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368A -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368A
KR20170136368A KR1020160068367A KR20160068367A KR20170136368A KR 20170136368 A KR20170136368 A KR 20170136368A KR 1020160068367 A KR1020160068367 A KR 1020160068367A KR 20160068367 A KR20160068367 A KR 20160068367A KR 20170136368 A KR20170136368 A KR 2017013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unique identification
light emitt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비전
Priority to KR102016006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368A/ko
Publication of KR2017013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대의 초릿대에 결합되어 상기 초릿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감지 및 표시하고,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에 대응되는 제어정보신호와 각각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등록 및 등록된 감지유닛을 등록 해제하며, 등록된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따라 감지유닛 각각에 대한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표시할 수 있게 지원하는 수신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의하면, 물고기의 입질에 의한 운동뿐만 아니라 조류나 파도 바람 등에 의한 움직임으로 인해 입질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3축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기울기의 변화와, 가속도의 변화를 알고리즘을 통해 외부 잡음 신호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낚싯대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입질 여부를 사용자에게 소리나 진동 또는 색상으로 알려줌으로써 조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Fish bite detector and alarm device}
본 발명은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의 초릿대를 계속 주시하지 않아도 물고기의 입질신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싯대와 낚싯줄, 찌, 바늘로 구성되고 바늘에 달린 먹이를 섭취하는 물고기의 입질 형태를 파악하여 챔질을 하는 일련의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입질 형태의 파악은 찌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시각적인 것과 팽팽하게 연결된 낚싯줄과 낚싯대에서 전해지는 진동의 촉각을 이용하는 등 기타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낚시에 있어 야간에 행하는 경우 화학적 발광을 이용하는 야광 케미컬 찌와 전지를 이용하여 빛을 발하는 전자 찌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찌는 낚싯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먹이가 있는 바늘에서 발생하는 물고기의 먹이 섭취 활동 양상에 따라 수면의 상하로 오르내리게 된다. 즉, 찌가 수면의 상하로 오르내리면 물고기가 입질을 하는 때이므로 낚싯대를 채서 물고기를 낚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낚시를 해본 사람은 입질의 감지를 위해 고도의 집중력을 가지고 찌의 움직임을 시각에 의지하여 판단하거나 또는 낚싯대 끝 부분(초릿대)의 미세한 움직임을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하여 알아내는데 온 신경을 집중하여야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특히, 초보자에게는 이러한 노력들이 낚시에 입문하는데 큰 장애 요소로 작용하여 쉽게 포기하고 있으며, 이에 낚시하는 사람이 쉽게 입질(어신)을 파악하여 낚시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싯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불빛이나 소리로서 낚시하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다양한 방식의 어신감지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어신감지기의 일 예로, 스위치의 접점을 단속시키는 작동막대 끝에 낚싯줄을 연결하고, 낚싯줄이 당겨지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신호발생기를 통하여 어신을 발생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낚싯줄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어신을 발생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어신감지장치는 낚싯줄에 연결되어 낚싯줄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하도록 기계적 스위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복잡한 기구적 구성의 제약으로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져 소비자의 만족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또 다른 어신감지장치로서 어신으로 낚싯줄이 처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 낚싯줄에 연결한 수은감지센서의 기울임 동작에 따라 어신을 감지하여 LED를 점등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신감지장치는 낚싯줄에 기울기 센서를 설치한 상태에서 센서의 자세를 변경할 수 없는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낚시 장소나 개인 취향 등 사용환경에 따라 기울기 센서의 작동 범위를 조정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낚싯대의 거치 각도에 따라 기울기 센서의 작동 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거나, 바람이나 물결에 의한 오동작을 줄이면서 센서의 감지레벨을 둔감하게 조정하거나 이와 반대로 민감하게 조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어신감지장치는 고기의 입질과는 관계없는 바람이나 물결 등에 의해서도 어신이 발생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낚시찌가 바람이나 물결의 영향을 받아서 물고기가 물지 아니한 경우에도 낚싯줄이 당겨져 어신을 알림으로써, 헛챔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3-0094113 A1 KR 20-0160349 Y1 KR 20-0235466 Y1 KR 20-0307812 Y1 KR 20-2009-0011513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한 운동뿐만 아니라 조류나 파도 바람 등에 의한 움직임으로 인해 입질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3축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기울기의 변화와, 가속도의 변화를 알고리즘을 통해 외부 잡음 신호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낚싯대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입질 여부를 사용자에게 소리나 진동 또는 색상으로 알려줌으로써 조과를 높일 수 있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는 낚싯대의 초릿대에 결합되어 상기 초릿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감지 및 표시하고,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에 대응되는 제어정보신호와 각각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등록 및 등록된 감지유닛을 등록 해제하며, 등록된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따라 감지유닛 각각에 대한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표시할 수 있게 지원하는 수신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초릿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통해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정보신호를 생성하는 제1컨트롤러와; 