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70B1 -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 Google Patents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70B1
KR102196570B1 KR1020190154549A KR20190154549A KR102196570B1 KR 102196570 B1 KR102196570 B1 KR 102196570B1 KR 1020190154549 A KR1020190154549 A KR 1020190154549A KR 20190154549 A KR20190154549 A KR 20190154549A KR 102196570 B1 KR102196570 B1 KR 10219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line
fish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명성
차봉진
서영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54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단에 부표가 연결된 모릿줄을 따라 낚싯바늘이 결속된 아릿줄을 일정 간격으로 매달아 설치하고, 상기 모릿줄이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수심층에 위치하도록 모릿줄상에 일정 간격으로 부자를 연결시킨 주낙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부자 몸통의 상부 내,외측에 배터리와 스위치 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부자 몸통의 내측 하부에는 스위치 수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를 설치한 발광부자를 주낙어구에 적용시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자가 수중집어등의 역할을 병행하여 붕장어나 낙지 등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부자 몸통의 상부면 일측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위치볼트를 설치하되, 해당 스위치볼트의 볼트헤드 부분에 수밀용 밀폐링을 개재시킴에 따라, 조명램프의 점등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토록 함은 물론이고, 해수중에 위치하는 발광부자의 안전성도 충분히 확보토록 하며, 특히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부자 몸통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패드를 적용시킴에 따라, 주낙어구를 해저면으로 드리움과 동시에 조명램프가 자동 점등되고, 주낙어구를 걷어 들임과 동시에 조명램프가 자동 소등되게 하여 조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대상어종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Long-line fishing gear with light-emitting float}
본 발명은 양측단에 부표가 연결된 모릿줄을 따라 낚싯바늘이 결속된 아릿줄을 일정 간격으로 매달아 설치하고, 상기 모릿줄이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수심층에 위치하도록 모릿줄상에 일정 간격으로 부자를 연결시킨 주낙어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자 몸통의 상부 내측과 외측에 배터리와 스위치 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부자 몸통의 내측 하부에는 스위치 수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를 설치한 발광부자를 주낙어구에 적용시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자가 수중집어등의 역할을 병행토록 하여 붕장어나 낙지 등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낙(Long line)이라고 하는 것은 해수면으로 부상(浮上)되는 부표가 양측단에 연결된 모릿줄을 따라 낚싯바늘이 결속된 아릿줄을 일정 간격으로 매달아 설치하고, 상기 모릿줄이 해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수심층에 위치하도록 모릿줄상에 일정 간격으로 부자(浮子: Float)를 연결시킨 것으로서, 국내의 경우 붕장어와 낙지의 어획에 주낙어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붕장어 주낙의 경우는 갯지렁이나 생선살 등을 미끼로 사용하고, 낙지 주낙의 경우는 게나 조개 등을 미끼로 사용하며, 낙지용 주낙에 사용되는 낚싯바늘에는 게나 조개 등의 미끼를 묶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미끼판이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주낙어구를 이루는 각각의 낚싯바늘마다 미끼를 끼워 모릿줄과 함께 해수중으로 가라앉히게 되면, 모릿줄 자체는 부자의 부력에 의하여 해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부상되는 한편, 모릿줄을 따라 연결된 각각의 아릿줄은 모릿줄의 하방에서 해저면층으로 드리워짐에 따라 낚싯바늘이 미끼와 함께 해저면과 인접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낙어구를 설치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각각의 낚싯바늘을 모릿줄과 함께 선상으로 걷어들임으로서 미끼에 걸려든 대상어종을 어획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낙어구를 이용하는 주낙어업은 다른 여러 가지의 조업방식에 비하여 그 어획성능 자체는 비교적 낮은 편이지만, 여러 개의 낚싯바늘을 동시에 해수중으로 가라앉힘으로서 분산되어 있는 대상어종을 어획하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고, 연안해역의 생태계를 거의 파괴하지 않으면서 대상어종만을 살아 있는 상태로 건져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자연산 어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은 어선을 이용하여 소규모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입 개방화 시대에도 불구하고 고급스런 자연산 횟감을 선호하는 국민적 기호에 부응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낙어업은 그 대상어종의 습성에 맞추어 주간보다는 야간에 주로 행하여지고, 대상어종이 되는 붕장어나 낙지는 불빛, 특히 녹색불빛을 선호하므로, 주낙어구가 설치된 수역(水域)에 집어등의 불빛을 비추게 되면 대상어종의 어획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나,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주낙어구를 수시로 설치하고 걷어들이는 조업의 