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274A -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274A
KR20220138274A KR1020210044239A KR20210044239A KR20220138274A KR 20220138274 A KR20220138274 A KR 20220138274A KR 1020210044239 A KR1020210044239 A KR 1020210044239A KR 20210044239 A KR20210044239 A KR 20210044239A KR 20220138274 A KR20220138274 A KR 2022013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re
smart
luer
modu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788B1 (ko
Inventor
금현식
Original Assignee
금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현식 filed Critical 금현식
Priority to KR102021004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7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상어의 어신 및 환경 정보를 미끼 역할을 하는 루어 자체에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낚시 정보를 송신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상어의 어신 정보와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심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 센서 모듈로부터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음파 신호로 변조하는 루어 제어 모듈, 및 루어 제어 모듈로부터 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루어 음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루어; 스마트 루어로부터 음파를 수신하는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로부터 음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중계기 제어 모듈, 및 중계기 제어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전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 및 중계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IoT smart lur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신(魚信)을 감지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미끼(바늘) -> 가짓줄 -> 목줄 -> 원줄 -> 릴 -> 낚시대로 이어지는 진동을 촉각으로 감지하는 방법과 미끼(바늘) -> 가짓줄 -> 목줄 -> 원줄 -> 수면위 찌의 움직을 시각으로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 스마트화된 선행 기술들 또한 낚시대 또는 찌의 운동량을 수면 위에서 측정하여 낚시인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방식의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수면의 파도, 바람, 수중 지형 변화에도 어신으로 오인할 수 있으며 원줄이 길 경우 어신을 정확하게 그리고 빠르게 전달받기 힘든 단점이 존재해 왔다. 더욱이 미끼를 살짝 움켜잡은 순간의 어신을 정확히 파악하고 챔질해야 하는 에깅 낚시에서는 선행기술로는 입질 정보를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4468(발명의 명칭 :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 감지하는 부위 (찌 vs 루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909(발명의 명칭 : 어신 감지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 찌) - 감지하는 부위 (찌 vs 루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29159(발명의 명칭 : 입질감지센서가 구비된 전자어신찌 및 전 자어신케미) - 감지하는 부위 (찌 vs 루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8139(발명의 명칭 : 핸드폰을 이용한 어군확인 초음파 낚시찌) - 감지하는 것 (어군 vs 입질)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924(발명의 명칭 : 대상어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감지하는 부위 (찌 vs 루어)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날씨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대상어가 먹이활동을 하는 수중 공간의 환경 정보와 낚시 장비의 최말단인 입질 활동이 일어나는 미끼로부터의 직접적인 입질 정보를 파악하여 중간 전달체를 거치지 않고 무선으로 낚시 정보를 전달하는 IoT 스마트 루어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낚시 루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어의 어신을 수면에서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기존 방법에서 미끼 역할을 하는 루어 자체에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합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낚시 정보를 송신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예로, 선행문헌에서는 대상어의 입질 여부를 수면의 찌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알려주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미끼의 역할을 하는 수중 루어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어의 입질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음파 통신과 전파 통신을 이용하여 최적의 챔질 시점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려주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대상어의 어신 정보와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심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 센서 모듈로부터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음파 신호로 변조하는 루어 제어 모듈, 및 루어 제어 모듈로부터 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루어 음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루어; 스마트 루어로부터 음파를 수신하는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로부터 음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중계기 제어 모듈, 및 중계기 제어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전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 및 중계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챔질) 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중 환경 정보와 어신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무선 송신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데, 특히, 수면의 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과 다르게 대상어의 먹이 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중 미끼(루어)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디지털(또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음파로 변조하여 수면의 중계기로 송신하고 전파 통신을 이용하여 낚시인에게 실시간으로 챔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에 가해지는 물리량을 측정하는 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대상어에 의해 루어에 가해지는 물리량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챔질 시점을 낚시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를 감쌀때 변화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대상어에 의해 루어를 감쌀때 변화되는 광량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챔질 시점을 