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575A -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575A
KR20200123575A KR1020190046596A KR20190046596A KR20200123575A KR 20200123575 A KR20200123575 A KR 20200123575A KR 1020190046596 A KR1020190046596 A KR 1020190046596A KR 20190046596 A KR20190046596 A KR 20190046596A KR 20200123575 A KR20200123575 A KR 20200123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sh
bite
tid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명영
오송철
장성호
한정환
Original Assignee
소명영
장성호
오송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명영, 장성호, 오송철 filed Critical 소명영
Priority to KR102019004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3575A/ko
Publication of KR2020012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고,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면 물고기의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가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플랫폼 관리서버가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고, 조황정보에 근거한 조황 지도를 생성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 system that is providing alert of fish touching a bait and current information of fishing status by using smart fishing pole bite sensors}
본 발명은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면 물고기의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가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플랫폼 관리서버가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고, 조황정보에 근거한 조황 지도를 생성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른 삶의 경제적인 여유와 함께, 주5일근무제 실시와 대체휴무제로 확대로 인해 여가시간을 활용하는 각종 레저, 스포츠 문화가 발달하면서 이와 관련한 각종 기술들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낚시는 대표적인 여가 활동 중에 하나로서, 낚시는 장소에 따라 민물낚시와 바다낚시, 도구에 따라 릴낚시와 장대낚시로 크게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낚시는 미끼를 바늘에 끼어 원거리에 투척한 후 편의를 위해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한 다음 물고기가 미끼를 물도록 기다리는 것이다.
한편, 낚시를 좀 더 편하게 즐기기 위해 물고기가 낚시 바늘을 물거나 입질할 때 이를 감지하는 어신감지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어신감지장치가 설치된 낚시대의 경우에는 낚시 찌에 방울을 달거나 낚시 찌에 식별 장치를 달아서 사용자로 하여금 고기의 입질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어신감지장치는 물고기가 아닌 풍속과 유속 같은 자연환경에 의해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혼동하는 단점이 있고, 낚시하는 장소 및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서식하는 물고기의 종류, 수심, 수온, 유속 등의 낚시 환경의 변화로 인해 초보 낚시꾼이 낚시를 입문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1787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 어종 탐지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3812호 낚시용 무선 어신 감지방울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8924호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 찌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플랫폼 관리서버가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고, 조황정보에 근거한 조황 지도를 생성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찌 형태로 형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고,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와;
전용 앱(210)이 탑재되고, 전용 앱은 상기 어신감지부(100)로부터 입질 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입질 감지정보는 어신감지부(100)를 구성하는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와 움직임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낚시 찌만을 주시할 필요 없이 알림 정보 제공시에만 낚시 찌를 확인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플랫폼 관리서버가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고, 조황정보에 근거한 조황 지도를 생성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현재 낚시를 즐기려고 계획 중인 사용자들에게는 현재의 실시간적인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어신감지기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1
도 5는 입질 감지정보에 의한 알림정보 표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간 지역별 조황지도 예시도 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별 조황지도 예시도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별 조황지도 예시도 3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하 ‘시스템’)은,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된 지능형 어신감지기(100)를 이용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예신, 본신,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사용자인 낚시꾼에게 물고기의 입질 시,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낚시 찌만을 주시할 필요 없이 알림 정보 제공시에만 낚시 찌를 확인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되어 낚시 줄(21)에 매달린 상태로 사용되는 어신감지부(100)와 전용 앱(210)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2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어신감지장치는 물고기가 아닌 풍속과 유속 같은 자연환경에 의해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물고기의 입질로 혼동하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어신감지부(100)는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판단하기 때문에 종래 어신감지장치의 오작동하는 문제를 개선했다.
또한, 상기 어신감지부(100)로부터 입질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가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물고기 입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200) 제공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황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픽 기반의 실시간 조황지도를 생성하여 낚시를 즐기려고 하는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현재 낚시터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들에게는 실시간 조황정보를 통해 낚시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고, 낚시를 즐기려고 계획 중인 사용자들에게는 조황정보가 좋은 낚시터를 추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찌 형태로 형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고,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와;
전용 앱(210)이 탑재되고, 전용 앱은 상기 어신감지부(100)로부터 입질 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입질 감지정보는 어신감지부(100)를 구성하는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와 움직임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어신감지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상기 어신감지부(100)는 낚시 찌 형태로 형성되어 낚시대(20)의 낚시 줄(21)에 매달린 상태로 수면상에서 부유된 상태로 있다가 물고기가 낚시 바늘(22)에 달린 미끼에 입질하면, 어신감지부(100)가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찌 몸체(110), 입질감지센서(120), 통신부(130), 전원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신감지부(100)가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입질 감지정보는 어신감지부(100)를 구성하는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와 움직임 패턴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어신감지부(100)는 사용자가 복수의 낚시대(20)를 사용해서 낚시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물고기의 입질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 시에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의 식별정보(예 : #1, #2, #3..#n)도 함께 전송하여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찌 몸체(110)는 부유성 재질로 형성되어 낚시 줄(21)의 줄에 매달린 상태로 수면 상에 부유하다가 물고기가 낚시 줄(21) 끝에 달린 낚시 바늘(22)에 입질하면 입질에 따라 찌 몸체(110)는 수면 아래 수직방향으로의 움직임(수면 아래 수직 방향으로 하강, 하강 후 상승)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찌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입질감지센서(120), 통신부(130), 전원장치(14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찌 몸체(110)의 외부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에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질감지센서(120)는 찌 몸체(110) 내부에 내장되고, 물고기가 낚시 바늘(22)에 입질하여 찌 몸체(110)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면, 상기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한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에 대한 정보를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로 생성한다.
