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55B1 -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655B1
KR102138655B1 KR1020200016019A KR20200016019A KR102138655B1 KR 102138655 B1 KR102138655 B1 KR 102138655B1 KR 1020200016019 A KR1020200016019 A KR 1020200016019A KR 20200016019 A KR20200016019 A KR 20200016019A KR 102138655 B1 KR102138655 B1 KR 102138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er
fishing
battery
electrode pla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만
Original Assignee
장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만 filed Critical 장수만
Priority to KR102020001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01K79/02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by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어류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에 결합되는 하부몸체가 구비된 루어본체; 상기 상부몸체에 설치되는 집어등; 상기 집어등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루어본체에 설치되는 배터리박스부재;를 마련하여 집어등에 의해 밝은 광원에 의해 어종을 유인할 수 있고, 집어등의 빛을 확산돌기에 의해 보다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해 어종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Fishing Lures for Fishing Lights and Leveling}
본 발명은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어 내부에 수납된 전원공급부에 의해 집어등의 점등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중에서 수평으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루어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만든 인조미끼를 말하며, 생미끼와 같은 시각적 효과를 내어 추광성 또는 야행성 어류를 유인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낚시용 루어는 어류의 생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작은 물고기, 벌레(worm), 곤충, 그리고 갑각류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루어 낚시의 어류는 주로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는 육식성 어류로 우럭, 볼락 등의 붙박이성 어종과 농어, 부시리, 가다랑어 같은 회유성 어종들이 해당된다. 그리고 오징어, 주꾸미, 꼴뚜기 등의 두족류도 포함되는데, 이러한 어류는 간단한 채비로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루어낚시는 가짜 미끼인 루어를 사용하는 낚시로, 이 루어낚시에 사용하는 루어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한 예로, 루어의 한 종류인 에기(에기루어)는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를 낚는데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에기의 구조를 보면, 새우나 물고기와 같이 생긴 몸통과, 몸통 아래쪽으로 납봉돌(싱커)이 있고, 머리쪽과 꼬리쪽에는 연결링과 훅이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몸통 양쪽으로 지느러미와 같은 깃털이 구성된다.
일례로, 국내공개특허 제2005-0056854호에는 낚시질에 이용하는 루어를 구성하면서, 루어 본체와, 루어본체의 머리부 저면에 장착된 추 부재를 구비하고, 추 부재는, 루어 본체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와, 레일부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추와, 추를 레일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 가능한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고 있는 루어를 구성하여, 낚시꾼이 추의 긴 쪽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 루어의 침강 자세나 속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루어에 대한 내용이 게시되어 있다.
에기루어를 이용한 낚시 방법의 한 예를 보면, 루어를 수중에서 낚싯대를 순간적으로 크게 챔질하듯 올려쳐, 에기루어가 뛰어오르게 한 후 다시 가라앉히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 의해서, 대상어(오징어 등의 두족류)가 에기루어를 보고 모여들고, 에기루어가 침강하는 과정에서 입질이 오게 되는데, 실제로, 수심, 수온, 대상어의 활성도 등의 상태에 따라, 에기루어의 침강 속도나 침강 자세 등을 조정하여 변화시킬 필요도 생긴다.
한편 종래의 에기에는 캐미라이트(chemi-light)인 조명 수단이 구비되어 두족류 등을 더 효율적으로 잡을 수 있는 기술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에는 에기에 조명 수단을 장착한 후 사용 중에 조명 수단의 분실이 위험이 있다.
