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38Y1 - 발광 낚시찌 - Google Patents

발광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38Y1
KR200447338Y1 KR2020070019835U KR20070019835U KR200447338Y1 KR 200447338 Y1 KR200447338 Y1 KR 200447338Y1 KR 2020070019835 U KR2020070019835 U KR 2020070019835U KR 20070019835 U KR20070019835 U KR 20070019835U KR 200447338 Y1 KR200447338 Y1 KR 200447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upper body
light emitting
protruding
pip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24U (ko
Inventor
최상용
Original Assignee
최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용 filed Critical 최상용
Priority to KR202007001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3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상부중앙관통공을 가지는 상부몸체부재와,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파이프부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파이프부와,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며, 엘이디(LED)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엘이디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재 및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하부중앙관통공을 가지며, 그 내부 끝단에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는 하부돌출파이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몸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돌출파이프부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하부몸체부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발광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그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절약되며 발광부재의 조립이 간단하여 그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돌출된 돌출렌즈부에 의해서 야간에 멀리서도 확연하게 발광부재를 볼 수가 있어서 낚시찌가 수면 위에 있는지 아니면 수면 속에 가라앉았는지를 야간에도 확실히 식별할 수 있으며, 발광부재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2돌출 파이프부에 끼워지므로 발광부재의 사용이 효과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 낚시찌{Luminary buoy}
본 고안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확연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그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방수 기능을 가지는 발광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시 바늘에 물고기가 걸렸는지 아닌지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낚시찌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져서 그 관통공으로 낚시 줄이 통과하며, 이러한 낚시 줄의 끝단에는 낚시 바늘이 위치된다. 상기 낚시찌는 통상적으로 비중이 작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물에 잘 뜨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낚시찌가 수면 위에 있다가 물속으로 가라앉으면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린 미끼를 문 것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낚시찌는 야간 낚시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종래의 야간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찌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야간에 사용되는 낚시찌(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아크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에 수 용된 발광부재(3)와, 상기 발광부재(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3)는 통상적으로 두 개의 엘이디(LED)램프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발광부재(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 위에 두 개의 엘이디램프가 위치되며, 이 원형의 판 아래 측에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기둥부(5)가 돌출된다. 상기 기둥부(5) 중 어느 두 개에 상기 전원부재(4)가 끼워지며,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엘이디램프가 동시에 발광된다.
상기 발광부재(3)에는 얇은 금속판(6)이 구비되어 이 얇은 금속판(6)을 통해서 상기 전원부재(4)에서 제공되는 전기가 통전되어 상기 엘이디램프를 발광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낚시찌(1)는 상기 발광부재(3)의 구조와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그 조립을 위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낚시찌(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3)의 엘이디램프가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그 하우징(2)의 내부표면과 다소 이격된 위치에 수용되어 있는 관계로 멀리서 야간에 그 엘이디램프의 빛을 식별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이디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은 직진성은 좋으나 그 빛이 멀리까지는 전달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하우징(2)이 아크릴 등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어느 정도 빛이 투과될 수 있지만, 야간에 이를 멀리서 보면 잘 식별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발광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그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절약되며 그 조립이 간단하고, 돌출된 돌출렌즈부에 의해서 야간에 멀리서도 확연하게 발광부재를 볼 수가 있어서 낚시찌가 수면 위에 있는지 아니면 수면 속에 가라앉았는지를 야간에도 확실히 식별할 수 있는 발광 낚시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낚시찌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상부중앙관통공을 가지는 상부몸체부재와,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파이프부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파이프부와,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며, 엘이디(LED)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재와, 상기 발광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엘이디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재 및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하부중앙관통공을 가지며, 그 내부 끝단에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는 하부돌출파이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몸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돌출파이프부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져서 결합됨으 로써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하부몸체부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낚시찌는,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사용되지 않는 전원부재가 끼워져 삽입되어 그 전원부재를 수용하는 제3돌출파이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낚시찌는,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가 위치된 곳과 대등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렌즈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램프가 상기 돌출렌즈부에 삽입되어 위치됨으로 해서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이 상기 돌출렌즈부에 의해 모아지게 됨으로써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발광 낚시찌의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내주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외주나사부를 가져서,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와 발광부재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에 의하면, 발광부재의 구조가 간단 하여 그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절약되며 그 조립이 간단하고, 돌출된 돌출렌즈부에 의해서 야간에 멀리서도 확연하게 발광부재를 볼 수가 있어서 낚시찌가 수면 위에 있는지 아니면 수면 속에 가라앉았는지를 야간에도 확실히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 낚시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낚시찌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낚시찌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광 낚시찌의 상부몸체부재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100)는 상부몸체부재(10)와, 제1돌출파이프부(20)와, 제2돌출파이프부(30)와, 발광부재(40)와, 전원부재(50)와, 하부몸체부재(60)와, 제3돌출파이프부(70)와, 돌출렌즈부(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몸체부재(1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상부중앙관통공(12)을 가진다.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2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는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20)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발광부재(40)는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에 끼워지며, 엘이디(LED)램프(42)를 가진다. 상기 엘이디램프는 이와 유사한 엘이디 칩(chip)으로 대체될 수 있음도 분명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램프는 여러 종류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즉 빨간색을 표현하는 엘이디램프도 있고 파란색을 표현하는 엘이디램프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색상의 엘이디램프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나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40)의 외주에는 상기 내주나사부(32)와 나사결합되는 외주나사부(44)를 가져서,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와 발광부재(40)가 나사 결합됨으로서 그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며, 또한 상기 발광부재(40)가 제2돌출파이프부(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재(50)는 상기 발광부재(40)에 끼워져서 상기 엘이디램프(42)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내장된다.
상기 하부몸체부재(6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하부중앙관통공(62)을 가지며, 그 내부 끝단에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20)에 끼워지는 하부돌출파이프부(64)를 가지 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0)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돌출파이프부(64)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20)에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부재(10)와 하부몸체부재(6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상부중앙관통공(12)과 하부중앙관통공(62)이 상호 연통되며, 이 상부중앙관통공(12)과 하부중앙관통공(62)으로 낚시줄이 통과되는 것이다.
상기 제3돌출파이프부(70)는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와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20)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사용되지 않는 전원부재가 끼워져 삽입되어 그 사용되지 않는 전원부재를 수용한다.
상기 돌출렌즈부(8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가 위치된 곳과 대등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램프가 상기 돌출렌즈부(8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야간 낚시를 할 때, 상기 전원부재(50)를 상기 발광부재(40)에 끼운다.
이 때, 상기 발광부재(40)는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에 나사 결합으로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전원부재(50)를 상기 발광부재(40)의 후방에서 그냥 끼우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엘이디램프(42)가 발광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상부몸체부재(10)와 하부몸체부재(60)를 상호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엘이디램프(4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렌즈부(80)에 삽입되어 위치되며, 상기 돌출렌즈부(80)는 상기 상부몸체부재(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렌즈부(80)에 의해서 상기 엘이디램프(42)의 빛이 더욱 용이하게 모아지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퍼지게 되며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엘이디램프(42)의 빛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발광을 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상기 전원부재(50)를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30)로부터 탈착시켜서 상기 제3돌출파이프부(70)에 끼워서 보관하면, 별도로 상기 전원부재(50)를 보관하는 보관함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편리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램프(42)의 색상도 빨간색이나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빨간색을 나타내는 엘이디램프 혹은 파란색을 나타내는 엘이디램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같이 낚시를 하는 사람이 빨간색이 표현되는 엘이디램프를 많이 사용한다면, 이와 분명히 식별되도록 하기 위해서 파란색이 표현되는 엘이디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찌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찌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낚시찌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광 낚시찌의 상부몸체부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몸체부재 20. 제1돌출파이프부
30. 제2돌출파이프부 40. 발광부재
50. 전원부재 60. 하부몸체부재
62. 하부돌출파이프부 70. 제3돌출파이프부
80. 돌출렌즈부