이때, 상기 입질감지센서(120)가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만을 감지하여 입질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수평 방향의 움직임의 경우에는 물고기가 아닌 낚시터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물의 유동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낚시꾼이 혼동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신부(130)는 입질감지센서(110)가 입질 감지정보(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입질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장치이다.
이때, 상기 통신부(130)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140)는 입질감지센서(120)와 통신부(130)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1이고, 도 5는 입질 감지정보에 의한 알림정보 표시 예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용 앱(210)이 탑재되고, 전용 앱은 상기 어신감지부(100)로부터 입질 감지정보(움직임 가속도 정보, 움직임 패턴 정보 포함)를 수신하면,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용 앱(210)이 탑재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과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용 앱(210)은 입질판단모듈(211), 판단정보 저장모듈(212), 입질알림모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복수의 낚시대(20)를 사용해서 낚시하는 경우에는 미리 어신감지부(100)의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물고기가 입질 시에 발생되는 혼란을 방지한다.
상기 입질판단모듈(211)은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와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의 크기, 어종, 챔질 타이밍을 판단한다.
입질판단모듈(211)의 물고기 크기에 대한 판단 과정을 설명한다.
입질판단모듈(211)은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정보(제1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의 크기를 판단한다.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는 물고기의 크기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가 매칭 된 제1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소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a~b , 중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b~c , 대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c~d 등과 같이 물고기의 크기별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가 매칭 된 정보이다.
따라서 입질판단모듈(211)은 현재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를 상기 제1 정보와 비교하여 물고기의 크기(대형어종, 중형어종, 소형어종 등)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입질판단모듈(211)이 물고기의 어종에 관한 판단 과정을 설명한다.
입질판단모듈(211)은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정보(제2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의 어종을 판단한다.
물고기마다 각기 다른 입질 패턴을 갖고 있으며, 물고기마다 다른 입질 패턴에 따라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도 다르다.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는 물고기의 어종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제2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우럭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A, 광어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B, 놀래미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C 등과 같이 어종별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정보이다.
따라서 입질판단모듈(211)은 현재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상기 제2 정보와 비교하여 물고기의 어종(광어, 우럭, 놀래미 등)을 판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입질판단모듈(211)이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챔질 타이밍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입질판단모듈(211)은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어종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정보(제3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에 대한 챔질 타이밍을 판단한다.
챔질이란 낚시에서 물고기를 정확히 낚기 위해 낚시대를 채는 행위로서 챔질 타이밍에 따라 물고기를 낚을 수도 있고, 놓칠 수도 있다.
통상, 예신(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리는 상태)이 왔을 때 챔질 하게 되면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확률은 낮고, 본신(물고기가 미끼를 확실히 문 상태)이 왔을 때 챔질 하게 되면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신이 왔을 때를 챔질 타이밍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챔질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는 어종의 챔질 타이밍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제3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3 정보는 우럭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a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b를 갖는 본신, 광어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c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d를 갖는 본신, 놀래미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e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f를 갖는 본신 등과 같이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에 따른 어종별 챔질 타이밍이 매칭된 정보이다.
따라서 현재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상기 제3 정보와 비교하여 물고기의 어종(광어, 우럭, 놀래미 등)별 챔질 타이밍을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는 입질판단모듈(211)이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정보인 물고기의 크기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가 매칭된 제1 정보, 물고기의 어종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된 제2 정보, 어종의 챔질 타이밍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제3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소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a~b , 중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b~c , 대형어종: 움직임 가속도 c~d 등과 같이 물고기의 크기별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가 매칭 된 정보이고, 제2 정보는 우럭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A, 광어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B, 놀래미어종: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C 등과 같이 어종별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정보이고, 제3 정보는 우럭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a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b를 갖는 본신, 광어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c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d를 갖는 본신, 놀래미의 챔질 타이밍: 움직임 패턴e를 갖는 예신 후, 움직임 패턴f를 갖는 본신 등과 같이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에 따른 어종별 챔질 타이밍이 매칭된 정보이다.