상기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제1발광부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제어정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등록부에 등록 처리하는 제2컨트롤러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거나 등록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감지유닛과 일대일 매칭되어 해당 감지유닛에서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각각 방출하는 복수의 LED모듈이 마련된 제2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유닛에는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감지유닛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으로부터 제어정보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및 진동을 발생하는 알림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에 입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 및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제1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광전류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컨트롤러는 상기 광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발광부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녹색LED와, 적색LED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컨트롤러는 주간모드 일 때,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녹색LED와 상기 적색LED를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시키고,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제1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온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면서 상기 녹색LED는 점진적으로 강해지도록 하되 적색LED가 오프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녹색 LED를 점멸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2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일정시간 동안 온시킨 후, 상기 제1입질신호를 수행하며, 상기 제3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킨 후, 상기 제2입질신호와 상기 제1입질신호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컨트롤러는 야간모드 일 때,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녹색LED는 온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적색LED는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며,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제1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컨트롤러는 야간모드일 때 입질신호가 발생하면, 입질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제1발광부를 점멸되게 한 후, 설정된 시간동안 녹색LED를 점멸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녹색LED의 점멸 동작 이전에 입질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등록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에 어느 하나의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각각 등록 처리하되,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의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세기 이상일 때에만 해당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등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의하면, 물고기의 입질에 의한 운동뿐만 아니라 조류나 파도 바람 등에 의한 움직임으로 인해 입질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3축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기울기의 변화와, 가속도의 변화를 알고리즘을 통해 외부 잡음 신호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낚싯대를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입질 여부를 사용자에게 소리나 진동 또는 색상으로 알려줌으로써 조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감지유닛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서, 입질신호에 따른 제1발광부 및 제2발광부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서 주간 및 야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광전류 측정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는 감지유닛(100)과, 수신유닛(200)을 구비한다.
상기 감지유닛(100)은 낚싯대(10)의 초릿대에 결합되어 초릿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감지 및 표시하고,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에 대응되는 제어정보신호와 각각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감지유닛(100)은 각각 초릿대에 설치되는 장착케이스(110)와, 제1피시비(120)와, 배터리(130)와, 센서부(140)와, 식별부(150)와, 제1컨트롤러(160)와, 제1발광부(170)와, 무선송출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케이스(110)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상부장착케이스(111)와 하부장착케이스(112)로 구성되며, 상부장착케이스(111)는 상부가 둥글게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 및 내부에 내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장착케이스(112)는 둥근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는 제1피시비(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30)의 일부를 내장하기 위한 내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장착케이스(111)은 빛이 투과할 수 있게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장착케이스(111)와 하부장착케이스(11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부장착케이스(111)의 하단과 하부장착케이스(112)의 상단에는 상호 체결 가능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장착케이스(111)의 하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하부장착케이스(112)의 상단 내측에는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로 나사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장착케이스(111)와 하부장착케이스(112)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패킹을 더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케이스(110)의 외측에는 릴 낚싯대 또는 장대 낚싯대의 초릿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밴드와 같은 탈부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피시비(120)는 장착케이스(110)의 상측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130)는 하부장착케이스(112)에 일 측이 삽입 결합되고 타 측은 상부장착케이스(111)에 삽입 결합되면서 제1피시비(1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피시비(120)는 상부장착케이스(111)로부터 배터리(130)가 이탈될시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센서부(140)는 제1피시비(120)상에 설치되어 초릿대의 움직임에 따른 장착케이스(110)의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도센서는 X축, Y축, Z축의 가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3축 가속도센서를 적용한다.
