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581A -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581A
KR20140090581A KR1020140030817A KR20140030817A KR20140090581A KR 20140090581 A KR20140090581 A KR 20140090581A KR 1020140030817 A KR1020140030817 A KR 1020140030817A KR 20140030817 A KR20140030817 A KR 20140030817A KR 20140090581 A KR20140090581 A KR 2014009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light emitting
led lamp
led module
emitting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가미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가미, 김영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가미
Priority to KR102014003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581A/ko
Publication of KR2014009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낚싯대 받침장치, 주낙장치 또는 수중찌에 적합한 발광스틱이 개시된다. 발광스틱은 엘이디 모듈과; 상기 엘이디 모듈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을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모듈은,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의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DEVICE EMPLOYING LIGHT EMITTING STICK}
본 발명은 발광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엘이디 모듈이 투광성 엔벨롭 내에 수밀적으로 내장된 발광스틱 및 이와 같은 발광스틱이 채용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스틱을 채용하는 장치에는 낚싯대 받침장치, 수중찌 및 주낙장치가 포함된다.
낚싯대 받침장치는, 낚싯대를 받치는데 쓰이는 장치로서, 본체와, 본체 후미부에 폴대(미도시됨)에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된 꽂이부와, 본체 전방부에 형성되어 낚싯대를 거치식으로 받쳐주는 한 쌍의 거치 날개를 포함한다. 주간에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이용에 큰 불편함이 없지만, 야간에는 낚시를 하는 사람이 낚싯대 받침대를 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없어서, 낚싯대 받침대의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낚싯대 받침대를 빛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낚시 환경 또는 조건으로 인해, 위와 같은 조명수단은 충분한 수밀 구조를 가져야 하며, 또한 스위치 온/오프가 용이해야 한다.
주낙장치는, 여러 개의 낚시 바늘을 동시에 수중에 드리워서 어류를 낚아 올리는 주낙 낚시에 채용되는 장치로서, 모릿줄과, 모릿줄에 거의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과, 가짓줄 각각의 하단에 연결된 낚시 바늘을 포함한다. 주낙 낚시에 있어서, 특정 어류들은 밝은 빛 주위로 모이는 습성을 가지므로, 어류들을 유인할 수 있는 빛을 발하는 조명수단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조명수단은 낚시 바늘과 함께 수중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확실한 수밀성이 요구되고, 스위치 온/오프가 용이한 것이 좋다. 또한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어류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좋다.
수중찌는 수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일정 침력 갖도록 구성되는 찌의 한 종류로서, 물고기를 유인하는 작용을 주로 한다. 수중찌에 있어서도, 빛에 모이는 습성을 갖는 어류들을 유인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조명수단은 수중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확실한 수밀성이 요구되고, 수중찌에 장착되는 것만으로도 스위치 온(ON)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또한 날카로운 이빨을 가진 어류에 의해 파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낚시에 이용되는 여러 장치에는 발광 특성과 확실한 수밀성 등을 요구하는 수단 또는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엘이디 램프 및 그 엘이디 램프를 동작시키는 모든 부품들을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전체가 투광성 엔벨롭 내에 밀봉적으로 수용된 간단한 수밀 구조를 가지며 발광을 위한 스위치 온/오프가 용이하여 낚싯대 받침장치, 주낙장치 또는 수중찌에 효과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발광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낚시용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발광스틱이 제공되며, 상기 발광스틱은, 엘이디 모듈과; 상기 엘이디 모듈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을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모듈은,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의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는 상기 엘이디 램프 측의 제1 리드 및 제2 리드와 상기 전지 측의 주변 단자 및 중심 단자와 전기 배선에 의해 상기 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는 핀 형태로 이루어진 채 상단부에서 상기 중심 단자에 전기 접속되고 외주면에서 상기 주변 단자에 전기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광스틱은 상기 엘이디 모듈과 상기 투광성 튜브 사이의 갭을 보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투광성 내부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광성 엔벨롭은 기다란 중공형 엔벨롭 튜브와, 상기 엔벨롭 튜브의 양단에 열 융착된 한 쌍의 엔벨롭 캡을 포함하며, 상기 엔벨롭 튜브 내에는 상기 한 쌍의 엔벨롭 캡 모두가 상기 엔벨롭 튜브의 양단에 열 융착되기 전에 상기 엔벨롭 튜브 내에 충전되는 질소 또는 드라이 에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투광성 엔벨롭은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발광스틱은 낚싯대 받침장치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미부에 폴대를 꽂을 수 있도록 형성된 꽂이부와; 낚싯대를 거치식으로 받쳐주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한 쌍의 거치 날개와; 전술한 발광스틱이 끼워지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삽입홈에 상기 발광스틱이 끼워질 때 상기 발광스틱 내 엘이디 램프를 점등시키는 자석이 구비된다.
