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782A - 발광 찌 - Google Patents

발광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782A
KR20090008782A KR1020070072020A KR20070072020A KR20090008782A KR 20090008782 A KR20090008782 A KR 20090008782A KR 1020070072020 A KR1020070072020 A KR 1020070072020A KR 20070072020 A KR20070072020 A KR 20070072020A KR 20090008782 A KR20090008782 A KR 2009000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witching
light emitting
upper cas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현
Original Assignee
류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현 filed Critical 류지현
Priority to KR102007007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782A/ko
Publication of KR2009000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야간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의하여 내장된 전원을 "온"하면 발광 찌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가 밝은 빛을 발산하여 수면에 들이 워 진 찌의 위치 및 수면에서의 상태와 물고기의 입질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발광 찌 이다.
찌, 낚시찌, 발광 찌, 바다낚시찌,

Description

발광 찌 {a float}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전원이 "온"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전원이 "오프"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발광 찌 2 ; 상부케이스
5 ; 센터 핀 6 ; 나선 추
10 ; 스위칭 추 11 ; 스프링
20 ; 하부케이스 30 ; 배터리 하우징
50 ; 발광다이오드 60 ; 배터리 협 지구
" B, B'" ; 배터리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전원공급용 배터리와 밝은 빛을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온, 오프" 조작하여, 특히 야간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낚시찌이다.
종래의 낚시찌는 단순히 수면에 떠 있도록 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식별하도록 한 것이기에 야간에는 사용자가 수면에 들이어진 찌의 상태를 쉽게 식별하지 못하여 별도의 발광물체를 찌의 끝 부분에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발광물체를 부착하는 방법이 불편하고, 그 발광물체를 찌에 부착하였을 때 사용 중 분리되거나 찌의 무게중심이 변하여 가벼운 입질 등에 민감하게 동작 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외관적으로는 계란형의 타원 공 형태를 갖추고 충분한 부력을 유지하도록 밀폐된 공간을 갖추었으며, 그 내부에 배터리와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발광다이오드에 공급하거나 단전시키는 스위칭 부를 부설하여 사용할 때는 전원을 "온"시키고 사용을 중단하거나 보관할 때는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야간에 행하여지는 낚시질에서 수면에 들이어진 찌가 빛을 발산 함 으로서 사용자가 찌의 위치 및 물고기의 입질 상태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특징을 부여한 것으로서, 밤낚시에 용이하도록 하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발명의 제1실시 예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외형을 표현한 사시도인데 상하방향으로 긴 계란형의 타원 공 형상이며 상하로 분리되도록 하되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빛을 투과하는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20)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홀(6')이 형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중앙에 관통 홀(6')이 천공된 부싱(3)을 상부중앙에 결합하여 센터핀(5)의 중앙으로 이어지는 관통 홀(6')과 연장되며 상기 센터 핀(5)의 말단 부를 이루는 추고정부(5')에 고정 부착되는 나선 추(6)의 중앙에 천공된 관통 홀(6')과 일직선상의 관체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2)는 구형체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에는 여러 단차의 프리즘(4)을 형성하여 내부로부터 발산하는 빛을 굴절시키도록 하였으며 끝단에는 원통형의 슬라이드부(2')를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케이스(2)는 하부케이스(20)와 조립되어 완전하게 밀폐되는 계란형의 타원공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상기 나선추(6)에 형성된 스위칭나선(7)부와 체결되는 파이프나선(21')을 형성한 스위칭파이프(21)를 중앙에 부설하였고 상부 외측의 외주곡면부는 상기 상부케이스(2)의 슬라이드부(2')의 내측과 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20)가 스위칭나선부(7)와 파이프나 선(21')이 나선 체결되어 조립되어 밀폐된 공간은 수중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소정의 체적을 갖게 되고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폐된 공간 내부에는 스위칭추(10)와 스프링(11)과 배터리협지구(60) 및 발광다이오드(50)을 갖춘 배터리하우징(30)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추(10)는 스위칭파이프(21)의 상승턱(23)에 밀착된 상태에서 센터핀홀(10a)에 센터핀(5)이 관통된 상태에서 스프링홈(10')에 스프링(11)을 삽입 위치시켜 스프링추(10)를 스위칭파이프(21)에 밀착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의 상부는 배터리협지구(60)의 하측과 밀착된 상태이며 상기 배터리협지구(60)는 센터핀(5)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협지구(60)는 양측에 배터리(B,B')를 상측으로 밀착시킨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배터리하우징(30)의 배터리홈(32)에 밀착되도록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배터리하우징(32)의 배터리홈(32)의 좌,우측면에는 리드홈(31)을 형성하여 좌측에는 발광다이오드(50)의 양극리드(51)를 위치시키고 우측에는 발광다이오드(50)의 음극리드(52)를 위치시킨 상태로서 상기 배터리협지구(60)에 의하여 배터리(B,B')가 상기 양측의 양극리드(51) 및 음극리드(52)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의 구성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로서, 상부케이스(2)의 일측에 스위치(70)를 위치시킨 것으로서 배터리하우징(30)의 일측에 전자스위칭을 위한 콘트롤러(81)를 전자적으로 부착한 콘트롤기판(80)을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70)를 고 정하고 배터리하우징(30)의 상부에 설치한 발광다이오드(50)의 양극리드(51)에 배터리(B)의 양극이 접촉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50)의 음극리드(52)는 상기 콘트롤판(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판(80)의 하측으로는 전원리드(83)를 연장하여 배터리하우징(30)의 하측으로 내려서 배터리(B')의 음극과 접촉되게 하였고, 상기 배터리(B,B')들의 사이에는 중간리드(82)를 설치하여 배터리(B,B')의 전원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배터리(B,B')들을 배터리하우징(30)에 밀착시키도록 하부케이스(20)의 내측 하부에 연장된 파이프나선(21)의 상승턱(23)이 배터리(B,B')의 하단을 받쳐주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4와 도5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작동 관계를 표현한 도면으로서 도4는 발광다이오드(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 "온"상태이고 도5는 스위치 "오프"상태를 표현하였다.