낚시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고 있는 수중 공간의 기압, 온도 및/또는 염도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낚시인에게 수중 공간의 기압, 온도 및/또는 염도를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낚시 수중 공간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루어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로 수집된 어신 정보와 환경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수치화한 후 스마트 루어의 ID(Identity)와 함께 음파로 변조하여 루어 음파 통신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근처의 다른 스마트 루어와 혼선되지 않고 자신만의 스마트 루어와 통신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중계기 제어 모듈은 수신된 음파를 필터링하여 어신 정보, 환경 정보 및 스마트 루어의 ID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근처의 다른 스마트 루어와 혼선되지 않고 자신만의 스마트 루어와 통신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은 수중에 위치되고, 전파 통신 모듈은 수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수중 내에서는 음파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수중 외 즉, 수면 상에서는 전파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수중과 수중 외부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전파 통신 모듈의 근거리 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은 수중 외부에서는 통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중계기와 스마트 단말기 사이의 빠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 루어는 루어 헤드, 루어 바디, 및 낚시 바늘 채비를 더 포함하고, 스마트 루어 헤드, 루어바디 및 낚시 바늘 채비는 상호간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날씨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는 수중 공간의 환경 정보와 낚시 장비의 최말단인 입질 활동이 일어나는 미끼로부터의 직접적인 입질 정보를 파악하여 중간 전달체를 거치지 않고 무선으로 낚시정보를 전달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상어의 어신을 수면에서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기존 방법에서 미끼 역할을 하는 루어 자체에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낚시 정보를 송신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선행문헌에서는 대상어의 입질 여부를 수면의 찌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알려주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미끼의 역할을 하는 수중 루어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어의 입질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음파 통신과 전파 통신을 이용하여 최적의 챔질 시점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려주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의 기구적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중 스마트 루어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중계기, 스마트 루어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중계기, 스마트 루어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면 중계기, 스마트 루어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수면 중계기, 스마트 루어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면 중계기, 스마트 루어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의 전기적 구성이 블럭다이아그램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은 스마트 루어(100), 수면 중계기(200), 및 스마트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은 낚시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루어(100)는 센서 모듈(130), 루어 제어 모듈(120),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 및 루어 전원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0)은 대상어의 어신 정보 및/또는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심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루어 제어 모듈(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부 예들에서, 센서 모듈(130)은 어신 감지 센서(131) 및/또는 환경 감지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센서 모듈(130)의 어신 감지 센서(131)는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에 직접 가해지는 물리량을 측정하는 응력 센서, 압력 센서, 진동 센서, 압전 필름 센서 또는 감압 전도성 고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센서 모듈(130)의 어신 감지 센서(131)는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를 감쌀때 변화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 광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센서 모듈(130)의 환경 감지 센서(132)는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고 있는 수중 공간의 기압, 온도 및/또는 염도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루어 제어 모듈(120)은 센서 모듈(130)로부터 센싱 신호(즉, 어신 정보 및/또는 환경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음파 신호로 변조하여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루어 제어 모듈(120)은 센서 모듈(130)로부터 수집된 어신 정보와 환경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수치화한 후 이를 스마트 루어(100)의 ID(Identity)와 함께 음파로 변조하여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로 전송할 수 있다.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은 루어 제어 모듈(120)로부터 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수중 및/또는 수면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은 음파(예를 들면, 3-70KHz의 음파)에 어신 정보, 환경 정보 및/또는 ID 정보를 얹어서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에 전송할 수 있다.
루어 전원 모듈(150)은 루어 센서 모듈(130), 루어 제어 모듈(120) 및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루어 전원 모듈(150)은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면 중계기(200)는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 중계기 제어 모듈(220), 전파 통신 모듈(210) 및 중계기 전원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은 스마트 루어(100)의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로부터 음파를 직접 수신하여 이를 중계기 제어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은 음파(예를들면, 3-70KHz의 음파)를 센싱하는 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 제어 모듈(220)은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로부터 음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신호를 전파 통신 모듈(2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중계기 제어 모듈(220)은 수신된 음파를 필터링하여 어신 정보, 환경 정보 및/또는 스마트 루어(100)의 ID를 추출하고, 이를 전파 통신 