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917A -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31917A KR20190031917A KR1020170120188A KR20170120188A KR20190031917A KR 20190031917 A KR20190031917 A KR 20190031917A KR 1020170120188 A KR1020170120188 A KR 1020170120188A KR 20170120188 A KR20170120188 A KR 20170120188A KR 20190031917 A KR20190031917 A KR 201900319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acceleration sensor
- fishing
- emitting member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29 Malva sylve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70 Malva sy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ZSCFTDHFNHMOR-UHFFFAOYSA-N n-(2,4-difluorophenyl)-2-[3-(trifluoromethyl)phenoxy]pyridine-3-carboxamide;1,1-dimethyl-3-(4-propan-2-ylphenyl)urea Chemical compound CC(C)C1=CC=C(NC(=O)N(C)C)C=C1.FC1=CC(F)=CC=C1NC(=O)C1=CC=CN=C1OC1=CC=CC(C(F)(F)F)=C1 RZSCFTDHFNHM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65—Jiggling devices, i.e. devices for moving the l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상에 부유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배터리삽입관(145)이 구비되는 찌몸통(110)과; 상기 찌몸통(11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된 찌톱(120)과; 상기 찌몸통(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낚시줄 또는 낚시대와 결합되는 찌다리(130)와; 상기 찌몸통(110) 내부에 구비되며, X축, Y축, Z축의 속도 변화를 통해 어신을 감지하는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배터리삽입관(145)에 상기 배터리(150)가 삽입되어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어신이 수신되면, 단위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별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낚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에 따라 색상 또는 설치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순차적으로 발광되어 단계별로 어신을 표시할 수 있는 발광낚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시대와, 낚시줄, 낙시찌와 낚시바늘을 이용하여, 낚시바늘에 달린 먹이를 먹는 물고기의 입질 형태를 파악하여 챔질하는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입질 형태는 크게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각적인 것과 팽팽하게 당겨지는 낚시대에 전해지는 진동의 촉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파도가 치는 강이나 바다에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해 어신을 감지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에 최근에는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입질하는 어신이 있는 경우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어신을 인지시키는 발광낚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어신감지용 발광낚시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1497530호 "낚시용 발광찌"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어신감지용 발광찌들은 어신을 감지하면 1회성 입질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1회성 입질은 물고기에 의한 어신일 수도 있으나,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한 오동작일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진정한 어신을 판단할 수 있도록 연속된 어신이 감지되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발광낚시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정된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에 따라 색상 또는 설치위치가 상이한 복수개의 발광부재를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연속된 어신의 감지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발광낚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신감지 민감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단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광낚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바늘과 이어지는 낚시줄 또는 낚시대의 경로 상에 결합되는 발광낚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는, 수면상에 부유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배터리삽입관(145)이 구비되는 찌몸통(110)과; 상기 찌몸통(11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된 찌톱(120)과;상기 찌몸통(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낚시줄 또는 낚시대와 결합되는 찌다리(130)와; 상기 찌몸통(110) 내부에 구비되며, X축, Y축, Z축의 속도 변화를 통해 어신을 감지하는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배터리삽입관(145)에 상기 배터리(150)가 삽입되어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어신이 수신되면, 단위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별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시간과, 각 발광부재가 점등되기 위해 상기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어야할 어신횟수를 입력받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 중 상기 찌톱(120)의 최상위에 위치된 최상위 발광부재(121)는 위치표시를 위해 항상 점등되고,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차상위 발광부재(123)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상기 차상위 발광부재(123)가 점등되고,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상기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고, 상기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되면, 기발광된 차상위 발광부재(123)는 소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모두 점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도 어신의 수신이 계속되면, 상기 단위시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50)가 상기 배터리삽입관(145)에 삽입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때,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의 각도구간에 