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497B1 - 수중 집어등 - Google Patents

수중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497B1
KR100987497B1 KR1020080092055A KR20080092055A KR100987497B1 KR 100987497 B1 KR100987497 B1 KR 100987497B1 KR 1020080092055 A KR1020080092055 A KR 1020080092055A KR 20080092055 A KR20080092055 A KR 20080092055A KR 100987497 B1 KR100987497 B1 KR 10098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wire
light
underwate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073A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filed Critical 박성용
Priority to KR102008009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투입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어류를 모이게 하며, 두가지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수중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중에 투입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어류를 집어하는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하부에 단자(11)를 구비하여 단자(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2개가 구비되어 하나는 청색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백색빛을 발산하는 엘이디(10a, 10b); 전기 절연체 재질로 몸체(110)를 이루고,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는 삽입공(120)이 구비되어 엘이디(10a, 10b)의 단자가 삽입되는 연결핀(130)이 상기 삽입공(120)에 끼워지며,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구비된 상기 연결핀(130)은 동일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30)의 측면은 외부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노출된 부위(131)를 갖게 되는 엘이디소켓(100); 상부에 전선공(212)을 구비하고 내주면 하부에 암나사(211)를 구비하는 상부체(210)가 하부는 폐구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숫나사(221)를 구비하는 하부체(220)에 나사결합(211, 221)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엘이디(10a, 10b)를 장착한 상기 엘이디소켓(100)이 내부(240)에 수직으로 수용되고, 상부체(210)의 내주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어지는 전선홈(21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선공(212)을 관통하여 내부(240)로 인입된 전선(20)의 심선(21)이 상기 전선홈(213)을 따라 상기 엘이디소켓(100)에 이르게 되어 상기 심 선(21)의 끝단이 연결핀(130)의 노출 부위(1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투명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건전지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그 구조도 간단하여 가볍고 파손의 우려도 적으며, 두가지 색상의 불빛을 비추는 구조로 이루어져 볼락낚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중, 집어등, 어류, 볼락, 주광성, 낚시

Description

수중 집어등{FISH LURING LAMP FOR UNDERWATER}
본 발명은 수중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 투입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어류를 모이게 하며, 두가지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되는 수중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근해 어업에 있어서 주광성(走光性)을 갖는 멸치, 오징어 또는 갈치와 같은 어류를 어획하기 위하여 수중에 집어등을 침하시켜 어류를 모여들게 한 후에 밀집된 어류를 포획한다.
이와 같은 수중 집어등은 공개특허공보 제20-2008-0000020호 "어업용 냉음극형광램프 수중 집어등"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방수 구조를 갖으며 배에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바다로 침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수중 집어등은 연근해 어업용 선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규모 어획용으로서 그 크기 매우 크므로, 일반 개인이 즐기는 바다낚시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갯바위낚시에서 있어서, 주광성을 갖는 볼락계열의 어류를 낚기 위해 서는 낚시바늘이 침하되는 부근에 불빛을 비추어야 볼락이 낚시바늘 근처로 모여들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수중 집어등은 그 크기가 매우 커서 휴대하기도 어렵고 수중으로 던져 침하시키기도 어려우며, 그에 필요한 전원수단을 구비하기도 어려워, 단지 충전이 가능한 휴대형 랜턴으로 수면을 비추기만 하였던 것이다. 또한, 볼락계열의 어류는 광원의 색상에 따라 상이하게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 있으며, 볼락낚시를 하는 사람은 경험으로 터득한 정보에 따라 백색광과 청색광을 발산하는 랜턴을 각각 별도로 휴대하여 두개의 랜턴으로 원하는 수면 위를 비추었으며, 더욱이 볼락낚시를 하는 사람은 수컷은 백색광에 암컷은 청색광에 더욱 모여든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알고 있어 백색광과 청색광을 발산하는 랜턴을 별도로 사용하여 왔던 것이다. 