상기 낚싯대 받침장치는 상기 거치 날개에 낚싯대가 거치될 때, 상기 낚싯대에 눌려 상기 발광스틱 내 상기 엘이디 램프를 소등시키는 스위치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설치 구멍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 상기 설치 구멍 상부로 돌출되는 로드부와, 상기 설치 구멍의 막힌 하부에 지지된 채 상기 로드부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로드부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가 상기 낚싯대에 눌려 하강될 때, 상기 리드스위치와 상기 자석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 상태로부터 소등 상태로 스위치시키며, 상기 로드부의 상부에는 점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채 상기 설치 구멍을 수밀 상태로 유지하는 점탄성 캡부가 씌워진다.
전술한 발광스틱은 주낙장치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낙장치는, 모릿줄과; 상기 모릿줄에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과; 상기 가짓줄 하단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스틱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짓줄 중간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짓줄에 물리는 악어톱니를 포함하여, 상기 발광스틱을 상기 가짓줄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한다.
전술한 발광스틱은 수중찌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중찌는, 찌 본체; 상기 찌 본체의 상단 또는 상기 찌 본체의 상단 측 스틱 홀더에 형성된 스틱 홀딩 홈; 상기 스틱 홀딩 홈의 바닥 부근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스틱 홀딩 홈에 발광스틱이 끼워지며, 상기 발광스틱이 상기 스틱 홀딩 홈에 끼워질 때 상기 엘이디 램프가 점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틱은 엘이디 램프 및 그 엘이디 램프를 동작시키는 모든 부품들을 포함하는 엘이디 모듈 전체가 투광서 엔벨롭 내에 밀봉적으로 수용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수밀성이 뛰어나고 경제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틱은,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엘이디 모듈 내 엘이디 램프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간단한 리드스위치 구성에 의해, 낚싯대 받침장치, 주낙장치 또는 수중찌 등에 효과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스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틱이 채용된 낚싯대 받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낚싯대 받침장치에 낚싯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낚싯대 받침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틱이 채용된 주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원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수중찌용으로 적합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광스틱이 채용된 수중찌들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스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1)은 엘이디 모듈(10)과, 상기 엘이디 모듈(10)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20)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발광스틱(1)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 엘이디 모듈(1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엘이디 모듈(10)과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사이의 유격을 없애는 투광성 내부 튜브(50,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엘이디 램프(11)와, 상기 엘이디 램프(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15)와, 자력 세기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엘이디 램프(1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리드스위치(13)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모듈(10)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 즉, 엘이디 램프(11), 전지(15) 및 리드스위치(13) 등이 모두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에 밀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의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이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부에 있는 리드스위치(13)에 영향을 미쳐 상기 리드스위치(13)를 동작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온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특정 색의 빛을 발하며, 상기 빛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을 거치면서 확산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엘이디 칩(111)과, 상기 엘이디 칩(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리드(112a, 112b)와, 상기 엘이디 칩(111)과 상기 제1 및 2 리드(112a, 112b)를 봉지하는 투광성의 봉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성 봉지재(113)는 외주면을 통해 광을 내보내도록 원통형 또는 포탄형을 갖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지(15)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두 단자, 즉, 중심 단자(153a) 및 주변 단자(15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다른 전기 극성을 갖는 제1 리드(112a)와 제2 리드(112b)가 전기배선에 의해 상기 두 단자, 즉, 중심 단자(153a)와 주변 단자(153b)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전지(15)와 상기 엘이디 램프(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배선에는 전술한 리드스위치(13)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심 단자(153a)와 상기 제1 리드(112a)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에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연결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전지(15)는 리튬 핀 전지로서, 상단면과 외주면에 상기 중심 단자(153a)와 상기 주변 단자(153b)에 전기 접속되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주변 단자(153a)는 상기 전지(15)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코일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엘이디 램프(11), 상기 리드스위치(13) 및 전지(15)가 상하로 길게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이에 의해,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리드스위치(13)는 상기 발광스틱(1)이 설치되는 장치에 존재하는 자석의 위치를 고려하여 그 위치가 정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엘이디 램프(11)와 상기 전지(15) 사이에서 상기 엘이디 램프(11)와 가까운 위치에 정해진다.