따라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는 내부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안에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를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발광부재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실한 어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종래의 제품들은 1회의 어신만을 감지하여 발광부재를 통해 표시하는 방식이므로, 바람이나 파도등에 의한 오동작도 어신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피라미나 송사리 등 아주 작은 물고기의 입질에도 반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 때로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 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는 어신감지 민감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아주 작은 물고기의 입질에는 반응하지 않게 어신감지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어신감지 민감도로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에 따라 상위에 있는 발광부재부터 순차적으로 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부재가 발광함으로서, 발광되는 발광부재의 개수를 보고 어신의 정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를 이용해 낚시를 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어신감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의 어신감지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100)를 이용해 낚시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100)는 낚시대(10)에 연결된 낚시줄(11)에 결합된다. 낚시줄(11)의 단부에는 낚시바늘(13)이 결합되고, 물고기(A)가 낚시바늘(13)에 끼워진 미끼에 유인되어 낚시바늘(13)을 물면 발광낚시장치(100)의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어신 감지횟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며 물고기가 잡혔다는 어신을 다단계로 사용자에게 보내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점등된 발광부재의 개수를 보고 물고기가 잡혀서 어신이 감지되었는지, 단순히 파도 등에 의해 어신이 감지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낚시줄(11)에는 발광낚시장치(100) 외에도 찌멈춤고무(12,14), 고리봉돌(15)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낚시를 하는 낚시터(C)가 바다인 경우 파도(B)의 세기가 날씨와 조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100)는 낚시터(C)의 환경조건에 따라 어신감지 민감도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낚시줄(11)에 발광낚시장치(1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어신감지 민감도를 민감, 보통, 둔감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는 민물낚시용 낚시대(10)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는 민물낚시 뿐만 아니라 바다낚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는 경우에 따라 낚시줄(11)이 아니라 낚시대(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의 외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는 물고기가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상에 떠 있는 찌몸통(110)과, 찌몸통(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구비되는 찌톱(120)과, 찌몸통(110)과 찌톱(120)을 결합시키는 내부에 기판(142)과 3축 가속도 센서(143)를 수용하는 센서소켓(140)과, 센서소켓(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발광부재(121,123,125,127)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와, 3축 가속도 센서(143)의 단위시간당 어신 수신 횟수에 따라 배터리(150)의 전원이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거나, 전원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찌몸통(110)은 물에 뜰 수 있는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센서소켓(140)과 배터리(150)를 수용한다. 찌몸통(110)은 내부에 수용된 구성품들이 물에 젖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몸통(110)은 내부가 비어있게 형성되며, 상부에 센서소켓(140)이 삽입되는 소켓삽입공(111)이 형성된다. 소켓삽입공(111)이 형성되는 찌몸통(110)의 내벽면에는 제1나사산(111a)이 형성되어 센서소켓(140)의 기판수용관(141)과 나사결합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찌몸통(110)으로부터 센서소켓(140)을 용이하게 분리하고, 센서소켓(140)에 배터리(15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찌몸통(110)의 형상은 센서소켓(140)과 배터리(15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찌톱(120)은 찌몸통(110)의 상부에 일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찌톱(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구비된다. 찌톱(120)의 최상부에는 제1발광부재(121)가 구비되고, 순차적으로 제2발광부재(123), 제3발광부재(125) 및 제4발광부재(127)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낚시장치(100)는 네 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가지나, 경우에 따라 네 개 보다 많거나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발광부재(121)는 찌톱(120)의 최상위에 구비되며 어신의 수신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발광되어 현재 발광낚시장치(100)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제2발광부재(123), 제3발광부재(125), 제4발광부재(127)는 제1발광부재(121)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광부재(121,123,125,127)에는 전원공급라인(a)과 제어라인(b)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 발광부재(121,123,125,127)로 배터리(15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찌다리(130)는 찌몸통(1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된다. 찌다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11)에 연결된다.
센서소켓(140)은 찌몸통(110)과 찌톱(120)을 연결한다. 센서소켓(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기판수용관(141)이 일체로 형성되고, 기판수용관(141)에는 기판(142)이 수용된다. 기판(142)의 하부에는 배터리삽입관(145)이 일체로 형성되고, 배터리(150)가 배터리삽입관(1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센서소켓(140)을 통해 찌톱(120)이 기판(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공급라인(a)과 제어라인(b)이 기판(142)에 구비된 제어부(180)와 연결되어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받게 된다.