또한 캐미라이트와 같은 조명 수단은 사용 시간이 3-4시간으로 한정 되어 있어 자주 교체해야 하는 데 종래 기술은 캐미라이트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캐미라이트에서 에기 본체로 조사되는 빛의 양의 제한, 즉 에기 본체와 반대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이 많아 빛의 손실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조명부가 구비된 루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조명부가 구비된 루어는 결합홈이 구비된 에기 본체, 상기 에기 본체에 마련되어 잡힌 두족류가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조명부, 상기 결합홈에 마련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천장부로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 및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확산 부재에서 확산 되는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는, 상기 결합홈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마련된 조명 바디 및 상기 수용홈에 마련되며 캐미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기 본체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 바디, 상기 에기 본체의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 바디가 끼워 맞춤 결합 되는 결합홈 및 상기 에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반사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의 천장부는 투명하게 마련되어 상기 조명 부재의 빛을 상기 에기 본체의 천장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천장부에 상기 확산 부재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루어는 캐미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부재가 설치되고, 조명부재에서 발산되는 빛을 다수의 반사부재로 확산시키는 것으로, 캐미라이트에서 발산되는 조명의 밝기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캐미라이트는 사용 시간에 따라 밝기가 어두워질 뿐만 아니라 밝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명부재를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는 작은 물고기, 벌레(worm), 곤충, 갑각류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고, 외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바늘이 결합되는 바늘고리와 낚시줄이 결합되는 하나의 낚시줄 고리가 형성되는 루어 몸체, 상기 루어 몸체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 고정되고, 불빛을 조사하는 집어등;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루어 몸체의 표면에는 상기 집어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불빛을 반사시켜 어류에 대한 집어 효과를 높이는 알루미늄 호일의 반사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루어는 연결로드에 설치된 집어등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호일의 반사부가 설치된 것으로, 집어등이 루어 몸체와 연결로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루어를 던지거나 끌어당길 경우 집어등이 수면 등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집어등의 점소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이 루어 몸체에 설치됨에 따라 알루미늄 호일이 벗겨지거나 탈리되어 집어등의 반사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8-0003292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9-00007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루어본체 내에 수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으로 집어등을 발광시키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어본체를 해수 속에 투입시킴으로써 집어등의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어본체 내부에 유입된 해수에 의해 루어본체가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루어본체가 뒤집히지 않도록 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어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음향을 발생시켜 소리에 의해 어류가 몰려들게 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어본체 내부에 부력체를 설치하여 루어본체가 해수 속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어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에 의해 루어본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11)와, 어류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1)가 구비된 루어본체(110); 상기 상부몸체(111)에 설치되는 집어등(140); 상기 집어등(1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루어본체(110)에 설치되는 배터리박스부재(150);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는 상기 루어본체(110)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1); 상기 고정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52); 상기 수납케이스(152)에 배터리가 수납되게 형성되는 배터리수납부(153);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54); 상기 배터리수납부(153)로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결합돌기(154)에 형성되는 물유입구멍(155); 상기 배터리수납부(153)에 수납되는 배터리(156, 157);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상면에 밀봉되는 케이스덮개(159); 및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피씨비기판(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에 수납된 배터리의 전원은 상기 하부몸체(121)를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상기 집어등(140)에 공급되어 상기 집어등(14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111)에는 상기 집어등(140)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상부몸체(111)의 외면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게 확산돌기(11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는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에 해수가 유입되게 결합돌기(154)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124);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측에 형성된 평형수공간부(128)에 해수가 출입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126, 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몸체(111)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몸체(121)가 안착되게 상부안착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안착홈부(112)의 내측에 결합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고정돌기(122)와, 상기 상부고정돌기(122)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안착되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돌기(123)가 형성되며, 상기 루어본체(110)의 일측에는 수평대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연결고리홈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루어본체(110)의 타측에는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고정홈부(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121)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126, 