상기 식별부(150)는 감지유닛(1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해당 감지유닛(100)에 대한 고유식별번호뿐만 아니라 제조일자, 제품번호, 일련번호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식별부(150)는 IC칩 형태로 제1피시비(120)에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제1컨트롤러(160)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로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식별부(150)는 생략 가능하며, 이 경우 고유식별정보는 제1컨트롤러(160)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70)는 후술하는 제1컨트롤러(160)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LED모듈은 녹색LED와, 적색LED를 포함하며 둘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발광부(170)의 녹색LED, 적색LED는 제1컨트롤러(160)에 의해 각각 독립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통해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정보신호를 생성하며, 후술하는 제1발광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며, 광전류측정부(90)를 포함한다.
상기 광전류측정부(90)는 제1발광부(170)의 LED모듈중 녹색LED 및 적색LED가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제1발광부(170)의 LED모듈에 입사되는 빛에 의해 제1발광부(170)의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광전류측정부(90)는 제1컨트롤러(160)에 내장될 수도 있으나,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광전류측정부(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트롤러(160)로부터 제1발광부(170)의 LED모듈(171)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출력 버퍼(91)와 제1발광부의 LED모듈(171) 사이에 접속되는 A/D 컨버터(92) 및 A/D 컨버터(92)와 LED모듈(171) 사이에 접속되는 입출력포트 단자(9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광전류측정부(90)에 의한 전류측정은 제1컨트롤러에 의해 제1발광부의 LED모듈이 입질신호를 표시하지 않을 때에만 측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제1컨트롤러(160)를 통해 디지털 출력 버퍼(91)를 정지시키고, 입출력포트 방향제어 신호에 의해 LED구동전류가 출력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차단함으로써, LED모듈(171)에서 검출되는 광전류를 측정 가능하도록 입출력포트 단자(93)를 입력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LED모듈(171)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A/D 컨버터(92)를 통해 전류신호를 검측하고, 검측된 전류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전류신호를 제1컨트롤러(160)로 송출하는 방식이다. 도면 5에서 미설명 부호 '94'는 입출력포트 단자(93)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통상의 클램프 다이오드이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광전류측정부(9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제1발광부(170)를 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제1발광부(170)를 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한다.
상기 제1컨트롤러(160)에서 생성된 제어정보신호는 제1발광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적용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신유닛(200)의 제2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입질신호 발생 여부 및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른 제1발광부(170) 및 제2발광부의 제어정보와, 주간모드 및 야간모드에 따른 제1발광부(170) 및 제2발광부의 제어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센서부(140)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토대로 입질신호 발생 여부를 판정 및 입질신호를 3개의 단계로 구분하기 위한 각도변화값 산출부, 가속도변화값 산출부, 평균중력가속도값 산출부, 수직 및 수평 가속도변화값 산출부, 비교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감지유닛은 가속도센서의 X축 방향이 감지유닛의 길이방향 즉, 낚싯대 초릿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장착 또는 설정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상기 각도변화값 산출부는 가속도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1기준시간 동안 상기 초릿대의 평균각도값을 산출하고, 가속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초릿대의 실시간각도값을 산출하며, 평균각도값과 실시간각도값의 차를 계산하여 X축에 대한 각도변화값을 산출한다.
상기 가속도변화값 산출부는 가속도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2기준시간 동안 X축, Y축, Z축 각각의 평균가속도값을 산출하고, 가속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X축, Y축, Z축 각각의 실시간가속도값을 산출하며, 평균가속도값과 실시간가속도값의 차를 계산하여 X축, Y축, Z축 각각의 가속도변화값을 산출한다.
