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7763A -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7763A
KR20190007763A KR1020170089173A KR20170089173A KR20190007763A KR 20190007763 A KR20190007763 A KR 20190007763A KR 1020170089173 A KR1020170089173 A KR 1020170089173A KR 20170089173 A KR20170089173 A KR 20170089173A KR 20190007763 A KR20190007763 A KR 2019000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ight emitting
receiving portion
fi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778B1 (ko
Inventor
박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비전
Priority to KR102017008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7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홀딩 하우징과, 홀딩하우징에 장착되며 낚싯대의 움직임으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단하여 발광부를 통해 입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감지 모듈을 구비하고, 발광부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이 몰딩캡 내에 내장된 발광소자와,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발광소자의 몰딩캡이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개방된 개구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홈에 삽입된 몰딩캡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외주면을 통해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확산봉을 구비한다. 이러한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의하면, 확산봉을 통해 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효율을 높여 시각적 인지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확산봉을 안테나의 장착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규모 및 구조를 단순화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Fish bite detector and alarm device}
본 발명은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낚싯대에 장착되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된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바늘에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낚시에서는 바늘에 달린 먹이를 섭취하는 물고기의 입질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는 방법은 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각적인 것과 팽팽하게 연결된 낚싯줄을 통해 낚싯대에 전해지는 진동의 촉각으로부터 파악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야간 낚시시에는 화학적 발광을 이용하는 야광 케미컬 찌와 전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하는 전자 찌를 이용하기도 한다.
낚시 활동시 사용되는 통상의 찌는 낚싯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먹이가 있는 바늘에서 발생하는 물고기의 먹이 섭취 활동 양상에 따라 수면의 상하로 오르내리게 된다. 이 경우 찌가 수면의 상하로 오르내리면 물고기가 입질을 하는 때이므로, 낚싯대를 들어 올리는 챔질행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낚시 행위는 입질의 감지를 위해 찌의 움직임을 시각에 의지하여 판단하거나, 낚싯대 끝 부분에 해당하는 초릿대의 미세한 움직임을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하여 알아내기 위해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된다.
특히, 초보자에게는 입질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 들이 낚시에 입문하는데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하여 쉽게 포기하고 있으며, 이에 낚시하는 사람이 쉽게 입질(어신)을 파악하여 낚시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싯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불빛이나 소리로서 낚시하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다양한 방식의 어신감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어신감지장치의 일 예로, 스위치의 접점을 단속시키는 작동막대 끝에 낚싯줄을 연결하고, 낚싯줄이 당겨지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신호발생기를 통하여 어신을 발생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낚싯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어신을 발생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신감지장치는 낚싯줄에 연결되어 낚싯줄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도록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복잡한 기구적 구성의 제약으로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져 소비자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또 다른 어신감지장치로서 어신으로 낚싯줄이 처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 낚싯줄에 연결한 수은감지센서의 기울임 동작에 따라 어신을 감지하여 LED를 점등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신감지장치는 낚싯줄에 기울기 센서를 설치한 상태에서 센서의 자세를 변경할 수 없는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낚시 장소나 개인 취향 등 사용환경에 따라 기울기 센서의 작동 범위를 조정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낚싯대의 거치 각도에 따라 기울기 센서의 작동 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거나, 바람이나 물결에 의한 오동작을 줄이면서 센서의 감지레벨을 둔감하게 조정하거나 이와 반대로 민감하게 조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어신감지장치는 고기의 입질과는 관계없는 바람이나 물결 등에 의해서도 어신이 발생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낚시찌가 바람이나 물결의 영향을 받아서 물고기가 물지 아니한 경우에도 낚싯줄이 당겨져 어신을 알림으로써, 헛챔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고기의 입질여부에 대한 판정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를 국내 특허출원 제10-2016-0068367호를 통해 제안한 바 있다.
