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321A1 -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 Google Patents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5321A1
WO2019245321A1 PCT/KR2019/007504 KR2019007504W WO2019245321A1 WO 2019245321 A1 WO2019245321 A1 WO 2019245321A1 KR 2019007504 W KR2019007504 W KR 2019007504W WO 2019245321 A1 WO2019245321 A1 WO 20192453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
fishery
receiving space
fish b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5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태화
Original Assignee
권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21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517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87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55288A/ko
Application filed by 권태화 filed Critical 권태화
Publication of WO20192453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53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 cake detection fishing bobber using a tilt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equipped with a tilt sensor inside the fishing bobber and detects it when it occurs in the tilt of the fishing bobber by mouth quality and displays it through light or sound to an external user. It is to be do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sensing fishing bobber that can be applied to both sea fishing or freshwater fishing, when a change in the tension of the fishing line occurs due to the proper combination of buoyancy, sedimentation and external force by the fishing line, the rotational movement occurs in the fishing bobber. At this time, you will detect the fish.
  • the fish touches or eats a fish hook placed in the water or a bait inserted therein, and is called a 'gull', and after the grind, the user pulls the fishing rod or the fishing line and hooks the fish to the fish's snout. This is called 'chamber'.
  • a common fishing bobber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uoyancy portion is formed therein, and a portion of the fishing bobber is exposed on the surface in an upright state, and the angler keeps an eye on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exposed to the surface during fishing. Check the mouth according to the movement.
  • the anglers have to keep an eye on the movement of the fishing bobber during the fishing time, which is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the fisherman's blood load, boredom, etc. .
  • fishery refers to a movement transmitted to a fishing rod by steaming when a fish grinds on a bait.
  • the fishery detector detects this movement when it occurs.
  • an inclination sensor and an alarm means and configured to notify the fisherman through the alarm means when the inclination sensor enters the operating range.
  • Korean Patent No. 10-1440776 registered on September 5, 2014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2938 published on Apr. 2, 2018
  •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2938
  • 'fish fishing detectors Korean Patent No. 10-2018-0032938
  • ' 'And' electronic chemistry and a fishery de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 the fishery detector of [Document 1] it is loosely disposed in a state coupled to a fishing ro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uth quality is not properly delivered in a loosely arranged state.
  • the documents [1] and [2] are not reliable because they do not react sensitively to the granules due to the complicated mechanical configuration, the complex mechanical configuration leads to a rise in the manufacturing cost, thereby purchasing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ce competitiveness is low because i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urchase cos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detection of the mouth of the bobber used to detect the mouth (fish) of the fish to display it through the light or sound of the bobber to miss the mouth of the us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 cake detection fish with a fish food detection function.
  • the inner body is made of an empty body an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shing line coupling ring, and for detecting the mouth of the fish
  • a warning transmitter which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a preset user terminal when detecting a mouth quality through the fishery detector
  • the fishery detector comprises: a fixed terminal fixedly dispos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terminal which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 the alarm transmitter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 the LED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substrate
  •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and L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CB board and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the LED, the battery to supply power to the PCB board and the fixed terminal is mounted.
  • the fishing line coupling r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ed ring and at least one fixedly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 movable ring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 the fixed terminal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air is disposed in a spaced apart position
  •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mall metal balls.
  •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by the tube made of a buoyant material to detect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by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to generate a signal as It can provide fishing bobber with tilt sensor applied.
  • the inclination sensor is provided in a V-shape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both environments despite differences in fishing environments in sea fishing and freshwater fishing.
  • the fish's mouth When the fish's mouth is precisely detected, it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the user's terminal and simultaneously notifies the outside through light or sound, so as not to miss the mouth, thereby increasing the fun of fishing.
  • the hook portion connecting the fishing line is provided outside the bobbin case, so that the weight and center position of the body can be easily adjusted a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the sensitivity control according to the mouth strength of the target fish species and the movement of the water surface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It can be changed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has increased advantage.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shery fishing tack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 Figure 3a and 3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fishery fish fishing tack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shery sense fishing b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shery sense fishing tack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embodiments of a fixe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a and 7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using the fishery fish fishing bobbi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reshwater fishing.
  • FIG. 8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shery detection fishing fish arranged in a V-shaped fishery monitor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shery sensor 1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body is formed therein and the tubular body 10 is closed at both ends, the fixed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respectively.