특성상 어선이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면서 해당 수역으로 집어등의 불빛을 비추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주낙어구 자체에 집어등 기능을 추가로 적용시킴으로서 대상어종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키고자 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으나, 집어등의 작동(점등과 소등)에 필요한 전력의 공급 및 제어 문제와, 주낙어구에 대한 집어등의 설치방식 및 그 설치비용의 문제와, 집어등의 손쉽고 안전한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문제 등으로 말미암아 실질적인 적용에 많은 난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주낙 자체에 집어등 기능이 부여된 어구는 현재까지도 개발 및 적용된 사례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릿줄상에 설치되는 부자 몸통의 상부 내측과 외측에 배터리와 스위치 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부자 몸통의 내측 하부에는 스위치 수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를 설치한 발광부자를 주낙어구에 적용시키는 한편, 아릿줄상에는 축광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낚싯줄로서의 축광라인을 적용시켜 해당 축광라인의 하단에 낚싯바늘을 결속시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자가 수중집어등의 역할을 병행하여 붕장어나 낙지 등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축광라인이 발광부자의 기능을 추가로 보완토록 하여 대상어종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부자 몸통의 상부면 일측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위치볼트를 설치하되, 해당 스위치볼트의 볼트헤드 부분에 수밀용(水密用) 밀폐링을 개재시킴에 따라, 조명램프의 점등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토록 함은 물론이고, 해수중에 위치하는 발광부자의 안전성도 충분히 확보토록 하며, 특히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부자 몸통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패드를 적용시킴에 따라, 주낙어구를 해저면으로 드리움과 동시에 조명램프가 자동 점등되고, 주낙어구를 선상으로 걷어 들임과 동시에 조명램프가 자동 소등되게 하여 조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대상어종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해수면으로 부상되는 부표가 양측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모릿줄과, 상기 모릿줄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과, 상기 아릿줄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낚싯바늘과, 상기 모릿줄을 해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부상시킬 수 있도록 모릿줄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부자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주낙어구에 있어서, 상기 부자는 해당 몸통의 상부 내측과 상부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와 스위치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몸통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램프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발광부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광부자는 배터리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조명램프가 하부면에 설치되는 센터바디와, 상기 센터바디의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수밀용 밀폐링을 각각 개재시킨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바디의 상부면에는 배터리의 장착을 위한 배터리케이스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센터바디상에는 배터리와 조명램프를 접속시키는 회로기판이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조명램프 점등용 접속단자가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접속단자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또 다른 접속단자가 구비된 판스프링 방식의 스위치레버가 회로기판으로부터 배터리케이스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은 스위치레버를 배터리케이스측으로 밀어 내어 각각의 접속단자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부케이스의 일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체결 설치되는 스위치볼트가 되고, 상기 스위치볼트의 볼트헤드 부분에는 조명램프의 점등시 상부케이스측으로 압착되는 수밀용 밀폐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발광부자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케이스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를 설치한 것이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부케이스의 일측면을 소정의 면적만큼 절개시킨 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와 수밀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센터바디의 외측면에는 스위치 수단의 위치를 스위치레버의 위치에 맞추어 놓을 수 있는 세팅마커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아릿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낚싯줄을 포함하되, 상기 낚싯줄은 축광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축광라인이 되는 한편, 상기 낚싯바늘은 축광라인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단면 중앙부에는 모릿줄과의 연결을 위한 