상기 평균중력가속도값 산출부는 가속도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3기준시간 동안 Y축 및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지표면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수직 및 수평 가속도변화값 산출부는 평균중력가속도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기반으로 Y축과 Z축 각각의 지표면에 대한 중력가속도의 수직과 수평방향의 성분 비율을 산출하고, 중력가속도산출부에서 산출된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이 양의 값인지 음의 값인지를 판별하며, 가속도변화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Y축과 Z축 각각의 가속도변화값과 중력가속도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Y축과 Z축 각각의 평균중력가속도값을 이용하여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 및 수평방향가속도변화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판정부는 수직 및 수평 가속도변화값 산출부에서 산출된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과 수평방향가속도변화값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이 수평방향가속도변화값보다 큰 경우에만 입질신호 발생 여부를 판정하고, X축의 각도변화값, 가속도변화값 및 수직방향가속도변화값의 크기에 따라서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한다.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입질신호 강도에 따라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내지 제3입질신호로 구분하고, 제1발광부(170)의 동작을 서로 다르게 제어한다.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광전류측정부(9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제1발광부(170)을 주간모드로 동작되게 하되,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발광부(170)의 녹색LED와 상기 적색LED를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제1발광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질신호에서 적색LED를 먼저 온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면서 녹색LED는 점진적으로 강해지도록 제어하되 적색LED가 오프된 시점부터는 설정된 시간동안만 녹색LED를 점멸시킨 뒤 녹색LED를 오프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제2입질신호에서 적색LED를 평균 강도로 일정시간 동안 온시킨 후에 제1입질신호를 수행하도록 하며, 제3입질신호에서는 적색LED를 강하게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킨 후, 제2입질신호와 제1입질신호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야간모드일 때 입질신호가 발생하면, 입질신호에 대응되게 제1발광부(170)를 점멸되게 한 후, 설정된 시간동안 제1발광부(170)의 녹색LED를 점멸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녹색LED의 점멸 동작 이전에 입질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컨트롤러(160)는 제1입질신호 내지 제3입질신호의 종료시, 미처 제1입질신호 내지 제3입질신호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가 잠시 전에 입질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녹색LED를 일정 시간동안 점멸하도록 제어하고, 주간모드일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녹색LED를 오프시키고 야간모드일 경우에는 녹색LED를 지속적으로 온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160)는 광전류측정부(90)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기설정된 기준전류값 미만이면, 제1발광부(170)을 야간모드로 동작되게 하되,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발광부(170)의 녹색LED는 온상태로 유지시키고, 적색LED는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며,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입질신호를 상술한 주간모드에서의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와 같이 각각 구분하여 제1발광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주간모드와 야간모드에서 제1컨트롤러(160)에 의한 제1발광부(170)의 동작의 차이는 입질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 녹색LED가 온 상태로 유지되는지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되는지에 있다.
상기 무선송출부(180)는 제1컨트롤러(160)에서 발생하는 제어정보신호 즉, 입질신호 발생 여부 및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른 제1발광부(170)의 제어정보와 동일한 제2발광부에 대한 제어정보와, 주간모드 및 야간모드에 따른 제1발광부(170)의 제어정보와 동일한 제2발광부의 제어정보를 수신유닛(200)으로 무선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송출부(180)는 제1컨트롤러(160)에 의해 배터리(130)의 잔량정보를 설정된 간격으로 수신유닛(200)으로 무선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무선송출부(180)는 감지유닛(100)을 수신유닛(200)에 등록 및 감지유닛(100)의 식별을 위한 식별부(150)의 고유식별정보를 수신유닛(200)으로 무선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신유닛(200)은 감지유닛(100)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100)을 등록 및 등록된 감지유닛(100)을 등록 해제하며, 등록된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따라 감지유닛(100) 각각에 대한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표시할 수 있게 지원한다.