  • the mobile terminal moves to the fixed terminal so that energization is performed, thereby generating a granular notification signal.
  • Fishing bobber includes an alarm sending unit 30 for provid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fishery sensor 10 and the fishery generated thereby.
  • the tubular body 10 is configured in the fishery detection sensor therein, and provi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 At least on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t least on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 a buoyancy sphere 12 is dispose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buoyancy.
  • the body 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made of an empty tubular body, the accommodation space 13 is provided, and as a material that can provide buoyancy, at least one side is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LED 32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light irradiated from to be transmitted.
  •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forms, as shown in Figure 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as shown in Figure 4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to one sid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V' as a whole, or may be bent in a semicircle at the center as shown in FIG. 5A, or may be generally circular as shown in FIG. 5B, or FIG. 5C. As shown in the figure can be triangular overall.
  • the body is made in a variety of ways as described above to be used according to the fish species of interest or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 th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is used to couple the body 10 to the fishing lin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is fixed to the fixed ring 111 is disposed at a position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movable ring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112).
  • the fixed ring 1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integr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ures 1 to 3, preferably a pair of fixed ring 111 is arranged to be mutually symmetrical There is a fishing line main line 210 is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is coupled, the fixed ring 111 of the other side is a fishing line fishing line 220 is connected to a fishing needle or bonbon.
  • the movable ring 112 is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it is dispose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movable ring 11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oupled to the body 10.
  • the movable ring 112 is a ring used when additionally combining the weight or buoyancy float, or when combin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other fishing gear, and is made of a ⁇ -shaped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a plurality of the body if necessary I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movement and removable.
  • the buoyancy sphere 12 is provided to float the body 10 to the surface, is arranged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having a buoyancy (resin) synthetic resin material, reeds, foam styrofoam, cane or tail of annual work It can be made from a quill and the like.
  • a buoyancy (resin) synthetic resin material reeds, foam styrofoam, cane or tail of annual work It can be made from a quill and the like.
  • the buoyancy sphere 12 is at least one or more coupled to be mov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for this purpose, the buoyancy sphere 12 is made in the form of a horseshoe with one side opened and the body 10 through the open end After coupling to the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n,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ensitivity to move the body 10 according to the target fish speci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10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sphere 12.
  • the fishery detection unit 20 for detecting this when the mouth of the fish occurs,
  • the fixed terminal 21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pair of electrodes are disposed in a spaced apart position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2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the fixed terminal 21 of the electrod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do.
  • the fixed terminal 21 is continuously powered through the battery 34 and the pair of terminals are arrang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fixed terminal 21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as shown in (a) of FIG. 7, one of which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the other is formed in an annular ring shape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It may be arranged to abut, and as shown in (b) of FIG. 7, the flat plate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r as shown in (c) of FIG. 7, one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and the other is annular Consists of a ring shape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 the mobile terminal 2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ll having a diameter that may b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fixed terminals 21 at the same time.
  • the fixed terminal 21 is continuously supplied with electricity through the battery 34 included in the alarm transmitter 30 described later.
  • the mobile terminal 22 is disposed to be movable in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body 1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de in the form of a ball (ball) can be in contact with a pair of fixed terminals 21 at the same time Is done.
  • the mobile terminal 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balls having a small diameter as shown in Figures 3 and 7 or in the form of a single ball of relatively large diameter, which is fixed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form of (21).
  • the mobile terminal 22 is formed of a plurality of metal balls having a small diameter because the pair of fixed terminals 21 can be easily communicated with each metal ball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body 10 is changed in angle by the mouth of the fish,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2 and the fixed terminal 21, which causes the pair of fixed terminals 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ut is not made precisely because of the break.
  • the mobile terminal can move to the fixed terminal side, where the mobile terminal consists of a single metal ball of the body by the wave.
  • the alarm transmitter 30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the external or preset user terminal, which is detected by the fishery detector 20, and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 of the body 10. And a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1, an LED 32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body 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substrate 33,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1 and the LED 32. It includes a PCB board 33 mounted with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and a battery 3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fixed terminal 21 described above.
  •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1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a preset user terminal when detecting the quality of the mouth while being controlled by the PCB board 33.
  • a Bluetooth module which i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may be used. Beacons that can be operated at distances up to 50 meters are available, and there is no FM frequency limit.
  • the user terminal may be mutually recognized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31,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a notebook, and the like, and the wearable means may use a smart watch. That is, it is possible to use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not limited to the smartphone shown in the figure.