즉, 스위칭 동작은 상부케이스(2)로부터 하부케이스(20)가 상하 이동 동작에 의하여 스위칭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하부케이스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칭나선(7)에 나선 체결된 스위칭파이프(21)가 하강하여 상승턱(23)에 밀착되어 있는 스위칭추(1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위칭추(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1)이 스위칭추(10)를 밀 어 주게 됨으로서 스위칭추(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있던 배터리(B,B')와 이격됨으로서 발광다이오드(50)에 인가되고 있던 배터리(B,B')의 전원이 단절되게 되는것이다.
이때 나선추(6)의 외주면에 설치된 고무링(8)과 배터리하우징(30)의 외주에 설치된 고무링(30')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배터리협지구(60)에 형성된 배터리홈(32)에 끼워져있는 배터리(B,B')는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놓여 있음으로 흘러내지지 않으며, 양극리드(51) 및 음극리드(52)의 텐션에 의하여 쉽게 흘러내리거나 이탈되지 않으나 보관이동중 진동 등에 의하여 흘러내린다 하여도 하부케이스(20)의 내측면에 간섭을 받음으로서 배터리홈(32)에서 이탈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전원이 "오프"되면 사용하지 않고 보관중에 전원 손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광다이오드(5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빛을 발산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20)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20)의 이동관계에서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칭추(10)와 배터리(B,B')의 접촉에 의하여 전원 공급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짐으로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상기와 같이 스위칭추(10)가 배터리(B,B')와 이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전원을 "온"하기 위해서는 하부케이스(20)를 나선의 조임방 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칭나선(7)과 나선 체결되어 있는 파이프나선(21)에 의하여 하부케이스(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하부케이스(20)는 스위칭파이프(21)의 상승턱(21')에 밀착되어 있는 스우칭추(10)를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밀려올라가는 스위칭추(10)는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스위칭추(10)의 상단 외주단부가 배터리(B,B')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B,B')의 전원이 발광다이오드(50)의 양극리드(51)와 응극리드(52)에 전원이 도통하게 됨으로서 발광다이오드(50)가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50)가 발광하면 상부케이스(2)의 내측에 형성된 프리즘(4)에 의하여 상부케이스(2)의 전체부분에 고르게 빛이 확산되어 시인성이 좋게 됨으로 발광찌(1)의 방향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에서든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첨부도면 도6에 표현하였듯이 본 발명의 스위칭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원 공급용 스위치를 외부에 노출시킨 구성으로서 버튼(71)은 고부재질의 유동성있는 버튼이며 다소 탄력있게 설치하면 기밀을 유지하여 방수기능을 부여한다.
즉, 버튼(71)을 누르면 스위치로드(72)가 작동하여 스위치(70)의 동작으로 콘트롤판(80)에 설치한 콘트롤러(81)에 전원이 인가되고 그 내부의 스위칭작용에 의하여 배터리(B,B')의 전원이 양극리드(51)와 중간리드(82) 및 전원리드(83)를 통하여 발광다이오드(5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다이오드(50)를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71)을 다시 누르면 스위치(70)가 작용하여 콘트롤러(81)에 신호를 전달하면 콘트롤러(81)는 내부의 작동에 의하여 공급하전 전원을 차단하여 발광다이오드(50)의 전원을 "오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콘트롤러(81)의 작용은 공지의 전원콘트롤회로가 내장된 "온, 오프" 토클전자스위칭 콘트롤러와 같은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사용하는 시간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다르겠지만 장시간의 사용으로 배터리의 전력이 약해지거나 소진하게 될것이며, 이때는 하부케이스(2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케이스(2)와 완전히 분리시키면 배터리(B,B')가 노출됨으로서 수명을 다한 배터리들을 배터리홈(32)에서 분리하고 새 배터리로 교환 장착한 후 다시 하부케이스(20)를 조립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발광물체를 낚시찌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자체의 발광수단을 갖춘 낚시 찌 임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자체에 균형 있게 내장된 발광수단이므로 낚시찌의 기능에 전혀 간섭받지 않게 됨으로 효과적인 낚시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분리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부력을 갖추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에는 전원 공급용 배터리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찌.
  2.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빛을 투과하는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20)가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6')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의 상부에는 관통홀(6')이 천공된 부싱(3)이 센터핀(5)의 중앙으로 이어지는 관통홀(6')과 연장되며 상기 센터핀(5)의 말단부를 이루는 추고정부(5')에 고정부착되는 나선추(6)의 중앙에 천공된 관통홀(6')과 일직선상의 관체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케이스(2)는 구형체을 이루고 내측에 프리즘(4)을 형성하고 끝단에 는 원통형의 슬라이드부(2')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0)와 조립되어 완전하게 밀폐되는 계란형의 타원공체를 이루고;
    상기 하부케이스(20)는 상기 나선추(6)에 형성된 스위칭나선(7)부와 체결되는 파이프나선(21')을 형성한 스위칭파이프(21)를 중앙에 부설하였고 상부 외측의 외주곡면부는 상기 상부케이스(2)의 슬라이드부(2')의 내측과 밀착되고;
    내부에는 스위칭추(10)와 스프링(11)과 배터리협지구(60) 및 발광다이오드(50)을 갖춘 배터리하우징(30)이 부설되고;
    상기 스위칭추(10)는 스위칭파이프(21)의 상승턱(23)에 밀착된 상태로 센터핀홀(10a)에 센터핀(5)이 관통된 상태에서 스프링홈(10')에 스프링(11)을 삽입한 스프링추(10)를 스위칭파이프(21)에 밀착시키고;
    상기 스프링(11)의 상부는 배터리협지구(60)의 하측과 밀착되며 상기 배터리협지구(60)는 센터핀(5)에 끼워진 상태이고;
    상기 배터리협지구(60)는 양측에 베터리홈(32)을 갖은 배터리하우징(30)을 갖으며;
    상기 배터리홈(32)의 좌,우측면에는 리드홈(31)을 형성하여 양극리드(51)와 타측에 음극리드(5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터리(B,B')가 삽입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케이스(2)의 일측에 스위치(70)가 노출되도록 배터리하우징(30)의 일측 에 전자스위칭을 위한 콘트롤러(81)를 전자적으로 부착한 콘트롤기판(80)을 설치하고;
    발광다이오드(50)의 양극리드(51)에 배터리(B)의 양극이 접촉되고 음극리드(52)는 상기 콘트롤판(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판(80)의 하측으로는 전원리드(83)를 연장하여 배터리하우징(30)의 하측으로 내려서 배터리(B')의 음극과 접촉되게 하고;
    상기 배터리(B,B')들의 사이에는 중간리드(82)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B,B')들을 배터리하우징(30)에 밀착시키도록 하부케이스(20)의 내측 하부에 연장된 파이프나선(21)의 상승턱(23)이 배터리(B,B')의 하단을 받쳐주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찌.
KR1020070072020A 2007-07-19 2007-07-19 발광 찌 KR20090008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20A KR20090008782A (ko) 2007-07-19 2007-07-19 발광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020A KR20090008782A (ko) 2007-07-19 2007-07-19 발광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782A true KR20090008782A (ko) 2009-01-22

