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076A -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 Google Patents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076A
KR20220075076A KR1020200162221A KR20200162221A KR20220075076A KR 20220075076 A KR20220075076 A KR 20220075076A KR 1020200162221 A KR1020200162221 A KR 1020200162221A KR 20200162221 A KR20200162221 A KR 20200162221A KR 20220075076 A KR20220075076 A KR 2022007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touch
safety
uni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115B1 (ko
Inventor
유명희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유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희 filed Critical 유명희
Priority to KR102020016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 상기 조끼 몸체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등; 상기 조끼 몸체에 설치되며, 흔들림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상기 진동센서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조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SAFETY VEST FOR CHECKING FACILITY SAFETY}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에 관한 것이다.
안전 조끼는 각종 구조물에서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작업 편의상 조명등, 공구 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안전 조끼를 착용한 작업자가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예를 들면, 밀폐형 탱크, 교량 내부, 공사 현장 등)에서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주변을 밝히기 위하여 조명등을 점등하게 된다. 이 후, 작업자는 한 팔에 안전 점검표를 들고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한국등록특허 제10-1873726호)은 목수납부와 팔수납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어깨띠와 허리띠를 이루면서 부착형성되며, 상기 어깨띠와 허리띠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달받아 발광하도록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발광된 광을 확산하여 방출하도록 된 '반구형' 형상을 가지면서 형성된 확산캡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LED소자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확산캡은, 상기 LED소자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의 도광하도록 된 도광성물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의 도광하도록 된 도광성물질로 이루어진 연장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LED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체에는 표면에 도광성물질로 이루어지되 적색 등과 같은 칼라색을 가지는 '봉' 형상의 표시봉들이 각각 끼움결합하는 다수의 고정홈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안전조끼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별도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LED소자를 점등하는 것으로,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에서는 작업자가 전원스위치를 찾기 어려우므로, LED소자의 점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3726호(2018.06.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에서도 작업자가 간편한 동작으로 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는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등(20); 상기 조끼 몸체(10)에 설치되며, 흔들림을 감지하는 진동센서(30); 및 상기 진동센서(30)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등(20)을 점등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끼 몸체(10)에 설치되는 배터리(50); 상기 조끼 몸체(10)의 복부 착용 부위에 설치되며, 양단에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이 각각 구비된 복부벨트(60); 상기 제1버클(61) 및 상기 제2버클(62)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버클(61) 및 상기 제2버클(62)의 체결시 상호 접속되는 제1커넥터(71) 및 제2커넥터(72); 상기 제1커넥터(71)와 상기 배터리(50)를 연결하는 제1회로(73); 및 상기 제2커넥터(72), 상기 조명등(20), 상기 진동센서(30) 및 상기 제어부(40)를 연결하는 제2회로(7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작업자의 팔꿈치에 착용되는 스트랩(80); 및 상기 스트랩(8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팔을 굽히는 동작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는 휨센서(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휨센서(90)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등(20)을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설치되는 등벨트(100); 상기 등벨트(10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풀리(120); 일단이 상기 메인풀리(120)에 권취되며, 타단이 상기 스트랩(80)에 연결되는 와이어(130); 및 상기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유닛(14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속유닛(140)은 상기 등벨트(10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41); 및 상기 회전프레임(141)을 상기 메인풀리(120) 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14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등벨트(1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권취되는 보조풀리(150); 및 상기 조끼 몸체(10)의 어깨 착용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풀리(150)가 수납되는 하우징(170); 및 상기 하우징(170)와 상기 조끼 몸체(10)의 복부 착용 부위에 설치되는 복부벨트(60)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18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케이스(190); 상기 케이스(190)의 전방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패드(200); 및 상기 케이스(190)에 내장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패드(200)에 감지된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패드(200)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설정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설정 범위 외인 경우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하는 터치 면적 판단부(41); 상기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미리 설정된 제1대기 시간 내에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재터치시 경고음이 출력된다'는 안내음성을 출력하고,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키는 재터치 판단부(42); 및 상기 재터치 판단부(42)에서 상기 안내음성이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제2대기 시간 내에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키는 재터치 작동부(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터치 시간 판단부(4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는 작업자가 조끼 몸체를 흔들어주는 간편한 동작으로 조명등을 점등할 수 있으므로, 조명등의 점등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1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휨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메인풀리, 와이어, 구속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다수의 구속유닛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안착플레이트, 하우징 및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3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3의 터치패드, 제어부, 알람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1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1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실시예 1은 작업자가 조끼 몸체(10)를 흔드는 간편한 동작으로 조명등(20)을 점등시킬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조끼 몸체(10), 조명등(20), 진동센서(30), 제어부(40), 배터리(50), 복부벨트(60), 제1커넥터(71), 제2커넥터(72), 제1회로(73) 및 제2회로(74)를 갖는다.