  • the LED 32 which is controlled by the PCB substrate 33 and irradiates the light to the outside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granulation,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light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battery 34.
  • Figure 3a shows a state of waiting, the fish body detector 1 by the body 10 and the buoyancy sphere 12 is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water in the state of waiting, at this time fishing line 210 And fishing line 220 disposed in the water is connected to each.
  • the mobile terminal 22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body 10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ed terminal 21.
  • the fishing line 220 is connected to the side where the fixed terminal 21 is disposed.
  • 3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fish bites the bait caught in the fish hook, and when the fish bites the fish, when the fish bites the bait and dives deeper into the water, the fishing line 220 connected to the fish hook is pulled together, and thus the body ( 10) rotate.
  • the mobile terminal 22 movably disposed inside the body 10 moves toward the fixed terminal 21 to communicate the fixed terminal 21, and through this, the alarm transmitter 30 transmits the radio signal transmitter 31. ) And the LED 32 to inform the user that a fishery has occurred.
  • Figure 3 is generally used in the case of sea fishing, because the fish inhabiting the sea has a nature to dive deeper after biting the bait.
  • the fishing line 220 and the fishing line 220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is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arranged on the side waiting for the mobile terminal 22 in the body 10, the fishing line 220 is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See Fig. 7a), when the fish is injured after biting the bait rotates the body 10, thereby moving the mobile terminal 22 to the fixed terminal 21 side (see Fig. 7b) after the alarm transmitter 30 ) Transmits a wireless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to the outside that the fishery is detected through the LED (32).
  • Figure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sh-eye detectio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in the V-shaped fishing bobber inside the fishing bobber can be used in both sea fishing and freshwater fishing.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10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the receiving space 13 inside the body 10, the inclination sensor 20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mouth of the fish;
  • the inclination sensor 20 may include a fixed terminal 21 of a conductive material fixedly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t least one pair of electrodes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 of the body 10, and the body 10 of the body 10.
  • the energization is made to the pair of fixed terminals 21 by the ball, preferably the inclination sensor is at least A pair is arranged in a V-shape, respectively, the fixed terminal 21 is a fishery detection fishing bob located in both upper directions.
  • a plurality of connecting rings 11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 magnet guide 320 provided below the body and an annular magnet 310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magnet guide, wherein the magnet is moved along the magnet guide to move closer to the moving terminal of the tilt sensor. It has a switch function while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tilt sensor by adjusting the distance.
  • the fishing line coupling ring 11 is used to couple the body 10 to the fishing lin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preferably disposed on both sides to be mutually symmetrical.
  • one tilt sensor 20 is disposed inclined to the left in the crucian carp fishing bobber shown in Figures 8 and 9, the other tilt sensor 20 is tilted to the right to form a V-shape Is placed.
  • One inclination sensor 20 is a sensor connected when the fishing line is pulled by the mouth of the fish
  • the other inclination sensor 20 is a sensor connected when the fishing line is loosened by the mouth of the fish.
  • the power switch is disposed in each of the two inclination sensor 20 in the carp fishing, by turning off the power of one inclination sensor 20, only the other inclination sensor 20 to operate, the general quality of mouth notification bobber Can be used as:
  • the switch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a power switch, and in order to overcome waterproofing, the magnet 31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10 to be operat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310.
  • the ball 22, which is the moving terminal located inside the inclination sensor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ttached to a magnet, and the body part 10 in an adjacent position on the opposite end where the fixed terminal 21 is located in the inclination sensor 20. Outside), the magnet shaft 320 is disposed, the magnet guide 320 is fluidly coupled through the through-hol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annular magnet 310.
  • the ball 22 located inside the tilt sensor 20 is mov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310. Pulled to the side 310, the power is turned off, the conductive ball 22 is not moved due to the attraction of the magnet 310, even if the body portion 10 is tilted, the tilt sensor 20 is not operated .
  • Tilt sensor 20 When the magnet 31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attraction force of the magnet 310 does not affect the ball 22 inside the tilt sensor 20, the ball 22 inside the tilt sensor 20 moves freely, Tilt sensor 20 is activ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찌에 입질 감지시 이를 찌의 외부로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하며 동시에 기 설정된 사용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입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가 구비된 몸체와,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와, 상기 어신감지부를 통해 입질 감지시 이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본 발명은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찌 내부에 기울기센서를 장착하고 입질에 의해서 낚시찌의 기울어짐에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다낚시 또는 민물낚시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어신감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서 부력과 침력 그리고 낚싯줄에 의한 외력의 적절한 배합에 의해서 낚싯줄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하면 낚시찌에 회전운동이 발생되며, 이 때에 어신감지를 하게 된다.