한편, 구조적으로 규모 확장을 최소화 하면서도 입질신호를 표시하는 발광부분의 시각적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배터리의 탈착 편리성도 제공할 수 있는 입질신호 알림장치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03-0094113 A1 KR 20-0160349 Y1 KR 20-0235466 Y1 KR 20-0307812 Y1 KR 20-2009-0011513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적으로 규모 확장을 최소화 하면서도 입질신호를 표시하는 발광부분의 시각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탈착 편리성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입질신호를 무선 유니트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는 낚싯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낚싯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홀딩 하우징과; 상기 홀딩하우징에 장착되며 낚싯대의 움직임으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단하여 발광부를 통해 입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감지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이 몰딩캡 내에 내장된 발광소자와;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상기 발광소자의 상기 몰딩캡이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개방된 개구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몰딩캡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외주면을 통해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확산봉;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봉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봉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몰딩캡이 진입될 수 있게 일단으로부터 제1내경을 갖게 타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부분과, 상기 삽입가이드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타단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분을 갖게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입질신호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입질정보를 상기 확산봉의 나선홈을 따라 와인딩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유닛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지모듈은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단자홈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소켓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홈을 통해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소켓본체 외부로 연장된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입질정보를 무선으로 송출되게 처리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극성을 갖는 바디부분과; 상기 바디부분의 상단 중앙에서 상기 바디부분과 절연되어 상기 바디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극성과 다른 제2극성을 갖는 핀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단자홈 천정에는 상기 핀부분이 진입되어 상기 제어유니트의 대응되는 제1단자와 접속을 가이드 하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홈의 하부가 개방된 내측면에는 진입되는 상기 배터리의 바디부분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어유니트로부터 연장된 제2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딩 하우징은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단자홈에 상기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소켓본체의 일부가 진입될 수 있는 길이의 수용공간을 갖게 상부가 개방된 통형수용부분과;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어 낚싯대의 일부를 감쌀 수 있게 상기 통형수용부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에 록킹홀이 형성된 회동 홀딩편과;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외측면에 상기 회동홀딩편과 함께 낚싯대를 감싸 홀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록킹홀에 진입되어 상기 회동홀딩편을 록킹시키는 록킹편이 형성된 고정홀딩편과; 상기 고정홀딩편을 중심으로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통형수용부분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게 호형으로 각각 형성된 보조 지지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의하면, 확산봉을 통해 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효율을 높여 시각적 인지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확산봉을 안테나의 장착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규모 및 구조를 단순화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가 장착된 낚싯대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회동홀딩편을 고정홀딩편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3의 배터리가 보관 상태로 장착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가 장착된 낚싯대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회동홀딩편을 고정홀딩편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100)는 낚싯대(10)에 장착되며 낚싯대(10)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질신호 알림장치(100)는 홀딩하우징(110)과 감지 모듈(150)을 구비한다.
홀딩 하우징(110)은 낚싯대(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홀딩 하우징(110)은 낚싯대(10)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초릿대(10a)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초릿대(10a)에 홀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홀딩 하우징(110)을 구분하면, 통형 수용부분(120), 회동홀딩편(130), 고정 홀딩편(135), 보조 지지편(138)을 구비한다.
통형 수용부분(120)은 대략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22)이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통형 수용부분(120)의 수용공간(122)은 후술되는 소켓본체(160)의 단자홈(162a)에 배터리(170)가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170)와 소켓본체(160)의 일부가 진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 홀딩편(130)은 통형수용부분(120)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어 낚싯대(10)의 초릿대(10a) 일부를 감쌀 수 있게 통형수용부분(1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에 사각형샹의 록킹홀(13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회동 홀딩편(130)은 통형수용부분(12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부분(132)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은 단면이 'U'자 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초릿대(10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패드(133)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홀딩편(135)은 통형수용부분(120)의 외측면에 회동홀딩편(130)과 함께 낚싯대(10)의 초릿대(10a)를 감싸 홀딩할 수 있게 형성되며 록킹홀(134)에 진입되어 회동홀딩편(130)을 록킹시키는 록킹편(136)이 외측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홀딩편(135)도 단면이 'U'자 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초릿대(10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패드(137)가 장착되어 있다.