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파 통신 모듈(210)은 중계기 제어 모듈(22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전파 통신 모듈(210)의 근거리 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 전원 모듈(230)은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 중계기 제어 모듈(220) 및 전파 통신 모듈(2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중계기 전원 모듈(230)은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300)는 중계기(200)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 즉, 챔질 신호(예를 들면, 시각적 신호 또는 진동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단말기(300)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단말기(300)는 수면 중계기(2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센서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단말기(300)는 낚시 서버(40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단말기(300)는 낚시 서버(400)로부터 낚시 지도 및/또는 낚시 정보를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은 날씨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는 수중 공간의 환경 정보와 낚시 장비의 최말단인 입질 활동이 일어나는 미끼로부터의 직접적인 입질 정보를 파악하여 중간 전달체를 거치지 않고 무선으로 낚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은 대상어의 어신을 수면에서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기존의 방법에서 미끼 역할을 하는 루어 자체에 센서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낚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상어의 입질 여부를 수면의 찌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알려주는데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끼의 역할을 하는 수중 루어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어의 입질을 직접적으로 파악하고, 음파 통신과 전파 통신을 함께 이용하여 최적의 챔질 시점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려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의 기구적 구성이 개략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루어(100)는 수중에 위치되어 어신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센싱하고, 중계기(200)는 수면 상에 위치되어 어신 정보 및 환경 정보를 스마트 단말기(300)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은 수중(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중계기 전파 통신 모듈(210)은 수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은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로부터 음파 신호를 적절히 수신할 수 있고, 중계기 제어 모듈(220)이 이를 전파로 변환하여 중계기 전파 통신 모듈(210)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300)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스마트 단말기(300)는 낚시 서버(400)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시스템(1000)은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중 환경 정보와 어신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무선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수면의 찌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기존 방식과 다르게 대상어의 먹이 활동이 이루어지는 수중 미끼(루어)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음파로 변조하여 수면의 중계기로 송신하고 전파 통신을 이용하여 낚시인에게 실시간으로 낚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 중 스마트 루어(100)의 구성이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루어(100)는 루어를 낚시줄에 고정하는 회전도래(101)와, 전자 모듈을 감싸는 루어 헤드(102)와, 루어 헤드(102)와 결합되는 루어 바디(103)와, 대상어를 후킹하는 에기바늘(104)과, 루어 바디(103) 대신(또는 동시에) 낚시 바늘 채비를 연결할 수 있는 후방 회전도래(105)와, 루어 헤드(102)와 루어 바디(103)를 일정한 힘으로 결합하는 커넥터(106)와, 루어 바디(103) 대신 장착하는 낚시바늘 채비(107)와, 수면의 중계기(200)로 정보를 송신하는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과, 센서 정보를 음파로 변조하는 루어 제어 모듈(120)과, 대상어가 루어를 감싸는 액션을 감지하는, 예를 들면, 어신 감지 모듈 또는 광량 센서(131a)와, 대상어가 루어를 당기는 액션을 감지하는, 예를 들면, 어신 감지 모듈 또는 응력 센서(131b)와, 수중의 정보를 수집하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 기압 센서 및/또는 염도 센서와 같은 환경 감지 센서(132)와, 각 센서 및 모듈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회전도래(101)는 스마트 루어(100)의 최전방에 설치되어 낚시줄에 고정되고, 루어 헤드(102)는 응력 센서(131b)를 통해 회전도래(10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루어 헤드(102)의 후방에 결합된 에기바늘(104)이나 낚시바늘 채비(107)를 대상어가 물게 되면 스마트 루어(100)에 응력이 걸리고, 이를 응력 센서(131b)가 감지하여 루어 제어 모듈(120)에 응력 변화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광량 센서(131a)는 루어 헤드(102)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루어 헤드(102)를 물기가 물게 되면 광량 센서(131a)가 이를 감지하여 루어 제어 모듈(102)에 광량 변화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은 루어 헤드(102)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루어 음파 통신 모듈(110)을 통한 음파가 수면 중계기(200)의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250)에 간섭없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환경 감지 센서(132) 역시 루어 헤드(102)의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감지 센서(132)가 수중의 온도, 기압 및/또는 염도를 감지하여 루어 제어 모듈(102)에 상기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1000) 중 스마트 루어(100)는 수중에 위치되어 대상어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량을 측정하거나, 대상어에 의한 광량을 측정하여 낚시인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고 있는 수중 공간의 기압, 온도 및/또는 염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낚시인에게 전달함으로써, 최적의 채질 시점이나 최적의 낚시 장소를 낚시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100; 스마트 루어 110; 루어 음파 통신 모듈
120; 루어 제어 모듈 130; 센서 모듈
131; 어신 감지 센서 132; 환경 감지 센서
150; 루어 전원 모듈 200; 수면 중계기
210; 전파 통신 모듈 220; 중계기 제어 모듈
230; 중계기 전원 모듈 250;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
300; 스마트 단말기 400; 낚시 서버

Claims (9)

  1. 대상어의 어신 정보와 대상어가 서식하는 수심의 환경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 센서 모듈로부터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음파 신호로 변조하는 루어 제어 모듈, 및 루어 제어 모듈로부터 음파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하는 루어 음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루어;
