봉재(39)로서 매설되며, 반사시트(33)에 수개의 엘이디(34)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반사시트(33)의 후면에 노출되는 전선(36)이 전선고정테이프(40)에 의해 부착되어 전선(36)이 하측으로 늘어트려지지 않게 한다.
상기 엘이디(34)를 점멸 및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기(41)는 일측 소정위치에 스위치(4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엘이디(34)를 점멸 및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 제어기(41)는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에 설치된 제어기포켓(11)에 삽입시키며, 이 제어기포켓(11)은 외피(13)와 접하는 입구에 포켓지퍼(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발광체(30)의 후방과 제어기(41)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36)은 투명포켓(31)의 입구측 외피(13)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1b)과, 외피(13)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1b)과 대응되는 내피(14)에 형성되는 또 다른 전선구멍(14a), 그리고 제어기포켓(11)에 형성되는 전선구멍(11a)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반사발광체(30)가 후면부(20)에 설치되는 투명포켓(3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팔이 끼워지는 팔끼움부(15) 내주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개의 설치되는 전선삽입터널(16)에 제어기(41)와 반사발광체(30) 사이의 전선(36)이 삽입되어 전선(36)이 착용자가 안전조끼(100)를 착용할 경우나, 또는 주변의 물품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기(41)와 근접한 전선(36)에는 전선(36)이 분리된 상태에서 분리된 부분을 서로 착탈식으로 끼움 및 분리하는 삽탈식단자(19)가 구비되어 수개의 전선구멍과 전선삽입터널(16)로 전선(36)을 삽입시킬 때, 그 삽입이 용이하게 하였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 경우에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사발광체(30)와 제어기(41)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36)이 각각의 전선구멍으로 삽입되고, 제어기(41)가 전면부(10)의 제어기포켓(11)에 삽입되고 반사발광체(30)가 후면부(20)에 부착 설치되는 경우에는 팔끼움부(15)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수개의 전선삽입터널(16)로 전선(36)이 삽입되게 된다.
이실시예에서 반사발광체(30)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안전조끼(100)의 전면부나 후면부, 그리고 어깨부분에 암매직테이프(32a)를 재봉으로 설치해두고, 반사발광체(30)의 반사시트(33) 후면에 상기 안전조끼(100)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32a)에 탈부착되는 수매직테이프(32b)를 부착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후면에 수매직테이프(32b)가 설치된 반사발광체(30)를 안전조끼(100)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32a)에 간편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선삽입터널(16)은 일측이 내피(14)에 재봉으로 고정되고 타측 자유단부가 매직테이프에 의해 탈부착되게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17"은 전면부(10)와 후면부(20)의 양측이 옆구리부분에서 연결되는 연결부(17)이고, "18"은 내피(14)와 외피(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이며, "18a"는 공간부(18)에 필요에 따라 삽입하는 완충재이고, "21"은 안전조끼(100)의 후면부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고 지퍼가 설치되는 안전벨트구멍으로써, 이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가 위의 안전벨트구멍(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전조끼(1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에 반사발광체(30)가 설치되는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는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에 투명포켓(31)을 설치하되 입구가 개방되어 그들 투명포켓(31) 중에서 원하는 위치에 도 5에 도시된 반사발광체(30)를 삽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는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 그리고 어깨부분에 암매직테이프(32a)를 재봉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후면에 수매직테이프매직테이프(32)가 설치된 반사발광체(30)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반사발광체(30)를 투명포켓(31)이나 또는 암매직테이프(32a)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기(41)와 반사발광체(30)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36)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삽탈식단자(19)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안전조끼(100)의 내피(14)와 외피(13)에 각각 형성된 전선구멍(11a,14a,14b,11b)에 끼운 뒤에, 마지막으로 서로 분리하였던 삽탈식단자(19)의 핀부와 소켓부를 끼움에 따라 전선(36)이 서로 연결되어 제어기(41)에서부터 반사발광체(30)의 엘이디(3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제어기(41)와 반사발광체(30)의 사이에 연결된 전선(36)이 안전조끼(100)에 형성된 각각의 전선구멍으로 끼워짐에 따라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하측으로 늘어트려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전선구멍으로 전선(36)이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안전조끼(100)를 입거나 벗을 때, 또는 본 고안의 안전조끼(100)를 입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주변의 물품이나 작업자의 손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어기(41)를 안전조끼(100)의 전면부(10)에 설치된 제어기포켓(11)에 넣어둔 상태에서 반사발광체(30)를 착용자의 등 쪽이 되는 후면부(20)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선(36)을 팔끼움부(15)의 내주연에 설치된 전선삽입터널(16)로 삽입시키는데, 이렇게 제어기(41)와 반사발광체(30) 사이의 전선이 전선삽입터널(16)에 삽입되어서 착용자가 안전조끼(100)를 입거나 벗을 때, 손에 걸리지 않게 됨은 물론이고, 그리고 주변의 물품에 전선(36)이 걸릴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반사발광체(30)를 삽탈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면서 전선(36)까지 가지런하게 정리가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반사발광체(30)에 설치된 엘이디(34)를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가슴의 제어기포켓(11)에 삽입되어 있던 제어기(41)의 스위치(42)를 누르게 되면, 제어기(41)의 내부에 장착된 밧데리의 전원이 전선(36)을 통하여 엘이디(34)에 인가된 그 엘이디(34)가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점등된 불빛은 어두운 곳을 밝히게 되고, 그 불빛이 반사시트(33)의 반사면에 반사되어 그 안전조끼(100)를 착용한 작업자의 위치를 주변의 작업자들이 쉽게 식별하게 되고, 그로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안전조끼(100)에서 반사발광체(30)의 위치를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선택하여 탈부착이나 또는 삽탈하는 과정과, 삽탈식단자(19)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전선구멍과 전선삽입터널(16)에 삽입시킬 때, 전선(36)이 당겨지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선(36)과 엘이디(34)의 전선접속단자(34a)를 납땜으로 연결하는 납땜부(37)가 분리될 염려가 있다.
이는 납땜불량이 있는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데, 전선접속단자(34a)와 연결되는 전선(36)의 끝부분이 엘이디커버(35)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선고리(38)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36)이 당겨지는 경우라도 전선고리(38)에 결속된 전선(36)이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되어 전선접속단자(34a)와의 납땜부(37)가 약한 경우라도 전선(36)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선(36)과 엘이디(34)의 전기적인 접속은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접촉불량이나 전기공급이 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 전면부 11 : 제어기 12 : 포켓지퍼
13 : 외피 14 : 내피 15 : 팔끼움부
16 : 전선삽입터널 17 : 연결부 18 : 공간부
19 : 삽탈식단자 20 : 후면부 21 : 안전벨트구멍
30 : 반사발광체 31 : 투명포켓 32 : 매직테이프
33 : 반사시트 34 : 엘이디 35 : 엘이디커버
36 : 전선 37 : 납땜 38 : 전선고리
39 : 밀봉재 40 : 전선고정테이프 41 : 제어기
42 : 스위치 100 : 안전조끼

