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318B1 -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 Google Patents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318B1
KR102396318B1 KR1020210140556A KR20210140556A KR102396318B1 KR 102396318 B1 KR102396318 B1 KR 102396318B1 KR 1020210140556 A KR1020210140556 A KR 1020210140556A KR 20210140556 A KR20210140556 A KR 20210140556A KR 102396318 B1 KR102396318 B1 KR 10239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pin
ligh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태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서정태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태, 이동희 filed Critical 서정태
Priority to KR102021014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상기 인조 미끼는 제1 말단부에 두족류 낚시용 바늘이 결합되고, 제2 말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하부 몸체부; 제1 말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내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상부 몸체부; 발광다이오드; 제1 말단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 발광다이오드 홀더; 및 핀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인조미끼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는 그것의 제1 말단부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중공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핀 타입 배터리는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 및 몸통부의 일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한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는 집어수단이 내장되어 갑오징어, 주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의 입질을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집어수단을 발광시키기 위한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고, 집어수단의 장착 및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력조절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Articial Bait For Cephalopod Fishing}
본 발명은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어수단이 내장되어 갑오징어, 주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의 입질을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특히 에기에 관한 것이다.
가을철이면 일반인의 취미생활의 하나인 생활낚시로서 갑오징어, 주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 낚시가 매년 성행하고 있다. 일반인의 생활낚시는 어부의 전문적인 낚시와 구분된다. 두족류 낚시에는 에기라고 불리우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가 흔히 사용된다. 두족류는 주광성 어류로서 빛이 있는 곳에 모여드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기)의 몸체에는 야광도료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인쇄되거나 입혀져 있다. 이러한 야광도료는 물속에서 형광을 발현하여 두족류가 모여들게 하고 또한 두족류의 공격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
한편, 두족류 낚시에서 두족류의 집어 및 공격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에 집어수단이 구비된 에기가 다수 제안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특허등록 제10-1030228호(2011. 04. 13. 등록)는 발광 미끼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광 미끼는 오징어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수광부, 발광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라 발광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수심에 따른 집어력을 향상시킨다.
특허등록 제10-1549216호(2015. 08. 26. 등록)는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광체는 자급 전원장치를 발광전원으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인조미끼들은 발광에 의하여 오징어의 집어와 공격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오징어 낚시에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93085호(2005. 08. 09. 등록)는 집어등이 설치된 오징어 낚시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조미끼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할하여 상부체의 내입부에 배터리를 장착하고 소형 전구를 점등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 고안은 상부체 내입부에서 배터리와 소형 전구가 연결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을 뿐이어서 개념적 고안에 머무르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적합한 배터리를 선택하고 배터리와 소형 전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 및 그러한 전기적 연결구조가 상부체 내입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한 물리적 구조에 대한 추가적 고안이 필요하다.
특허등록 제10-1367160호(2014. 02. 19. 등록)는 발광 모형 미끼를 개시한다. 개시된 모형미끼는 바디 속에 발광부, 전지 및 엘이디 전구를 포함한다. 이때, 발광부, 전지 및 엘이디 전구는 그 자체로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2개의 전기단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모형미끼가 물속에 들어가지 않을 때에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엘이디 전구는 발광하지 않는 한편, 모형미끼가 바다물 속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바다물에 의하여 노출된 2개의 전기단자가 미세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엘이디 전구가 발광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77189호(2005. 02. 19. 등록)에도 개시되어 있다.
엘이디 전구가 적당한 밝기로 발광하기 위해서는, 바다물에 의하여 미세한 전류가 증폭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시된 모형미끼는 그러한 증폭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요구된다. 또한 그러한 증폭기능을 신뢰성있게 구현하는 것이 경제성 대비 어려운 측면이 있고, 물밖에서 잔류 바다물로 인하여 엘이디 전구가 계속 발광함으로써 배터리를 소모할 우려도 있다.
특허공개 제10-2020-0025969호(2020. 03. 10. 공개)는 집어등 기능을 가지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개시한다. 개시된 인조미끼는 몸통부와 커버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그 내부에 빛을 발광시키는 집어수단을 구비한다. 집어수단은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배터리가 끼워지는 배터리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배터리 연결단자에는 동전 타입 배터리가 끼워진다.
