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924B1 -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Google Patents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924B1 KR101858924B1 KR1020160012532A KR20160012532A KR101858924B1 KR 101858924 B1 KR101858924 B1 KR 101858924B1 KR 1020160012532 A KR1020160012532 A KR 1020160012532A KR 20160012532 A KR20160012532 A KR 20160012532A KR 101858924 B1 KR101858924 B1 KR 1018589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
- fishing
- type
- pattern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0361 Girell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3 growth patter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 H04M1/7253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센서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고기의 입질시 이에 상응하는 진동이나 또는 낚시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패턴을 분석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 및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낚시 인구는 대략 600만명 정도로 민물낚시 인구는 대략 480만명, 바다낚시 인구는 대략 120만 명으로 추산된다. 따라서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엄청난 수의 낚시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낚시 초보자는 물고기의 입질에도 불구하고 챔질 시점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며 따라서 낚시의 경우에는 사람의 낚시 경험 수치에 따라 그 조가 현황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입질 시점을 정확하게 알려주고, 이에 더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낚시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선행문헌에서는 물고기의 입질 여부만을 알려주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물고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에 더 나아가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챔질 시점을 알려주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의 입질시 이에 상응하는 진동이나 또는 낚시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패턴을 분석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질한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물고기 입질 시점을 파악하여 상위단으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하도록 하는 필터부, 필터부로부터 통과된 통과 주파수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입질패턴을 분석하는 입질패턴 분석부, 입질패턴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물고기 종류 판별부를 포함한다.
또한, 입질패턴 분석부의 입질패턴은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물결의 파동패턴이고, 입질패턴 분석부는 파동의 진폭 및 간격 또는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물고기 종류 판별부는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한, 통신모듈은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데이터를 상위단으로 전송하며, 상위단으로부터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학습 데이터 또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물고기 종류 판별부는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학습 데이터 또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한, 물고기의 입질을 수중에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위단으로 전송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한다.
또한, 수중에 존재하는 물고기를 감지하도록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초음파 모듈에서 생성된 물고기 감지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단으로 전송함으로써 낚시찌 사용자가 낚시찌의 영역에 물고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고기의 종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전국 낚시터별로 조가 현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에 더하여 각종 낚시 용품 판매나 낚시터/낚시배 등을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고기 종류마다 최적의 낚싯대 챔질 시점을 알려줌으로써 초보자도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낚시찌 시스템은 대략적으로 스마트 낚시찌(100), 스마트폰(200), 및 서버(400)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스마트 워치(300)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200) 및 스마트 워치(3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예로서 설명하며 스마트폰(200) 및 스마트 워치(300)에 상응하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전자기기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낚시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낚시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10), 블루투스 모듈(통신모듈, 120), 센서 모듈(130), 카메라 모듈(140) 및 제어부(150)로 대략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모듈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블록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범위내에서만 기술하며 그 이외의 부가적인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 모듈(110)은 낚시찌(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일예로서 초소형 배터리 타입으로 수은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10)은 사용자가 교체하기 쉽게 장착되며, 장착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오래 사용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어부(150)가 전원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모듈(120)은 낚시찌(100)에서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상위단인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되도록 저전력 통신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20)은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데이터와 감지신호의 주기에 대한 데이터, 물고기 종류에 대한 데이터, 및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생성된 물고기 입질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상위단인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학습 데이터와 감지신호의 주기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어부(150)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의 물고기 종류 판별부가 좀 더 정확한 물고기의 종류를 예측하도록 한다. 