상기 입질알림모듈(213)은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입질판단모듈(211)의 판단시마다, 입질판단모듈(211)의 판단결과인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이다. 이때, 시각적 방법은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고, 청각적 방법은 음성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고, 촉각적 방법은 진동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질판단모듈(211)이 입질 감지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정보들(제1,2,3 정보)과 비교하여, 중형인 우럭이 미끼를 물어 챔질 타이밍인 것으로 판단하면 입질알림모듈(213)은 도 5와 같이 중형인 우럭이 미끼를 물었으니 챔질하라는 알림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또한, 어신감지부(100)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수의 낚시대(20)를 사용해서 낚시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어신감지부(100)가 물고기의 입질 감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 시,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의 식별정보(예 : #1, #2, #3..#n)도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입질판단모듈(211)은 이를 반영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정보 제공시 입질 알림이 있는 낚시대(20)(입질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가 연결된 낚시대)의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도 5에는 3번 낚시대(20)에 입질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가 표시됨)
도 6은 본 발명의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2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간 지역별 조황지도 예시도 1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별 조황지도 예시도 2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간 위치별 조황지도 예시도 3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사용자인 낚시꾼들에게 낚시에 관련한 조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생성한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전송한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및 위치별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실시간 조황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조황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시간 조황지도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여 사용자인 낚시꾼들에게 지역 및 위치별 실시간 조황정보를 제공하여 낚시에 도움을 준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정보획득모듈(310), 조황정보 생성모듈(320), 조황지도 작성모듈(330), 조황지도 제공모듈(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보획득모듈(31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전송하는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조황정보 생성모듈(320)은 획득된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실시간 지역 및 위치별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한다.
지역은 행정구역(예: 도 ,시, 군 등)과 해상(서해, 남해, 동해 등)에 대한 정보이고, 위치는 정확한 지리적 특정 지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조황정보는 지역 및 위치별로 생성되는데, 지역 및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해 생성하게 된다.
지역 및 위치별로 생성된 조황정보는 후술할 조황지도 작성모듈(330)의 조황지도 작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상기 조황지도 작성모듈(330)은 조황정보 생성모듈(320)이 생성한 지역 및 위치별 조황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및 위치별로 조황정보가 표시된 조황지도를 생성한다.
지역별 조황정보가 표시된 조황지도에는 해당 지역의 어종 및 크기에 대한 조황 정보가 종합적으로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행정구역(예:강원도)의 조황정보에는 현재 잉어와 붕어가 주로 잡히고 있고 크기는 소형과 중형 어종이 주로 잡히고 있음이 표시되며, 특정 해상(예:동해)의 조황정보에는 현재 광어와 우럭이 주로 잡히고 있고 크기는 중형과 대형 어종이 주로 잡히고 있음이 표시된다.
또한, 조황지도상 특정 행정구역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특정 행정구역의 조황정보가 위치별로 표시 된다.
도 8은 특정 행정구역(시단위)에 위치별로 조황정보가 표시된 예시이고, 도 9는 특정 해상(예: 동해)을 선택할 시 위치별로 조황정보가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조황지도 작성모듈(330)이 생성하는 조황지도는 그래픽 기반의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가 표시된 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황지도 제공모듈(340)은 조황지도 작성모듈(330)이 생성하는 조황지도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플랫폼 관리서버(300)가 조황정보가 표시된 조황지도를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조황지도를 참조하여 원하는 지역이나 위치로 이동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어 낚시를 계획 중인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적인 조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시스템
20 : 낚시대
100 : 어신감지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플랫폼 관리서버

Claims (5)

  1.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찌 형태로 형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고,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어신감지부(100)와;
    전용 앱(210)이 탑재되고, 전용 앱은 상기 어신감지부(100)로부터 입질 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입질 감지정보는 어신감지부(100)를 구성하는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와 움직임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질 감지정보를 이용해 생성한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플랫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전송한 물고기의 어종 및 크기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역 및 위치별 실시간 조황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생성된 실시간 조황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조황지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시간 조황지도를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연계된 인터넷 사이트에 제공하며,
    상기 조황지도에는 그래픽 기반의 지역 및 위치별 어종 및 어종 크기에 대한 실시간 조황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신감지부(100)는,
    부유성 재질로 형성되어 수면상에 부유하다가 물고기의 입질시 수면 아래로 움직이는 찌 몸체(110)와,
    찌 몸체(110) 내부에 내장되고,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한 움직임 가속도와 움직임 패턴에 대한 정보를 물고기 입질에 대한 입질 감지정보로 생성하는 입질감지센서(120)와,