상기 엘이디 칩(111)은 적색, 녹색, 청색광 또는 기타 다른 색의 광을 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스틱(1)은 상기 엘이디 칩(111)에서 발생된 빛만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엘이디 칩(111)에서 발생한 광에 의해 여기되어 다른 색의 광을 발하는 형광체의 광과 상기 엘이디 칩(111)에서 발생한 광의 혼합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전술한 투광성 내부 튜브(50, 60)는 제1 내부 튜브(50)과 제2 내부 튜브(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부 튜브(50)는 상기 엘이디 램프(11)의 외주면,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봉지재(113)의 외주면과 접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엘이디 램프(11)의 외주면과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의 내주면 사이에 꼭 맞게 끼워진다. 상기 제1 내부 튜브(50)가 상기 엘이디 램프(11)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사이의 갭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엘이디 램프(11)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에서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엘이디 램프(11)의 외주면 하단에는 상기 제1 내부 튜브(50)가 안착되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 주변 단자(152)의 내주면이 핀형 전지(15)의 외주면에 접하여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내부 튜브(60)는 상기 주변 단자(152)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의 내주면 사이에 꼭 맞게 끼워진다. 상기 제2 내부 튜브(60)가 상기 주변 단자(152)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사이의 갭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주변 단자(152)가 있는 상기 엘이디 모듈(10)의 하부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에서 흔들림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은 경질 또는 연질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형 전지(15)가 선호되지만, 다른 다양한 종류의 전지가 채용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복수개의 단추 전지 또는 일반 건전지가 채용될 수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은, 기다란 중공형 엔벨롭 튜브(21)와, 상기 엔벨롭 튜브(21)의 양단에 열 융착된 한 쌍의 엔벨롭 캡(22, 22) 포함한다. 상기 엔벨롭 튜브(21)의 일단에 상기 엔벨롭 캡(22, 22)들 중 하나의 엔벨롭 캡(22)을 열 융착한 후, 상기 엔벨롭 캡(22)에 의해 일단이 막힌 엔벨롭 튜브(21) 내로 상기 엘이디 모듈(1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엘이디 모듈(10)에는 상기 투광성 엔벨롭(20)과의 갭 보상을 위한 제1 내부 튜브(50) 및 제2 내부 튜브(60)이 미리 결합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엔벨롭 튜브(21)의 나머지 단부에 한 쌍의 엔벨롭 캡 중 나머지 엔벨롭 캡(22)을 열 융착하여 마감한다. 이에 의해,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에 밀봉 상태로 수용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1)의 수밀성이 신뢰성 있게 확보된다. 상기 엔벨롭 튜브(21) 및 상기 엔벨롭 캡(22)은 PC(Polycarbonate) 플라스틱 수지를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엔벨롭 캡(22, 22)들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을 최종적으로 밀봉하기 전에, 상기 투광성 엔벨롭(20) 내에 질소 또는 드라이 에어 등을 부가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질소 또는 드라이 에어 등은 투광성 엔벨롭(20) 내 회로의 접점 불량을 막고, 배터리 누액을 방지하여 보전성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1)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엘이디 모듈(10)과 상기 엘이디 모듈(10)을 전체적으로 봉지하는 투광성 엔벨롭(20)을 포함한다.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으로, 상기 엘이디 모듈(10)이 회로기판(12)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앞선 실시예의 전기 배선은 상기 회로기판(12) 상에 도전성 패턴으로 제공된다. 상기 회로기판(12)은 상단 모서리 부근에서 상기 엘이디 램프(11)의 제1 및 제2 리드(112a, 112b)와 연결되고, 하단 모서리 부근에서 중심 단자(153b) 및 주변 단자(153a)가 연결된다. 상기 전지(15)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핀 형태로 이루어진 채 상단부에서 상기 중심 단자(153b)에 전기 접속되고 외주면에서 상기 주변 단자(152)에 전기 접속된다. 