조끼 몸체(10)는 기본 몸체로서,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에서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하는 작업자가 착용한다. 구체적으로, 조끼 몸체(10)는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되며, 내피 및 외피를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피에는 어두운 공간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도료 또는 야광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야광도료 또는 야광테이프는 외피에 격자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야광테이프는 벨크로테이프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조명등(20)은 주변을 밝히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조명등(20)은 제어부(40)의 제어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조명등(20)은 다수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원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등(20)은 고휘도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색 또는 적색, 녹색, 청색의 RGB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다. 조명등(20)은 연속적으로 점등되는 연속모드 또는 점등 및 소등이 반복되는 점멸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는 후술할 알람부(210)가 작동되는 경우, 조명등(20)을 점멸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진동센서(30)는 조끼 몸체(10)의 흔들림 정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조끼 몸체(10)의 흔들림은 작업자가 조끼 몸체(10)를 상체나 팔로 잡고 흔드는 경우나 작업자가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진동센서(3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어부(40)는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진동센서(30)의 흔들림 감지에 따라 조명등(20)을 제어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진동센서(30)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조명등(20)을 점등시킨다. 여기서, 진동센서(30)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는 작업자가 조끼 몸체(10)를 상체나 손으로 상대적으로 강하게 흔드는 상태 또는 작업자가 달리는 상태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진동센서(30)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미만인 경우는 작업자가 조끼 몸체(10)를 상체나 손으로 상대적으로 약하게 흔드는 상태 또는 작업자가 걷는 상태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조명등(20)의 수동 점등 및 소등을 위한 터치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위치는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조명등(20)을 수동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 터치 스위치는 야간 식별이 용이하도록 야광 도료가 부착될 수 있다.
배터리(50)는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된다. 배터리(50)는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하여 후술할 복부벨트(60)의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시에만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복부벨트(60), 제1커넥터(71), 제2커넥터(72), 제1회로(73) 및 제2회로(74)는 복부벨트(60)의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시에만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복부벨트(60)는 작업자의 허리를 감싸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복부 착용 부위에 설치된다. 복부벨트(60)는 조끼 몸체(10)의 내피나 외피에 설치될 수 있으나, 조끼 몸체(10)의 외피에 설치되는 것이 사용편의상 바람직하다. 복부벨트(60)의 양단에는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제1버클(61)이 수버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버클(62)이 암버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71) 및 제2커넥터(72)는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시에 상호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71)는 제1버클(61)의 말단에 결합된다. 제2커넥터(72)는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시에 제1버클(61)의 말단에 맞닿는 제2버클(62)의 내면에 결합된다. 제1커넥터(71) 및 제2커넥터(72)는 전극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회로(73)는 제1커넥터(71)와 배터리(50)를 연결하는 전선이고, 제2회로(74)는 제2커넥터(72),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를 연결하는 전선이다. 따라서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로 인하여 제1커넥터(71) 및 제2커넥터(72)가 상호 접속되면, 제1회로(73)와 제2회로(74)도 상호 접속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50)의 전력이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휨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메인풀리, 와이어, 구속유닛을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다수의 구속유닛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2의 안착플레이트, 하우징 및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실시예 2는 작업자에게 팔을 구부리는 간편한 동작으로 조명등(20)을 점등시킬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구성에 스트랩(80) 및 휨센서(90)를 추가로 갖는다.
스트랩(80)은 작업자의 팔꿈치에 착용되는 것으로,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80)은 내피와 외피를 갖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센서(90)는 스트랩(80)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것으로, 스트랩(8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된다. 휨센서(90)는 작업자가 팔을 구부리는 동작으로 인하여 스트랩(80)과 함께 휘어지고,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한다. 이에 연동되는 제어부(40)는 휨센서(90)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조명등(20)을 점등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센서(90)의 구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휨센서(90)는 일면에 다수의 전도성 입자(91)가 함유된 폴리머 잉크가 프린트된 것으로, 평평한 상태에서는 다수의 전도성 입자(91) 간에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므로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며, 휘어진 상태에서는 다수의 전도성 입자(91) 간에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저항값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이다.