Claims (4)

  1. 전후면에 반사시트가 설치된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구에 포켓지퍼가 설치되고 일측 소정위치에 전선구멍이 형성된 제어기포켓과,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와 후면부와 어깨부분에 일측이 개방되게 설치되는 투명포켓과,
    상기 제어기포켓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투명포켓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반사시트의 반사면측에 엘이디가 설치되되, 엘이디가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된 엘이디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반사발광체와,
    상기 제어기와 반사발광체의 엘이디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발광체가 설치되는 위치의 외피 및 그에 대응하는 내피와 제어기포켓과 근접한 내피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팔이 끼워지는 팔끼움부의 내주연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수개의 전선삽입터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커버의 후면에는 형성되는 것으로 반사시트의 후면을 관통하며 엘이디의 전선접속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끝부분이 결속되는 전선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2. 전후면에 반사시트가 설치된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입구에 포켓지퍼가 설치되고 일측 소정위치에 전선구멍이 형성된 제어기포켓과,
    상기 안전조끼의 전면부와 후면부와 어깨부분에 설치되는 암매직테이프와,
    상기 제어기포켓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암매직테이프에 대응되는 반사시트의 후면에 수매직테이프가 설치되고 반사시트의 반사면측에 엘이디가 설치되되, 엘이디가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된 엘이디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반사발광체와,
    상기 제어기와 반사발광체의 엘이디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발광체가 설치되는 위치의 외피 및 그에 대응하는 내피와 제어기포켓과 근접한 내피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고, 작업자의 팔이 끼워지는 팔끼움부의 내주연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수개의 전선삽입터널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커버의 후면에는 형성되는 것으로 반사시트의 후면을 관통하며 엘이디의 전선접속단자와 납땜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끝부분이 결속되는 전선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와 근접한 전선에는 전선이 분리된 상태에서 분리된 부분에 서로 착탈식으로 끼움 및 분리되는 핀과 소켓부를 구비한 삽탈식단자가 구비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KR2020140002514U 2014-03-28 2014-03-28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KR200478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14U KR200478577Y1 (ko) 2014-03-28 2014-03-28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514U KR200478577Y1 (ko) 2014-03-28 2014-03-28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64U KR20150003664U (ko) 2015-10-07
KR200478577Y1 true KR200478577Y1 (ko) 2015-10-21

Family

ID=5434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514U KR200478577Y1 (ko) 2014-03-28 2014-03-28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5037B (zh) * 2021-05-31 2022-04-19 深圳市乐惠光电科技有限公司 多功能穿戴式照明装置
KR102610285B1 (ko) * 2022-06-13 2023-12-04 유미나 다용도 안전 담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64U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589B1 (en) Safety garment with lights
US10660384B2 (en) Safety vest with modular lighting system
US10161611B2 (en) Activating a control module
US20130077289A1 (en) Clothing Lighting System
CA2510321A1 (en) Safety vest and other clothing articles
US10539312B2 (en) Enhancing visibility
US10208901B2 (en) Portable lighting device
KR200478577Y1 (ko) 반사발광체가 구비된 안전조끼
US20160348890A1 (en) Athletic wear illumination
JP6298359B2 (ja) 発光装置を備えた安全帯
JP2011084838A (ja) 安全衣服
CN203105679U (zh) 高空作业服
JP2015196916A (ja) 安全ベスト
KR101871121B1 (ko) Led 발광 모피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2017122293A (ja) 発光素子付きデザイン性衣服、発光素子付きデザイン性装飾品、及び発光素子ユニット
KR101354946B1 (ko) 안전 보조 시스템
JP2007169803A (ja) 衣料
KR20090041123A (ko) 손목 착용형 램프
JP2004229721A (ja) 安全ベルト
JP3244752U (ja) 安全ベスト
CN215691156U (zh) 一种有控制功能的消防服
KR200387960Y1 (ko) 안전대
JP3051195U (ja) 安全チョッキ
CN215124529U (zh) 一种易拆式安全背心
CN216363733U (zh) 一种电力施工信息化智能安全工作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