리드스위치(13)는 상기 회로기판(12) 상에 탑재된 채 상기 회로기판(12) 상의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로기판(12) 상에 구동 IC를 설치하여, 상기 엘이디 모듈(10) 내 엘이디 램프(11)의 발광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엘이디 램프(11), 상기 리드스위치(13) 및 전지(15)가 상하로 길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광스틱(1)은 낚싯대 받침장치에 적용되어, 야간 등 어두운 환경에서 사람이 낚싯대 받침장치를 쉽게 눈으로 인식하여 낚싯대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낚싯대를 낚싯대 받침장치에 받친 후에는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여, 야간 낚시에 적합한 어두운 환경을 그대로 유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이 채용된 낚싯대 받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낚싯대 받침장치에 낚싯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낚싯대 받침장치(100)는 본체(110)의 후미부에 폴대(미도시됨)에 꽂을 수 있는 이단 꽂이 구조의 꽂이부(112)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전방부에는 낚싯대(R)를 거치식으로 받쳐줄 수 있는 한 쌍의 거치 날개(11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발광스틱(1)을 삽입할 수 있는 기다란 직선형의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스위치 제어 유닛(120)의 일부가 돌출되어 나와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 유닛(120)은 상기 거치 날개(111)에 낚싯대(R)가 거치되어 받쳐질 때 상기 낚싯대(R)에 눌려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13)에 대한 자력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리드스위치(13)의 스위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3)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스틱 분리홈(115)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틱 분리홈(115)에 손가락 또는 얇은 두께의 도구를 넣어 상기 삽입홈(113)에 잇는 발광스틱(1)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낚싯대 받침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들이고, 도 8 및 도 9는 낚싯대 받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에 수직으로 형성된 설치 구멍 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 구멍의 하부는 마개부(126)의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설치 구멍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일자형 로드부(122)와, 상기 로드부(122)의 측면에 마련된 자석부(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설치 구멍의 막힌 하부,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부(126)에 수직으로 세워진 채 상기 로드부(122)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122)의 상부에는 고무 등의 점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점탄성 캡부(121)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점탄성 캡부(121)에 의해 상기 설치 구멍은 항상 수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낚싯대(R)가 받쳐지지 않는 스위치 온 위치(도 6에 도시함)와 낚싯대(R)가 받쳐지는 스위치 오프 위치(도 7에 도시함)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온 위치에서는, 상기 로드부(122) 및 상기 캡부(121)에 대하여 낚싯대(R)가 누르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으며, 로드부(122)는 상기 스프링부(12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124)는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13)에 대하여 가장 근접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에는,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상기 자석부(124)의 소정 자력 세기에 의해 온 작동하여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11; 도 1 내지 도 3)를 점등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로드부(122)가 낚싯대(R)의 무게에 눌려 상기 스프링부(122)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위치에 이르며, 이 스위치 오프 위치에서는, 상기 로드부(12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자석부(124)도 함께 하강되어, 상기 자석부(124)는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13)에 대하여 멀리 이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3)에 대한 상기 자석부(124)의 자력 세기가 일정 레벨 미만으로 감소되어,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11; 도 1 내지 도 3)는 소등 상태가 된다. 