기판수용관(141)은 센서소켓(140)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구비된다. 기판수용관(141)의 내부에는 기판(142)이 수용된다. 기판수용관(141)의 외주면에는 제2나사산(141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찌몸통(110)과 센서소켓(140)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센서소켓(140)과 기판수용관(141) 사이에는 실링부재(141b)가 구비되어 센서소켓(140)과 찌몸통(110)의 결합영역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기판(142)은 센서소켓(140) 내부에 구비되어 3축 가속도 센서(143), 배터리(150) 및 제어부(1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배터리(150)의 전원이 각 구성들로 공급되도록 한다. 기판(142)의 하부에는 배터리(150)가 수용되는 배터리삽입관(145)이 구비되고, 배터리삽입관(145)에는 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145a)가 구비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42)의 표면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저항과 커패시터 등이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X축, Y축, Z축의 각도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낚시바늘(13)에 걸리는 것(어신)을 감지한다. 또한, 3축 가속도 센서(143)는 배터리(15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의 각 축의 각도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어신감지 민감도를 별도의 수단 없이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X축, Y축, Z축의 세 축으로 이루어지며, 찌몸통(110)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각 축의 현재 각도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X-Y-Z축으로 구분해서 중력가속도 g를 이용하여 각 축의 기울기를 계산하고, 계산된 각도값을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찌몸통(110)의 위치에 변화가 생기면, X-Y-Z축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 때, 연속된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위치값이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화하게 되면, 어신을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는 어신을 감지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어신감지 민감도가 민감일 경우, 3축 중 기준축의 변화량이 중력 기준으로 10 이하의 작은 속도 변화로 설정할 수 있다. 어신감지 민감도가 보통일 경우, 3축 중 기준축의 변화량이 중력 기준으로 20 이하의 보통 속도 변화로 설정할 수 있다. 어신감지 민감도가 둔감일 경우, 3축 중 기준축의 변화량이 30 이하의 둔한 속도 변화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상의 속도 변화는 입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3축 가속도 센서(143)와 제어부(180) 사이에는 어신감지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143)에서 생성되는 어신감지 신호는 미약하다. 신호처리부(170)에서는 미약한 어신감지 신호를 그보다 전압 레벨이 높은 신호로 증폭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배터리(150)는 배터리삽입관(1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150)는 기판(14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기판(142)과 연결된 3축 가속도 센서(143), 신호처리부(170) 및 발광부재(121,123,125,127)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50)는 찌몸통(11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고, 낚시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몸통(110)과 센서소켓(140)을 분리한 후, 센서소켓(140)의 배터리삽입관(145)에 결합된다.
입력부(160)는 3축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어신이 감지되는 단위시간과,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순차적으로 발광되기 위한 어신감지 횟수를 입력받는다. 단위시간은 민물 낚시인지, 바다낚시인지 등의 환경조건과, 바람이나 파도 등의 날씨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단위시간은 1초, 2초, 3초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어신감지 횟수는 설정된 단위시간 동안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순차적으로 발광되기 위한 조건을 말한다. 일례로, 어신감지 횟수가 2회, 5회, 10회인 경우, 단위시간 2초 동안, 어신이 1회 수신되면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고, 다시 어신이 5회 수신되면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고, 다시 어신이 10회 수신되면 제4발광부재(127)가 발광된다.
입력부(160)는 기판(142)에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 리모컨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입력부(160)가 별도로 구비되기 용이하지 않은 경우, 단위시간 설정과 어신감지 횟수는 발광낚시장치(100)의 제조시에 디폴트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단위시간 동안 3축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를 기초로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킨다. 또한, 제어부(180)는 배터리(150)가 센서소켓(140)에 결합되어 기판(13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순간 3축 가속도 센서(143)의 각도값을 기준으로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를 설정한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단위시간 및 각 발광부재별 어신감시 횟수를 기초로 각 발광부재(121,123,125,127)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단위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제2발광부재(123)를 점등시킨다. 또한, 연속하여 단위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제3발광부재(125)를 점등시킨다. 동일하게 단위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4발광부재(127)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제4발광부재(127)를 점등시킨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제2발광부재(123), 제3발광부재(125) 및 제4발광부재(127)가 발광되면, 사용자는 물고기가 잡힌 것을 다단계로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발광부재(123)가 점등된 후 단위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발광부재(123)는 소등된다. 동일하게, 제2발광부재(123)와 제3발광부재(125)가 점등된 상태에서, 단위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제4발광부재(127)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2발광부재(123)와 제3발광부재(125)는 모두 소등된다.