하지만, 낚시바늘이 랜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빛이 퍼져 두가지 발광빛이 수면위에서 겹쳐짐으로, 두개의 랜턴을 준비하더라도 충분한 집어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바늘 위치와 랜턴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랜턴에서 발산해야 할 광량도 커짐에 따라 충전된 전기의 소모량이 커져 장시간 사용하기에도 어려웠으며, 일반적으로 빛을 밝힌 후에 볼락이 모이는 시간은 적어도 30분 이상이 소요되므로 랜턴의 축전지 용량도 크게 형성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어려움 없이 소규모 낚시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중 집어등도 다수 제시되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 20-0393085호 "집어등이 설치된 오징어 낚시", 공개특허 제20-2000-0017709호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집어등", 공개특허 제10-1984-0007057호 "집어등", 등록실용신안 제20-0398086호 "낚시인조 미끼를 부성한 집어등"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들에서는 집어등의 내부에 건전지를 내장하도록 구성되며 소규모로 제작됨에 따라 낚시줄에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들은 장시간 동안 발광시키기 위해서 용량이 큰 건전지를 사용해야 하므로 집어등의 크기도 커져서 사용하기에 불편하였고, 건전지의 중량에 의해 낚시를 하다가 바위에 부딪치게 되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해야만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집어등에 백색광 램프와 청색광 램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두가지 색의 불빛이 집어등의 하부에 위치하는 낚시바늘 근처에 분리된 영역으로 비춰지게 구성되지 아니하여 효과적으로 집어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개인 바다낚시를 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건전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휴대형 랜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중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색광과 청색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두가지 불빛이 비춰지는 범위도 분리되게 구성되어 집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중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중에 투입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어류를 집어하는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하부에 단자(11)를 구비하여 단자(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2개가 구비되어 하나는 청색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백색빛을 발산하는 엘이디(10a, 10b); 전기 절연체 재질로 몸체(110)를 이루고,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는 삽입공(120)이 구비되어 엘이디(10a, 10b)의 단자가 삽입되는 연결핀(130)이 상기 삽입공(120)에 끼워지며,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구비된 상기 연결핀(130)은 동일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30)의 측면은 외부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노출된 부위(131)를 갖게 되는 엘이디소켓(100); 상부에 전선공(212)을 구비하고 내주면 하부에 암나사(211)를 구비하는 상부체(210)가 하부는 폐구되고 외 주면 상부에는 숫나사(221)를 구비하는 하부체(220)에 나사결합(211, 221)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엘이디(10a, 10b)를 장착한 상기 엘이디소켓(100)이 내부(240)에 수직으로 수용되고, 상부체(210)의 내주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어지는 전선홈(21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선공(212)을 관통하여 내부(240)로 인입된 전선(20)의 심선(21)이 상기 전선홈(213)을 따라 상기 엘이디소켓(100)에 이르게 되어 상기 심선(21)의 끝단이 연결핀(130)의 노출 부위(1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투명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케이스(200)는, 몸체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개구되며 상부는 볼록형 반사면(231)을 내측면에 갖도록 폐구되는 반사체(230)를 내부(240)에 수용하며, 상기 반사체(230)의 상부를 상기 전선공(212)을 향하도록 상기 반사체(230)를 내삽한 후에 엘이디(10a, 10b)가 장착된 상기 엘이디소켓(100)을 상부체(210)의 내부(240)에 끼우고 하부체(220)를 상부체(210)에 나사결합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휴대형 랜턴에 접속되는 전선(2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하거나 엘이디(10a, 10b)를 교체할 때에도 엘이디소켓(100)에 간단하게 꽂기만 하면 되고, 내부에 건전지를 구비하지 아니하여 가벼우므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각각 하 나의 엘이디를 구비하여 두가지 색상의 불빛을 비추게 할 뿐만 아니라, 각 엘이디의 불빛이 비춰지는 영역을 분리할 수 있어 각 엘이디의 발광색에 주광성을 갖는 어류를 효과적으로 집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20)의 심선(21)에 접속되는 부위가 엘이디소켓(100)의 측면에 위치하여 엘이디소켓(10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엘이디의 불빛을 방해하지도 아니하고, 심선(21)이 지나가는 경로에 해당되는 상부체(210)의 전선홈(213)도 상부에 위치한 엘이디의 불빛을 방해하지만 그 방해되는 조사각 범위도 미약하므로, 상부 및 하부 엘이디의 빛을 거의 동일한 광량으로 비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도 2a)와, 상부체의 단면 사시도(도 2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각 구성을 분해한 사시도이 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엘이디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은 2개의 엘이디(10a, 10b)와, 상기 엘이디(10a, 10b)가 장착되는 엘이디소켓(100)과, 상기 엘이디(10a, 10b)가 장착된 엘이디소켓(1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투명케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이디(10a, 10b)는, 하부에 단자(11)를 구비하여 단자(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2개가 준비되어 상기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며, 2개의 엘이디(10a, 10b) 중에 어느 하나는 