보조 지지편(138)은 고정홀딩편(135)을 중심으로 통형수용부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통형수용부분(120)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낚싯대(10)의 초릿대(10a)를 지지할 수 있게 'U'자 형태의 호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딩 하우징(110)은 초릿대(10a)에 장착시 초릿대(10a)가 고정 홀딩편(135)의 탄성패드(137)에 안착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회동홀딩편(130)이 초릿대(10a)를 감싸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록킹홀(134)이 록킹편(136)에 진입되게 록킹시키면 되고, 분리시에는 록킹편(136)으로부터 회동 홀딩편(130)이 분리되게 회동조작하면 된다.
감지모듈(150)은 홀딩하우징(110)의 통형수용부분(120)을 통해 장착되며 낚싯대(10)의 움직임으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단하여 발광부(180)를 통해 입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감지 모듈(150)은 소켓본체(160), 배터리(170), 발광부(180), 제어유니트(190)를 구비한다.
소켓본체(160)는 배터리(170)의 탈착과 제어유니트(190)의 장착을 지원할 수 있으면서, 홀딩하우징(110)에 탈착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소켓본체(160)는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 배터리(170)가 장착되는 단자홈(162a)1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6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소켓본체(160)를 구분하면, 배터리 수용부분(162)과, 제1메인부분(165a), 제1홈부분(165b), 스토퍼부분(156c), 보조 결합부분(165d)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부분(162)은 하부가 개방된 단자홈(162a)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후술되는 제어유니트(190)의 제2단자(192)의 일부가 수용되되 배터리(170)의 바디부분(172)과의 접촉에 의한 탄성적 변형을 허용하게 관통된 사이드홀(162b)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는 폐쇄되되 핀홀(162c)이 형성된 천정을 갖는 구조로 된 부분이다.
여기서, 소켓본체(160)의 단자홈(162a) 천정에 형성된 핀홀(162a)은 후술되는 배터리(170)의 핀부분(174)이 진입되어 제어유니트(190)의 대응되는 제1단자(191)와 접속을 가이드 하기 위해 적용된 것이다.
또한, 배터리 수용부분(162)의 하부가 개방된 단자홈(162a)의 내측면에는 진입되는 배터리(170)의 바디부분(172)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속되며 제어유니트(190)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된 제2단자(192)가 사이드홀(162b)을 통해 입출될 수 있게 노출되어 있다.
제1메인부분(165a)은 배터리 수용부분(162)과 동일한 제1외경을 갖으며 배터리수용부분(162)의 상단에서 제1홈부분(165b)을 통해 이격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제1홈부분(165b)은 제1메인부분(165a)의 일단 즉 하단과 배터리 수용부분(162) 사이에서 제1외경보다 작은 제2외경을 갖게 외측면이 인입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제1홈부분(165b)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링(167)이 삽입되어 있다.
탄성링(167)은 외경이 제1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되 탄성적으로 변형에 의해 홀딩 하우징(11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되면 된다.
이러한 탄성링(167)은 홀딩하우징(110)과의 밀착력을 높여 분리에 요구되는 분리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스토퍼부분(165c)은 제1메인부분(165a)의 타단 즉, 상단에서 통형수용부분(120)의 내경보다 확장된 제3외경을 갖게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형수용부분(120) 내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보조 결합부분(165d)은 스토퍼부분(165c)으로부터 제3외경보다 작은 제4외경을 갖게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조립과정에서 제어유니트(190)가 진입될 수 있게 상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결합부분(165d)의 중간에는 제4내경보다 작은 제5내경을 갖는 중간홈부분(165d1)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분(16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164)을 갖는 메인수용부분(165)에 해당한다.