상기 수신유닛(2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게 형성된 휴대케이스(210)와, 휴대케이스(210) 내부에 내장되는 제2피시비(220)와, 제2피시비(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0)와, 배터리(230)를 잔량을 체크하는 전원관리부(240)와, 무선수신부(250)와, 등록부(260)와, 제2컨트롤러(270)와, 조작부(280)와, 제2발광부(290)와, 알림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수신부(250)는 감지유닛(100)의 무선송출부(180)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제어정보신호 및 배터리(130)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등록부(260)는 무선수신부(250)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감지유닛(100)이 제2컨트롤러(270)에 의해 등록 저장된다.
상기 제2컨트롤러(2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수신부(250)에 수신된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 및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100)을 등록부(260)에 등록하거나 등록 해제하며, 수신된 제어정보신호에 따라 제2발광부(29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2컨트롤러(270)는 조작부(280)에 의해 등록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무선수신부(250)에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무선수신부(250)에 어느 하나의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송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감지유닛(100)을 등록부(260)에 각각 등록 처리하되, 무선수신부(250)에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의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세기 이상일 때에만 해당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감지유닛을 등록부(260)에 등록 처리한다.
상기 제2컨트롤러(270)는 무선수신부(250)에서 검출된 감지유닛(100)의 신호세기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기준신호세기와 비교한다. 그리고, 검출된 감지유닛(100)의 신호세기가 기준신호세기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감지유닛(100)을 등록대상으로 설정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의 감지유닛(100)은 등록대상에서 제외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의 수신유닛(200)과 근접하는 위치에 있는 타인의 감지유닛(100)이 사용자의 수신유닛(200)에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및 무선수신부(250)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100)을 등록부(260)에 등록하거나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을 등록 해제할 수 있게 된 전원버튼(281)과,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 선택버튼(282) 및 후술하는 알림부(310)의 스피커(311)와 진동소자(312)를 온/오프하기 위한 소리버튼과 진동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버튼(281)은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수신유닛(200)의 전원을 온시키고,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면 수신유닛(200)의 전원을 오프시키며,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짧게(일 예로, 0.5초 이내) 수 회(일 예로, 3회 이상) 이상 누르면 감지유닛(100)을 등록하기 위한 등록모드로 제2컨트롤러(270)가 전환된다. 또한, 상기 전원버튼(281)은 짧게(일 예로, 0.5초 이내) 한 번 누를 시 후술하는 스피커(311)와 진동소자(312)의 동작을 설정된 시간동안(일 예로, 10분) 잠시 정지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한 정지 또는 제한 상태가 해제되어 제2컨트롤러(270)가 평상시의 일반 모드로 복귀한다.
상기 알림부(310)는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제어정보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및 진동을 발생하는 스피커(311)와 진동소자(312)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311)는 전원버튼(281)과 소리버튼을 동시에 누를 시 온되거나 오프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소자(312)는 전원버튼(281)과 진동버튼을 동시에 누를시 온되거나 오프된다.
한편, 상기 휴대케이스(210)에는 스피커(311)와 진동소자(312)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소리LED와 진동 LE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발광부(290)은 녹색LED와 적색LED가 하나로 패키지로 구성된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은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들과 일대일 매칭되어 있으며, 제2컨트롤러(270)에 의해 해당 감지유닛(100)에서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각각 방출한다. 상기 제2발광부(290) 또한 상술한 제1컨트롤러(160)에 의한 제1발광부(170)의 동작과 같이 제2컨트롤러(2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일 예로, 제2컨트롤러(270)는 무선수신부(250)에 제1 LED모듈과 일대일 매칭된 감지유닛(100)(일 예로, 1번 감지유닛(100))으로부터 제어정보신호가 수신되면, 1번 감지유닛(100)의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제1 LED모듈의 녹색LED와 적색LED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함으로써 제1 LED모듈에 제1입질신호 내지 제3입질신호가 표시되게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신유닛(200)의 전원버튼(281)을 3초 이상 누르면 전원이 켜지고, 전원이 켜지면서 스피커(311)에서 설정된 소리가 발생 또는 진동소자(312)에서 진동이 발생한다. 이때, 제2발광부의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이 모두 녹색 점멸 후 적색 점멸되며,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에 일대일 대응되게 매칭된 LED모듈만 녹색으로 표시된다. 상기 전원버튼(281)을 3초 이상 누르면 전원이 꺼지고, 전원이 꺼지면서 스피커(311)에서는 전원이 켜질 때와는 다르게 설정된 소리가 발생하거나 진동소자(312)에서 진동이 발생한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전원버튼(281)을 짧게 3회 이상 누르면, 등록모드가 실행되면서 감지유닛(100)에 대한 등록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 감지유닛(100)의 등록 가능 여부에 대한 표시 상태는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 중 감지유닛(100)과 일대일 매칭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가장 작은 번호에 해당하는 LED모듈이 적색 점멸된다. 반면, 등록부(260)에 등록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 중 가장 마지막 번호에 해당하는 제N LED모듈이 적색 점멸된다.