휨센서(90)는 저항값이 저장된 신호를 별도의 통신모듈(미도시)을 매개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휨센서(90)는 저항값이 저장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연결되는 별도의 전선(미도시)을 매개로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휨센서(90)는 별도의 다른 배터리(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 2는 작업자의 팔을 받쳐주는 보조력을 제공하려는 것으로, 등벨트(100), 메인풀리(120), 와이어(130), 구속유닛(140), 보조풀리(150) 및 안착플레이트(160)를 추가로 갖는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는 스트랩(80)이 조끼 몸체(10)에 등벨트(100), 메인풀리(120) 및 와이어(130)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작업자의 팔꿈치를 받쳐주는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팔에 안전 점검표를 들고 안전 점검 및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동안 그 팔을 받쳐주는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그 팔에 가해지는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등벨트(100)는 후술할 메인풀리(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등벨트(100)는 한 쌍의 단위벨트로 구성되고, 한 쌍의 단위벨트는 전방 양측이 조끼 몸체(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삽입되고 후방 양측이 X자형으로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단위벨트의 교차부위에는 벨트고정패드(110)가 결합된다. 벨트고정패드(110)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풀리(120)는 후술할 와이어(130)의 일단을 권취하는 것으로, 벨트고정패드(11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풀리(120)는 벨트고정패드(1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30)는 스트랩(80)과 메인풀리(120)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이 메인풀리(120)에 권취되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소정 부위가 조끼 몸체(10)의 어깨 착용 부위에 거치되며, 타단이 스트랩(80)에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4를 기준으로, 와이어(130)는 메인풀리(120)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메인풀리(120)에 추가적으로 권취되며, 이로 인해, 스트랩(80)은 상승된다. 또한, 와이어(130)는 메인풀리(120)의 역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메인풀리(120)에 권출되며, 이로 인해, 스트랩(80)은 하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통하여 스트랩(8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팔꿈치를 받쳐주는 보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130)의 타단은 링 형태로 묶어져서 스트랩(80)의 둘레면에 결합된 고리 형태의 로프에 체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유닛(140)은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스트랩(80)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회전프레임(141), 인장스프링(142) 및 관통핀(143)을 갖는다.
회전프레임(141)은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제1위치로 배치되어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에서 이격된 제2위치로 배치되어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회전프레임(141)은 벨트고정패드(1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프레임(141)의 회전 구속이 더욱 강화되도록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이 톱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회전프레임(141)의 일단이 톱니 형태의 일피치 사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142)은 회전프레임(141)의 타단을 메인풀리(120) 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이 회전프레임(141)과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프레임(141)과 메인풀리(120)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고정패드(110)의 내피와 외피 사이의 소정 부위에 고정된다.
관통핀(143)은 회전프레임(141)을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 회전프레임(141)이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141)과 벨트고정패드(110)에 관통되거나 회전프레임(141)이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141)과 벨트고정패드(110)에 관통될 수 있다.
이 때, 회전프레임(141)에는 관통핀(143)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벨트고정패드(110)에는 회전프레임(141)이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연통홀(111)이 형성되며, 회전프레임(141)이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112)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유닛(140)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더욱 견고하게 구속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조풀리(150)는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를 지지하여 와이어(130)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등벨트(1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권취된다. 보조풀리(150)는 등벨트(100)의 하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로 인해, 와이어(130)는 S자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60)는 조끼 몸체(10)의 어깨 착용 부위에 거치된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가하는 하중을 분산하는 것으로, 하면이 조끼 몸체(10)의 어깨 착용 부위에 결합되며, 상면에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안착된다. 안착플레이트(160)는 전후방향을 따라 굴곡된 곡판 형태로 형성되며, 곡판 형태의 좌우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측벽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안착플레이트(160)에 안착된 와이어(130)는 안착플레이트(160)를 따라 부분적으로 이동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안착플레이트(160)에 안착된 와이어(1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안착플레이트(160)에 고리 형태의 재봉선(165)이 재봉되고, 와이어(130)의 소정부위가 재봉선(165)의 내측에 삽입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보조풀리(150)에 가해지는 와이어(130)의 장력을 분산하기 위하여, 하우징(170) 및 지지플레이트(180)를 추가로 갖는다.
하우징(170)은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설치되며, 보조풀리(150)가 수납된다.
지지플레이트(180)는 하우징(170)과 복부벨트(60)를 연결한다. 지지플레이트(180)는 망사형태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물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80)는 합성수지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보조풀리(150)로부터 받은 와이어(130)의 장력을 복부벨트(6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80)는 하우징(17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무밴드(185)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부벨트(60)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고무밴드(185)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180)가 노화된 경우, 고무밴드(185)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지지플레이트(18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3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3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의 실시예 3의 터치패드, 제어부 및 알람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작업자가 각종 구조물의 어두운 공간에서 쓰러진 위급상황을 주변의 다른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실시예 1의 구성에 케이스(190), 터치패드(200) 및 알람부(210)를 추가로 갖는다.