이러한 각각의 학습 데이터는 스마트폰(200) 또는 서버(4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센서 모듈(130)은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감지신호는 대략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진동신호이거나 낚시찌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 센서 모듈(130)은 구체적으로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파동감지센서, 무게감지센서,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진동센서는 물고기의 입질시 진동을 감지하게 되며, 가속도센서는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시찌의 상하좌우 이동에 따른 속도 또는 가속도를 감지하게 되며, 파동감지센서는 물고기의 입질시 발생되는 물결의 파동을 감지하며, 무게감지센서는 물고기의 무게를 감지하며, 초음파센서는 초음파를 발사하여 물고기의 위치 또는 낚시찌 주위의 물고기의 존재 여부를 센싱하게 된다. 이때, 파동감지센서는 수중보다는 수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낚시찌를 2단으로 분리하여 낚시찌의 수중모듈은 물속에 가라앉도록 하고, 나머지 수면모듈은 수면에 뜨면서 물결의 파동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파동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낚시찌가 물고기의 입질이 아닌 바람 또는 유속에 따라 이동(다양한 환경요인)함으로써 발생되는 입질 오인을 물결의 파동을 감지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즉, 물결에서 이는 파동 데이터와 낚시찌의 움직임을 가속도센서로부터 센싱한 속도값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인지 아니면 낚시찌의 일반적인 이동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센서 모듈(130)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파동신호 포함)는 신호간의 진폭 및 간격, 신호의 주기를 생성한다. 이러한 감지신호를 패턴 분석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물고기의 종류에 따른 최적 입질 시점을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입질 시점에 물고기를 낚아 챌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모듈(140)은 물속에서 수중촬영을 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영상데이터는 스마트폰(200)으로 실시간 전송되어 사용자가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낚시찌가 투입된 지역의 물고기의 존재 여부 및 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고기 입질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보완하도록 한다. 즉, 센서 모듈(130)에서 생성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술한 환경요인에 따른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데이터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 모듈(130)로부터 물고기 입질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송 받더라도 이와 함께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바탕으로 물고기가 실제적으로 입질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 모듈(130) 또는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를 분석한다. 먼저, 센서 모듈(130)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파동신호 포함)는 제어부의 필터부(151)에 의해 필터링 된다. 즉, 필터부(151)는 입력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기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하도록 필터링 한다. 이렇게 필터링하는 이유는 물고기의 입질 종류에 따라 감지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정해질 수 있고, 물고기의 입질 종류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학습을 통해 설정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이 아닌 환경요인에 따른 감지신호를 필터링 하기 위함이다.
필터부(151)를 통과한 감지신호는 입질패턴 분석부(152)에서 입질패턴을 분석한다. 입질패턴 분석은 신호의 진폭 및 간격, 또는 신호의 주파수(또는 주기)를 분석한다.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물고기마다 고유의 입질패턴이 있을 수 있다. 즉, 물고기의 무게에 따라 입질에 따른 신호의 진폭 및 간격 또는 신호의 주파수(또는 주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입질에 따른 신호의 진폭 및 간격 또는 신호의 주파수(또는 주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물고기의 종류 및 물고기의 무게를 물고기의 종류만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입질패턴은 물고기의 종류 및 물고기의 무게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입질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입질패턴은 1회 입질시의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과 수회 연속적으로 입질시의 입질간격(또는 입질주기)을 분석하게 된다. 즉, 물고기가 입질을 하는 경우 1회 입질만으로 끝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수회 연속적으로 입질을 할 수도 있으므로,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입질패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입질패턴을 상위단으로 전송하여 학습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물고기의 종류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질패턴 및 학습된 입질패턴은 낚시찌의 메모리부(도면 미도시)에 저장된다.
파동감지센서에서 감지한 파동신호의 경우에도 상술한 원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파동감지센서는 수면에서 이는 파동을 감지하게 되므로 물고기 입질시 수면에서 파동이 생성되게 된다. 이를 감지하여 파동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일예로서 진동센서 및 가속도센서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입질패턴을 분석하고, 파동감지센서로부터 생성된 파동신호를 분석하여 입질패턴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 여부 및 물고기의 종류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파동감지센서에서 생성되는 파동신호도 상위단으로 전송하여 학습 데이터를 받음으로써 좀 더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수 있다.