사용자가 선택버튼(282)을 통해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 중 원하는 LED모듈을 선택한 뒤, 1분 이내에 등록하고자 하는 감지유닛(100)에 배터리(130)를 장착하면 등록부(260)에 해당 감지유닛(100)이 자동으로 등록되며, 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LED모듈의 녹색LED와 적색LED가 동시에 1초동안 점멸후 녹색LED가 온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감지유닛(100)을 등록한 뒤, 다른 감지유닛(100)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1분 내에 다른 감지유닛(100)에 배터리(130)를 장착함으로써 등록부(26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나중에 등록된 감지유닛(100)은 매칭되어 있지 아니한 LED모듈에 자동으로 매칭된다.
한편,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1분이 지나거나, 감지유닛(100)을 등록한 후 1분이 지나면, 등록모드가 해제되면서 정상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등록부(260)에 등록된 감지유닛(100)에 대한 해제는 등록모드에서 해당 감지유닛(100)과 일대일 매칭된 LED모듈을 선택한 후, 전원버튼(281)을 3초 이상 눌러 등록 해제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제1 LED모듈 내지 제N LED모듈을 선택 후, 새로 등록하고자 하는 다른 감지유닛(100)을 등록하면 이전 감지유닛(100)에 대한 등록이 해제되면서 이후 감지유닛(100)에 대한 등록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는 하나의 감지유닛(100)과 수신유닛(200)의 LED모듈 하나를 일대일 매칭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하나의 감지유닛(100)과 수신유닛(200)의 LED모듈들을 1:N으로 매칭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낚싯대
90 : 광전류측정부
100 : 감지유닛
110 : 장착케이스 120 : 제1피시비
130 : 배터리 140 : 센서부
150 : 식별부 160 : 제1컨트롤러
170 : 제1발광부 180 : 무선송출부
200 : 수신유닛
210 : 휴대케이스 220 : 제2피시비
230 : 배터리 240 : 전원관리부
250 : 무선수신부 260 : 등록부
270 : 제2컨트롤러 280 : 조작부
290 : 제2발광부
310 : 알림부

Claims (7)

  1. 낚싯대의 초릿대에 결합되어 상기 초릿대의 움직임에 따른 물고기의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감지 및 표시하고,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에 대응되는 제어정보신호와 각각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게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되어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등록 및 등록된 감지유닛을 등록 해제하며, 등록된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따라 감지유닛 각각에 대한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표시할 수 있게 지원하는 수신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초릿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정보를 통해 입질신호 여부 및 입질신호 강도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정보신호를 생성하는 제1컨트롤러와;
    상기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제1발광부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제어정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송출되는 고유식별정보 및 제어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등록부에 등록 처리하는 제2컨트롤러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고,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등록하거나 등록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감지유닛과 일대일 매칭되어 해당 감지유닛에서 송출되는 제어정보신호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각각 방출하는 복수의 LED모듈이 마련된 제2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에 입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제1발광부의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 및 측정된 전류값을 상기 제1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광전류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컨트롤러는 상기 광전류측정부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고, 측정된 전류값이 설정된 기준전류값 미만이면 상기 제1발광부를 야간모드로 동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는 녹색의 빛을 방출하는 녹색LED와, 적색LED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컨트롤러는 주간모드 일 때,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녹색LED와 상기 적색LED를 모두 오프상태로 유지시키고,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제1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온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면서 상기 녹색LED는 점진적으로 강해지도록 하되 적색LED가 오프된 시점부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녹색 LED를 점멸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2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일정시간 동안 온시킨 후, 상기 제1입질신호를 수행하며,