케이스(190)는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된다. 케이스(19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진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패드(200)를 수용한다.
터치패드(200)는 케이스(190)의 전방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다. 터치패드(200)는 작업자의 손가락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연동하는 제어부(40)는 터치패드(200)에 감지된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후술할 알람부(21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건은 후술하기로 한다.
알람부(210)는 케이스(190)에 내장되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한다. 알람부(210)는 비프음이 발생하는 비프음 발생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비프음은 삐 소리와 같은 기계음 일 수 있다.
제어부(40)는 터치패드(200)에 감지된 터치 동작이 터치 면적 판단부(41), 재터치 판단부(42), 재터치 작동부(43), 터치 시간 판단부(44) 및 가속도 판단부(45)에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격하는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40)는 알람부(210)를 작동시킬 경우, 조명등(20)을 점멸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터치 면적 판단부(41)는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실수로 터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알람부(210)가 작동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터치한 면적에 따라, 알람부(21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면적 판단부(41)는 터치패드(200)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범위 내인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면적 범위 외인 경우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터치 면적 판단부(41)는 터치패드(200)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손가락 면적 범위 내인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터치패드(200)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손등 또는 손바닥처럼 손가락 면적 범위 외인 경우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다.
재터치 판단부(42)는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실수로 2번 이상 터치하는 상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재터치 판단부(42)는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미리 설정된 제1대기 시간 내에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재터치시 경고음이 출력된다'는 안내음성을 출력하고, 미감지되는 경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킨다. 여기서, 안내음성은 재터치 판단부(42)와 연동된 재생장치(미도시)에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장치는 안내음성이 저장된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제1대기 시간은 5 내지 10초일 수 있다.
재터치 작동부(43) 및 터치 시간 판단부(44)는 정신이 혼미한 작업자(예를 들면, 밀폐 공간에서 유해약품에 질식한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터치 면적 판단부(41)의 미리 설정된 면적 범위 내로 터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재터치 작동부(43)는 신이 혼미한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다수번 터치하는 상황에서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재터치 작동부(43)는 재터치 판단부(42)에서 안내음성의 출력이 완료된 후, 미리 설정된 제2대기 시간 내에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미감지되는 경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킨다. 제2대기 시간은 2초 내지 5초일 수 있다.
터치 시간 판단부(44)는 정신이 혼미한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지속적으로 터치하는 상황에서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시간 판단부(44)는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킨다. 지속 시간은 10초 내지 20초일 수 있다.
가속도 판단부(45)는 정신이 혼미한 작업자가 터치패드(200)를 터치 못하고 쓰러지는 상황에서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판단부(45)는 케이스(19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미도시)로 감지한 가속도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알람부(210)를 작동시킨다.
한편, 배터리(50)는 실시예 3에서도 전력 소모를 저감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부벨트(60)의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의 체결시에만 조명등(20), 진동센서(30) 및 제어부(40)로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조끼 몸체
20 : 조명등
30 : 진동센서
40 : 제어부
41 : 터치 면적 판단부
42 : 재터치 판단부
43 : 재터치 작동부
44 : 터치 시간 판단부
45 : 가속도 판단부
50 : 배터리
60 : 복부벨트
61 : 제1버클
62 : 제2버클
71 : 제1커넥터
72 : 제2커넥터
73 : 제1회로
74 : 제2회로
80 : 스트랩
90 : 휨센서
91 : 전도성 입자
100 : 등벨트
110 : 벨트고정패드
111 : 제1연통홀
112 : 제2연통홀
120 : 메인풀리
130 : 와이어
140 : 구속유닛
141 : 회전프레임
142 : 인장스프링
143 : 관통핀
150 : 보조풀리
160 : 안착플레이트
165 : 재봉선
170 : 하우징
180 : 지지플레이트
185 : 고무밴드
190 : 케이스
200 : 터치패드
210 : 알람부

Claims (10)

  1.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 몸체(10);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조명등(20);
    상기 조끼 몸체(10)에 설치되며, 흔들림을 감지하는 진동센서(30); 및
    상기 진동센서(30)에 감지된 흔들림 정도가 미리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등(20)을 점등시키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10)에 설치되는 배터리(50);
    상기 조끼 몸체(10)의 복부 착용 부위에 설치되며, 양단에 제1버클(61) 및 제2버클(62)이 각각 구비된 복부벨트(60);
    상기 제1버클(61) 및 상기 제2버클(62)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버클(61) 및 상기 제2버클(62)의 체결시 상호 접속되는 제1커넥터(71) 및 제2커넥터(72);
    상기 제1커넥터(71)와 상기 배터리(50)를 연결하는 제1회로(73); 및
    상기 제2커넥터(72), 상기 조명등(20), 상기 진동센서(30) 및 상기 제어부(40)를 연결하는 제2회로(74);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팔꿈치에 착용되는 스트랩(80); 및
    상기 스트랩(8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팔을 굽히는 동작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는 휨센서(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휨센서(90)의 저항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등(20)을 점등시키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설치되는 등벨트(100);