결속고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는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터리는 충전포트가 제공된 충전식 배터리나 건전지 또는 리튬배터리나 단추배터리 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는 해당 배터리의 접속전극을 구비한 상태로 배터리의 착탈식 교체작업이 가능한 케이스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접속전극이 회로기판을 거쳐 조명램프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부케이스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명램프는 LED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 내,외측의 배터리와 스위치 수단을 이용하여 하부케이스 내측의 조명램프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발광부자를 주낙어구의 모릿줄상에 적용시킴으로서, 각각의 발광부자가 수중집어등의 역할을 병행하여 붕장어나 낙지 등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주낙어구의 아릿줄상에는 낚싯바늘이 결속된 축광라인으로서의 낚싯줄을 적용시켜 해당 축광라인이 발광부자의 불빛에 의하여 모여든 대상어종의 입질을 최종 유도토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의 상부케이스를 관통하여 나사식을 체결되는 스위치볼트를 설치하고, 해당 스위치볼트의 볼트헤드 부분에 조명램프의 점등시 상부케이스측으로 압착되는 수밀용 밀폐링을 개재시킴으로서, 조명램프의 점등작업을 상,하부케이스의 분리없이 선상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스위치볼트의 체결부위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모릿줄과 함께 해수중에 위치하는 발광부자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고 발광부자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패드를 적용시킨 경우에는, 주낙어구를 해저면으로 드리움과 동시에 탄성패드의 변형에 의하여 조명램프가 자동 점등되고, 주낙어구를 선상으로 걷어 들임과 동시에 탄성패드의 복원에 의하여 조명램프가 자동 소등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를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대상어종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발광부자를 이루는 상부케이스와 센터바디상에 세팅마커를 형성시킨 경우에는, 스위치레버에 대한 스위치 수단, 즉 스위치볼트와 탄성패드의 위치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무게추를 설치한 경우에는, 모릿줄에 매달린 상태로 떠있는 발광부자의 불필요한 요동을 억제시켜 집어등의 기능이 최대한으로 발현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하부케이스를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한편, 그 내부의 조명램프를 LED로 설치한 경우에는, 시간당 전력사용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집어용 불빛을 외부로 조사(照射)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낙어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광부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광부자의 조명램프 점등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발광부자에 적용되는 전기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선도.
도 9는 발광부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발광부자의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광부자의 조명램프 점등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도.
도 13 내지 도 15는 배터리의 종류에 따른 배터리케이스의 적용상태를 나타내는 센터바디의 외관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주낙어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으로 부상되는 부표(4)가 양측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모릿줄(2)과, 상기 모릿줄(2)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3)과, 상기 아릿줄(3)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낚싯바늘(6)과, 상기 모릿줄(2)을 해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부상시킬 수 있도록 모릿줄(2)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부자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은 주낙어구(1)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사항에 해당하며, 상기 부표(4)와 인접한 위치에는 주낙어구(1)를 요구하는 수역(어장)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앵커(5)가 앵커로프(5a)에 의하여 모릿줄(2)과 추가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앵커(5)를 대신하여 무게추나 침자(沈子) 등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각각의 아릿줄(3)은 모릿줄(2)과 결속방식에 의하여 연결 설치하되, 각각의 아릿줄(3)이 모릿줄(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아릿줄(3)의 결속부(7) 양측단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토퍼(7a)를 모릿줄(2)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낚싯바늘(6)은 아릿줄(3)의 하단에 직접 연결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래(8) 또는 직결매듭(8a)(도래와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줄과 줄끼리 직접 연결시키는 매듭방식) 등을 이용하여 아릿줄(3)의 하단에 낚싯줄을 일차로 연결시킨 다음, 해당 낚싯줄의 하단에 낚싯바늘(6)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낚싯줄로서 축광도료나 축광재료를 이용한 축광라인(9)(일명, 야광낚싯줄)을 사용할 경우에는 녹색불빛을 선호하는 붕장어나 낙지 등의 대상어종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 및 어획할 수 있다.