낚시는 취미와 휴식의 일환으로 자연속의 휴식을 즐기면서도 물고기를 낚는 재미가 더해져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즐기는 대중적인 취미로써, 이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추세이다.
이러한 낚시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수중에 배치된 낚시 바늘 또는 여기에 끼워진 미끼를 물고기가 건드리거나 먹는 것을 '입질'이라 하고, 입질 이후 사용자가 낚시대 또는 낚시줄을 당겨서 낚시 바늘을 물고기의 주둥이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챔질'이라고 한다.
여기서 입질은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서 낚시 초보자와 숙련자를 구분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데, 이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끼워진 미끼 또는 인공미끼를 건드리는 상황을 감지해야만 이후의 챔질과 릴링(낚시줄을 감는 동작)으로 이루어져 물고기를 낚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질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미끼만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되고, 실제 입질이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입질이 있는 것으로 착각하여 챔질을 하게 되면 미끼로 유인되던 물고기가 도망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질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 낚시를 하는 낚시꾼은 낚시줄, 낚시대 또는 낚시줄에 연결된 낚시찌를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한다.
특히, 낚시 찌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입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 뿐만 아니라 숙련자도 사용하는 낚시용 도구이다.
일반적인 낚시 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부력부가 형성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수면위로 일부가 노출되며, 낚시꾼은 낚시를 하는 동안 수면위로 노출된 낚시 찌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주시하여 낚시 찌의 움직임에 따라 입질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낚시꾼은 낚시를 하는 시간 동안 낚시 찌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낚시꾼의 피로드 증가, 지루함 등이 동반되어 낚시의 재미가 떨어지며 입문자, 초보자의 경우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낚시 찌는 단순히 수면 위에 노출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동작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스팅(낚시 바늘을 일정한 위치로 던지는 것)이 낚시꾼으로부터 먼 거리에 이루어지는 경우 낚시 찌의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없고, 바다 낚시의 경우 파도에 의해 낚시 찌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안된 기술로는 입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소리나 빛 등으로 외부로 표시하거나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낚시꾼에게 알려주는 어신감지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어신이란,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할 때 찌나 낚싯대에 전달되는 움직임을 말하는 것으로, 어신감지기는 이러한 움직임이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기울기 센서 및 경보 수단을 포함하고, 기울기 센서가 작동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경보 수단을 통해 어신을 알려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문헌 1의 한국등록특허 제10-1440776호(2014.09.05., 등록)와 문헌 2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2938호(2018.04.02., 공개)에는 각각 '낚시용 어신감지기'와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문헌1]의 어신감지기의 경우 낚시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느슨하게 배치되는데, 느슨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입질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하여 기울기 센서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2의 어신감지시스템은 실제적으로 어떻게 어신을 감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
특히, 상기 [문헌1] 및 [문헌2]는 복잡한 기구적 구성으로 인하여 입질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지고, 복잡한 기구적 구성은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구매하는 구매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물고기의 입질(어신)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찌에 입질 감지시 이를 찌의 외부로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어신감지기능을 부가한 어신감지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낚싯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던 어신감지기로는 사용이 불가능했던 갯바위 낚시, 붕어 바닥 낚시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높인 어신감지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가 구비된 몸체와,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와, 상기 어신감지부를 통해 입질 감지시 이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발신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무선신호발신기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와, 상기 무선신호발신기 및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PCB기판 및 상기 무선신호발신기와, 상기 LED와, 상기 PCB기판 및 상기 고정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고리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단자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단자는 다수개의 작은 금속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튜브에 의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단자와 이동단자에 의해서 기울기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기울기센서가 적용된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부력을 제공하는 찌케이스 내부에 기울기센서를 V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바다낚시와 민물낚시에 있어서 낚시환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환경에서 모두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빛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입질을 놓치지 않도록 하여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줄을 연결하는 고리부가 찌케이스 외부에 마련되어서 대상 어종의 입질 강도에 따른 민감도 조절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수면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몸체의 무게 및 중심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낚시찌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낚시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낚시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낚시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단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어신감지낚시찌를 민물낚시에 활용한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어신감시센서가 V자형으로 배치된 어신감지낚시찌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먼저, 본 발명을 위한 어신감지센서(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이 밀폐된 튜브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고정단자와 이동단자가 각각 구비되어서 기울기에 따라서 이동단자가 고정단자로 이동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입질알림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어신감지센서는 낚시찌와 같은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 그 자체로 낚시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낚시찌는 상기 어신감지센서(10)와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어신를 통해서 사용자에 알림을 제공하는 