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025B1 - 어신감지용 전자찌 - Google Patents

어신감지용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025B1
KR101159025B1 KR1020110120779A KR20110120779A KR101159025B1 KR 101159025 B1 KR101159025 B1 KR 101159025B1 KR 1020110120779 A KR1020110120779 A KR 1020110120779A KR 20110120779 A KR20110120779 A KR 20110120779A KR 101159025 B1 KR101159025 B1 KR 10115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fting body
fish
power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진
Original Assignee
김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진 filed Critical 김한진
Priority to KR102011012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찌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상,하부커버 내부에 램프 및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그 하부커버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몸체를 수면 아래에 잠기게 함으로써, 물고기의 어신(입질)이 감지되면 승강몸체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램프 및 무선 송수신기를 작동시켜 낚시하는 자가 쉽게 어신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물고기를 낚아챌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램프와 무선 송수신기가 설치된 전자찌는 주/야간 겸용이 사용가능한 어신감지용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신을 감지하는 무선전송 장치는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낚시찌의 부피를 크게 제조하게 되거나 또한 다수의 구성품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구입자들에게 구입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전자찌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와 무선 송신기를 어신 상태에서만 작동되게 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주간 및 야간사용시 전자찌에서 발생하는 빛이 없이 고기들이 모여들 수 있게 하며, 램프 및 무선 송신기를 작동하는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어신감지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신감지용 전자찌{Electron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어신을 감지하는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찌를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상,하부커버 내부에 램프 및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하고, 그 하부커버와 별개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몸체를 수면 아래에 잠기게 함으로써, 물고기의 어신(입질)이 감지되면 승강몸체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램프 및 무선 송수신기를 작동시켜 낚시하는 자가 쉽게 어신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물고기를 낚아챌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램프와 무선 송수신기가 설치된 전자찌는 주/야간 겸용이 사용가능한 어신감지용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낚시대에 낚시줄을 연결하고, 연결된 낚시줄에는 미끼를 꽤어 물고기를 잡는 낚시바늘과 물고기의 어신 상태를 물 밖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줄에 매어 사용하는 낚시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고기의 어신 상태를 확인하도록 낚시줄에 매는 낚시찌는 물에 쉽게 뜨는 나무에 다양한 색상을 입힌 형태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무 낚시찌는 다양한 색상을 입혀 주간에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문제되지 않지만 빛이 없는 야간에는 나무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주간 및 야간 겸용으로 사용하는 전자찌가 제공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자찌의 내부에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찌의 스위치는 단순히 램프를 ON/OFF하는 것으로, ON으로 작동된 램프는 계속해서 불을 밝혀 야간사용시 전자찌의 어신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었으나, 밝게 빛나는 전자찌에 의해 위협을 느낀 물고기가 모여들지 않는 문제점과, 또한 밝은 불빛은 전자찌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낚시꾼들에게 방해가 되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주간 야간 겸용으로 사용하면서도 어신 상태일 때 낚시꾼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특허등록 제1044468호(명칭: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전송 장치는 PCB, 3축 가속도 센서, CPU, RF모뎀 및 배터리가 기본으로 구성되고, 진동모터와 안테나가 추가로 설치되며, 여기에 선택스위치가 추가로 설치된다. 