상기 축광도료나 축광재료는 주간에 빛을 흡수하였다가 야간에 녹색 계열의 빛을 발하는 야광소재의 일종으로서 여러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소재이며, 낚싯줄의 제작시 축광도료를 낚싯줄 원료에 함침(含浸)시키거나 낚싯줄의 표면에 축광도료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축광라인(9)을 제작할 수도 있고, 축광재료 자체를 낚싯줄 형태의 축광라인(9)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낚싯줄의 외측에 축광튜브 등이 설치된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주된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낙어구(1)의 모릿줄(2)을 따라 연결되는 각각의 부자를 수중집어등 기능이 겸비된 발광부자(10)로 설치한 것인 바, 상기 발광부자(10)는 부자 몸통의 상부 내측과 상부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16)와 스위치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몸통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램프(19)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각각의 발광부자(10) 역시 아릿줄(3)과 마찬가지로 결속방식에 의하여 모릿줄(2)과 연결시키되, 해당 결속부(7)의 양측단에 발광부자(10)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7a)를 모릿줄(2)상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자(10)는 배터리(16)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조명램프(19)가 하부면에 설치되는 센터바디(13)와, 상기 센터바디(13)의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수밀용 밀폐링(15)을 각각 개재시킨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외측에 스위치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는 필요에 따라 센터바디(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바디(13)의 상부면에는 배터리(16)의 장착을 위한 배터리케이스(17)가 제공되고, 상기 센터바디(13)상에는 배터리(16)와 조명램프(19)를 접속시키는 회로기판(20)이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17)의 일측면(도 6 및 도 7에서 좌측면)에는 조명램프(19) 점등용 접속단자(17a)가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17)의 접속단자(17a)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또 다른 접속단자(18a)가 구비된 얇은 금속판(전도체) 재질의 스위치레버(18)가 회로기판(20)으로부터 배터리케이스(17)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스위치레버(18)를 배터리케이스(17)측으로 밀어 내어 각각의 접속단자(17a)(18a)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스위치레버(18)는 각각의 접속단자(17a)(18a)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힌지식 판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조명램프(19)가 점등된 상태의 발광부자(10)를 모릿줄(2)과 함께 해수중으로 투입시킬 경우, 배터리(16) 및 회로기판(20)이 설치된 상부케이스(11)의 내측으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 수단에도 수밀구조가 제공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하단 내주연부와 하부케이스(12)의 상단 내주연부 및 센터바디(13)의 상,하측 외주연부에는 나사체결식 조립작업을 위한 체결부(11b)(12b)(13a)가 각각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나사체결식 조립작업을 위하여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는 반구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한편, 상기 센터바디(1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1)와 센터바디(13)의 외측면에는 스위치 수단의 위치를 스위치레버(18)의 위치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위치표지(位置標識)로서의 세팅마커(Setting marker)(10a)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2)의 하단면 중앙부에는 모릿줄(2)과의 연결을 위한 결속고리(12a)가 제공되어 있고, 하부케이스(12)의 내측 바닥면에는 모릿줄(2)에 매달린 상태로 수중에 떠있게 되는 발광부자(10)의 불필요한 유동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무게추(1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를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하고, 상기 조명램프(19)를 LED, 특히 녹색 계열의 LED로 설치하게 되면, 배터리(16)에 저장된 전력의 시간당 사용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집어용 불빛을 외부로 조사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케이스(12)를 녹색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명램프(19)로부터 발산되는 불빛의 조사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은 부피와 적은 갯수의 발광부자(10)를 사용하더라도 모릿줄(2)의 부상에 필요한 부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무게추(10b)의 경우는 발광부자(10)의 요동저감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속고리(12a)는 발광부자(10)의 결속부(7)에 줄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부케이스(12)와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결속고리(12a)를 모릿줄(2) 또는 결속부(7)와의 착탈이 가능한 스냅후크나 체인고리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경우도 하부케이스(12)와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하되, 배터리(16)와 스위치레버(18)의 설치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세팅마커(10a)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또는 세팅마커(10a)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스위치 