청색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백색빛을 발산하는 엘이디(LED, light emitted diode,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는 발산하는 빛의 색상에 따라 순방향 전압의 인가범위가 서로 다르므로 다색을 발산하는 엘이디의 경우에 단자의 개수가 2개를 초과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엘이디(10a, 10b)가 단일색의 빛을 발산하므로 (+)단자와 (-)단자로 이루어지는 2개의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엘이디소켓(100)은, 전기 절연체 재질로 몸체(110)를 이루고, 상부 면(111)에서 하부면(112)까지 관통하는 삽입공(120)을 몸체(110) 속에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10a, 10b)의 단자(11)가 삽입되는 연결핀(130)이 상기 삽입공(120)에 끼워짐에 따라 상부면(111)과 하부면(112)에 각각 하나씩 상기 엘이디(10a, 10b)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소켓(100)의 몸체(110) 측면에는 홈(113)이 형성됨에 따라 몸체(110)에 심어진 상기 연결핀(130)의 측면 중에 일부 부위(131)가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노출된 부위(131)에 외부 전선을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선과의 전기적 결합은 납땜 또는 단자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색 엘이디와 백색 엘이디는, 인가될 수 있는 순방향 전압이 3.4V ~ 3.8V 범위로 제작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2가닥 심선을 갖는 외부 전선에 병렬로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형성되어 엘이디 단자(11)를 꽂을 있게 이루어지는 연결핀(130)은 동일 극성끼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결핀(130)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극성의 연결핀(130)을 2개로 하여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각각 설치하고, (-)극성의 연결핀(130)은 공통단자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외부 전선이 3가닥의 심선을 갖게 하여 두 엘이디를 각각 온/오프(ON/OFF)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투명케이스(200)는, 상부체(210)와 하부체(220)가 나사결합(211, 221)하여 내부 공간(240)를 형성함으로써 엘이디(10a, 10b)가 장착된 엘이디소켓(100) 을 상기 내부 공간(240)에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부체(210)의 상부에는 전선공(212)을 통해 외부 전선(20)이 관통되게 한다. 또한, 상기 투명케이스(200)는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에 장착되는 엘이디(10a)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230)를 내부 공간(240)에 더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체(210)는, 상부에 전선공(212)을 구비하는 관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 하부에 암나사(211)를 구비하며, 또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어지는 전선홈(213)이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선홈(213)은 암나사(211)가 시작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나사결합(211, 221)에 의해 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체(220)는, 하부가 폐구된 관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상부에 숫나사(221)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체(210)에 나사결합(211, 221)할 수 있게 된다.
나사결합(211, 221) 부위는 상부체(210) 및 하부체(220)의 관 형태의 몸체에 비하여 그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나사결합(211, 221) 부위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체(230)는,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내측면에 반사면(231)을 갖도록 폐구되는 관형태를 이루며, 상기 투명케이스(200)의 내부 공간(240) 상단에 끼워지되 반사면(231)이 있는 상부가 전선공(212)을 향하고, 개구된 하부는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에 장착된 엘이디(10a)을 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면(231)은 볼록형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에 장착된 엘이디(10a)의 불빛 중에서 상부 방향을 비추는 불빛을 측면 내지 하부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엘이디(10a)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상기 반사면(231)이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부 방향을 비추는 불빛이 다시 엘이디(10a)로 반사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볼록형 반사면의 분산효과를 거둘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에 장착된 엘이디(10a)에서도 그 불빛이 측면 내지 하부를 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투명케이스(200)는 내부에 수용되는 엘이디의 불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한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수중 집어등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과 하부면(112)에 엘이디(10a, 10b)를 장착하고, 이때 청색 엘이디와 백색 엘이디가 각각 1개씩 사용된다.
다음으로, 외부 전선(20)의 끝단 부위의 피복을 벗기어 심선(21)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심선(21) 부위를 상부체(210)의 전선공(212)을 통해 상부체(21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심선(21)을 상부체(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전선홈(213)에 끼워 심선(21)의 끝단이 상부체(210)의 개구된 하부에 이르게 한다.