이러한 많은 구성품을 낚시찌에 설치하면 낚시찌의 부피가 자연적으로 커지고, 중량이 증대되어 낚시찌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는 낚시찌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구성품을 작게 형성시키면 구성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하여 낚시찌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이는 고스란히 낚시꾼에게 구입 부담금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배터리는 지속적인 센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소모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찌는 램프 등의 구성품을 내장하기 위해 분할된 커버를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는 물의 흐름 상태에 따라 수면에 떠있는 전자찌가 상하좌우로 요동치게 되면 물고기의 어신 상태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용 찌를 주간 및 야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찌로 구성하되, 상기 전자찌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와 무선 송신기는 어신 상태에서만 작동되게 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또한 주간 및 야간사용시 전자찌에서 발생하는 빛이 없이 고기들이 모여들 수 있게 하며, 램프 및 무선 송신기를 작동하는 구성을 단순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전자찌가 물의 흐름 상태에 따라 요동치는 것과 상관없이 물고기의 어신 상태에서만 램프와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낚시꾼들이 손쉽게 어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공간부가 구비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제1공간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로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위치와,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낚시줄이 꿰어지는 찌고리가 설치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 상부에는 리드스위치와 근접하면 전원이 차단되고, 이격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공간부가 구비되는 상,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가 폐쇄되는 연장부와, 상기 제1공간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로 발광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연장부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램프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리드스위치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승강되도록 내부에는 이동통로가 구비되며, 그 이동통로 외부로 제2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낚시줄이 꿰어지는 찌고리가 설치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이동통로 바닥에는 리드스위치와 근접하면 전원이 차단되고, 이격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는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가이드공이 마련된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실린더의 가이드공과 대응하는 양측에 가이드턱을 형성시켜 실린더 내부로 삽입된 승강몸체가 가이드공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연장된 탄성편 일측에 상기 고정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면 위로 떠있는 상,하부커버와 하부커버에 결합되어 상,후부커버와 별개로 승강되는 승강몸체를 구성함으로써, 물의 흐름에 따라 전자찌가 요동치더라도 램프 및 무선 송신기는 작동되지 않고, 물고기가 어신 상태가 되면 낚시줄에 매어진 승강램프만 하강하면서 비로소 램프 및 무선 송신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낚시꾼들이 정확한 어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신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찌 내부에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램프 및 무선 송신기와 배터리 그리고 배터리를 제어하는 자석이 상하 움직임에 따라 작동되는 리드스위치로 간소하게 구성됨으로써, 전자찌의 제조비용을 무선 전송장치가 구비된 낚시찌보다 월등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면 위로 부상하는 상,하부커버와 수면 아래로 잠겨 하부커버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몸체에 리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어신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어신상태가 되면 물고기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승강몸체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고, 야간에 인공 불빛이 없어 물고기가 미끼를 향해 모여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주위의 다른 낚시꾼들에게 빛에 의해 낚시가 방해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전자찌의 외부를 다양한 형광색으로 도색하여 주간 및 야간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찌 내부에 장착된 무선 송신기는 설치하고, 낚시꾼의 무선 수신기를 통해 이를 표시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어신 상태를 체험하여 낚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시력 저하로 불빛을 확인하기 어려운 낚시꾼들이 쉽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찌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승강몸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승강몸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턱을 발췌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는 도 7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고정턱을 발췌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색상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2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크게 상,하부커버(10)(20)와 그 하부커버(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몸체(30)에 낚시줄에 매는 찌고리(25)를 설치시켜 전자찌(1)를 구성하고, 상기 상,하부커버(10)(20) 내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60)에 램프(61)와 무선 송신기(62)가 설치되고, 그 램프(61)와 무선 송신기(62)에 배터리(63)가 리드스위치(64)의 작동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며, 그 리드스위치(64)의 작동은 상기 승강몸체(30)에 구비되어 리드스위치(64)와 근접하면 OFF되고, 이격되면 ON 작동시키는 자석(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는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밀링(24)이 개재된 상태로 결합되고, 전자찌(1)가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상,하부커버(10)(20)의 내부에는 제1공간부(23)가 마련된다. 