배터리(17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극성을 갖는 바디부분(172)과, 바디부분(172)의 상단 중앙에서 바디부분(172)과 절연되어 바디부분(17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극성과 다른 제2극성을 갖는 핀부분(174)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이 적용되었다.
이 경우, 배터리(170)는 제어유니트(190)를 작동시키고자 할 때 핀부분(174)이 핀홀(162c)을 통해 삽입되게 하여 제어유니트(190)에 결속시키면 되고, 비작동시키고자 할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부분(174)이 통형 수용부분(120)내에 위치하게 거꾸로 단자홈(162a)에 삽입시켜 보관하면된다.
발광부(180)는 후술되는 제어유니트(190)에 제어되어 구동되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칩(181a)(181b)이 몰딩캡(184) 내에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발광소자(181)는 제1리드선(182a)의 상단에 제1발광칩(181a)이 실장되어 있고, 제2리드선(182b)의 상단에 제2발광칩(181b)이 실장되어 있고, 제3리드선(181c)이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제1발광칩(181a)과 제3리드선(181c) 사이는 와이어 본딩처리되어 있고, 제2발광칩(181b)과 제3리드선(181c) 사이도 와이어 본딩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유니트(190)는 제1발광칩(181a)과 제2발광칩(181b)을 제1 내지 제3리드선(182a)(182b)(182c)를 통해 독립적으로 발광되게 구동할 수 있다.
제1발광칩(181a)은 녹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되고, 제2발광칩(181b)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딩캡(184)은 제1 내지 제3리드선(182a)(182b)(182c)의 일부와 제1 및 제2발광칩(181a)(181b)를 에워싸게 투명소재로 몰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몰딩캡(184)은 후술되는 확산봉(185)의 삽입홈(186)에 진입되는 진입부분(184a)과, 진입부분(184a)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게 형성된 플랜지부분(184b)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봉(185)은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발광소자(181)의 몰딩캡(184)이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개방된 개구를 갖는 삽입홈(18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확산봉(185)의 삽입홈(186)은 제1 또는 제2발광칩(181a)(181b)의 발광에 의해 몰딩캡(184)을 통해 출사되는 광의 측면으로 확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개구를 통해 몰딩캡(184)이 진입될 수 있게 일단으로부터 제1내경을 갖게 타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부분(186a)과, 삽입가이드부분(186a)의 종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분(186b)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산봉(185)은 삽입홈(186)에 삽입된 몰딩캡(18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외주면을 통해 확산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나선홈(187)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회 선회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확산봉(185)은 발광소자(181)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봉(185) 측면으로 의 분포 균일성을 높여 시각적인 인지 효율성을 높여 준다.
투광보호캡(189)은 소켓본체(160)의 보조결합부분(165d)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투광보호캡(189)은 외부로 노출된 확산봉(185)과 제어유니트(190) 즉, 회로기판(194)을 감싸며 보조결합부분(165d)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삽입공간(189a)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보호캡(189)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면 된다.
제어유니트(190)는 소켓본체(160)의 내부공간(164)을 통해 장착되어 있고, 단자홈(162a)을 통해 접속된 배터리(17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가동된다.
제어유니트(190)는 회로기판(194), 움직임 검출센서(195), 무선통신부(196), 발광구동부(197) 및 제어부(198)를 구비한다.
회로기판(194)은 소켓본체(160)의 내부공간(164)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있고, 노출된 부분의 상단에 발광소자(181)의 제1 내지 제3리드선(182a)(182b)(182c)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기판(194)의 하부에는 단자홈(162a)을 통해 삽입된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결선하기 위한 제1 및 제2단자(191)(192)가 접속되어 있다.
움직임검출센서(195)는 회로기판(194)상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검출하고, 검출된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198)에 제공한다.
움직임 검출센서(195)는 3축에 대한 움직임을 모두 검출하는 3축 가속도센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부(196)은 제어부(198)에 제어되어 입질신호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입질정보를 안테나(196a)를 통해 수신유닛(200)에 송출한다.