다음으로, 반사면(231)이 형성된 상부를 전선공(212)을 향하게 하는 형태로 상기 반사체(230)를 상기 상부체(210)의 내부 공간(240)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엘이디(10a, 10b)가 상부면(111)과 하부면(112)에 각각 하나씩 장 착된 엘이디소켓(100)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상부체(210)의 내부 공간(240)에 삽입한 후에, 엘이디소켓(100)의 측면으로 노출된 연결핀 부위(131)에 심선(21)의 끝단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의 형태는 납땜 또는 단자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체(220)를 상부체(210)에 나사결합(211, 221)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결합(211, 221) 부위에는 방수패킹(250a, 250b)을 끼우고, 전선이 관통되는 상기 전선공(212)에는 방수재(214)를 채우므로써, 상부체(210) 및 하부체(22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240)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구성들로 조립된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엘이디(10a, 10b)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의해 조사되는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빛의 조사 범위는 엘이디의 측면으로 발산되는 약한 빛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도시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엘이디는 베이스판의 상부 방향으로 대부분의 광량이 발산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엘이디소켓(100)의 하부면(112)에 장착된 엘이디(10b)의 조사 빛은 하부방향을 중심방향으로 하는 입체각 범위(40b)를 형성하고, 엘이디소켓(100)의 상부면(111)에 장착된 엘이디(10a)의 조사 빛은 측면방향에서 시작하여 하부방향으로 소정각을 이루는 입체각 범위(40a)를 형성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중 집어등보다는 하부에 위치하는 낚시바늘(30) 주위에는 상기 수중 집어등에서 발산되는 두가지 색의 빛이 조사되되 조사되는 범위가 분리됨 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 볼락(50)이 낚시바늘(30) 주위로 모여들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5를 살펴보면, 상부에 위치한 엘이디(10a)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낚시바늘(30)의 반대편에도 비취지는 데, 일반적으로 수중에 침하된 수중 집어등에 대해서 낚시바늘이 어디에 위치하는 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또한 수중의 해류에 의해 유동적으로 움직이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엘이디(10a)의 불빛을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아니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수중 집어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20)은 그 끝단을 랜턴의 전원선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집어등은 엘이디 램프를 사용하여 소모되는 전력량도 적으므로 랜턴의 전원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집어등 내부에 건전지를 구비하지 아니하여 건전지를 교체하는 불편함도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사시도(도 2a)와, 상부체의 단면 사시도(도 2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엘이디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엘이디에서 발산된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b : 엘이디 20 : 전선
100 : 엘이디소켓 110 : 몸체 111 : 상부면
112 : 하부면 120 : 삽입공 130 : 연결핀
200 : 투명케이스 210 : 상부체 211 : 암나사
212 : 전선공 213 : 전선홈 220 : 하부체
221 : 숫나사 230 : 반사체 231 : 반사면
240 : 내부

Claims (2)

  1. 수중에 투입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어 어류를 집어하는 수중 집어등에 있어서,
    하부에 단자(11)를 구비하여 단자(1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2개가 구비되어 하나는 청색빛을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백색빛을 발산하는 엘이디(10a, 10b);
    전기 절연체 재질로 몸체(110)를 이루고,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는 삽입공(120)이 구비되어 엘이디(10a, 10b)의 단자가 삽입되는 연결핀(130)이 상기 삽입공(120)에 끼워지며, 상부면(111) 및 하부면(112)에 구비된 상기 연결핀(130)은 동일 극성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130)의 측면은 외부 전선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노출된 부위(131)를 갖게 되는 엘이디소켓(100);
    상부에 전선공(212)을 구비하고 내주면 하부에 암나사(211)를 구비하는 상부체(210)가 하부는 폐구되고 외주면 상부에는 숫나사(221)를 구비하는 하부체(220)에 나사결합(211, 221)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엘이디(10a, 10b)를 장착한 상기 엘이디소켓(100)이 내부(240)에 수직으로 수용되고, 상부체(210)의 내주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이어지는 전선홈(213)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선공(212)을 관통하여 내부(240)로 인입된 전선(20)의 심선(21)이 상기 전선홈(213)을 따라 상기 엘이디소켓(100)에 이르게 되어 상기 심선(21)의 끝단이 연결핀(130)의 노출 부위(131)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는 투명케이스(2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케이스(200)는,
    몸체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개구되며 상부는 볼록형 반사면(231)을 내측면에 갖도록 폐구되는 반사체(230)를 내부(240)에 수용하며, 상기 반사체(230)의 상부를 상기 전선공(212)을 향하도록 상기 반사체(230)를 내삽한 후에 엘이디(10a, 10b)가 장착된 상기 엘이디소켓(100)을 상부체(210)의 내부(240)에 끼우고 하부체(220)를 상부체(210)에 나사결합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집어등.