127)을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상기 루어본체(110)의 수평이 유지되게 상기 하부몸체(121)에 형성되는 평형수공간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일측에는 상기 루어본체(110)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수납되는 볼(12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볼(129)은 상기 루어본체(110)와의 충격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타측에는 상기 루어본체(110)가 수중에서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부력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배터리(156, 157)는 상기 배터리수납부(153)에 수납되는 양극판(156) 및 음극판(157); 상기 양극판(156)과 상기 음극판(157)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씨비기판(160)은 상기 양극판(156)과 상기 음극판(157)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시켜 상기 집어등(14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루어본체(11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루어본체(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161)는 낚싯줄이 관통되게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는 집어등에 의해 밝은 광원에 의해 어종을 유인할 수 있고, 집어등의 빛을 확산돌기에 의해 보다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에 의해 어종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는 루어본체가 해수 속에 투입됨에 따라 배터리수납부에 해수가 유입되어 집어등을 스위치 등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점등시킬 수 있고, 집어등에 인가되는 2.4V의 전압에 의해 집어등을 종래의 집어등에 비하여 보다 밝고 강한 빛으로 발광시킬 수 있으며, 해수가 채워진 평형수공간부 및 부력체 등에 의해 루어본체를 수평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는 루어본체에 내장된 볼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켜 어종을 유인할 수 있고, 수평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낚싯줄을 강하게 움직여 물고기가 루어본체의 낚아챈 상태를 보다 확연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의 상부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의 하부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에 배터리박스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가 해수에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11)와, 어류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1)가 구비된 루어본체(110), 상기 상부몸체(111)에 설치되는 집어등(140), 상기 집어등(1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루어본체(110)에 설치되는 배터리박스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는 루어본체(110)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박스부재(150) 및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이 이루어져 빛에 반응하는 물고기 또는 어류 등을 유인하며, 루어본체(110)를 해수에 투입시킴에 따라 집어등(140, 도 8 참조)의 점등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루어본체(110)의 내부에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볼(129)을 내장하여 물고기의 먹이와 유사한 음향(또는 소리)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음향에 따라 어류의 유인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루어본체(110)의 내부에는 평형수의 출입에 의해 루어본체(110)를 안정적인 수평 상태로 유지시킴은 물론 루어본체(110) 뒤집힘을 방지하며, 부력체(130) 및 수평지지대(161)에 의해 루어본체(110)가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은 루어본체(110)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루어본체(110)의 평면 입체도이고, 도 1(b)는 루어본체(110)의 저면 입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루어본체(110)는 물고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루어본체(110)는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로 이루어진다.
이들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설치되는 집어등(140)의 불빛이 외부로 노출되게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어본체(110)의 내부에는 집어등(140)이 설치됨은 물론 상기 집어등(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루어본체(110)의 외부에는 수중으로 투입되는 루어본체(110)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평지지대(161)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의 상부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루어본체(110)의 상부몸체(111)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상부몸체(111)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저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1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11)의 상면에는 집어등(140, 도 8 참조)에서 발산되는 빛을 수중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돌기(112)가 형성된다.
이는 집어등(140)에서 발광된 빛을 루어본체(110)의 외부로 강하게 조사되게 하여 빛에 반응하는 어류를 유인하도록 함은 물론 빛을 보다 먼 거리로 조사되게 하고, 집어등(140)의 빛이 폭넓게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상부몸체(111)의 저면에는 하부몸체(121)가 긴밀하게 결합되게 상부안착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1)는 해수의 유입이 방지되게 수밀 상태로 결합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111)에는 집어등(140) 및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설치되게 상부수납부(114)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의 하부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하부몸체(121)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하부몸체(121)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하부몸체(121)의 단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면에는 상부안착홈부(113)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부고정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돌기(122)는 해수가 유입되지 않게 상부몸체(111)의 상부안착홈부(113)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고정돌기(122)의 내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받침돌기(123)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돌기(123)는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안착되도록 하부몸체(12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121)의 저면에는 한 쌍의 유입구멍(124)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멍(124)은 배터리박스부재(150)에 해수가 유입되게 한다. 즉, 상기 유입구멍(124)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수의 유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무패킹 등에 의해 밀폐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루어본체에 사용자가 직접 해수 또는 나트륨이 포함된 물을 넣을 수도 있다.