상기 상,하부커버(10)(20)의 결합은 수나사와 암나사를 각각 형성시켜 나사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제1공간부(23)는 상기의 인쇄회로기판(60), 램프(61), 무선 송신기(62), 배터리(63) 및 리드스위치(64)가 장착되는 공간이 되면서도 전자찌(1)가 수면 위로 부상하도록 공기주머니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2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2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21)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으로 관통형성되는 가이드공(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0)와 실린더(21)가 접하는 부분은 차단벽을 형성시켜 물이 제1공간부(23)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승강몸체(30)는 하부커버(20)에 연장된 실린더(21)의 하부로 진입하여 내부 공간으로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30)는 상기 실린더(2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21a)과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턱(30a)이 형성되어 가이드공(21a)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가이드턱(30a)은 가이드공(21a)을 따라 승강몸체(30)를 실린더(2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고, 실린더(21) 외부로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턱(30a)의 외부에는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가이드턱(30a)이 탄성력을 갖도록 절개부(30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30b)에 의해 자체탄성력을 갖는 가이드턱(30a)은 실린더(21) 내부로 승강몸체(30)가 삽입시 오므려진 상태로 삽입되었다가 가이드공(21a)에 도달하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가이드공(21a)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몸체(30)는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여 자체 부력을 갖는 제2공간부(30c)를 형성시켜 수면에 잠긴 승강몸체(30)가 수면 위로 떠오르려고 하는 부력에 의해 실린더(21) 하향으로 내려오지 않고 최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승강몸체(30)의 내부에는 자석(70)을 설치시켜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리드스위치(64)에 자석(70)이 근접하면 OFF상태를 유지하고, 이격되면 ON상태가 되어 배터리(63)의 전원이 램프(61)와 무선 송신기(62)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70)은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승강몸체(30)의 상부에 매립한 상태로 승강몸체(30)를 성형할 수도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승강몸체(30) 상부에 별도의 마개(40)를 나사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개(40)는 자석(70)이 설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장착홀(40a)을 형성하고, 그 장착홀(40a)에 설치된 자석(7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부분에 뚜껑(40b)을 끼워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승강몸체(30)가 물과 닿는 충격 또는 물살의 흐름과 같은 힘에 의해 제2공간부(30c)의 부력이 상실되어 승강몸체(3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램프(61) 및 무선 송신기(62)가 오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찌(1)는 상기 실린더(21)의 상부 양측에 고정홈(21b)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4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연장된 탄성편(50) 일측에 상기 고정홈(21b)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50a)를 구성시킴으로써, 충격과 같은 다른 요인으로 인해 승강몸체(30)가 임의로 실린더(21)에서 이탈되는 것을 완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승강몸체(30) 상부에 고정돌기(50a)가 일측에 형성된 탄성편(50)을 일체로 형성시켜 실린더(21)에 형성된 고정홈(21b)과 끼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몸체(30)는 중앙 양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조립되는 분할몸체(31)로 이룰 수 있다. 이렇게 분할된 분할몸체(31) 내부에는 자석(70)이 설치되는 장착홈(40a)을 반원형으로 나눠 각각 형성시키고, 그 장착홈(40a)에 자석(70)을 설치할 수 있어 승강몸체(30)를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할몸체(31)의 결합은 첨부된 도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암수로 이루어져 끼움 고정되는 돌기와 홈을 각각 분할몸체(31)에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여기서 나아가 첨부된 도면 7 및 8과 같이, 승강몸체(300)가 하부커버(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의 전자찌(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23)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상,하부커버(10)(20)에서 하부커버(20)를 하향으로 비교적 길게 연장하고 하부가 폐쇄되는 연장부(2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장부(22) 내부에 리드스위치(64)가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몸체(300)는 상기 연장부(22)가 삽입되어 승강 되도록 내부에 이동통로(30d)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30d)의 외측에는 승강몸체(300)에 부력을 부여하도록 제2공간부(30c)가 형성된다. 