경보발신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의 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어신감지센서를 구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11)와,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부력(浮力)을 형성하는 부력구(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3)이 구비되며,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로서, 적어도 어느 일측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LED(32)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일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반원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거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낚시 중 대상 어종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낚시줄에 몸체(10)를 결합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몸체(10)의 외면에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형 고리(111)와, 몸체(1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형 고리(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형 고리(11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체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일측의 고정형 고리(111)에는 낚시대와 연결된 낚시줄 원줄(210)이 결합되며, 타측의 고정형 고리(111)에는 낚시바늘 또는 봉돌과 연결된 낚시줄 낚시줄(22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이동형 고리(112)는 몸체(1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몸체(10)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된다. 상기 이동형 고리(11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몸체(10)에 결합된다. 이동형 고리(112)는 무게추 또는 부력찌를 추가로 결합하거나, 다른 낚시채비에 본 발명을 결합할 때에 사용되는 고리이며, 실리콘 등 신축성 소재로 ○자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가 몸체(10)의 외부에 결합되며, 위치 이동과 탈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부력구(12)는 몸체(10)를 수면에 띄우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몸체(10)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며 부력(浮力)을 가진 합성수지재, 갈대, 발포스티로폼, 수수깡 또는 일년생 공작의 꼬리 깃 등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구(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몸체(10)의 외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부력구(12)는 일측이 개구된 말굽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단부를 통해 몸체(10)에 결합한 후 탄성 복원력을 통해 몸체(10)의 외면에 밀착한다. 이후 대상 어종에 따라 몸체(10)가 움직이는 민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부력구(12)의 위치를 조절하여 몸체(1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어신감지부(20)는, 물고기의 입질 발생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단자(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자(21)는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 전극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단자(22)가 접촉하여 전극으로 된 고정단자(21)를 상호 연통시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단자(21)는 배터리(34)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한 쌍의 단자는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단자(21)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는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환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의 내벽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는 돌기 형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환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이동단자(22)가 한 쌍의 고정단자(21)에 동시에 맞닿을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단자(21)는 후술하는 경보발신부(30)에 포함된 배터리(34)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된다.
상기 이동단자(22)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볼(ball)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고정단자(21)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단자(22)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볼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나의 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21)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자(22)를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금속볼로 형성하는 것은 각각의 금속볼이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단자(21)를 연통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몸체(10)가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때 이동단자(22)와 고정단자(21)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한 쌍의 고정단자(21)가 전기적인 연결이 끊기게 되어 입질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람에 의한 수면의 움직임(파도)이 심한 경우 몸체(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이동단자가 고정단자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이동단자가 하나의 금속볼로 구성되는 경우 파도에 의한 몸체의 기울어짐을 입질로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인 및 혼동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금속볼을 이동단자(22)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기에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술한 부력구(12)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보발신부(30)는, 상기 어신감지부(20)에서 감지한 입질을 외부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PCB기판(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32)와,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 및 LED(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PCB기판(33) 및 상기 구성 및 상술한 고정단자(2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는 PCB기판(33)에 의해 제어되면서 입질 감지시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인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최대 50미터 거리에서 작동 가능한 비콘(beacon)이 사용 가능하며, FM 주파수 제한이 없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호 인식 및 연결된 것으로 일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수단이 스마트 워치도 사용 가능하다. 즉, 무선 통신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LED(32)는, PCB기판(33)에 의해 제어되면서 입질 감지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것으로, 배터리(34)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는 대기 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몸체(10) 및 부력구(12)에 의해 어신감지기(1)는 수면에 일부가 부유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때 낚시줄의 원줄(210)과 수중에 배치되는 낚시줄(220)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된 이동단자(22)는 고정단자(21)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낚시줄(220)은 고정단자(21)가 배치되는 측에 연결된다.
도 3b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린 미끼를 물어 입질이 발생한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수중으로 더 깊이 잠수하게 되면 낚시 바늘과 연결된 낚시줄(220)이 같이 당겨지고 이로 인해 몸체(10)는 회전한다.