이렇게 제2발광부재(123)가 점등된 후, 곧바로 제2발광부재(123)가 소등되면 사용자는 물고기가 잡힌 것이 아니고 파도 또는 외란에 의해 어신이 감지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센서소켓(140)에 배터리(150)가 결합되는 순간 3축 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전송받은 Z축 각도값을 기준으로 어신감지 민감도를 설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찌몸통(110)의 위치에 변화가 생기면 X-Y-Z축의 경사각을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어신감지 방식에 따라 민감, 보통, 둔감으로 어신감지 민감도가 설정된다. 제어부(180)는 Z축이 상부방향(Z축 각도 > 30°)인 경우, Z축이 수평방향(-30°< Z축 각도 < 30°)인 경우, Z 축이 하부방향(Z축 각도 < 0°)인 경우를 각각 민감, 보통, 둔감에 매칭하여 3축 가속도 센서(143)를 제어한다.
즉, 센서소켓(140)을 수평하게 위치시키고 배터리(150)를 센서소켓(140)에 결합시키면, 제어부(180)는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를 보통으로 설정한다. 다른 예로, 센서소켓(140)이 상부를 향하게 수직하게 위치시키고 배터리(150)를 찌몸통(110)에 결합시키면, 제어부(180)는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를 민감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제어부(180)에 의해 어신감지 민감도가 설정되면,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설정된 어신감지 민감도에 따라 어신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100)를 이용한 낚시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낚시를 하기 위해 사용자는 낚시줄(11)에 찌다리(130)를 결합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몸통(110)과 센서소켓(140)을 분리하고, 센서소켓(140)의 배터리삽입관(145)에 배터리(150)를 결합시킨다(S110). 배터리(150)를 결합하기 전에 사용자는 낚시할 장소의 날씨와 파도상태, 조류를 고려하여 어신민감도를 어떻게 설정할지 결정하고, 찌몸통(110)와 배터리(150)의 결합위치를 선택한다.
설명을 위해 사용자가 수평한 방향으로 센서소켓(140)을 배터리(150)에 결합시킨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배터리(150)가 찌몸통(110)에 결합되고, 전원이 기판(130)을 통해 각 구성들로 공급된다(S20).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전원이 공급되면 현재 X-Y-Z축의 각도값을 감지하고(S30), 제어부(180)로 3축 가속도 센서 위치를 전송한다.
수평방향으로 센서소켓(140)에 배터리(150)가 결합되고, -30°< Z축 각도 <30°이면 제어부(180)는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를 보통으로 설정한다.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설정된 보통의 어신감지 민감도로 어신을 감지하고, 제어부(180)로 어신을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는 전원이 공급되면, 입력부(160)를 통해 단위시간과 각 발광부재가 발광되기 위한 어신 수신횟수를 입력한다(S130).
사용자는 찌몸통(110)에 센서소켓(140)을 결합시킨다. 센서소켓(140)의 결합에 의해 찌탑(1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1발광부재(121)가 발광된다.
찌다리(130)를 낚시줄(11)에 결합시키고, 낚시줄(11) 끝에 낚시바늘(13)을 결합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낚시줄(11)에는 낚시추, 봉돌 등이 결합되어 낚시바늘(13)이 수중에 머무를 수 있게 한다.
낚시바늘(13)에 미끼를 끼운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위치되면, 낚시바늘(13)은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3축 가속도 센서(143)는 설정된 어신감지 민감도를 기준으로 어신을 판단하게 된다(S170).
어신감지 신호가 없으면 제1발광부재(121)가 발광된 상태를 유지한다(S160).
사용자가 설정된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감지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150)의 전원이 제2발광부재(123)로 공급되어 제2발광부재(123)가 점등된다(S180).
여기서,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기 위한 어신의 횟수가 1회인 경우, 앞서 설정된 보통의 어신감지 민감도로 1회의 어신이 감지되면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된다. 반면,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기 위한 어신의 횟수가 2회인 경우, 2회의 어신이 감지되어야만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된다.
제2발광부재(123)가 발광되면 단위시간이 카운팅된다(S190). 일례로, 단위시간이 2초인 경우, 2초가 경과되기 전에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는지 제어부(180)는 판단한다(S200).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기 위해 설정한 어신의 횟수가 5회인 경우, 5회의 어신이 수신되면 제3발광부재(125)가 점등된다(S210).
반면, 2초의 단위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5회 보다 적은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거나, 어신이 없으면 제2발광부재(123)는 소등된다(S195).
한편, 5회의 어신이 수신되어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면, 단위시간 2초가 경과되는지 계속하여 카운팅한다(S220). 그리고, 단위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제3발광부재(125)가 발광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는지 제어부(180)는 판단한다(S230). 일례로, 제3발광부재(125)의 발광을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어신의 횟수가 10회인 경우, 2초가 경과하기 전에 10회의 어신이 수신되면 제4발광부재(127)가 점등된다(S240).