또한 승강몸체(300)의 하부에는 전자찌를 낚시줄에 매는 찌고리(25)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리드스위치(64)를 작동시키는 자석(7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몸체(300)는 상기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중앙 양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조립되는 분할몸체(32)로 이루어지고, 내측 상부에는 자석(70)이 삽입되는 반원형의 장착홈(40a)을 각각 구성하며, 그 조립은 전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돌기와 홈을 각각 분할몸체(32)에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22)의 외주연 하부 양측에 가이드턱(22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몸체(300)는 연장부(22)가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연장부(22)의 가이드턱(22a)을 수용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공(2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턱(22a)의 외부 즉, 연장부(22)에는 가이드턱(22a)에는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자체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절개부(22b)를 형성하는 것이 승강몸체(300)로 연장부(22)가 삽입시 가이드턱(22a)이 오므려져 간섭없이 조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22)의 상부 양측에는 승강몸체(300)가 최초 상승한 상태에서 전술한 다른 요인에 의해 임의로 쉽게 연장부(22) 하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돌기(50a)를 구성하고, 상기 승강몸체(300)의 이동통로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50a)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2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21)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의 승강몸체(30)의 실시례와 승강몸체(300)의 내부로 연장부(22)가 삽입되는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중앙은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원거리에서도 램프(61)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돌출부(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커버(10)는 램프(61)의 불빛을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샌딩처리과 같이 거친표면으로 형성되어 빛의 밝기를 줄인 반투명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63)의 전원 공급으로 발광하는 램프(61)는 일반 소형전구 또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광섬유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배터리(63) 소모량이 적으면서도 램프(61)의 사용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는 LED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드스위치(64) 작동은 첨부된 도면 도 10과 같이, 두 개의 단자 중에 상하로 움직이는 단자에 자석(70)과 같은 극의 자석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단자는 승강몸체(30)(300)의 자석(70)이 상부로 이동하면 같은 극의 단자를 밀어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서 전원이 차단되고, 승강몸체(30)의 자석(70)이 하부로 이동하면 들어 올려진 단자가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두 단자가 서로 접지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리드스위치(64)의 작동은 하나의 예로 설명한 것이지 이러한 리드스위치(64)의 작동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는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주간 및 야간의 작은 불빛에도 반응하는 다양한 형광 색상을 도색하거나 또는 형광색이 인쇄된 스티커를 접착하여 쉽게 투척한 전자찌(1)의 위치와 움직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찌(1)의 작동은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실린더(21)와 승강몸체(30)로 구성된 제1 실시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최초 실린더(21) 내부로 삽입된 승강몸체(30)를 최상부까지 밀어 넣어 승강몸체(30)에 설치된 자석(70)이 리드스위치(64)가 단전된 상태로 보관 및 이동한 후, 전자찌(1)를 낚시줄에 매고, 물에 전자찌(1)를 투척하여 어신 상태를 기다린다.
이후, 물고기가 낚시바늘을 물어 어신이 감지되면 물고기는 몸부림치면서 승강몸체(30)를 실린더(21) 하부로 강제 이동시킨다.
이때,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제1공간부(23)에 의해 상,하부커버(10)(20)는 수면 위로 떠오르려는 부력과 물고기가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실린더(21)의 고정홈(21b)에 고정된 승강몸체(30)의 고정돌기(50a)가 이탈되어 승강몸체(30)가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승강몸체(30)의 가이드턱(30a)은 실린더(21)의 가이드공(21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승강몸체(30)에 설치된 자석(70)이 리드스위치(64)와 멀어지면서 리드스위치(64)가 통전되며, 이렇게 통전된 리드스위치(64)에 의해 배터리(63)의 전원이 램프(61)에 공급되어 육안으로 LED 빛을 확인한 낚시꾼이 쉽게 물고기를 낚아채는 것이다.