    상기 제3입질신호에서는 상기 적색LED를 일정시간 동안 점멸시킨 후, 상기 제2입질신호와 상기 제1입질신호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러는 야간모드 일 때,
    입질신호가 미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녹색LED는 온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적색LED는 오프상태로 유지시키며, 입질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입질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입질신호를 제1입질신호, 제2입질신호, 제3입질신호로 각각 구분하여 상기 제1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러는 야간모드일 때 입질신호가 발생하면,
    입질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제1발광부를 점멸되게 한 후, 설정된 시간동안 녹색LED를 점멸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녹색LED의 점멸 동작 이전에 입질신호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트롤러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등록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수신부에 어느 하나의 감지유닛으로부터 송출된 고유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유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각각 등록 처리하되, 상기 무선수신부에 수신되는 고유식별정보의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세기 이상일 때에만 해당 고유식별정보를 갖는 감지유닛을 상기 등록부에 등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질신호 감지 및 수신장치.

KR1020160068367A 2016-06-01 2016-06-01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20170136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67A KR20170136368A (ko) 2016-06-01 2016-06-01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367A KR20170136368A (ko) 2016-06-01 2016-06-01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68A true KR20170136368A (ko) 2017-12-11

Family

ID=6094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367A KR20170136368A (ko) 2016-06-01 2016-06-01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3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4978A (zh) * 2019-04-11 2019-05-28 张伟明 一种具有无线报警功能的定点探鱼器
KR20220138274A (ko) * 2021-04-05 2022-10-12 금현식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CN116326556A (zh) * 2023-03-23 2023-06-27 方成 一种鱼漂的控制方法、装置、鱼漂及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4978A (zh) * 2019-04-11 2019-05-28 张伟明 一种具有无线报警功能的定点探鱼器
KR20220138274A (ko) * 2021-04-05 2022-10-12 금현식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CN116326556A (zh) * 2023-03-23 2023-06-27 方成 一种鱼漂的控制方法、装置、鱼漂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68B1 (ko)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US8336248B2 (en) Automatic bite indicator for fishing
KR20170136368A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1977929B1 (ko) 어신감지 민감도 조절이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CN104766452B (zh) 照明设备及其智能监测方法
WO2015120770A1 (zh) 智能鱼漂、实现鱼漂与智能设备相互通信的系统及方法
US98546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180213761A1 (en) Motion Sensing Fish Bite Alarm
KR101906671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CN105191891B (zh) 一种防盗竿的钓鱼报警组件
EP2356903B1 (en) Bite indicator
CN103530974A (zh) 一种用于移动智能设备的防跌落方法和装置
US9373244B2 (en) Base and display device having a sensing component for detecting a remote controller
KR20160142026A (ko) 작물 생육상태 알림장치
JP5362631B2 (ja) 無線送信装置
KR102072778B1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1321787B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WO2004021777A1 (en) Improved bite alarm for fishing
US9345944B2 (en) Golf aid for aligning stance
GB2313281A (en) Fishing bite indicator
CN202497138U (zh) 可佩戴的多点测温报警装备
KR20190031917A (ko) 다단 어신감지 표시가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CN219812951U (zh) 一种带形变传感器的钓鱼竿
CN212627886U (zh) 用于检测并警告穿戴者目标实体的可穿戴装置
KR102434344B1 (ko)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