반면, 2초의 단위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10회 보다 적은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거나, 어신이 없으면 제2발광부재(123)와 제3발광부재(125)는 모두 소등되어 사용자에게 더 이상 어신이 없음을 표시한다(S255).
한편, 단위시간 경과전에 제4발광부재(127)까지 모두 점등되면, 단위시간이 경과되는지 연속하여 판단한다(S250). 그리고, 단위시간 경과 중에 추가 어신감지가 있는지 판단한다(S260).
단위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추가 어신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네 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모두 점등시킨 상태로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어신이 검지되고 있음을 알린다.
이에 제어부(180)는 단위시간을 초기화하고 다시 단위시간을 경과시킨다. 즉, 2초의 단위시간이 모두 경과하지 않고 0.2초가 남은 상황에서, 제어부(180)는 리셋하여 2초를 다시 카운팅한다(S270). 그리고, 리셋된 단위시간이 경과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S250), 어신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60).
이러한 과정은 어신이 더이상 수신이 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본인이 설정된 어신감지 민감도를 통해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에 따라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상태를 보고, 물고기가 실제로 입질을 했는지, 오작동인지 등의 여러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낚시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배터리 전원의 절약을 위해 찌몸통(110)과 센서소켓(140)을 분해하고, 배터리(150)를 센서소켓(14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의해 3축 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 민감도는 리셋되고, 차후 낚시를 위해 배터리(150)를 다시 찌몸통(110)에 결합시킬 때 찌몸통(110)의 위치에 따라 어신감지 민감도가 다시 설정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는 내부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안에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를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발광부재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실한 어신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종래의 제품들은 1회의 어신만을 감지하여 발광부재를 통해 표시하는 방식이므로, 바람이나 파도등에 의한 오동작도 어신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피라미나 송사리 등 아주 작은 물고기의 입질에도 반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 때로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 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낚시장치는 어신감지 민감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므로, 아주 작은 물고기의 입질에는 반응하지 않게 어신감지 민감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어신감지 민감도로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에 따라 상위에 있는 발광부재부터 순차적으로 발광되므로, 발광되는 발광부재의 개수를 보고 어신의 정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에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의 발광부재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색상이 서로 다른 발광부재를 다수개 설치함으로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들어, 평시에는 파란색이나 어신이 감지되면, 노란색, 빨간색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발광낚시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발광낚시장치 110 : 찌몸통
111 : 소켓삽입공 111a : 제1나사산
120 : 찌톱 121 : 제1발광부재
123 : 제2발광부재 125 : 제3발광부재
127 : 제4발광부재 130 : 찌다리
140 : 센서소켓 141 : 기판수용관
141a : 제2나사산 141b : 실링부재
142 : 기판 143 : 3축센서
145 : 배터리삽입관 145a : 전극단자
150 : 배터리 160 : 입력부
170 : 신호처리부 180 : 제어부
111 : 소켓삽입공 111a : 제1나사산
120 : 찌톱 121 : 제1발광부재
123 : 제2발광부재 125 : 제3발광부재
127 : 제4발광부재 130 : 찌다리
140 : 센서소켓 141 : 기판수용관
141a : 제2나사산 141b : 실링부재
142 : 기판 143 : 3축센서
145 : 배터리삽입관 145a : 전극단자
150 : 배터리 160 : 입력부
170 : 신호처리부 180 : 제어부
Claims (5)
- 낚시바늘과 이어지는 낚시줄 또는 낚시대의 경로 상에 결합되는 발광낚시장치에 있어서,
수면상에 부유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배터리(150)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배터리삽입관(145)이 구비되는 찌몸통(110)과;
상기 찌몸통(110)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된 찌톱(120)과;
상기 찌몸통(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낚시줄 또는 낚시대와 결합되는 찌다리(130)와;
상기 찌몸통(110) 내부에 구비되며, X축, Y축, Z축의 속도 변화를 통해 어신을 감지하는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배터리삽입관(145)에 상기 배터리(150)가 삽입되어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로부터 어신이 수신되면, 단위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어신의 횟수별로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와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낚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간과, 각 발광부재가 점등되기 위해 상기 단위시간 동안 수신되어야할 어신횟수를 입력받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121,123,125,127) 중 상기 찌톱(120)의 최상위에 위치된 최상위 발광부재(121)는 위치표시를 위해 항상 점등되고,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차상위 발광부재(123)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상기 차상위 발광부재(123)가 점등되고,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면, 상기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고,