또는, 리드스위치(64)가 통전되어 배터리(63)의 전원 공급으로 무선 송신기(62)가 작동하면, 낚시꾼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 수신기(62a)가 무선 송신기(62)에서 발생하는 전파를 감지하여 진동이나 색상으로 이를 표시함으로써, 낚시꾼이 쉽게 어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무선 송신기(62)는 램프(61)와 함께 설치하여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한 전자찌(1)는 보관 시, 승강몸체(30)를 다시 최상부로 이동시켜 자석이 리드스위치(64)를 단전시킴으로써, 배터리(63)의 전원을 차단하여 배터리(63)의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전자찌: 1 상부커버:10
돌출부: 10a 하부커버: 20
실린더: 21 가이드공: 21a
고정홈: 21b 연장부: 22
가이드턱:22a 절개부: 22b
제1공간부: 23 수밀링: 24
찌고리: 25 승강몸체 : 30,300
가이드턱: 30a 절개부:30b
제2공간부: 30c 이동통로: 30d
마개: 40 장착홀: 40a
뚜껑: 40b 탄성편: 50
고정돌기: 50a 분할몸체: 31,32
인쇄회로기판: 60 램프: 61
무선송신기: 62 배터리: 63
리드스위치: 64 자석: 70

Claims (17)

  1.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공간부(23)가 구비되는 상,하부커버(10)(20);
    상기 제1공간부(23)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60);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로 발광하는 램프(61);
    상기 램프(61)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3);
    상기 배터리(63)의 전원을 램프(61)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리드스위치(64);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로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제2공간부(30c)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낚시줄에 매어지는 찌고리(25)가 설치되는 승강몸체(30);
    상기 승강몸체(30) 상부에는 리드스위치(64)와 근접하면 전원이 차단되고, 이격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자석(7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커버(20)는 하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가이드공(21a)이 마련된 실린더(2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몸체(30)는 상기 실린더(21)의 가이드공(21a)과 대응하는 양측에 가이드턱(30a)을 형성시켜 실린더(21) 내부로 삽입된 승강몸체(30)가 가이드공(21a)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30) 상부에는 자석(70)이 삽입되는 장착홀(40a)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40a)의 상부에 끼움되어 자석(70)이 이탈되지 않도록 뚜껑(40b)을 구비시켜 승강몸체(30) 상부와 결합되는 마개(4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홈(21b)을 형성하고, 상기 마개(4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연장된 탄성편(50) 일측에 상기 고정홈(21b)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50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홈(21b)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몸체(30)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로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일체로 연장된 탄성편(50) 일측에 상기 고정홈(21b)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돌기(50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30)는 중앙 양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조립되는 분할몸체(31)로 이루어지고, 내측 상부에는 자석(70)이 삽입되는 반원형의 장착홀(40a)이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7. 수밀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제1공간부(23)가 구비되는 상,하부커버(10)(20);
    상기 하부커버(20)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가 폐쇄되는 연장부(22);
    상기 제1공간부에(23)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60);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로 발광하는 램프(61);
    상기 램프(61)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3);
    상기 연장부(22)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63)의 전원을 램프(61)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리드스위치(64);
    상기 연장부(22)가 삽입되어 승강되도록 내부에는 이동통로(30d)가 구비되며, 그 이동통로(30d) 외부로 제2공간부(30c)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낚시줄이 매어지는 찌고리(25)가 설치되는 승강몸체(300);
    상기 승강몸체(300)의 이동통로 바닥에는 리드스위치(64)와 근접하면 전원이 차단되고, 이격되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자석(7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300)는 중앙 양측으로 각각 분할되어 조립되는 분할몸체(32)로 이루어지고, 내측 상부에는 자석(70)이 삽입되는 반원형의 장착홀(40a)이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의 외주연 양측에 가이드턱(22a)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몸체(300)에는 연장부(22)가 삽입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연장부(22)의 가이드턱(22a)을 수용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공(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2)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돌기(50a)를 구성하고, 상기 승강몸체(300)의 이동통로(30d)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50a)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21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1.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의 중앙은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원거리에서도 램프(61)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돌출부(1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2.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는 램프(61)의 불빛을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3.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63)의 전원 공급으로 발광하는 램프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4.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는 어신이 감지되면 이를 낚시하는 사람이 휴대한 무선 수신기(62a)에 무선으로 전파를 보내도록 하는 무선 송신기(6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5. 제 1항 있어서,
    상기 승강몸체(30)에서 가이드턱(30a)이 형성된 주변에는 가이드턱(30a)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하여 실린더(21)로 삽입시 가이드턱(30a)이 오므려져 용이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절개부(30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6. 제 8항 있어서,
    상기 연장부(22)에서 가이드턱(22a)이 형성된 주변에는 가이드턱(22a)이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하여 승강몸체(300)로 삽입시 가이드턱(22a)이 오므려져 용이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절개부(22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17.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는 다양한 형광 색상으로 형성시켜 주간 및 야간의 작은 불빛에도 반응하여 쉽게 낚시찌의 위치 및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감지용 전자찌.