상기 인조미끼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몸통부 및 커버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이 인조미끼의 내부공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기 위한 실장구조가 채용되어야 하므로 인조미끼의 구조가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교체를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을 인출한 후 배터리를 장착한 다음에 인조미끼 내부에 다시 인쇄회로기판을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 배터리 교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의 인출 및 재장착이 반복되면 인쇄회로기판이 손상되어 안정적으로 장착되지 못하거나 회로성능의 저하 또는 고장을 일으킬 염려도 있다.
특허공개 제10-2018-0047237호(2018. 05. 10. 공개)는 두족류 낚시용 발광지그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광지그는 발광부, 중량부 및 바늘부를 포함하며, 발광부는 외부몸체를 이루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체, 전지 및 소켓을 포함한다. 소켓은 발광체를 실장하고 또한 동전 타입 전지가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발광지그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의 한 종류이지만, 주로 주꾸미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흔히 에자라고 불리우는 것인 반면에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는 에기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그 구조 및 형상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어수단이 내장되어 갑오징어, 주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의 입질을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어수단을 발광시키기 위한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집어수단의 장착 및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의하지 않고 집어수단과 배터리가 직접적으로 전기적 접속을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집어수단의 발광을 위하여 경량의 배터리, 즉 핀 타입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인조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되어 바다물 속에 위치할 때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력조절에 유리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는 제1 말단부에 두족류 낚시용 바늘이 결합되고, 제2 말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하부 몸체부; 제1 말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내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상부 몸체부; 발광다이오드; 제1 말단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 발광다이오드 홀더; 및 핀 타입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는 그것의 제1 말단부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중공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핀 타입 배터리는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 및 몸통부의 일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하고,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기 나사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 몸체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핀 타입 배터리를 덮게 하고 또한 상기 상부 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의 중공이 밀폐되게 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서 제1말단부에 형성되는 그것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선 중 짧은 리드선이 관통하는 중앙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의 주변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긴 리드선이 관통하는 주변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긴 리드선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주변부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내표면상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짧은 리드선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중앙부 관통공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핀 타입 배터리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짧은 리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한편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몸통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긴 리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핀 타입 배터리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중앙부 관통공은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중공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를 상기 하부 몸체부 내부로 삽입할 때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중공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사이에는 방수를 위하여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중공은 상기 인조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되어 40 cm/s의 조류속도로 흐르는 바다물 속에 위치할 때 상기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부력을 가지는 부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는 집어수단이 내장되어 갑오징어, 주꾸미, 문어 등의 두족류의 입질을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집어수단을 발광시키기 위한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고, 집어수단의 장착 및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의하지 않고 집어수단과 배터리가 직접적으로 전기적 접속을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집어수단의 발광을 위하여 경량의 배터리, 즉 핀 타입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인조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되어 바다물 속에 위치할 때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력조절에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대한 절단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적용되는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하면에 형성되는 중앙부 관통공 및 주변부 관통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10)는 흔히 에기라고 불리우는 것으로서, 하부 몸체부(100), 상부 몸체부(200), 발광다이오드(300), 발광다이오드 홀더(400), 핀 타입 배터리(500) 및 오링(600)을 포함한다.
하부 몸체부(100)는 제1 말단부에 결합하는 두족류 낚시용 바늘(110)을 포함하고, 제2 말단부에는 개구(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하부 몸체부(100)는 제1 말단부가 막혀있고, 제2 말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말단부에서 일정거리까지는 내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다가 적당한 위치에서부터 제1 말단부쪽으로 갈수록 내경 및 외경이 좁아지는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부(100)의 제2 말단부의 외표면에는 나사부(130)가 형성된다. 하부 몸체부(100)의 외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이 진 형상 또는 그 밖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부(100)는 발광다이오드(300)의 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 옅은 색상을 띤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200)는 제1 말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210)를 포함하고, 제2 말단부에는 개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고리부(210)는 상부 몸체부(20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첨단부분과 이러한 첨단부분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200)는 제1 말단부가 막혀있고, 제2 말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말단부에서 일정거리까지는 내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다가 적당한 위치에서부터 제1 말단부쪽으로 갈수록 내경 및 외경이 좁아지는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200)의 제2 말단부의 내표면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된다. 상부 몸체부(200)의 외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각이 진 형상 또는 그 밖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200)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색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백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300)는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적합한 직류전원이 공급될 때 단색의 빛을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방식, 단색의 빛을 주기적으로 점등 및 소등을 반복하는 방식, 즉 깜빡이는 방식, 3색의 빛이 번갈아가면서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방식, 3색의 빛이 번갈아가면서 주기적으로 점멸하는 방식으로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300)는 몸체부(310) 및 몸체부(310)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리드선(320 및 330)으로 구성된다. 이때, 리드선(320 및 330)은 양극과 음극을 구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길이가 다르게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길이가 긴 것이 양극 리드선(320)이고 길이가 짧은 것은 음극 리드선(330)이다. 리드선(320 및 330)의 굵기는 통상적으로 1 mm 미만이고 대략 0.5 mm 정도가 된다.