여기서, 안테나(196a)는 확산봉(185)의 나선홈(187)을 따라 와인딩되어 헬리컬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었다.
발광구동부(197)는 제어부(198)에 제어되어 제1발광칩(181a) 또는 제2발광칩(181b)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광되게 구동한다.
제어부(198)는 발광소자(181)의 구동 오프 상태에서 발광소자(181)를 통해 수신되는 광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전류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주간모드로 판단하고, 기준값 미만이며 야간모드로 판단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98)에 제공하는 조도센서가 별도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98)는 움직임검출센서(195)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정하여 발광구동부(197)를 통해 발광부(180)의 구동을 제어하고, 무선통신부(196)의 안테나(196a)를 통해 입질정보가 무선으로 송출되게 처리한다.
제어부(198)는 움직임 검출센서(195)에서 감지된 3축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입질신호 발생 여부 및 입질강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 및 주야간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대응하여 발광부(180) 및 무선통신부(196)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움직임 검출센서(195)의 X축 방향이 홀딩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즉, 낚싯대(10)의 초릿대(10a)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98)는 움직임 검출센서(195)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1기준시간 동안 초릿대(10a)의 평균각도값을 산출하고, 움직임 검출센서(195)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초릿대(10a)의 실시간 각도값을 산출하며, 평균각도값과 실시간각도값의 차를 계산하여 X축에 대한 각도변화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98)는 움직임 검출센서(195)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2기준시간 동안 X축, Y축, Z축 각각의 평균가속도값을 산출하고, 움직임 검출센서(195)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X축, Y축, Z축 각각의 실시간가속도값을 산출하며, 평균가속도값과 실시간가속도값의 차를 계산하여 X축, Y축, Z축 각각의 가속도변화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98)는 움직임 검출센서(195)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3기준시간 동안 Y축 및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98)는 산출된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기반으로 Y축과 Z축 각각의 지표면에 대한 중력가속도의 수직과 수평방향의 성분 비율을 산출하고,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이 양의 값인지 음의 값인지를 판별하며, Y축과 Z축 각각의 가속도변화값과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 및 수평방향가속도변화값을 산출한다.
이후, 제어부(198)는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이 수평방향가속도변화값보다 큰 경우에만 입질신호 발생으로 판정하고, X축의 각도변화값, 가속도변화값 및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의 크기에 따라서 입질신호를 설정된 강도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한다.
제어부(198)는 판정된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발광부(180)의 발광모드를 다르게 적용한다.
일 예로서, 제어부(198)는 앞서 설명된 광전류가 기준값 이상으로 주간모드이고,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발광부(180)의 제1 및 제2발광칩(181a)(181b)가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제어한다.
이와는 다르게 제어부(198)는 주간모드에서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제1 및 제2발광칩(181a)(181b)을 설정된 표시패턴에 따라 발광되게 제어한다.
일 예로서, 제1입질강도인 경우 적색을 발광하는 제2발광칩(181b)을 먼저 온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광의 강도가 약해지도록 하면서 녹색을 발광하는 제1발광칩(181a)는 점진적으로 광의 강도가 강해지도록 제어하되 제2발광칩(181b)이 오프된 시점부터는 설정된 시간동안만 제1발광칩(181a)을 점멸시킨 뒤 제1발광칩(181a)을 오프시킨다.
또한, 제어부(198)는 제1입질강도보다 강한 제2입질강도에 대해서는 제2발광칩(181b)이 평균 강도의 광을 출사하도록 일정시간 동안 온시킨 후에 제1입질신호에 해당하는 발광패턴을 수행하도록 하고, 제2입질신호보다 강한 제3입질신호에서는 제2발광칩(181b)이 강한 광의 강도로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킨 후, 제2입질신호와 제1입질신호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질강도에 따른 발광패턴은 제1 및 제2발광칩(181a)(181b)을 이용하여 상호 다른 조합으로 다양하게 표시되게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8)는 야간모드일 때도 설정된 다양한 패턴으로 입질강도에 대응되게 발광부(180)를 구동한다.