따라서, 몸체(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단자(22)가 고정단자(21)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단자(21)를 연통 시키고 이를 통해 경보발신부(30)는 무선신호발신기(31) 및 LED(32)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어신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도 3은 일반적으로 바다 찌낚시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바다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경우 미끼를 물고 나서 더 깊은 수심으로 잠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민물 낚시의 대상 어종 중 하나인 붕어의 경우 미끼를 물고 나서 오히려 부상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어신감지기를 붕어 낚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낚시 바늘이 연결된 낚시줄(220) 및 낚시대와 연결된 원줄(210)을 몸체(10)에서 이동단자(22)가 대기하는 측에 배치된 낚시줄 결합용 고리(11)에 결합한 상태로 대기하고(도 7a 참조), 물고기가 미끼를 문 후 부상하면 몸체(10)를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이동단자(22)가 고정단자(21)측으로 이동된다.(도 7b 참조) 이후 경보발신부(30)를 통해 무선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LED(32)를 통해 어신이 감지되었음을 외부로 표시한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어신감지센서를 V자형으로 낚시찌 내부에 배치하여 바다낚시와 민물낚에서 모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원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3)에는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울기센서(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 일측에 적어도 한쌍의 전극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전도성 소재의 고정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상기 몸체의 기울기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성 볼(22)로 이루어져, 상기 볼에 의해서 한 쌍의 고정단자(21)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기센서는 적어도 한쌍이 V자형으로 각각 배치되되, 고정단자(21)는 양쪽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어신감지낚시찌이다.
바람직하게, 몸체부(100)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 복수 개의 연결고리(11);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된 자석가이드(320)와 상기 자석가이드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고리형 자석(310);을 포함하여, 상기 자석이 자석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기울기센서의 이동단자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조절하여 기울기센서의 통전을 제어하면서 스위치기능을 갖는다.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낚시줄에 몸체(10)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호 대칭되도록 양측에 배치된다.
부연설명하면, 도 8, 9에 도시된 어신감지 낚시찌는 붕어 낚시용에서 한 개의 기울기센서(20)는 왼쪽으로 기울어져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기울기센서(20)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서 V자 형태로 배치된다. 하나의 기울기센서(20)는 물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이 당겨질 때에 접속되는 센서이고, 다른 하나의 기울기센서(20)는 물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낚싯줄이 느슨해질 때에 접속되는 센서이다.
또한 붕어 낚시용에서 두 개의 기울기센서(20)에 각각 전원스위치가 배치되어, 하나의 기울기센서(20)의 전원을 끄고, 나머지 하나의 기울기센서(20)만 작동되게 함으로서, 일반용 입질 알림용 찌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부(300)는 전원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며, 방수를 극복하기 위하여, 몸체부(10) 외부에 자석(310)이 배치되어 자석(310)의 인력에 의하여 작동되게 하였다. 기울기센서(20) 내부에 위치한 상기의 이동단자인 볼(22)은 자석에 붙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기울기센서(20)에서 고정단자(21)가 위치한 반대쪽 끝단에, 인접한 위치의 몸체부(10) 외부에, 자석축(320)이 배치되고, 자석가이드(320)이 고리형 자석(310)의 가운데에 배치된 통공에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기울기센서(20)의 고정단자(21)가 없는 끝단 쪽에 근접한 지점에, 자석(310)이 위치할 때, 기울기센서(20) 내부에 위치한 볼(22)이 자석(310)의 인력에 의하여 자석(310) 쪽에 당겨지고, 이 때 전원은 꺼진 상태로 되며, 몸체부(10)가 기울어져도 전도성 볼(22)는 자석(310)의 인력 때문에 이동되지 않으며, 기울기센서(20)는 작동되지 않는다.
기울기센서(20) 내부의 볼(22)에 자석(310)의 인력이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위치에, 자석(310)이 위치되면, 기울기센서(20) 내부의 볼(22)는 자유롭게 이동되며, 기울기센서(20)는 작동된다.