KR1020080092055A 2008-09-19 2008-09-19 수중 집어등 KR10098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055A KR100987497B1 (ko) 2008-09-19 2008-09-19 수중 집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055A KR100987497B1 (ko) 2008-09-19 2008-09-19 수중 집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073A KR20100033073A (ko) 2010-03-29
KR100987497B1 true KR100987497B1 (ko) 2010-10-13

Family

ID=421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055A KR100987497B1 (ko) 2008-09-19 2008-09-19 수중 집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4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55B1 (ko) 2014-01-14 2014-08-13 종 학 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KR20160033486A (ko) 2014-09-18 2016-03-28 종 학 한 반사 효율이 뛰어난 집어등
KR20180096223A (ko) 2017-02-21 2018-08-29 박병성 낚시용 발광 유닛
KR200490915Y1 (ko) 2019-01-17 2020-01-21 김재홍 수중 집어등을 수용하는 낚시추 조립체
KR102297386B1 (ko) 2020-11-17 2021-09-03 박천만 수중 집어등용 수직하강 유지장치
KR20220043476A (ko) 2020-09-29 2022-04-05 조현근 심해낚시용 집어등
KR20220052121A (ko) 2020-10-20 2022-04-27 (주)어썸컴퍼니 낚시기술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 수중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224A (zh) * 2012-05-09 2013-11-13 中国计量学院 一种基于频率调制的led组合光源水下集鱼方法及装置
KR102207609B1 (ko) 2020-08-06 2021-01-26 장수만 수중 집어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847A (ja) * 1995-10-20 1997-04-28 Etou Denki Kk 水中集魚灯、水中集魚灯保持具、および集魚方法
JPH11299393A (ja) 1998-04-21 1999-11-02 Yasunari Gen 水中集魚灯用電球
JP2001120140A (ja) 1999-10-29 2001-05-08 Ishii Seisakusho:Kk 集魚灯
KR200386965Y1 (ko) 2005-03-08 2005-06-17 주식회사 삼명마린 어선용 집어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847A (ja) * 1995-10-20 1997-04-28 Etou Denki Kk 水中集魚灯、水中集魚灯保持具、および集魚方法
JPH11299393A (ja) 1998-04-21 1999-11-02 Yasunari Gen 水中集魚灯用電球
JP2001120140A (ja) 1999-10-29 2001-05-08 Ishii Seisakusho:Kk 集魚灯
KR200386965Y1 (ko) 2005-03-08 2005-06-17 주식회사 삼명마린 어선용 집어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55B1 (ko) 2014-01-14 2014-08-13 종 학 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조사부를 갖는 집어등
KR20160033486A (ko) 2014-09-18 2016-03-28 종 학 한 반사 효율이 뛰어난 집어등
KR20180096223A (ko) 2017-02-21 2018-08-29 박병성 낚시용 발광 유닛
KR200490915Y1 (ko) 2019-01-17 2020-01-21 김재홍 수중 집어등을 수용하는 낚시추 조립체
KR20220043476A (ko) 2020-09-29 2022-04-05 조현근 심해낚시용 집어등
KR20220052121A (ko) 2020-10-20 2022-04-27 (주)어썸컴퍼니 낚시기술 고도화를 위한 스마트 수중 카메라
KR102297386B1 (ko) 2020-11-17 2021-09-03 박천만 수중 집어등용 수직하강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073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497B1 (ko) 수중 집어등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6732469B2 (en) Underwater battery powered lighted fishing lure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US8533990B2 (en) Deep sea fishing lure
US11147263B2 (en) Fishing light
KR102147467B1 (ko)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KR20090001303A (ko) 어업용 집어등
KR102207609B1 (ko) 수중 집어등
CN201106776Y (zh) 一种led日光灯
US20050128740A1 (en) Multipurpose led flashlights and components thereof
KR20120014337A (ko) 바다 낚시용 집어등
KR200391613Y1 (ko) 휴대용 랜턴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CN207940253U (zh) 一种新型手持式抄网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CN109983278A (zh) 一种诱鱼灯以及一种使用这种诱鱼灯捕鱼的方法
CN2786974Y (zh) 电子发光鱼漂
CN208754993U (zh) 一种电子浮漂
JP2010263876A (ja) 疑似餌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CN108184777A (zh) 一种新型手持式抄网
KR20190003068U (ko) 점멸 속도 가변식 집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