Family

ID=4048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020A KR20090008782A (ko) 2007-07-19 2007-07-19 발광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7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6062A (zh) * 2012-04-23 2012-08-08 上海理工大学 用于垂钓的自动调节浮漂
JP2019041765A (ja) * 2017-08-31 2019-03-22 アイエム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浮力調節機能及び発光機能を有する釣り用ウキ
KR20210127498A (ko) * 2020-04-14 2021-10-22 조재정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6062A (zh) * 2012-04-23 2012-08-08 上海理工大学 用于垂钓的自动调节浮漂
JP2019041765A (ja) * 2017-08-31 2019-03-22 アイエムジ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浮力調節機能及び発光機能を有する釣り用ウキ
KR20210127498A (ko) * 2020-04-14 2021-10-22 조재정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580B1 (en) Fishing bobber having light device
KR20190143171A (ko) 입질반응 변색 발광 낚시찌
US20150257375A1 (en) Bait lighting and fish attracting bobber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JPH11215942A (ja) 魚の食い込み表示機能付き電気うき
KR200387248Y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18278363U (zh) 一种钓具用发光装置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CN218762949U (zh) 具多种发光模式的水中诱鱼灯
KR20040038935A (ko) 낚시용 발광찌
KR200207810Y1 (ko) 낚시찌용 전자라이트
KR200480668Y1 (ko) 야광수단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낚시찌
CN209546677U (zh) 一种变色浮漂配件
KR200480125Y1 (ko) 야간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조명등
CN213756331U (zh) 一种改进型发光电子浮漂以及用于该发光电子浮漂的卡塞
KR200202708Y1 (ko) 낚시용 발광 찌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04880Y1 (ko) 스위칭 발광부가 구비된 낚싯대 거치구의 전원공급구조
KR200303880Y1 (ko) 낚시용 수중 집어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