본원 발명의 어신감지센서가 구비된 입질알림 낚시찌는 대상어종과 무관하게, 바다낚시 뿐만 아니라, 붕어 바닥 낚시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8)

  1.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고, 밀폐된 양단 을 구비한 튜브형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는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 일측에 적어도 한쌍의 전극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전도성 소재의 고정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상기 몸체의 기울기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성 볼의 이동단자(22)로 이루어져, 이동단자에 의해서 한쌍의 고정단자에 통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입질알림신호를 발생하는 어신감지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고, 밀폐된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낚시줄 결합용 고리(11)가 구비된 어신감지낚시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부력(浮力)을 형성하는 부력구(12);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이동형 고리(112)를 포함하는 어신감지낚시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자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작은 전도성 볼인 어신감지낚시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몸체(10)의 외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부력구(12)는 일측이 개구된 말굽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단부를 통해 몸체(10)에 결합된 후, 대상 어종에 따라 몸체(10)가 움직이는 민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부력구(12)의 위치를 조절하여 몸체(1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는 어신감지낚시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신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어신감지부로부터 발생된 어신을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어신감지낚시찌.
  7.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의 수용공간(13)에는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기울기센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울기센서(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 일측에 적어도 한쌍의 전극이 이격된 위치에 고정 배치되는 전도성 소재의 고정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상기 몸체의 기울기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성 볼의 이동단자(22)로 이루어져, 이동단자에 의해서 한쌍의 고정단자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기센서는 적어도 한쌍이 V자형으로 각각 배치되되, 고정단자는 양쪽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어신감지낚시찌.
  8. 제7항에 있어서, 몸체부(10)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구비된 복수 개의 연결고리(11);
    상기 몸체의 하부에 마련된 자석가이드(320)와 상기 자석가이드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고리형 자석(310);을 포함하여,
    상기 자석이 자석가이드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기울기센서의 이동단자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조절하여 기울기센서의 통전을 제어하면서 스위치기능을 갖는 어신감지낚시찌.
PCT/KR2019/007504 2018-06-22 2019-06-21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WO20192453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44 2018-06-22
KR1020180072144A KR102115172B1 (ko) 2018-06-22 2018-06-22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10-2018-0138774 2018-11-13
KR1020180138774A KR20200055288A (ko) 2018-11-13 2018-11-13 입질 알림용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321A1 true WO2019245321A1 (ko) 2019-12-26

Family

ID=6898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504 WO2019245321A1 (ko) 2018-06-22 2019-06-21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2453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613Y1 (ko) * 1979-03-26 1980-05-22 권희창 전자 낚시구
US7131231B1 (en) * 2005-07-04 2006-11-07 Wondohitech Co., Ltd. Multi-function electronic fishing float
KR20090011513U (ko) * 2008-05-08 2009-11-12 남진윤 진동감지장치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20180014491A (ko) * 2016-08-01 2018-02-09 우동현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613Y1 (ko) * 1979-03-26 1980-05-22 권희창 전자 낚시구
US7131231B1 (en) * 2005-07-04 2006-11-07 Wondohitech Co., Ltd. Multi-function electronic fishing float
KR20090011513U (ko) * 2008-05-08 2009-11-12 남진윤 진동감지장치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20180014491A (ko) * 2016-08-01 2018-02-09 우동현 부력구 위치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막대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777B1 (ko) 낚시용 멀티 전자찌
US4437255A (en) Fish detecting system
US8142350B2 (en) In-vivo sensing device with detachable part
CA2454765A1 (en) Fishing bobber with signaling feature
CN105015719A (zh) 智能钓鱼无人船
US20180213761A1 (en) Motion Sensing Fish Bite Alarm
KR100933754B1 (ko) 멀티 전자찌
WO2019245321A1 (ko)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KR101242211B1 (ko)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CN205545691U (zh) 一种适合夜间使用的智能钓具
KR102072778B1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CN208509908U (zh) 一种可调节灵敏度的重力感应变色电子鱼漂
GB2392599A (en) Bite Alarm
CN216363129U (zh) 一种可充电的宠物玩具球
KR102115172B1 (ko)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CN107105635B (zh) 钓鱼用发光浮标
US20040187376A1 (en) Fishing rod displacement sensor and biting alarm
CN208783593U (zh) 一种昼夜两用的无线充电鱼漂
CN215992447U (zh) 一种基于单片机及微型电子传感器技术的新型钓具
CN219323096U (zh) 垂钓线组与垂钓竿
CN205082510U (zh) 一种带有水下监控的鱼漂
KR20200055288A (ko) 입질 알림용 찌
KR200364130Y1 (ko) 낚시용 어신 감지 장치
CN212787089U (zh) 一种提醒装置
JP3060876U (ja) 魚信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21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221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