    상기 등벨트(10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풀리(120);
    일단이 상기 메인풀리(120)에 권취되며, 타단이 상기 스트랩(80)에 연결되는 와이어(130); 및
    상기 메인풀리(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유닛(140);을 더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140)은,
    상기 등벨트(10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풀리(120)의 둘레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회전프레임(141); 및
    상기 회전프레임(141)을 상기 메인풀리(120) 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142);을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10)의 등 착용 부위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등벨트(1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권취되는 보조풀리(150); 및
    상기 조끼 몸체(10)의 어깨 착용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30)의 소정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풀리(150)가 수납되는 하우징(170); 및
    상기 하우징(170)와 상기 조끼 몸체(10)의 복부 착용 부위에 설치되는 복부벨트(60)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180);를 더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케이스(190);
    상기 케이스(190)의 전방에 형성되며, 작업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패드(200); 및
    상기 케이스(190)에 내장되며, 외부로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패드(200)에 감지된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패드(200)에 터치된 터치 면적이 미리 설정된 설정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설정 범위 외인 경우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하는 터치 면적 판단부(41);
    상기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미리 설정된 제1대기 시간 내에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재터치시 경고음이 출력된다'는 안내음성을 출력하고,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키는 재터치 판단부(42); 및
    상기 재터치 판단부(42)에서 상기 안내음성이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제2대기 시간 내에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고, 미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드(200)를 초기화시키는 재터치 작동부(43);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터치 면적 판단부(41)에서 실수로 인한 터치로 판단한 후, 상기 터치패드(200)의 터치 동작이 미리 설정된 지속 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210)를 작동시키는 터치 시간 판단부(44);를 포함하는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KR1020200162221A 2020-11-27 2020-11-27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KR10254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21A KR102540115B1 (ko) 2020-11-27 2020-11-27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221A KR102540115B1 (ko) 2020-11-27 2020-11-27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076A true KR20220075076A (ko) 2022-06-07
KR102540115B1 KR102540115B1 (ko) 2023-06-07

Family

ID=8198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221A KR102540115B1 (ko) 2020-11-27 2020-11-27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987B1 (ko) * 2022-12-01 2023-02-07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진단 및 점검용 조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18Y1 (ko) * 2006-04-13 2006-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진동 적응형 스마트의류
JP2018097401A (ja) * 2016-12-08 2018-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KR101873726B1 (ko) 2018-01-04 2018-07-03 오리온시스템즈 주식회사 Led안전조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18Y1 (ko) * 2006-04-13 2006-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진동 적응형 스마트의류
JP2018097401A (ja) * 2016-12-08 2018-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KR101873726B1 (ko) 2018-01-04 2018-07-03 오리온시스템즈 주식회사 Led안전조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987B1 (ko) * 2022-12-01 2023-02-07 (주)한국종합안전연구원 안전진단 및 점검용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15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459B2 (en) Safety clothing
JP4548729B2 (ja) 着用式エアバッグ装置
US6377177B1 (en) Baby blanket with baby monitoring system
KR102081082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조끼
KR102540115B1 (ko) 시설물 안전점검용 안전 조끼
KR20190088360A (ko) 안전 진단용 조명 조끼
US20150335135A1 (en) Illuminated Shoulder Strap
CN109561741A (zh) 设置有可充气的防护设备的服装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EP2527243B1 (en) Light for a Life Vest
CN114980733B (zh) 用于发光动物约束装置的系统和方法
KR102431043B1 (ko)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KR101904272B1 (ko) 안전벨트 착용유무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40629A (ko) 발광 밴드
US11963281B2 (en) Ligh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26119B1 (ko) 텍스타일형 캠핑용 가스 탐지장치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KR101843880B1 (ko) 안전장구 체결 감지기
JP6743242B2 (ja) 検知器
KR20190007763A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KR20210009050A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및 이를 가진 안전모
KR20220015770A (ko) 지능형 안전 고리
KR102570088B1 (ko) 가스검출장치
JPH0616884Y2 (ja) 酸欠ガス感知機能付き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