    스마트 루어로부터 음파를 수신하는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로부터 음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중계기 제어 모듈, 및 중계기 제어 모듈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전파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 및
    중계기로부터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은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에 가해지는 물리량을 측정하는 응력 센서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은 대상어의 어신 감지를 위해 루어를 감쌀때 변화되는 광량을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센서 모듈은 대상어가 먹이 활동을 하고 있는 수중 공간의 기압, 온도 또는 염도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루어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로 수집된 어신 정보와 환경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수치화한 후 스마트 루어의 ID(Identity)와 함께 음파로 변조하여 루어 음파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중계기 제어 모듈은 수신된 음파를 필터링하여 어신 정보, 환경 정보 및 스마트 루어의 ID를 추출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중계기 음파 통신 모듈은 수중에 위치되고, 전파 통신 모듈은 수면 상에 위치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전파 통신 모듈의 근거리 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루어는 루어 헤드, 루어 바디, 및 낚시 바늘 채비를 더 포함하고,
    스마트 루어 헤드, 루어바디 및 낚시 바늘 채비는 상호간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KR1020210044239A 2021-04-05 2021-04-05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KR10258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39A KR102589788B1 (ko) 2021-04-05 2021-04-05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239A KR102589788B1 (ko) 2021-04-05 2021-04-05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74A true KR20220138274A (ko) 2022-10-12
KR102589788B1 KR102589788B1 (ko) 2023-10-13

Family

ID=8359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239A KR102589788B1 (ko) 2021-04-05 2021-04-05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78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139B1 (ko) 2004-02-14 2006-03-10 박승수 핸드폰을 이용한 어군확인 초음파 낚시찌
KR200429159Y1 (ko) 2006-07-13 2006-10-19 이주헌 입질감지센서가 구비된 전자어신찌 및 전자어신케미
KR100817909B1 (ko) 2006-10-20 2008-03-31 염희철 어신 감지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찌
KR101044468B1 (ko) 2011-02-22 2011-06-27 민원식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JP2016067285A (ja) * 2014-09-30 2016-05-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信検出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KR20170091466A (ko) * 2016-02-01 2017-08-09 큐비콤 (주)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JP2017209026A (ja) * 2016-05-23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ルアー
KR20170136368A (ko) * 2016-06-01 2017-12-11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2014997B1 (ko) * 2018-08-21 2019-10-21 전진성 물고기 입질 알림 장치 및 시스템
KR102108767B1 (ko) * 2019-05-14 2020-05-08 김현규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경적응형 낚시 장치 및 그 낚시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139B1 (ko) 2004-02-14 2006-03-10 박승수 핸드폰을 이용한 어군확인 초음파 낚시찌
KR200429159Y1 (ko) 2006-07-13 2006-10-19 이주헌 입질감지센서가 구비된 전자어신찌 및 전자어신케미
KR100817909B1 (ko) 2006-10-20 2008-03-31 염희철 어신 감지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찌
KR101044468B1 (ko) 2011-02-22 2011-06-27 민원식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JP2016067285A (ja) * 2014-09-30 2016-05-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信検出装置および情報出力装置
KR20170091466A (ko) * 2016-02-01 2017-08-09 큐비콤 (주)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KR101858924B1 (ko) 2016-02-01 2018-05-18 지정환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JP2017209026A (ja) * 2016-05-23 2017-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ルアー
KR20170136368A (ko) * 2016-06-01 2017-12-11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102014997B1 (ko) * 2018-08-21 2019-10-21 전진성 물고기 입질 알림 장치 및 시스템
KR102108767B1 (ko) * 2019-05-14 2020-05-08 김현규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경적응형 낚시 장치 및 그 낚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788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21984A (ru) Подводная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высок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NO330307B1 (no) System,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geografisk posisjonering av marin fauna
US10349646B2 (en) Float with fishing conditions detection
WO2015120770A1 (zh) 智能鱼漂、实现鱼漂与智能设备相互通信的系统及方法
NO20091859L (no) Anordning for automatisk til- og frakopling av en tauet sonarsender til og fra en aktiv-sonarslepetras±
JP2014052870A (ja) 発信機、子局装置、親局装置、及び追跡システム
KR20220138274A (ko)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CN106689081B (zh) 夜钓手环系统
KR101321787B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CN106530603B (zh) 一种牲畜管理系统中边界设置系统
EP2446855A1 (en) Device for measuring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n animal
CN105987726A (zh) 一种基于定时器自唤醒机制的海洋水质传感器装置
CN209734483U (zh) 一种基于调制超声波的盲人裸耳导盲装置
CN203941157U (zh) 可漂浮无线pH值检测装置
CN209806889U (zh) 一种具有无线报警功能的定点探鱼器
CN109363899B (zh) 一种基于调制超声波的盲人裸耳导盲装置
US20070159923A1 (en) Acoustic Lure Tracking System
JP2021174372A (ja) センサデバイス及び家畜管理システム
CN107782289B (zh) 海洋表层漂流浮标
CN106719505B (zh) 垂钓手环系统
CN207586713U (zh) 智能植物监控结构
TWI842955B (zh) 聲波系統及其應用
TW201600006A (zh) 賽鴿即時定位追蹤裝置
CN204613159U (zh) 一种剪切波速仪
CN109105348B (zh) 一种智能浮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