수신유닛(200)은 무선으로 송출된 입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질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의 낚싯대를 지시하는 표시등이 발광되게 본체(210)상에 마련된 표시부(220)를 제어한다.
또한, 수신유닛(200)은 수신된 입질정보에 대응되는 식별번호의 낚싯대에 대해 진동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의하면, 확산봉을 통해 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광의 확산효율을 높여 시각적 인지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확산봉을 안테나의 장착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규모 및 구조를 단순화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홀딩 하우징 120: 통형 수용부분
130: 회동홀딩편 135: 고정 홀딩편
150: 감지모듈 160: 소켓본체
170: 배터리 180: 발광부
190: 제어유니트

Claims (8)

  1. 낚싯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있어서,
    낚싯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홀딩 하우징과;
    상기 홀딩하우징에 장착되며 낚싯대의 움직임으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단하여 발광부를 통해 입질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감지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칩이 몰딩캡 내에 내장된 발광소자와;
    원형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상기 발광소자의 상기 몰딩캡이 진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개방된 개구를 갖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몰딩캡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외주면을 통해 확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확산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봉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봉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몰딩캡이 진입될 수 있게 일단으로부터 제1내경을 갖게 타단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삽입가이드부분과, 상기 삽입가이드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타단방향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분을 갖게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입질신호와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입질정보를 상기 확산봉의 나선홈을 따라 와인딩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유닛에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원통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단자홈이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소켓본체와;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홈을 통해 접속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소켓본체 외부로 연장된 회로기판상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로부터 입질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입질정보를 무선으로 송출되게 처리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제1극성을 갖는 바디부분과;
    상기 바디부분의 상단 중앙에서 상기 바디부분과 절연되어 상기 바디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극성과 다른 제2극성을 갖는 핀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단자홈 천정에는 상기 핀부분이 진입되어 상기 제어유니트의 대응되는 제1단자와 접속을 가이드 하는 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홈의 하부가 개방된 내측면에는 진입되는 상기 배터리의 바디부분 외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어유니트로부터 연장된 제2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하우징은
    상기 소켓본체의 상기 단자홈에 상기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소켓본체의 일부가 진입될 수 있는 길이의 수용공간을 갖게 상부가 개방된 통형수용부분과;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외측면에 일측이 결합되어 낚싯대의 일부를 감쌀 수 있게 상기 통형수용부분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며 타측에 록킹홀이 형성된 회동 홀딩편과;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외측면에 상기 회동홀딩편과 함께 낚싯대를 감싸 홀딩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록킹홀에 진입되어 상기 회동홀딩편을 록킹시키는 록킹편이 형성된 고정홀딩편과;
    상기 고정홀딩편을 중심으로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통형수용부분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낚싯대를 지지할 수 있게 호형으로 각각 형성된 보조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는
    상기 단자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상기 제2단자의 일부가 수용되되 상기 배터리의 바디부분과의 접촉에 의한 탄성적 변형을 허용하게 관통된 사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상기 핀홀이 형성된 천정을 갖는 배터리 수용부분과;
    상기 배터리수용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갖는 메인수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수용부분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분과 동일한 제1외경을 갖는 제1메인부분과;
    상기 제1메인부분의 일단과 상기 배터리 수용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외경보다 작은 제2외경을 갖게 형성된 제1홈부분과;