상기 유입구멍(124)을 통해 유입된 해수는 배터리박스부재(150) 내부로 공급되며, 해수는 마그네슘 전지(156)와 음극판(157)을 연결하는 중간재(158)에 해수가 흡수되어 양 극판(156, 157)을 통전시키는 전해액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해수(또는 나트륨이 포함된 물)가 유입됨으로써 통전은 이루어지나, 루어본체를 해수면 밖으로 꺼집어 낼 경우에도 중간재에 흡소된 해수에 의해 당분간 통전이 지속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멍(124)의 내측에는 배터리박스부재(150)의 결합돌기(154)가 결합되게 연결돌기(12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기(125)는 하부몸체(12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돌기(125)는 배터리박스부재(150)의 내측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21)에는 평형수공간부(128)에 해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출입구멍(126, 12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출입구멍(126)은 하부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출입구멍(127)은 하부몸체(121)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들 제1 출입구멍(126)과 제2 출입구멍(127)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평형수공간부(128) 내부로 해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루어본체(110)를 해수 밖으로 빼내게 되면 평형수공간부(128)에 채워진 해수가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121)에는 해수에 투입된 루어본체(110)가 수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게 함과 함께 루어본체(110)가 뒤집히지 않게 평형수가 채워지는 평형수공간부(128)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형수공간부(128)에는 제1 출입구멍(126) 및 제2 출입구멍(127)을 통해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에 소정량의 해수가 채워짐에 따라 루어본체(110)가 수중에서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에 소정량의 해수가 채워짐에 따라 루어본체(110)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루어본체(110)의 중량 증가에 의해 루어본체(1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루어본체(110)가 조류 등에 의해 뒤집히지 않고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일측에는 볼(129)이 수납되며, 상기 볼(129)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격벽(129a)가 형성된다. 상기 루어본체(110)는 조류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볼(129)은 격벽(129a)에 의해 제한된 공간 내에서 루어본체(110)에 부딪히면서 음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볼(129)은 중량물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루어본체(110)의 크기에 따른 중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볼(129)은 루어본체(110)의 크기에 따른 중량을 조절하며, 소리를 발생시켜 어류를 유인하게 된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볼(129)과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루어본체(110)가 부딪히면서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소리는 새우가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소리와 유사하게 된다. 이에 어류의 먹이인 새우가 있는 것처럼 소리를 발생시켜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일측에는 부력체(13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130)는 스티로폼 등의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129)이 투입된 루어본체(110)의 머리 부분은 해수에 잠기게 되고, 후크(미도시)가 고정되는 루어본체(110)의 꼬리 부분은 부력체(129)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루어본체(110)는 수중에 수평으로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의 일측에는 수평지지대(161)에 연결되게 연결고리홈부(115)가 형성되고, 루어본체(110)의 타측에는 후크(미도시)가 연결되게 후크고정홈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루어본체(110)의 내부에는 집어등(140)을 점등시키는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설치된다.