    상기 입질감지센서(110)가 입질 감지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입질 감지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부(130)와,
    입질감지센서(120)와 통신부(13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전용 앱(210)은,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제1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의 크기를 판단하고,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제2 정보와 비교하여 현재 입질중인 물고기의 어종을 판단하고, 어신감지부(100)가 전송한 입질 감지정보인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를 판단정보 저장모듈(212)에 저장된 제3 정보와 비교하여 입질에 대한 챔질 타이밍을 판단하는 입질판단모듈(211)과,
    물고기의 크기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가속도 정보가 매칭된 제1 정보, 물고기의 어종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된 제2 정보, 어종의 챔질 타이밍별 찌 몸체(110)의 수직 방향의 움직임 패턴 정보가 매칭 된 제3 정보가 저장되는 판단정보 저장모듈(212)과,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입질판단모듈(211)의 판단시마다 물고기의 어종, 크기, 챔질 타이밍에 관한 알림정보를 생성해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입질알림모듈(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90046596A 2019-04-22 2019-04-22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00123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96A KR20200123575A (ko) 2019-04-22 2019-04-22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96A KR20200123575A (ko) 2019-04-22 2019-04-22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75A true KR20200123575A (ko) 2020-10-30

Family

ID=7304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96A KR20200123575A (ko) 2019-04-22 2019-04-22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35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23A1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충방전용 지그
WO2023080390A1 (ko) * 2021-11-02 2023-05-11 옥주헌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낚시데이터 수집 및 입질 알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87B1 (ko) 2013-03-12 2013-10-28 주식회사 유레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KR101583812B1 (ko) 2014-07-15 2016-01-08 (주)쎄미링크 낚시용 무선 어신 감지방울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방법
KR101858924B1 (ko) 2016-02-01 2018-05-18 지정환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87B1 (ko) 2013-03-12 2013-10-28 주식회사 유레트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KR101583812B1 (ko) 2014-07-15 2016-01-08 (주)쎄미링크 낚시용 무선 어신 감지방울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방법
KR101858924B1 (ko) 2016-02-01 2018-05-18 지정환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23A1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충방전용 지그
WO2023080390A1 (ko) * 2021-11-02 2023-05-11 옥주헌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낚시데이터 수집 및 입질 알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3526B2 (en) Systems for sensing angling events and making angling recommendations
Paris et al. Reef odor: a wake up call for navigation in reef fish larvae
US20150113853A1 (en) Fish strike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101235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fish culling
Ware et al. Bottom side‐roll feeding by humpback whales (Megaptera novaeangliae) in the southern Gulf of Maine, USA
CN204360195U (zh) 智能型电子浮标与移动个人钓鱼信息整合系统
KR101858924B1 (ko) 물고기의 종류를 감지하는 스마트 낚시찌
Thums et al. Tracking sea turtle hatchlings—a pilot study using acoustic telemetry
Colin Aggregation and spawning of the humphead wrasse Cheilinus undulatus (Pisces: Labridae): general aspects of spawning behaviour
KR20200123575A (ko) 지능형어신감지기를 이용하여 입질알림 및 조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N104236552A (zh) 智能钓鱼地图系统
Meckley et al. How fishes find the shore: evidence for orientation to bathymetry from the non-homing sea lamprey
Harasti et al. Distribution, relative abundance and size composition of the threatened serranid Epinephelus daemelii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US11229194B2 (en) Fly rod including cast sensors
Lefèvre et al. Migration of Atlantic salmon smolts and post-smolts in the Rivière Saint-Jean, QC north shore from riverine to marine ecosystems
Bevelhimer et al. Behavioral responses of representative freshwater fish species to electromagnetic fields
Ertel et al. Life history migrations of adult Yellowstone cutthroat trout in the upper Yellowstone River
Thiem et al. Seasonal differences in the diel movements of M acquarie perch (M acquaria australasica) in an upland reservoir
Watanabe et al. Behavior of American alligators monitored by multi-sensor data loggers
Hannah et al. The influence of bait and stereo video on the performance of a video lander as a survey tool for marine demersal reef fishes in Oregon waters
KR101321787B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CN205861118U (zh) 基于北斗定位通信的物联数据传输系统
CN113229234B (zh) 一种基于智能浮漂的水下场景重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BR112019003683B1 (pt) Método implantado por computador para fazer com que um dispositivo de usuário forneça uma notificação e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e ondas
Taylor et al. Movement, homing, and fates of fluvial-specialist shoal bass following translocation into an impound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