상기 점탄성 캡부(121)는 상기 낚싯대(R)에 눌려 압축될 때에도, 상기 설치 구멍의 수밀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본체(110)에 큰 폭으로 설치 구멍 내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 구멍의 하부는 마개부(126)의 의해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설치 구멍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채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L"형의 로드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로드부(122)의 수평부에 마련된 자석부(1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상기 설치 구멍의 막힌 하부, 본 실시예에서는 마개부(126)에 수직으로 세워진 채 상기 로드부(122)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122)의 수직부 상부에는 고무 등의 점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점탄성 캡부(121)가 씌워져 있으며, 상기 점탄성 캡부(121)에 의해 상기 설치 구멍은 항상 수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유닛(120)은 낚싯대(R)가 받쳐지지 않는 스위치 온 위치(도 8에 도시함)와 낚싯대(R)가 받쳐지는 스위치 오프 위치(도 9에 도시함)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온 위치에서는, 상기 로드부(122) 및 상기 캡부(121)에 대하여 낚싯대(R)가 누르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으며, 로드부(122)는 상기 스프링부(122)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고, 상기 자석부(124)는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13)와 상하로 마주하면서 가장 근접하게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에는,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상기 자석부(124)의 소정 자력 세기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11; 도 1 내지 도 3)를 온 상태로 만든다.
상기 로드부(122)가 낚싯대(R)의 무게에 눌려 상기 스프링부(122)의 탄성력에 대항하면서 하강하여, 상기 스위치 오프 위치에 이르며, 이 스위치 오프 위치에서는, 상기 로드부(12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자석부(124)도 함께 하강되어, 상기 자석부(124)는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13)에 대하여 멀리 이격된다. 이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3)에 대한 상기 자석부(124)의 자력 세기가 일정 레벨 미만으로 감소되어,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11; 도 1 내지 도 3)는 소등 상태가 된다. 상기 점탄성 캡부(121)는 상기 낚싯대(R)에 눌려 압축될 때에도, 상기 설치 구멍의 수밀 상태를 계속 유지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구조의 발광스틱(1)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주낙장치에(200)에 채용될 수 있다. 물론, 주낙장치(200)에 이용되는 발광스틱(1)은 앞에서 설명한 낚싯대 받침장치용 발광스틱과는 크기와 구조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구조나 기능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스틱(1)이 채용된 주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원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주낙장치(200)는 모릿줄(210)과, 다수의 가짓줄(220)과, 다수의 낚시 바늘(230)을 포함한다. 하단에 다수의 낚시 바늘(230)이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220)을 상기 모릿줄(210)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여 상기 주낙장치(200)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낙장치(200)는 앞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스틱(1)을 다수개 포함하며, 다수의 발광스틱(1)은 상기 다수의 가짓줄(220)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주낙장치(200)를 이용하여 어류 낚시를 할 때, 상기 다수의 발광스틱(1)은 상기 가짓줄(220)과 함께 수중으로 들어가서 특정 어류들을 유인하는 빛을 내보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낙장치(200)는 상기 발광스틱(1)을 상기 가짓줄(22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악어 클립 구조의 고정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악고정부(70)는 상기 발광스틱(1)의 투광성 엔벨롭(20)의 중간 부분에 미리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70)의 악어 톱니가 상기 가짓줄(220)을 물도록 상기 가짓줄(220)에 끼움으로써, 상기 발광스틱(1)을 상기 가짓줄(220)에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광스틱(1)을 상기 가짓줄(220)에 고정하기 전에, 상기 발광스틱(1) 내 리드스위치를(13)을 온(on)으로 동작시켜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11)을 점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작업자가 