발광다이오드 홀더(400)는 제1 말단부에 발광다이오드(300)를 장착하는 것이다. 발광다이오드 홀더(400)는 원통형 측벽(410)과 하면(420)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제2 말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속은 비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하면(420)의 중앙에는 발광다이오드(300)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선(320 및 330) 중 짧은 리드선(330)이 관통하는 중앙부 관통공(424)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하면(420)의 주변부에는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이 관통하는 주변부 관통공(42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 관통공(424)은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부 관통공(424)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변부 관통공(422)은 긴 리드선(320)이 통과할 정도의 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타입 배터리(500)는 몸통부(510)와 핀부(520)로 이루어진다. 핀 타입 배터리(500)는 낚시에 흔히 사용되는 전자케미의 전원으로 흔히 사용되는 배터리이다. 이러한 핀 타입 배터리(500)는 경량이기 때문에 낚시 채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발광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케미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핀 타입 배터리(500)는 예를 들어 BR-425의 경우 20mAh의 용량과 0.53g의 무게를 가진다. BR-425는 직경이 4 mm이고, 길이가 25 mm임을 의미한다. BR-435는 직경이 4 mm이고, 길이가 35 mm임을 의미한다. 이때, 핀의 길이는 대략 5 mm 정도이다.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 직경은 통상적으로 거의 1 mm 정도이고 그래서 발광다이오드(300)의 리드선보다는 굵다. BR-425 및 BR-435 핀 타입 배터리의 초기전압은 3~3.4 볼트이다.
오링(600)은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사이에 방수를 위하여 개재되는 것이다.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가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할 때 오링(600)이 그것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바다물이 본 발명의 인조미끼(10)의 내부 공간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오링(600)은 하부 몸체부(100)의 제2 말단부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30)에 끼워진 후 하부 몸체부(100)의 몸통 부분과 나사부(130) 사이에 형성된 걸림턱 상에 걸린 상태에서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가 나사결합함으로써 밀폐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10)에서 각 부품이 결합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은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주변부 관통공(422)을 관통한 후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측벽(410) 내표면상에 배치된다. 한편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은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하면(420) 중앙에 형성된 중앙부 관통공(424)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그래서 발광다이오드(300)는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하면(420)에서 주변부 관통공(422)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발광다이오드(300)가 결합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는 그것의 제1 말단부가 하부 몸체부(100)의 개구(120)로부터 삽입되어 발광다이오드(300)가 하부 몸체부(100)의 중공에 배치되게 한다. 이렇게 삽입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는 하부 몸체부(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 홀더(400)가 하부 몸체부(100)와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하나의 방법은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외표면에 접착제를 약간 묻힌 후 하부 몸체부(100)에 삽입하고 약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접착제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와 하부 몸체부(100)는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발광다이오드(300)가 장착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를 하부 몸체부(100) 내부로 삽입하여 결합할 때 발광다이오드(300)가 하부 몸체부(100)의 중공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몸체부(100)의 중공에는 발광다이오드 지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핀 타입 배터리(500)는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 및 몸통부(510)의 일부가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에 삽입된다. 그러면,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는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의 직경은 중앙부 관통공(424)의 직경 또는 폭보다 작고,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300)는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하면(420)에서 주변부 관통공(422)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에 장착되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은 중앙부 관통공(424)을 통과한 후 완전히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배치되지 않고 약간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하여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중앙부 관통공(424)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수직한 핀부(520)의 측면은 중앙부 관통공(424)을 통과한 후 약간 사선으로 배치되는 짧은 리드선(330)의 측면과 물리적으로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한편 핀 타입 배터리(500)의 몸통부(510)는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핀 타입 배터리(500)가 발광다이오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은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측벽(410) 내면 상에 위치하고, 핀 타입 배터리(500)의 몸통부(510)는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을 타고넘어가면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에 끼워지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과 확실하게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에, 발광다이오드(300)가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된다.
