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172B1 -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172B1
KR102115172B1 KR1020180072144A KR20180072144A KR102115172B1 KR 102115172 B1 KR102115172 B1 KR 102115172B1 KR 1020180072144 A KR1020180072144 A KR 1020180072144A KR 20180072144 A KR20180072144 A KR 20180072144A KR 102115172 B1 KR102115172 B1 KR 10211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ing
terminal
sensor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75A (ko
Inventor
권태화
Original Assignee
권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화 filed Critical 권태화
Priority to KR102018007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172B1/ko
Priority to PCT/KR2019/007504 priority patent/WO2019245321A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찌에 입질 감지시 이를 찌의 외부로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하며 동시에 기 설정된 사용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입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가 구비된 몸체와,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와, 상기 어신감지부를 통해 입질 감지시 이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단자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Fish detector available as fishing tackle}
본 발명은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찌에 입질 감지시 이를 찌의 외부로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하며 동시에 기 설정된 사용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입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취미와 휴식의 일환으로 자연속의 휴식을 즐기면서도 물고기를 낚는 재미가 더해져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즐기는 대중적인 취미로써, 이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추세이다.
이러한 낚시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수중에 배치된 낚시 바늘 또는 여기에 끼워진 미끼를 물고기가 건드리거나 먹는 것을 '입질'이라 하고, 입질 이후 사용자가 낚시대 또는 낚시줄을 당겨서 낚시 바늘을 물고기의 주둥이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챔질'이라고 한다.
여기서 입질은 이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에 따라서 낚시 초보자와 숙련자를 구분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데, 이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끼워진 미끼 또는 인공미끼를 건드리는 상황을 감지해야만 이후의 챔질과 릴링(낚시줄을 감는 동작)으로 이루어져 물고기를 낚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질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미끼만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되고, 실제 입질이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입질이 있는 것으로 착각하여 챔질을 하게 되면 미끼로 유인되던 물고기가 도망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질을 정확히 감지하기 위해서 낚시를 하는 낚시꾼은 낚시줄, 낚시대 또는 낚시줄에 연결된 낚시찌를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한다.
특히, 낚시 찌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입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 뿐만 아니라 숙련자도 사용하는 낚시용 도구이다.
일반적인 낚시 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부력부가 형성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수면위로 일부가 노출되며, 낚시꾼은 낚시를 하는 동안 수면위로 노출된 낚시 찌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주시하여 낚시 찌의 움직임에 따라 입질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낚시꾼은 낚시를 하는 시간 동안 낚시 찌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낚시꾼의 피로드 증가, 지루함 등이 동반되어 낚시의 재미가 떨어지며 입문자, 초보자의 경우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낚시 찌는 단순히 수면 위에 노출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동작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스팅(낚시 바늘을 일정한 위치로 던지는 것)이 낚시꾼으로부터 먼 거리에 이루어지는 경우 낚시 찌의 움직임을 쉽게 확인할 수 없고, 바다 낚시의 경우 파도에 의해 낚시 찌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안된 기술로는 입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소리나 빛 등으로 외부로 표시하거나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낚시꾼에게 알려주는 어신감지기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어신(魚信)이란, 물고기가 미끼에 입질을 할 때 찌나 낚싯대에 전달되는 움직임을 말하는 것으로, 어신감지기는 이러한 움직임이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기울기 센서 및 경보 수단을 포함하고, 기울기 센서가 작동 범위에 진입하면 상기 경보 수단을 통해 어신을 알려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문헌2]에서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을 개시한 것으로, 물고기 어신에 대응하여 어신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전자케미와, 어신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경보신호를 생성하고 경보신호에 대응하여 출력이 이루어지는 전자어신감지를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1] 및 [문헌2]는 복잡한 기구적 구성으로 인하여 입질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지고, 복잡한 기구적 구성은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구매하는 구매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헌1]의 어신감지기의 경우 낚시대에 결합된 상태에서 느슨하게 배치되는데, 느슨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입질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하여 기울기 센서의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 제10-1440776호(2014.09.05., 등록) [문헌2] 공개특허 제10-2018-0032938호(2018.04.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물고기의 입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찌에 입질 감지시 이를 찌의 외부로 빛이나 소리 등을 통해 표시하며 동시에 기 설정된 사용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입질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 낚싯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던 어신감지기로는 사용이 불가능했던 갯바위 낚시, 붕어 바닥 낚시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높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가 구비된 몸체와,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와, 상기 어신감지부를 통해 입질 감지시 이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단자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단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발신부는,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무선신호발신기와,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와, 상기 무선신호발신기 및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PCB기판 및 상기 무선신호발신기와, 상기 LED와, 상기 PCB기판 및 상기 고정형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고리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형 단자는 전도(傳導)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 단자는 다수개의 작은 금속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된 부력부를 통해 낚시용 찌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빛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입질을 놓치지 않도록 하여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내부 구조를 개선하고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다수개의 분체로 형성하여 대상 어종의 입질 강도에 따른 민감도 조절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수면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몸체의 무게 및 중심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높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단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예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붕어 낚시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1)는, 몸체(10)와, 어신감지부(20)와, 경보발신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11)와,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어 부력(浮力)을 형성하는 부력구(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3)이 구비되며, 오동나무, 합성수지 등과 같이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어느 일측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LED(32)에서 조사된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일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반원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거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낚시 중 대상 어종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외면에 다양한 색상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야광도료 또는 발광도료를 도포하여 야간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복수개의 