발광스틱(1)의 리드스위치(13)의 설치 위치에 자석을 갖다 댐으로써 엘이디 램프(11)를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엔벨롭(20)은 상어 등 수중 동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도록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강성 PC(Poly carbonate) 재료를 이용하여 투광성 엔벨롭(20)을 구성하는 엘벨롭 튜브와 엔벨롭 캡들을 미리 성형하고, 그 엔벨롭 튜브(21; 도 2 참조)와 엔벨롭 캡(22; 도 2 참조)들을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열 융착 방식으로 결합하여 강성의 투광성 엔벨롭 튜브(20)를 만들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광스틱이 채용된 수중찌들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스틱(1)은, 앞선 실시예들의 발광스틱과 마찬가지로, 엘이디 모듈(10)과, 상기 엘이디 모듈(10)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스틱(1)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투광성 내부 튜브(50, 6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엘이디 램프(11)와, 상기 엘이디 램프(1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15)와, 자력 세기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엘이디 램프(11)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리드스위치(13)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엘이디 칩(111)과, 상기 엘이디 칩(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리드(112a, 112b)와, 상기 엘이디 칩(111)과 상기 제1 및 2 리드(112a, 112b)를 봉지하는 투광성의 봉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램프(11)는 다른 전기 극성을 갖는 제1 리드(112a)와 제2 리드(112b)가 전기배선에 의해 상기 두 단자, 즉, 중심 단자(153a)와 주변 단자(153b)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전지(15)와 상기 엘이디 램프(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배선에는 전술한 리드스위치(13)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변 단자(153b)와 상기 제1 리드(112a)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에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연결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엘이디 모듈(10)은, 도면에서 볼 때, 상기 엘이디 램프(11), 전지(15) 및 리드스위치(13) 상하로 그리고 차례대로 길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3)는 발광스틱(1)의 하부, 더 구체적으로는, 투광성 엔벨롭(20)의 내측 하부에 그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발광스틱(1)은 자신의 하부에 자석이 갖다 대어질 때 리드스위치(13)가 받는 자석의 자력 세기가 가장 커진다.
도 13으로부터 전술한 발광스틱(1)이 채용된 수중찌(300)의 일예를 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중찌(300)는 대략 계란형의 수중찌 본체(310)을 포함하며, 상기 수중찌 본체(310)의 상단에는 일정 깊이 아래로 연장된 스틱 홀딩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스틱 홀딩홈(312)의 바닥 부근에는 자석(3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틱 홀딩홈(312)에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발광스틱(1)이 수직 방향으로 끼워진다. 상기 발광스틱(1)의 내부 하단 부근에 리드스위치(13)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발광스틱(1)이 상기 스틱 홀딩홈(312)에 최대한 깊게 끼워져서 상기 자석(320)에 최대로 근접하면, 상기 자석(3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온(on) 되어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는 점등된다. 이때, 상기 발광스틱(1)의 상기 스틱 홀딩홈(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부분을 통해 빛을 외부로 내보낸다. 상기 발광스틱(1)을 상기 스틱 홀딩홈(312)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리드스위치(13)에 대한 자력의 세기가 일정 레벨 미만으로 감소되면서, 상기 리드스위치(13)는 오프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는 소등된다.
도 14로부터 전술한 발광스틱(1)이 채용된 수중찌(300)의 다른 예를 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중찌(300)는 대략 계란형의 수중찌 본체(310)을 포함하며, 상기 수중찌 본체(310)의 상단에는 일정 높이의 홀더 연결부(313)가 결합된다. 상기 홀더 연결부(313)이 상단에는 스틱 홀딩홈이 형성된 스틱 홀더(314)가 결합된다. 상기 스틱 홀더(314)의 스틱 홀딩홈의 바닥 부근, 또는 홀더 연결부(313)의 상단 부근에는 자석(3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틱 홀더(314)의 스틱 홀딩홈에는 전술한 발광스틱(1)이 수직 방향으로 끼워진다.