상기 집어등(140)은 배터리박스부재(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시키며, 상기 집어등(140)은 상부몸체(111)의 상부수납부(114)에 설치된다. 이러한 집어등(140)은 확산돌기(112)에 근접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집어등(140)은 점등에 따른 밝기가 우수한 엘이디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에 배터리박스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는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51), 상기 고정플레이트(151)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52), 상기 수납케이스(152)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수납부(153),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상면에 결합되는 케이스덮개(159) 및 배터리의 전원을 점등시키는 피씨비기판(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51)는 상부몸체(111)와 하부몸체(121) 사이에 설치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51)의 하부에는 수납케이스(15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케이스(152)에는 배터리(156, 157)를 수납할 수 있게 배터리수납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수납부(153)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수납부(153)에는 각각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양극판(156)과 구리로 이루어진 음극판(157)이 수납되며, 이들 한 쌍의 양극판(156)과 음극판(157)은 각각 1.2V의 전압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이루어진 배터리수납부(153)에는 각각 양극판(156) 및 음극판(157)이 수납되므로, 상기 집어등(140)에는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156, 157)에 의해 2.4V의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저면에는 연결돌기(125)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5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54)에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양극판(156)과 구리로 이루어진 음극판(157)을 전기적으로 통전시키는 해수가 유입되게 물유입구멍(15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양극판(156)과 음극판(157) 사이에는 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중간재(158)가 설치되며, 상기 중간재(158)는 물유입구멍(155)을 통해 유입된 해수가 흡수되어 소금이 용해되면서 전해액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루어본체(110)를 꺼내게 되면, 상기 중간재(158)에 흡수된 해수가 건조됨에 따라 양극판(156)과 음극판(157)이 차단되어 집어등(140)을 소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152)에는 상부몸체(111)의 내부로 해수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케이스덮개(159)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덮개(159)는 집어등(140)이 설치된 상부몸체(111)에 해수의 유입이 차단되게 수납케이스(152)에 밀폐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덮개(159)의 상면에는 배터리(156, 157)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원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피씨비기판(160)이 설치되고, 상기 피씨비기판(160)은 집어등(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56, 157)의 전원을 인가하여 집어등(140)을 점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루어본체(110)의 외측에는 루어본체(110)가 수평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지지대(161)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16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낚시줄이 관통되게 설치되게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어본체가 해수에 투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낚싯줄(162)에 연결된 루어본체(110)의 단면도이고, 도 9(a)는 낚싯줄(162)에 연결된 루어본체(110)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의 배터리수납부(153)에는 각각 양극판(156)과 음극판(157)으로 이루어진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양극판(156)과 음극판(157)은 각각 1.2V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한 쌍의 배터리수납부(153)에 수납된 배터리(156, 157)는 피씨비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씨비기판(156, 157)은 각각의 배터리(156, 157)와 직렬로 연결되어 집어등(140)에 2.4V의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피씨비기판(160)은 집어등(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집어등(140)은 상부몸체(111)의 상부수납부(114) 내에 설치된다.
또 상기 하부몸체(121)에는 평형수공간부(128) 내에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제1 출입구멍(126) 및 제2 출입구멍(127)을 형성하며,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일측에는 루어본체(110)와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키는 볼(129)이 설치된다.
또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타측에는 루어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부력체(13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루어본체(110)의 일측에는 루어본체(11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수평지지대(161)가 설치되며, 상기 루어본체(110)의 연결고리홈부(115)에는 낚싯줄 또는 연결고리(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후크고정홈부(116)에는 후크(미도시)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집어등(14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부몸체(121)의 내부에는 유입구멍(124) 및 물유입구멍(155)을 통해 해수가 채워지며, 해수가 채워진 루어본체(110)의 유입구멍(124)은 패킹(미도시)에 의해 밀폐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루어본체(110)는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물유입구멍(155)을 통해 평형수공간부(128)에 해수가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루어본체(110)는 낚싯줄(161)에 결속된 상태에서 수중에 투입되고, 유입구멍(124) 및 물유입구멍(155)을 통해 배터리수납부(153) 내에 해수가 유입된다.
이에 상기 배터리수납부(155) 내에 설치된 양극판(156)과 음극판(157)은 물유입구멍(155)을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156, 157)의 전원은 피씨비기판(160)에 공급된다.
이와 갈이 피씨비기판(160)에 공급된 전원은 집어등(140)을 점등시키게 된다.
상기 집어등(140)에서 발광된 빛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루어본체(110)의 외측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빛에 의해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을 유인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확산돌기(112)는 상부몸체(111)의 외측으로 빛을 확산시켜 낚시하고자 하는 어종을 유인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씨비기판(160)에는 배터리(156, 157)에서 1.2V의 전원이 연결되고, 이들 한 쌍의 배터리(156, 157) 전원이 직렬로 연결되어 집어등(140)에 2.4V의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집어등(140)은 종래의 캐미라이트 또는 집어등에 비하여 밝은 광원의 빛을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집어등에 비하여 대략 2배 이상의 광원의 빛이 조사된다.