일예로서 물고기가 "우럭"인 경우와 "우럭"이 입질시 입질을 3회 반복한다고 가정하면, 각각의 입질시의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이 파악되며(즉, 1회 입질시의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 2회 입질시의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 3회 입질시의 감지신호의 진폭 및 간격), 또한, 1회와 2회 입질 사이의 입질간격, 2회와 3회 입질 사이의 입질간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물고기 종류 판별부(153)는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하여 블루투스 모듈(120)을 통해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물고기 종류 판별에 대한 학습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물고기 종류를 더욱더 잘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물고기 종류를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물고기의 종류에 따른 입질 시점을 정확히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물고기의 입질시 정확한 타이밍에 챔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더 장점이다. 즉,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정확한 입질 시점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입질 여부의 판단뿐만 아니라 입질시점을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스마트폰으로 알려줌으로써 정확한 입질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 신호는 블루투스 모듈(120)을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바로 전송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압축 전송될 수도 있다. 압축 전송에 따른 다양한 방식은 종래 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입질패턴 분석부(152)는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 신호를 분석하여 물고기가 입질했는지 여부 및 물고기의 영상 윤곽을 파악하며, 물고기 종류 판별부(153)는 영상 윤곽을 바탕으로 물고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물고기의 영상 윤곽에 대한 데이터도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학습된 영상 윤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좀 더 정확하게 물고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에는 물고기의 윤곽을 추출한 영상 윤곽 데이터가 물고기 종류별로 저장된다. 따라서 물고기 종류 판별부(153)에서 메모리부로부터 이러한 데이터를 읽어와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전송된 물고기의 윤곽 데이터와 상호 비교함으로써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물고기의 영상 윤곽 파악은 디지털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낚시찌(100)는 물속에 위치하므로 각종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가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낚시찌(100)를 2단으로 구성하여 수중모듈(일예로서 배터리 모듈, 카메라모듈, 제어부, 진동센서, 가속도센서 등 포함)과 수면모듈(블루투스 모듈, 파동감지센서 포함)로 분리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이 수면에 위치하는 경우 좀 더 원활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스마트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200)은 낚시찌(100)로부터 감지신호, 물고기의 종류 등 낚시찌(100)에서 생성되는 각종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낚시찌(100)로 각종 학습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낚시찌(100)에 포함된 통신모듈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모듈이 스마트폰(200)에 내장된다.
스마트폰(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구동부(24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앱이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서데이터 분석부(210)는 낚시찌로부터 입질에 따른 감지신호(파동신호 포함) 또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물고기의 종류를 분석한다. 즉, 낚시찌에서 물고기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 낚시찌(100)에서는 입질에 따른 신호만을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폰(200)이 전송받아 스마트폰(200)에서 물고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도 있다. 물고기의 종류에 대한 판별은 상술한 낚시찌(100)에서 기 설명하였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물고기의 종류가 판별된 경우 앱에 이러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입질 알림부는 낚시찌(100) 또는 스마트폰(200)에서 물고기의 입질이 판단된 경우 이를 낚시꾼(또는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고음 등 다양한 알림음, 눈에 띄기 쉬운 파장대의 불빛, 또는 진동을 생성한다.
위치 파악부(230)는 현재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일예로서 지피에스 좌표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즉, 스마트폰(200)은 현재 어느 위치에서 어떤 시간대에 어떤 물고기 종류가 잡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예로서 스마트폰은 "A 저수지(스마트폰의 지피에스 좌표에 대응됨)"에서 "B 미끼"를 이용하여 "2016.1.1. 14:00"에 "붕어", "25kg" 짜리가 잡혔음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이때 미끼 정보는 사용자가 앱으로 통해 직접 기입할 수 있다. 이러한, 낚시 포인트 장소, 시간, 물고기 종류, 물고기의 크기(또는 무게)를 스마트폰(200)의 앱에서 관리하고 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서버(400)는 어플에서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전송받아 전국적으로 낚시 현황을 지도상에 맵핑하고, 각각의 회원(또는 비회원도 가능)에게 낚시 조가 현황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낚시가 잘되는 곳으로 회원을 유도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에서 구동되는 앱은 물고기 입질 여부를 관리 및 표시할 뿐 아니라 낚시찌의 카메라 모듈(14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물속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특히, 물속 영상을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주시함으로써 주위에 물고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낚시 포인트(또는 낚시터)를 옮길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스마트
워치
)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스마트 워치(300)는 사용자가 손목 등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200)과 접속되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일반적인 기능으로서 현재 시간, 부재중 전화 정보, 문자메시지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물고기의 입질시 사용자의 손목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입질 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물고기의 종류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200)보다는 스마트 워치(300)로 낚시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에 관한 일반적인 기능 및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참조될 수 있다.