상기 발광스틱(1)이 상기 스틱 홀더(314)의 스틱 홀딩홈에 최대한 깊게 끼워져서 상기 자석(320)에 최대로 근접하면, 상기 자석(32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리드스위치(13)가 온(on) 되어 상기 발광스틱(1) 내 엘이디 램프는 점등된다. 이때, 상기 발광스틱(1)은 상기 스틱 홀더(314)의 상기 스틱 홀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부분을 통해 빛을 외부로 내보낸다. 상기 발광스틱(1)을 상기 스틱 홀더(314)의 스틱 홀딩홈으로부터 빼내면 상기 리드스위치(13)에 대한 자력의 세기가 일정 레벨 미만으로 감소되면서, 상기 리드스위치(13)는 오프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는 소등된다. 상기 발광스틱(1)은, 상기 수중찌(300)에 채용되어 수중으로 들어갈 때, 특정 어류들을 유인하는 빛을 발하게 된다. 상기 발광스틱(1)의 투광성 엔벨롭은 상어 등 수중 동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막도록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Claims (3)

  1. 모릿줄;
    상기 모릿줄에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
    상기 가짓줄 하단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가짓줄 중간에 연결되는 발광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스틱은, 엘이디 모듈과, 상기 엘이디 모듈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의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발광스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광스틱을 상기 가짓줄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악어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낙장치.
  3. 찌 본체;
    상기 찌 본체의 상단 또는 상기 찌 본체의 상단 측 스틱 홀더에 형성된 스틱 홀딩 홈;
    상기 스틱 홀딩홈의 바닥 부근에 설치된 자석; 및
    상기 스틱 홀딩홈에 끼워지는 발광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스틱은, 엘이디 모듈과, 상기 엘이디 모듈 전체를 밀봉 상태로 수용하는 투광성 엔벨롭을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 엘이디 램프와, 상기 엘이디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투광성 엔벨롭의 외부에 있는 자석의 자력 세기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스틱이 상기 스틱 홀딩홈에 끼워질 때 상기 엘이디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찌.
KR1020140030817A 2014-03-17 2014-03-17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140090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817A KR20140090581A (ko) 2014-03-17 2014-03-17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817A KR20140090581A (ko) 2014-03-17 2014-03-17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318A Division KR101423864B1 (ko) 2013-01-09 2013-01-09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81A true KR20140090581A (ko) 2014-07-17

Family

ID=5173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817A KR20140090581A (ko) 2014-03-17 2014-03-17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5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70B1 (ko) * 2019-11-27 2020-12-30 대한민국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CN114879437A (zh) * 2022-05-17 2022-08-09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匀光装置、投影光机及投影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570B1 (ko) * 2019-11-27 2020-12-30 대한민국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CN114879437A (zh) * 2022-05-17 2022-08-09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匀光装置、投影光机及投影设备
CN114879437B (zh) * 2022-05-17 2023-07-25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匀光装置、投影光机及投影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68B1 (ko) 집어등
KR101159025B1 (ko) 어신감지용 전자찌
US11147263B2 (en) Fishing light
KR20180058007A (ko) 낚시찌용 발광장치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JP2014110208A (ja) 装飾用の発光装置
KR20160002840U (ko) 낚시용 엘이디 전자 케미라이트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CN109983278B (zh) 一种诱鱼灯以及一种使用这种诱鱼灯捕鱼的方法
KR101406564B1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KR20190117231A (ko) 조도센싱율·배터리호환성이 우수한 전자케미·전자찌 제어캡·전자찌용 층상 fpcb형 조도센싱장치
KR102258180B1 (ko) 낚시용 케미라이트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JP2017528168A (ja) 釣り用発光浮き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323973Y1 (ko) 어신감지용 발광장치를 갖춘 초릿대
KR200427617Y1 (ko) 루어낚시용 발광 모조미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