이러한 빛에 반응하는 어종을 보다 양호하게 유인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낚시의 성공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출입구멍(126, 127)을 통해 해수가 평형수공간부(128)에 채워짐에 따라 루어본체(110)를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고, 조류에 의한 루어본체(110)의 뒤집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루어본체(110)의 내부에 투입된 볼(129)은 루어본체(110)와 부딪히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어류의 먹이가 내는 소리와 유사한 음향을 발생시켜 어류의 유인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루어본체(110)에 의한 어류의 유인 뿐만 아니라 소리에 의한 어류를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지지대(161)는 수중에 수직으로 투입되며, 수평지지대(161)에 근접한 루어본체(110)를 수평으로 유지함과 함께 부력체(130)에 의해 루어본체(110)를 보다 안정적인 수평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낚시 어종은 루어본체(110)를 건드리게 됨에 따라 낚시줄(162)을 움직이게 되고, 이에 루어본체(110)는 낚싯줄(161)의 움직임을 보다 강하게 움직여 루어본체(110)에 어종이 낚인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루어본체 111: 상부몸체
112: 확산돌기 113: 상부안착홈부
114: 상부수납부 115: 연결고리홈부
116: 후크고정홈부
121: 하부몸체 122: 상부고정돌기
123: 받침돌기 124: 유입구멍
125: 연결돌기 126: 제1 출입구멍
127: 제2 출입구멍 128: 평형수공간부
129: 볼 129a: 격벽
130: 부력체 140: 집어등
150: 배터리박스부재 151: 고정플레이트
152: 수납케이스 153: 배터리수납부
154: 결합돌기 155: 물유입구멍
156: 양극판 157: 음극판
158: 중간재 159: 케이스덮개
160: 피씨비기판 161: 수평지지대
162: 낚싯줄

Claims (13)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체(111)와, 어류의 형상을 갖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111)에 결합되는 하부몸체(121)가 구비된 루어본체(110);
    상기 상부몸체(111)에 설치되는 집어등(140);
    상기 집어등(1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루어본체(110)에 설치되는 배터리박스부재(150);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는 상기 루어본체(110)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51);
    상기 고정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수납케이스(152);
    상기 수납케이스(152)에 배터리가 수납되게 형성되는 배터리수납부(153);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54);
    상기 배터리수납부(153)로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결합돌기(154)에 형성되는 물유입구멍(155);
    상기 배터리수납부(153)에 수납되는 배터리(156, 157);
    상기 수납케이스(152)의 상면에 밀봉되는 케이스덮개(159); 및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피씨비기판(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에 수납된 배터리의 전원은 상기 하부몸체(121)를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상기 집어등(140)에 공급되어 상기 집어등(14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21)는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에 해수가 유입되게 결합돌기(154)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124);
    상기 하부몸체(121)의 내측에 형성된 평형수공간부(128)에 해수가 출입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126, 1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1)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몸체(121)가 안착되게 상부안착홈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21)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안착홈부(113)의 내측에 결합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고정돌기(122)와, 상기 상부고정돌기(122)의 하부에 상기 배터리박스부재(150)가 안착되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받침돌기(123)가 형성되며,
    상기 루어본체(110)의 일측에는 수평대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연결고리홈부(115)가 형성되고,
    상기 루어본체(110)의 타측에는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고정홈부(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21)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126, 127)을 통해 유입된 해수에 의해 상기 루어본체(110)의 수평이 유지되게 상기 하부몸체(121)에 형성되는 평형수공간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일측에는 상기 루어본체(110)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수납되는 볼(129);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볼(129)은 상기 루어본체(110)와의 충격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수공간부(128)의 타측에는 상기 루어본체(110)가 수중에서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부력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56, 157)는 상기 배터리수납부(153)에 수납되는 양극판(156) 및 음극판(157);
    상기 양극판(156)과 상기 음극판(157)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재(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기판(160)은 상기 양극판(156)과 상기 음극판(157)을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시켜 상기 집어등(140)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어본체(11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루어본체(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61)는 낚싯줄이 관통되게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루어.