Claims (4)

  1.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상부중앙관통공을 가지는 상부몸체부재;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파이프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파이프부;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며, 엘이디(LED)램프를 가지는 발광부재;
    상기 발광부재에 끼워져서 상기 엘이디램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재; 및
    전체적으로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 부위에는 관통공인 하부중앙관통공을 가지며, 그 내부 끝단에서 돌출된 파이프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지는 하부돌출파이프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결합되는 하부몸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돌출파이프부가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에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부재와 하부몸체부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가 위치된 곳과 대등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렌즈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램프가 상기 돌출렌즈부에 삽입되어 위치됨으로 해서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이 상기 돌출렌즈부에 의해 모아지게 됨으로써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도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내주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외주나사부를 가져서,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와 발광부재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낚시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파이프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돌출파이프부의 양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내부 끝단에서 상기 상부몸체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며,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사용되지 않는 전원부재가 끼워져 삽입되어 그 전원부재를 수용하는 제3돌출파이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낚시찌.
  3. 삭제
  4. 삭제
KR2020070019835U 2007-12-10 2007-12-10 발광 낚시찌 KR200447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835U KR200447338Y1 (ko) 2007-12-10 2007-12-10 발광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835U KR200447338Y1 (ko) 2007-12-10 2007-12-10 발광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24U KR20090005824U (ko) 2009-06-15
KR200447338Y1 true KR200447338Y1 (ko) 2010-01-19

Family

ID=4128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835U KR200447338Y1 (ko) 2007-12-10 2007-12-10 발광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576A (ko) 2018-04-03 2019-10-14 성주용 낚시용 전자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530B1 (ko) * 2014-09-16 2015-03-03 박병성 낚시용 발광 찌
KR101879346B1 (ko) * 2017-08-31 2018-07-17 이성옥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KR102429125B1 (ko) * 2020-04-14 2022-08-03 조재정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7A (ja) * 1996-02-27 1997-09-02 Togami Electric Mfg Co Ltd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0284521Y1 (ko) 2002-05-20 2002-08-03 엄재조 밤낚시용 전자찌 led결합구조
KR200415401Y1 (ko) * 2005-12-19 2006-05-03 전종현 부력조절 전천후 다기능 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7A (ja) * 1996-02-27 1997-09-02 Togami Electric Mfg Co Ltd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0284521Y1 (ko) 2002-05-20 2002-08-03 엄재조 밤낚시용 전자찌 led결합구조
KR200415401Y1 (ko) * 2005-12-19 2006-05-03 전종현 부력조절 전천후 다기능 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576A (ko) 2018-04-03 2019-10-14 성주용 낚시용 전자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24U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US8505232B2 (en) Dual color reversible lighted slip bobber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190143171A (ko) 입질반응 변색 발광 낚시찌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US6571506B1 (en) Chemiluminescent fishing float and method of using
KR200430057Y1 (ko) 낚시용 발광 루어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396324Y1 (ko) 낚시찌 조명구
JP2010263876A (ja) 疑似餌
KR20100133100A (ko) 낚싯대 이탈방지 경보부를 가지는 받침대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102353332B1 (ko) 집어 효과가 우수한 집어등
KR20090021403A (ko) 시인성과 확산성이 뛰어난 낚시찌용 발광구
JP3096065U (ja) 水中集魚灯
KR20026040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200455650Y1 (ko) 케미라이트 겸용 전자찌
KR200249354Y1 (ko) 바다 낚시찌용 발광장치
CN213214976U (zh) 浮漂和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