수단의 위치를 스위치레버(18)에 맞추어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터바디(13)의 경우는 조명램프(19)의 불빛이 투과되지 못하는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서, 조명램프(19)의 불빛이 하방(해저면)측을 향하여 집중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부케이스(11)의 일측면(도 6 및 도 7에서 좌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식으로 체결 설치되는 스위치볼트(14)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스위치볼트(14)의 볼트헤드 부분에는 조명램프(19)의 점등시점에 상부케이스(11)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수밀용 밀폐링(15)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1)에는 스위치볼트(14)의 체결작업을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조명램프(19) 소등상태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조명램프(19) 점등상태로의 전환을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토록 함과 동시에, 스위치볼트(14)의 밀폐링(15)에 의한 해수의 차단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파이프 너트 형태의 장착포트(11a)가 제공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배터리(16)는 충전포트(17b)가 제공된 충전식 배터리가 되고, 해당 배터리(16)는 배터리케이스(17)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조명램프(19)의 (-)전선(22)이 회로기판(20)과 접속포트(20a)를 거쳐 배터리(16)의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배터리(16)의 (+)전극으로부터 접속포트(20a)와 회로기판(20) 및 배터리케이스(17)를 거쳐 연장되는 (+)전선(21)이 해당 위치의 접속단자(17a)와 접속되는 한편, 상기 조명램프(19)의 (+)전선(21)이 회로기판(20)을 거쳐 스위치레버(18)의 접속단자(18a)와 접속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배터리(16)와 조명램프(19)간의 전기배선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스위치레버(18)에 의한 배터리(16)와 조명램프(19)간의 선택적 접속이 가능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전기배선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스위치레버(18) 역시 얇은 전도체 금속판을 이용한 판스프링 방식을 대표적인 일례로 하였으나, 스위치레버(18)와 배터리케이스(17)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적용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접속포트(20a)는 플러그핀 방식이나 USB 또는 케이블 플러그 방식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접속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광부자(10)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10)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케이스(11)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23)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탄성패드(23)는 도 1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의 일측면을 소정의 면적만큼 절개시킨 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와 수밀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발광부자(10)가 모릿줄(2)과 함께 위치하는 수심층이 개략 5~15m의 범위내가 되고, 해당 수심층에서 발광부자(10)의 표면에 작용하는 수압 역시 개략 5~15kg의 범위내가 되므로, 이러한 수압에 의하여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패드(23)를 스위치 수단으로 적용시키게 되면, 주낙어구(1)를 해저면으로 드리움과 동시에 도 11에서와 같이 탄성패드(23)의 변형에 따른 스위치레버(18)의 푸싱작동에 의하여 조명램프(19)가 자동 점등되고, 주낙어구(1)를 선상으로 걷어 들임과 동시에 도 10에서와 같이 탄성패드(23) 및 스위치레버(18)의 복원작동에 의하여 조명램프(19)가 자동 소등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탄성패드(23)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테플론 계열 등의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되, 스위치레버(18)에 의한 조명램프(19)의 점멸작동을 보다 더 확실하게 이끌어낼 수 있도록, 수압에 의한 변형력과 본원력이 뛰어나고 얇으면서도 질긴 재질로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패드(23)가 상부케이스(11)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변형폭 및 이를 기초로 한 스위치레버(18)의 푸싱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되어진 반구형 케이스 보다는 원통형 케이스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 이외에 발광부자(10)를 이루는 나머지 구성은 앞서 도 4 내지 도 8을 기초로 설명되어진 내용과 일맥 상통하는 것이며, 도 13 내지 도 15에 걸쳐 도시된 것은 상기 충전식 배터리(16)를 대신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16a)나 리튬배터리(16b) 또는 단추배터리(16c) 중에서 택일한 것을 배터리로 사용한 것이고, 상기 배터리케이스(17)는 해당 배터리와의 공지된 접속전극(24)을 구비한 상태로 배터리의 착탈식 교체작업이 가능한 케이스로 형성될 것이며, 해당 접속전극(24)이 회로기판(20)을 거쳐 조명램프(19)와 접속 설치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건전지(16a)용 배터리케이스(17)의 경우는 건전지(16a)의 선단측 (+)전극과 후단측 (-)전극과의 접속전극(24)이 전,후방 내측에 각각 제공된 상태로 하여 상부면이 개구된 사각케이스가 될 것이고, 도 13에서 도면부호 17c로 도시된 것은 해당 배터리케이스(17)의 접속전극(24)을 접속단자(17a)와 접속시키기 위한 배선지지대가 되며, 상기 리튬배터리(16b)용 배터리케이스(17)의 경우는 리튬배터리(16b)의 하단측 (-)전극핀과 그 나머지 (+)전극몸통의 접속전극(미도시)이 내측에 제공된 조립파이프나 파이프형 통로가 제공될 것이고, 상기 단추배터리(16c)용 배터리케이스(17)의 경우는 단추배터리(16c) 일측의 (-)전극면과 타측의 (+)전극면에 대한 접속전극(24)이 좌,우 내측면에 제공된 상태로 전,후방이 개구된 사각케이스가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케이스(11) 내,외측의 배터리(16)와 스위치 수단을 이용하여 하부케이스(12) 내측의 조명램프(19)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발광부자(10)를 주낙어구(1)의 모릿줄(2)상에 적용시킴으로서, 각각의 발광부자(10)가 수중집어등의 역할을 병행하여 붕장어나 낙지 등의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주낙어구(1)의 아릿줄(3)상에는 낚싯바늘(6)이 결속된 축광라인(9)으로서의 낚싯줄을 적용시켜 해당 축광라인(9)이 발광부자(10)의 불빛에 의하여 모여든 대상어종의 입질을 최종 유도토록 함으로서, 대상어종의 어획량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10)의 상부케이스(11)를 관통하여 나사식을 체결되는 스위치볼트(14)를 설치하고, 해당 스위치볼트(14)의 볼트헤드 부분에 조명램프(19)의 점등시 상부케이스(11)측으로 압착되는 수밀용 밀폐링(15)을 개재시킴으로서, 조명램프(19)의 점등작업을 상,하부케이스(11)(12)의 분리없이 선상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스위치볼트(14)의 체결부위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모릿줄(2)과 함께 해수중에 위치하는 발광부자(10)의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고 발광부자(1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서 발광부자(10)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케이스(11)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패드(23)를 적용시킨 경우에는, 주낙어구(1)를 해저면으로 드리움과 동시에 탄성패드(23)의 변형에 의하여 조명램프(19)가 자동 점등되고, 주낙어구(1)를 선상으로 걷어 들임과 동시에 탄성패드(23)의 복원에 의하여 조명램프(19)가 자동 소등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발광부자(10)가 설치된 주낙어구(1)를 이용한 조업의 편의성과 효율성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대상어종의 어획성능을 한층 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발광부자(10)를 이루는 상부케이스(11)와 센터바디(13)상에 세팅마커(10a)를 형성시킨 경우에는, 스위치레버(18)에 대한 스위치 수단, 즉 스위치볼트(14)와 탄성패드(23)의 위치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세팅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12)의 내측 바닥면에 무게추(10b)를 설치한 경우에는, 모릿줄(2)에 매달린 발광부자(10)의 불필요한 요동을 억제시켜 집어등 기능이 최대한으로 발현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2)를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는 한편, 그 내부의 조명램프(19)를 LED로 설치한 경우에는, 시간당 전력사용량을 최소화시키더라도 요구하는 수준의 집어용 불빛을 외부로 조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주낙어구 2 : 모릿줄 3 : 아릿줄
4 : 부표 5 : 앵커 5a : 앵커로프
6 : 낚싯바늘 7 : 결속부 7a : 스토퍼
8 : 도래 8a : 직결매듭 9 : 축광라인
10 : 발광부자 10a : 세팅마커 10b : 무게추
11 : 상부케이스 11a : 장착포트 11b,12b,13a : 체결부
12 : 하부케이스 12a : 결속고리 13 : 센터바디
14 : 스위치볼트 15 : 밀폐링 16 : 배터리
16a : 건전지 16b : 리튬배터리 16c : 단추배터리
17 : 배터리케이스 17a,18a : 접속단자 17b : 충전포트
17c : 배선지지대 18 : 스위치레버 19 : 조명램프
20 : 회로기판 20a : 접속포트 21 : (+)전선
22 : (-)전선 23 : 탄성패드 24 : 접속전극

Claims (13)

  1. 해수면으로 부상되는 부표(4)가 양측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모릿줄(2)과, 상기 모릿줄(2)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아릿줄(3)과, 상기 아릿줄(3)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낚싯바늘(6)과, 상기 모릿줄(2)을 해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부상시킬 수 있도록 모릿줄(2)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 설치되는 부자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부자는 해당 몸통의 상부 내측과 상부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배터리(16)와 스위치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몸통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램프(19)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발광부자(10)가 되며, 상기 발광부자(10)는 배터리(16)가 상부면에 설치되고 조명램프(19)가 하부면에 설치되는 센터바디(13)와, 상기 센터바디(13)의 상단 외주면과 하단 외주면에 수밀용 밀폐링(15)을 각각 개재시킨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바디(13)의 상부면에는 배터리(16)의 장착을 위한 배터리케이스(17)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센터바디(13)상에는 배터리(16)와 조명램프(19)를 접속시키는 회로기판(20)이 제공된 주낙어구(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17)의 일측면에는 조명램프(19) 점등용 접속단자(17a)가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17)의 접속단자(17a)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또 다른 접속단자(18a)가 구비된 판스프링 방식의 스위치레버(18)가 회로기판(20)으로부터 배터리케이스(17)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 수단은 발광부자(10)가 위치하는 수심층의 수압에 의하여 상부케이스(11) 내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됨에 따라 스위치레버(18)를 배터리케이스(17)측으로 밀어 내어 각각의 접속단자(17a)(18a)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탄성패드(23)가 되고, 상기 탄성패드(23)는 상부케이스(11)의 일측면을 소정의 면적만큼 절개시킨 부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와 