KR1020200016019A 2020-02-11 2020-02-11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KR102138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19A KR102138655B1 (ko) 2020-02-11 2020-02-11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019A KR102138655B1 (ko) 2020-02-11 2020-02-11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655B1 true KR102138655B1 (ko) 2020-07-28

Family

ID=7183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019A KR102138655B1 (ko) 2020-02-11 2020-02-11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208A (ko) * 2020-10-30 2022-05-09 김용광 자동 절연기능을 갖는 집어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924A (ja) * 1988-03-04 1990-03-20 Bhaskara M L Rao 照明魚釣りルアー及び該ルアー用バッテリー
JPH10127210A (ja) * 1996-10-29 1998-05-19 Shunsuke Yamanoi ルアー
KR200390216Y1 (ko) * 2005-05-06 2005-07-20 안원균 낚시용 가지선 연결구
KR20070091591A (ko) * 2007-08-22 2007-09-11 성낙언 낚시용 구멍찌
KR20180003292U (ko) 2017-05-15 2018-11-23 (주)세이프랩 조명부가 구비된 루어
KR20190000756U (ko) 2017-09-15 2019-03-25 덕왕 현 빌리안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924A (ja) * 1988-03-04 1990-03-20 Bhaskara M L Rao 照明魚釣りルアー及び該ルアー用バッテリー
US4959919A (en) * 1988-03-04 1990-10-02 Alupower, Inc. Illuminated fishing lure and battery therefor
JPH10127210A (ja) * 1996-10-29 1998-05-19 Shunsuke Yamanoi ルアー
KR200390216Y1 (ko) * 2005-05-06 2005-07-20 안원균 낚시용 가지선 연결구
KR20070091591A (ko) * 2007-08-22 2007-09-11 성낙언 낚시용 구멍찌
KR20180003292U (ko) 2017-05-15 2018-11-23 (주)세이프랩 조명부가 구비된 루어
KR20190000756U (ko) 2017-09-15 2019-03-25 덕왕 현 빌리안 집어등과 반사부를 가진 낚시용 루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208A (ko) * 2020-10-30 2022-05-09 김용광 자동 절연기능을 갖는 집어등
KR102525202B1 (ko) 2020-10-30 2023-04-24 김용광 자동 절연기능을 갖는 집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CN101406170B (zh) 海面led灯光诱捕渔笼
US7562489B2 (en) Light emitting fishing lure which releases scent, emits sound and generates electricity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US3510978A (en) Fish-attracting device
CA2244736A1 (en) Lure
ES2629160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y método para potenciar el crecimiento de animales acuáticos
US20090025271A1 (en) Illuminated submersible bait apparatus
US20110099882A1 (en) Illuminated lures
KR101159025B1 (ko) 어신감지용 전자찌
US6796077B1 (en) Illuminative fishing lure with hook/weed guard circuit switch
KR102138655B1 (ko) 수평 유지 및 집어등이 내장된 낚시용 루어
CN104996383A (zh) 一种太阳能诱虫喂鱼船
KR102425566B1 (ko) 낚시용 인조미끼
JP2016185113A (ja) 魚類捕獲装置、魚類捕獲方法および魚類捕獲装用運搬船
KR101685875B1 (ko) 갈치 끌낚시용 led 수중집어등
JP2009278953A (ja) 疑似餌と該疑似餌を使用した延縄用漁具
EP1741335A1 (en) Artificial bait for cephalopods
JP5253314B2 (ja) マグロの飼育、保管または輸送方法
WO2002089568A1 (en) Laser light lure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CN214015605U (zh) 一种具有摇摆功能的假鱼饵
KR102261100B1 (ko) 낚시용 루어
KR102234262B1 (ko) 해류에 능동적 대응하는 수중 집어등
JP3151178U (ja) 擬似餌用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