(서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400)는 스마트폰(200)의 앱을 통해 전송되는 "낚시터(또는 지피에스 좌표) 정보", "미끼 정보", "시간 정보", "물고기 종류에 대한 정보", "물고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리 및 관리한다. 즉, 물고기 정보 수집부(420)는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용자별로 물고기 데이터 맵을 만들고 낚시터마다 물고기 데이터 맵을 만든다. 즉, 스마트폰 사용자별로 전송받은 낚시터(또는 지피에스 좌표) 정보", "미끼 정보", "시간 정보", "물고기 종류에 대한 정보", "물고기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물고기 데이터 맵을 만들고, 이를 통해 낚시터마다 물고기 데이터 맵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낚시터마다의 물고기 데이터 맵은 일예로서 "A 낚시터에서 시간대별로 어떤 종류의 물고기가 어떤 종류의 미끼를 이용하여 어떤 물고기(종류/무게)가 잡혔는지 실시간으로 파악" 맵핑이 가능하며, 이러한 맵핑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맵부(410)에 맵핑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예로서 일정 지역의 제1 낚시터(510), 제2 낚시터(520), 및 제3 낚시터(530)가 도시되어 있으며, 서버(400)에서는 지도맵부(410)에 상술한 정보를 이용하여 낚시 조가 현황을 맵핑한다. 즉, 각각의 낚시터 지도상에는 물고기가 잡히는 조가 현황이 실시간으로 맵핑 기록되며, 이러한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사용자가 각 지역의 낚시터의 조가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조가 현황을 살펴보며 낚시터를 옮길 수도 있고, 애초에 낚시를 가기 전에 자신이 잡기를 원하는 물고기가 잘 잡히는 낚시터를 찾아 갈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가능한 이유는 물고기의 종류를 사용자가 앱을 통해 수동으로 일일이 기입하는 것보다는 자동으로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가능하다.
스마트폰(200)의 앱에서는 낚시 조가 현황이 맵핑된 지도를 서버(400)와 접속하여 볼 수도 있고, 또는 문자 알림 방식으로 각 지역의 낚시 조가 현황을 받아 볼 수도 있다.
학습 데이터부(430)는 물고기의 종류를 판단할 시 학습을 통해 좀 더 정확한 물고기의 종류를 예측하도록 지속적인 학습을 수행하고, 이러한 학습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즉, 물고기의 종류는 낚시찌(100)에서 획득한 감진신호(파동신호 포함)를 기본 바탕으로 판별하나 이러한 데이터는 최초에는 다소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동일한 낚시찌(100)를 이용하여 동해에서 사용하는 것과 서해에서 사용할 때를 비교해 보면 파도의 세기 또는 조류의 속도에 따라 동일한 물고기라도 입질패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날씨의 변화에 따른 요인도 크게 작용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요인을 환경요인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환경요인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낚시 포인트 및 환경요인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여 입질패턴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입질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학습 데이터는 스마트폰(200)을 거쳐 낚시찌(100)에 전송되어 추후 물고기 종류 판별시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서버(400)에서는 낚시용품 판매 또는 선박/낚시터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낚시 용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서버(400)에 접속하여 낚시 용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선박/낚시터 예약 서비스도 스마트폰(200)을 통해 서버(400)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회원간(비 회원도 가능) 낚시 정보를 공유하고, 자신이 잡은 물고기를 웹상에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0 : 낚시찌
110 : 배터리 모듈
120 : 블루투스 모듈
130 : 센서 모듈
140 : 카메라 모듈
150 : 제어부
151 : 필터부
152 : 입질패턴 분석부
153 : 물고기 종류 판별부
200 : 스마트폰
210 : 센서데이터 분석부
220 : 입질 알림부
230 : 위치 파악부
240 : 앱 구동부
300 : 스마트 워치
400 : 서버
410 : 지도맵부
420 : 물고기 정보 수집부
430 : 학습 데이터부
510 : 제1 낚시터
520 : 제2 낚시터
530 : 제3 낚시터
110 : 배터리 모듈
120 : 블루투스 모듈
130 : 센서 모듈
140 : 카메라 모듈
150 : 제어부
151 : 필터부
152 : 입질패턴 분석부
153 : 물고기 종류 판별부
200 : 스마트폰
210 : 센서데이터 분석부
220 : 입질 알림부
230 : 위치 파악부
240 : 앱 구동부
300 : 스마트 워치
400 : 서버
410 : 지도맵부
420 : 물고기 정보 수집부
430 : 학습 데이터부
510 : 제1 낚시터
520 : 제2 낚시터
530 : 제3 낚시터
Claims (7)
- 물고기의 입질시 이에 상응하는 진동이나 또는 낚시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패턴을 분석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질한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물고기 입질 시점을 파악하여 상위단으로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하도록 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통과된 통과 주파수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입질패턴을 분석하는 입질패턴 분석부, 및
상기 입질패턴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물고기 종류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질패턴 분석부의 입질패턴은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물결의 파동패턴이고,
상기 입질패턴 분석부는 파동의 진폭 및 간격 또는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고, 상기 물고기 종류 판별부는 상기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데이터를 상위단으로 전송하며, 상위단으로부터 상기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학습 데이터 또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물고기 종류 판별부는,
상기 파동의 진폭 및 간격에 대한 학습 데이터 또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의 입질을 수중에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위단으로 전송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제 1 항에 있어서,