수밀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2)의 내측 바닥면에는 무게추(10b)가 설치되고, 상기 아릿줄(3)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낚싯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낚싯줄은 축광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축광라인(9)이 되고, 상기 낚싯바늘(6)은 축광라인(9)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와 센터바디(13)의 외측면에는 스위치 수단의 위치를 스위치레버(18)의 위치에 맞추어 놓을 수 있는 세팅마커(10a)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2)의 하단면 중앙부에는 모릿줄(2)과의 연결을 위한 결속고리(12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6)는 충전포트(17b)가 제공된 충전식 배터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6)는 건전지(16a)나 리튬배터리(16b) 또는 단추배터리(16c) 중에서 택일한 것이 사용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17)는 해당 배터리의 접속전극(24)을 구비한 상태로 배터리의 착탈식 교체작업이 가능한 케이스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접속전극(24)이 회로기판(20)을 거쳐 조명램프(19)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11.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2)는 투명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 소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12.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19)는 LED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13.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2)는 센터바디(1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KR1020190154549A 2019-11-27 2019-11-27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KR10219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549A KR102196570B1 (ko) 2019-11-27 2019-11-27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549A KR102196570B1 (ko) 2019-11-27 2019-11-27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70B1 true KR102196570B1 (ko) 2020-12-30

Family

ID=7408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549A KR102196570B1 (ko) 2019-11-27 2019-11-27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819A (zh) * 2021-04-12 2021-08-0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往复升降式鱿钓集鱼灯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237U (ja) * 1997-09-11 1998-08-21 実男 山田 魚が引くと点灯する浮子
US20030005615A1 (en) * 1999-10-05 2003-01-09 Lindgren Peter B. Underwater battery powered lighted fishing lure
KR101236277B1 (ko) * 2012-06-27 2013-02-26 대한민국 자가발전형 발광부자
KR20140090581A (ko) * 2014-03-17 2014-07-17 주식회사 아가미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101879346B1 (ko) * 2017-08-31 2018-07-17 이성옥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1237U (ja) * 1997-09-11 1998-08-21 実男 山田 魚が引くと点灯する浮子
US20030005615A1 (en) * 1999-10-05 2003-01-09 Lindgren Peter B. Underwater battery powered lighted fishing lure
KR101236277B1 (ko) * 2012-06-27 2013-02-26 대한민국 자가발전형 발광부자
KR20140090581A (ko) * 2014-03-17 2014-07-17 주식회사 아가미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101879346B1 (ko) * 2017-08-31 2018-07-17 이성옥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819A (zh) * 2021-04-12 2021-08-0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往复升降式鱿钓集鱼灯设备
CN113207819B (zh) * 2021-04-12 2022-07-12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往复升降式鱿钓集鱼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583B1 (en) Fish attractor
US7707764B1 (en) Light emitting fishing lure
US20090025271A1 (en) Illuminated submersible bait apparatus
US8402686B1 (en) Light emitting fishing teaser
US7270083B2 (en) Shark repelling device
KR102196570B1 (ko)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KR102147467B1 (ko)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20120014337A (ko) 바다 낚시용 집어등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220583B1 (ko) 수중집어등 겸용 부자
KR200430080Y1 (ko) 발광기능을 갖는 수산양식용 부구
JP7490080B2 (ja) 桐を用いた釣り用ウキ
CN216363264U (zh) 磁控电子发光鱼漂
KR200490805Y1 (ko) 발광 낚시찌
CN211510298U (zh) 可电子闪光、夜光、防止线打结、快速转换密度的助投器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US9603349B2 (en) Submersible shrimp light
JP3139830U (ja) 浮き
CN220966119U (zh) 一种诱鱼钓鱼一体化装置
CN201004923Y (zh) 紫外光诱鱼浮漂
CN218354199U (zh) 一种多档位灵敏度的重力感应变色兼黑漂电子鱼漂
JP2011160741A (ja) 釣り用発光おもり
CN209341118U (zh) 悬浮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