KR1020110120779A 2011-11-18 2011-11-18 어신감지용 전자찌 KR10115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79A KR101159025B1 (ko) 2011-11-18 2011-11-18 어신감지용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779A KR101159025B1 (ko) 2011-11-18 2011-11-18 어신감지용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025B1 true KR101159025B1 (ko) 2012-06-21

Family

ID=4668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779A KR101159025B1 (ko) 2011-11-18 2011-11-18 어신감지용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02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64B1 (ko) 2012-12-20 2014-06-11 김영선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CN106305647A (zh) * 2016-08-19 2017-01-11 湖南金音渔具用品有限公司 一种电磁智能钓鱼系统及钓线安装方法
KR101791445B1 (ko) 2016-05-26 2017-10-30 김성훈 인체감지센서모듈을 갖춘 엘이디 센서조명등
KR101904936B1 (ko) * 2016-11-23 2018-11-21 홍성희 낚시찌용 발광장치
WO2019245321A1 (ko) * 2018-06-22 2019-12-26 권태화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KR20200000175A (ko) * 2018-06-22 2020-01-02 권태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20220065420A (ko) * 2020-11-13 2022-05-20 강기홍 낚시찌
KR102648513B1 (ko) * 2023-10-17 2024-03-15 김윤임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109A (ja) 1986-07-28 1988-02-15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ツクスの電線管插入孔に取付ける連結具
KR200308327Y1 (ko) * 2003-01-02 2003-03-26 박상진 미세 광 섬유를 이용한 고휘도 민물 전자찌
KR20070004288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멀티 전자찌
KR100839202B1 (ko) 2006-12-15 2008-06-1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전자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109A (ja) 1986-07-28 1988-02-15 未来工業株式会社 ボツクスの電線管插入孔に取付ける連結具
KR200308327Y1 (ko) * 2003-01-02 2003-03-26 박상진 미세 광 섬유를 이용한 고휘도 민물 전자찌
KR20070004288A (ko) * 2005-07-04 2007-01-0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멀티 전자찌
KR100839202B1 (ko) 2006-12-15 2008-06-1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전자찌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564B1 (ko) 2012-12-20 2014-06-11 김영선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KR101791445B1 (ko) 2016-05-26 2017-10-30 김성훈 인체감지센서모듈을 갖춘 엘이디 센서조명등
CN106305647A (zh) * 2016-08-19 2017-01-11 湖南金音渔具用品有限公司 一种电磁智能钓鱼系统及钓线安装方法
KR101904936B1 (ko) * 2016-11-23 2018-11-21 홍성희 낚시찌용 발광장치
WO2019245321A1 (ko) * 2018-06-22 2019-12-26 권태화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KR20200000175A (ko) * 2018-06-22 2020-01-02 권태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102115172B1 (ko) * 2018-06-22 2020-05-26 권태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20220065420A (ko) * 2020-11-13 2022-05-20 강기홍 낚시찌
KR102564212B1 (ko) 2020-11-13 2023-08-07 강기홍 낚시찌
KR102648513B1 (ko) * 2023-10-17 2024-03-15 김윤임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025B1 (ko) 어신감지용 전자찌
US11147263B2 (en) Fishing light
US20170122536A1 (en) Fishing Light
KR101046962B1 (ko) 조도 반응형 낚시 찌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2424849B1 (ko) 전자발광 낚시찌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230058864A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KR101497530B1 (ko) 낚시용 발광 찌
KR100593260B1 (ko) 움직이는 루어
KR102138655B1 (ko)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101150534B1 (ko)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변광 전자찌
KR200480125Y1 (ko) 야간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조명등
JP3151178U (ja) 擬似餌用発光装置
KR102553805B1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KR20160074112A (ko) 다목적 낚시전자찌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590B1 (ko) 낚시용 밑밥통
KR100842106B1 (ko) 기능성 낚시찌
JP2002171883A (ja) 運動センサ付発光釣り具
KR100356008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260469Y1 (ko) 전계발광체를 이용한 밤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