    상기 제1메인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통형수용부분의 내경보다 확장된 제3외경을 갖게 형성되어 상기 통형수용부분 내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스토퍼부분과;
    상기 스토퍼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외경보다 작은 제4외경을 갖게 연장되며 상기 제어 유니트가 진입될 수 있게 상부 개구가 형성된 보조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결합부분 외부로 노출된 상기 확산봉과 상기 제어유니트를 감싸며 상기 보조결합부분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삽입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투광보호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20170089173A 2017-07-13 2017-07-13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207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73A KR102072778B1 (ko) 2017-07-13 2017-07-13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173A KR102072778B1 (ko) 2017-07-13 2017-07-13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763A true KR20190007763A (ko) 2019-01-23
KR102072778B1 KR102072778B1 (ko) 2020-02-03

Family

ID=6528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173A KR102072778B1 (ko) 2017-07-13 2017-07-13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267A (ko) * 2019-04-29 2020-11-06 박준배 다용도 어신감지기
KR102276195B1 (ko) * 2020-08-26 2021-07-12 주식회사 세원엠지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349Y1 (ko) 1997-07-30 1999-11-01 조영익 릴낚시용 어신 경보기
KR200235466Y1 (ko) 2001-03-13 2001-10-08 김철재 어신 감지센서
KR200307812Y1 (ko) 2002-12-27 2003-03-19 최성섭 어신 자동 감지장치가 설치된 릴받침대
KR20030094113A (ko) 2003-06-04 2003-12-11 김건년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
KR20090011513U (ko) 2008-05-08 2009-11-12 남진윤 진동감지장치
KR20110011935U (ko) * 2010-06-21 2011-12-28 지영근 주간 및 야간 겸용 전자케미라이트
KR20120139488A (ko) * 2011-06-18 2012-12-27 (주)다우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KR20170029271A (ko) *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어신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0349Y1 (ko) 1997-07-30 1999-11-01 조영익 릴낚시용 어신 경보기
KR200235466Y1 (ko) 2001-03-13 2001-10-08 김철재 어신 감지센서
KR200307812Y1 (ko) 2002-12-27 2003-03-19 최성섭 어신 자동 감지장치가 설치된 릴받침대
KR20030094113A (ko) 2003-06-04 2003-12-11 김건년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
KR20090011513U (ko) 2008-05-08 2009-11-12 남진윤 진동감지장치
KR20110011935U (ko) * 2010-06-21 2011-12-28 지영근 주간 및 야간 겸용 전자케미라이트
KR20120139488A (ko) * 2011-06-18 2012-12-27 (주)다우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KR20170029271A (ko) * 2015-09-07 2017-03-15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어신감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267A (ko) * 2019-04-29 2020-11-06 박준배 다용도 어신감지기
KR102276195B1 (ko) * 2020-08-26 2021-07-12 주식회사 세원엠지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778B1 (ko) 202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3417B2 (ja) Ledランプ
US11570710B2 (en) Remotely detectable transportable game and fishing alarm system
KR101044468B1 (ko)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KR20190096373A (ko) 에너지 검출 경고 디바이스
US20120238330A1 (en) Apparatus that connects wirelessly to a cell phone via bluetooth technology and provides additional ringing sound and visual alert upon an incoming call
US20090223546A1 (en) Multi-function cane
KR20190007763A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US98546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1906671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WO2018006837A1 (zh) 一种坐姿及照度集成监测设备及照明设备
CN105191891B (zh) 一种防盗竿的钓鱼报警组件
CN103530974A (zh) 一种用于移动智能设备的防跌落方法和装置
KR20170136368A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JP5362631B2 (ja) 無線送信装置
KR101800971B1 (ko) 멀티캠핑랜턴
TWI741231B (zh) 可攜式照明警報裝置
GB2392599A (en) Bite Alarm
CN104571427A (zh) 便携式电子设备
KR20190031917A (ko)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JP7320201B2 (ja) 電子機器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と、電子機器
CN107105635B (zh) 钓鱼用发光浮标
EP3498093B1 (en) A fishing appliance and a fishing accessory
JP2009093575A (ja) 避難誘導照明灯装置
CN208152096U (zh) 井圈装置
RU112601U1 (ru) Электронный знач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