상기 차차상위 발광부재(125)가 점등되기 위한 횟수의 어신이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되면, 기발광된 차상위 발광부재(123)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낚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모두 점등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도 어신의 수신이 계속되면, 상기 단위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낚시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150)가 상기 배터리삽입관(145)에 삽입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때,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의 각도구간에 따라 상기 3축가속도 센서(143)의 어신감지민감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낚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3축가속도센서(143)의 Z축의 각도구간에 따라 상기 3축가속도센서(143)의 어신감지민감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낚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188A KR102043913B1 (ko) | 2017-09-19 | 2017-09-19 |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0188A KR102043913B1 (ko) | 2017-09-19 | 2017-09-19 |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1917A true KR20190031917A (ko) | 2019-03-27 |
KR102043913B1 KR102043913B1 (ko) | 2019-12-02 |
Family
ID=6590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0188A KR102043913B1 (ko) | 2017-09-19 | 2017-09-19 |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391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43965A (zh) * | 2020-10-21 | 2021-01-22 | 深圳市鱼宝宝科技有限公司 | 浮漂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浮漂 |
KR20210000502U (ko) * | 2019-08-23 | 2021-03-04 | 서정태 | 개선된 접점 구조와 어신 입체 감지가 가능한 낚시찌용 전자 케미 |
KR20220065420A (ko) * | 2020-11-13 | 2022-05-20 | 강기홍 | 낚시찌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1883A (ja) * | 2000-12-08 | 2002-06-18 | Microstone Corp |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
KR101760015B1 (ko) * | 2015-09-07 | 2017-07-20 | 주식회사 다비전 | 물고기 어신감지장치 |
-
2017
- 2017-09-19 KR KR1020170120188A patent/KR1020439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1883A (ja) * | 2000-12-08 | 2002-06-18 | Microstone Corp |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
KR101760015B1 (ko) * | 2015-09-07 | 2017-07-20 | 주식회사 다비전 | 물고기 어신감지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0502U (ko) * | 2019-08-23 | 2021-03-04 | 서정태 | 개선된 접점 구조와 어신 입체 감지가 가능한 낚시찌용 전자 케미 |
CN112243965A (zh) * | 2020-10-21 | 2021-01-22 | 深圳市鱼宝宝科技有限公司 | 浮漂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浮漂 |
KR20220065420A (ko) * | 2020-11-13 | 2022-05-20 | 강기홍 | 낚시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3913B1 (ko) | 2019-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7929B1 (ko) | 어신감지 민감도 조절이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
KR101044468B1 (ko) |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 |
KR20190031917A (ko) |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 |
KR101046962B1 (ko) | 조도 반응형 낚시 찌 | |
KR101906671B1 (ko) |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 |
US9488728B2 (en) | Digital depth readout adapter for flasher type fish finder | |
KR102424849B1 (ko) | 전자발광 낚시찌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 |
CA2278058C (en) | Fishing bobber with variable illumination | |
KR101839283B1 (ko) | 어신 입체 감지기능을 갖는 전자 케미라이트 | |
KR102434344B1 (ko) |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 |
KR101321787B1 (ko) |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 |
KR102072778B1 (ko) |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 |
KR102437754B1 (ko) | 루어 낚시용 인공지능 인조 미끼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 |
GB2313281A (en) | Fishing bite indicator | |
KR20170136368A (ko) |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 |
KR102396318B1 (ko) |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 |
KR20150144027A (ko) | 자동전자찌 | |
KR101497530B1 (ko) | 낚시용 발광 찌 | |
KR20130091431A (ko) | 낚싯대 걸림구 | |
JP2002171883A (ja) |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 |
KR20160001371U (ko) | 부력의 구간별 변위와 발광장치가 대칭의 위치에서 작동하는 전자제어방식의 낚시찌 | |
CN206462239U (zh) | 一种变色鱼漂 | |
CN207411290U (zh) | 一种全方位摄像浮漂 | |
TWM557979U (zh) | 電子浮標 | |
KR102654078B1 (ko) | 낚시용 스마트 케미 라이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