상기에서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와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핀 타입 배터리(500)의 몸통부(510)와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대신에,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300)의 짧은 리드선(330)은 별도의 리드선과 접촉하는 한편 핀 타입 배터리(500)의 핀부(520)는 그러한 별도의 리드선과 접촉하고,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300)의 긴 리드선(320)은 별도의 리드선과 접촉하는 한편 핀 타입 배터리(500)의 몸통부(510)는 그러한 별도의 리드선과 접촉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변경 구성은 상기한 직접적 접촉 구성보다 약간 번잡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부 몸체부(200)의 나사부(230)는 하부 몸체부(100)의 나사부(130)와 결합한다. 그러면, 상부 몸체부(200)는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바깥으로 노출된 핀 타입 배터리(500)를 덮고 또한 상부 몸체부(200) 및 하부 몸체부(100)의 중공이 밀폐된다.
본 발명에서, 하부 몸체부(100)의 외표면에 나사부(130)를 형성하는 대신에 통상의 기술자는 하부 몸체부(100) 밖으로 노출되는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부분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부 몸체부(200)의 나사부(230)가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의 그러한 나사부와 결합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두족류 낚시용 인조미끼(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족류 낚시용 채비(2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두족류 낚시용 채비(20)는 낚시줄(21), 하나 이상의 봉돌 연결용 핀도래(22), 하나 이상의 에기 연결용 핀도래(23)를 포함한다. 봉돌 연결용 핀도래(22)에는 봉돌(24)이 장착되고, 에기 연결용 핀도래(23)에는 본 발명의 에기(1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에기 연결용 핀도래(23)는 상부 몸체부(200)의 고리부(210)에 마련된 구멍에 끼워진다. 에기(10)는 갑오징어 낚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닥층에 닿는 봉돌(24)과 약간의 단차, 예를 들어 10~20cm 정도의 단차를 두고 봉돌(24)보다 높은 위치에서 유영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상태에서 두족류 낚시용 채비(20)는 낚시용 원줄에 연결된 후 바다속으로 캐스팅될 수 있다. 캐스팅된 두족류 낚시용 채비(20)는 바다의 바닥층까지 내려가서 정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봉돌(24)은 바닥층에 안착하고, 낚시줄(21)은 수직 또는 조류에 따라 사선을 형성하며, 에기 연결용 핀도래(23)에 연결된 본 발명의 에기(10)는 수평 또는 약간의 사선으로 조류를 타게 된다. 통상적으로 갑오징어는 수평 상태에 있는 새우 등의 미끼 및 인조미끼에 잘 반응하는 반면에 수직 상태의 미끼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갑오징어 낚시용 에기는 바다물 속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부력을 가져야 하는 것이 최근의 필수적 요청사항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에기(10)는 하부 몸체부(100) 및 상부 몸체부(200)의 형상 및 중공의 부피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즉 부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적당한 조류속도로 흐르는, 예를 들어 40 cm/s의 조류속도로 흐르는 바다물 속에서 수평상태를 유지 할 수 있고 또한 발광다이오드(300)가 점멸하기 때문에 갑오징어를 강력하게 유혹함으로써 갑오징어의 입질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에기(10)는 경량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인조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되어 바다물 속에 정렬할 때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게 하기 위한 부력조절에 유리하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에기(10)는 상기한 구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부(200)를 돌려서 하부 몸체부(100)로부터 분리한 후 핀 타입 배터리(500)를 하부 몸체부(100)와 일체화된 발광다이오드 홀더(400)에 꽂고 다시 상부 몸체부(200)를 하부 몸체부(100)에 나사결합하기만 하면 배터리(500)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에기(10)는 집어수단의 장착 및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10: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100: 하부 몸체부
110: 낚시바늘 120: 개구
130: 나사부 140: 발광다이오드 지지부
200: 상부 몸체부 210: 고리부
220: 개구 230: 나사부
300: 발광다이오드 310: 몸체부
320,330: 리드선 400: 발광다이오드 홀더
410: 원통형 측벽 420: 하면
422,424: 관통공 500: 핀 타입 배터리
510: 몸통부 520: 핀부
600: 오링

Claims (7)

  1.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에 있어서,
    상기 인조 미끼는 제1 말단부에 두족류 낚시용 바늘이 결합되고, 제2 말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외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하부 몸체부; 제1 말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제2 말단부의 내표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상부 몸체부; 발광다이오드; 제1 말단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되고, 제2 말단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 발광다이오드 홀더; 및 핀 타입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는 그것의 제1 말단부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개구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중공에 배치되게 하며,