수중에 존재하는 물고기를 감지하도록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모듈에서 생성된 물고기 감지신호를 통신모듈을 통해 상위단으로 전송함으로써 낚시찌 사용자가 낚시찌의 영역에 물고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532A KR101858924B1 (ko) | 2016-02-01 | 2016-02-01 |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532A KR101858924B1 (ko) | 2016-02-01 | 2016-02-01 |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466A KR20170091466A (ko) | 2017-08-09 |
KR101858924B1 true KR101858924B1 (ko) | 2018-05-18 |
Family
ID=5965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532A KR101858924B1 (ko) | 2016-02-01 | 2016-02-01 |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892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3575A (ko) | 2019-04-22 | 2020-10-30 | 소명영 |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KR20220020117A (ko) * | 2020-08-11 | 2022-02-18 | 오영남 |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
KR20220138274A (ko) | 2021-04-05 | 2022-10-12 | 금현식 |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
KR20240000216A (ko) | 2022-06-23 | 2024-01-02 | 주식회사 케이텍이엔지 | 스마트 피싱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
KR102644640B1 (ko) * | 2023-08-01 | 2024-03-08 | 박재성 | 스마트찌와 손목밴드의 연동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05348B (zh) * | 2018-08-16 | 2021-05-11 | 上海理工大学 | 一种智能浮标 |
KR102014997B1 (ko) * | 2018-08-21 | 2019-10-21 | 전진성 | 물고기 입질 알림 장치 및 시스템 |
KR102132165B1 (ko) * | 2018-09-14 | 2020-07-09 | 이민성 | 스마트 전자 낚시찌 및 이를 이용한 낚시 정보 제공 시스템 |
JP7165020B2 (ja) * | 2018-10-05 | 2022-11-02 | 株式会社シマノ | 魚信報知装置 |
KR102133508B1 (ko) * | 2020-06-03 | 2020-07-13 | (주)요수엔지니어링 | 스마트폰과 전자 케미의 연동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754B1 (ko) * | 2007-11-08 | 2009-12-24 | 이원도 | 멀티 전자찌 |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532A patent/KR1018589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754B1 (ko) * | 2007-11-08 | 2009-12-24 | 이원도 | 멀티 전자찌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3575A (ko) | 2019-04-22 | 2020-10-30 | 소명영 |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KR20220020117A (ko) * | 2020-08-11 | 2022-02-18 | 오영남 |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
KR102434344B1 (ko) | 2020-08-11 | 2022-08-18 | 오영남 |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
KR20220138274A (ko) | 2021-04-05 | 2022-10-12 | 금현식 | IoT 스마트 루어 시스템 |
KR20240000216A (ko) | 2022-06-23 | 2024-01-02 | 주식회사 케이텍이엔지 | 스마트 피싱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낚시 정보 관리 시스템 |
KR102644640B1 (ko) * | 2023-08-01 | 2024-03-08 | 박재성 | 스마트찌와 손목밴드의 연동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1466A (ko) | 2017-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8924B1 (ko) |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 |
AU2015260904B2 (en) | Digital sports fishing | |
US11904985B2 (en) | Detec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 |
JP6720467B2 (ja) | フィッシング支援システム | |
KR101858845B1 (ko) | 어구통합관리시스템 | |
AU2015376080B2 (en) | Sensing of water quality | |
JP6530152B1 (ja) | 魚監視システム | |
US20150113853A1 (en) | Fish strike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 |
EP1510125B1 (en) |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non-consumed food in fish farms | |
US20180213761A1 (en) | Motion Sensing Fish Bite Alarm | |
JP2019004774A (ja) | 情報取得装置、制御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20110138A (ja) | 魚監視システム及びカメラユニット | |
US20210088656A1 (en) | Fish finder | |
KR20110123911A (ko) | 수산자원 관리를 위한 어류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 |
KR20200123575A (ko) |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
FR2929784A1 (fr) | Interface d'interactions hommes/machines/mammiferes marins par emission reception de signaux aeriens et sous marins. | |
Mason et al. | Automatic Shark Detection via Underwater Acoustic Sensing | |
EP3729390B1 (en) | System comprising alarm devices | |
JP2023149905A (ja) | サーバ、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130093875A1 (en) |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in fishing for detecting existence of warm-blooded fish | |
JP2013111077A (ja) | ブイ及び専用受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