    상기 핀 타입 배터리는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 및 몸통부의 일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점등되거나 점멸되게 하고,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기 나사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나사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 몸체부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바깥으로 노출된 상기 핀 타입 배터리를 덮게 하고 또한 상기 상부 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의 중공이 밀폐되게 하며,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서 제1말단부에 형성되는 그것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선 중 짧은 리드선이 관통하는 중앙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면의 주변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긴 리드선이 관통하는 주변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긴 리드선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주변부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내표면상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상기 짧은 리드선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중앙부 관통공을 관통하게 배치되며,
    상기 핀 타입 배터리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짧은 리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한편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몸통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긴 리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기 핀 타입 배터리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의 상기 중앙부 관통공은 상기 핀 타입 배터리의 핀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중공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홀더를 상기 하부 몸체부 내부로 삽입할 때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기 중공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사이에는 방수를 위하여 오링(O-ring)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중공은 상기 인조미끼가 두족류 낚시용 채비에 장착되어 40 cm/s의 조류속도로 흐르는 바다물 속에 위치할 때 상기 인조미끼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부력을 가지는 부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0210140556A 2021-10-20 2021-10-20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39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56A KR102396318B1 (ko) 2021-10-20 2021-10-20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56A KR102396318B1 (ko) 2021-10-20 2021-10-20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318B1 true KR102396318B1 (ko) 2022-05-10

Family

ID=8159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56A KR102396318B1 (ko) 2021-10-20 2021-10-20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52A1 (ko) * 2022-09-20 2024-03-28 김지훈 발광 기능을 갖는 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3285U (ko) * 1977-11-02 1979-05-24
JPH02171132A (ja) * 1988-12-24 1990-07-02 Masami Hirose 釣り用発光器
KR100593260B1 (ko) * 2004-02-16 2006-06-26 최병열 움직이는 루어
KR20130035714A (ko) * 2011-09-30 2013-04-09 이강욱 발광 모형 미끼
KR101546051B1 (ko) * 2014-04-04 2015-08-20 종 학 한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3285U (ko) * 1977-11-02 1979-05-24
JPH02171132A (ja) * 1988-12-24 1990-07-02 Masami Hirose 釣り用発光器
KR100593260B1 (ko) * 2004-02-16 2006-06-26 최병열 움직이는 루어
KR20130035714A (ko) * 2011-09-30 2013-04-09 이강욱 발광 모형 미끼
KR101546051B1 (ko) * 2014-04-04 2015-08-20 종 학 한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52A1 (ko) * 2022-09-20 2024-03-28 김지훈 발광 기능을 갖는 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447A (en) Fis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bait
US5974721A (en) High-intensity light-emitting diode fishing float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100987497B1 (ko) 수중 집어등
EP0913086A1 (en) Lure
US9445583B1 (en) Deep sea fishing lure
US20180192631A1 (en) Fishing Light
US20030145508A1 (en) Ice fishing tip-up display
US8402686B1 (en) Light emitting fishing teaser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0679353B1 (ko) 낚시용 전자찌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102207609B1 (ko) 수중 집어등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20230058864A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KR102196570B1 (ko)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JP2010263876A (ja) 疑似餌
CN210352808U (zh) 一种碳纤维螺旋状漂尾的发光体浮漂
KR101150534B1 (ko)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변광 전자찌
JP3151178U (ja) 擬似餌用発光装置
KR2014009073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2017528168A (ja) 釣り用発光浮き
KR20190003068U (ko) 점멸 속도 가변식 집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