분체를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손상된 부분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술한 야광도료 또는 발광도료가 도포된 부위를 시간 또는 야외 날씨 등에 따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무게추(미도시됨)를 배치하거나 몸체(10)의 소재에 따른 무게를 고려하여 대상 어종에 따라 필요한 무게중심과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입질의 강도가 강한 대상 어종의 경우 민감도를 낮추기 위하여 무게가 무거운 분체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입질의 강도가 약한 대상 어종의 경우 민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게가 가벼운 분체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낚시줄에 몸체(10)를 결합하는데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몸체(10)의 외면에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고정형 고리(111)와, 몸체(10)의 외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형 고리(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형 고리(11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체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일측의 고정형 고리(111)에는 낚시대와 연결된 낚시줄 원줄(210)이 결합되며, 타측의 고정형 고리(111)에는 낚시바늘 또는 봉돌과 연결된 낚시줄 봉줄(22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이동형 고리(112)는 몸체(1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몸체(10)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된다. 상기 이동형 고리(11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몸체(10)에 결합된다. 이동형 고리(112)는 무게추 또는 부력찌를 추가로 결합하거나, 다른 낚시채비에 본 발명을 결합할 때에 사용되는 고리이며, 실리콘 등 신축성 소재로 0자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개가 몸체(10)의 외부에 결합되며, 위치 이동과 탈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부력구(12)는 몸체(10)를 수면에 띄우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몸체(10)의 외면을 감싸며 배치되며 부력(浮力)을 가진 합성수지재, 갈대, 발포스티로폼, 수수깡 또는 일년생 공작의 꼬리 깃 등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구(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몸체(10)의 외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부력구(12)는 일측이 개구된 말굽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단부를 통해 몸체(10)에 결합한 후 탄성 복원력을 통해 몸체(10)의 외면에 밀착한다. 이후 대상 어종에 따라 몸체(10)가 움직이는 민감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부력구(12)의 위치를 조절하여 몸체(10)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어신감지부(20)는, 물고기의 입질 발생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단자(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 단자(21)는 전도(傳導)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형 단자(22)가 접촉하여 한 쌍의 고정형 단자(21)를 상호 연통시켜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형 단자(21)는 배터리(34)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한 쌍의 단자는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형 단자(21)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는 편평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환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의 내벽에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는 돌기 형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환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이동형 단자(22)가 한 쌍의 고정형 단자(21)에 동시에 맞닿을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하나의 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형 단자(21)는 후술하는 경보발신부(30)에 포함된 배터리(34)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가 공급된다.
상기 이동형 단자(22)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전도(傳導)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볼(ball)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고정형 단자(21)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형 단자(22)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볼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나의 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단자(21)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형 단자(22)를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금속볼로 형성하는 것은 각각의 금속볼이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형 단자(21)를 연통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몸체(10)가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각도가 변경될 때 이동형 단자(22)와 고정형 단자(21)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한 쌍의 고정형 단자(21)가 전기적인 연결이 끊기게 되어 입질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람에 의한 수면의 움직임(파도)이 심한 경우 몸체(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이동형 단자가 고정형 단자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이동형 단자가 하나의 금속볼로 구성되는 경우 파도에 의한 몸체의 기울어짐을 입질로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오인 및 혼동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다수개의 금속볼을 이동형 단자(22)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여기에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상술한 부력구(12)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보발신부(30)는, 상기 어신감지부(20)에서 감지한 입질을 외부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PCB기판(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32)와,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 및 LED(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PCB기판(33) 및 상기 구성 및 상술한 고정형 단자(2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는 PCB기판(33)에 의해 제어되면서 입질 감지시 기(旣)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인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최대 50미터 거리에서 작동 가능한 비콘(beacon)이 사용 가능하며, FM 주파수 제한이 없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호 인식 및 연결된 것으로 일 예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수단이 스마트 워치도 사용 가능하다. 즉, 무선 통신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LED(32)는, PCB기판(33)에 의해 제어되면서 입질 감지시 빛을 외부로 조사하는 것으로, 배터리(34)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LED(32)는 다양한 색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대기 상태와 입질 감지 상황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질 감시 상황에서는 일정 시간을 두고 빛이 점멸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색 발광 가능한 LED 또는 전자케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LED(32)와 함께 입질 감지시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는 스피커(미도시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방출되는 소리는 일정 높낮이의 단조음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거나 녹음된 안내 멘트를 방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CB기판(33)은 어신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통해 무선신호발신기(31), LED(32) 등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제어회로는 통상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34)는 상술한 경보발신부(30)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고 동시에 상기 고정형 단자(21)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는 대기 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몸체(10) 및 부력구(12)에 의해 어신감지기(1)는 수면에 일부가 부유한 상태로 대기하며, 이때 낚시줄의 원줄(210)과 수중에 배치되는 봉줄(220)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된 이동형 단자(22)는 고정형 단자(21)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봉줄(220)은 고정형 단자(21)가 배치되는 측에 연결된다.
도 3b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걸린 미끼를 물어 입질이 발생한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수중으로 더 깊이 잠수하게 되면 낚시 바늘과 연결된 봉줄(220)이 같이 당겨지고 이로 인해 몸체(10)는 회전한다.
따라서, 몸체(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형 단자(22)가 고정형 단자(21)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형 단자(21)를 연통 시키고 이를 통해 경보발신부(30)는 무선신호발신기(31) 및 LED(32)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어신이 발생했음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도 3은 일반적으로 바다 찌낚시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바다에 서식하는 물고기의 경우 미끼를 물고 나서 더 깊은 수심으로 잠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민물 낚시의 대상 어종 중 하나인 붕어의 경우 미끼를 물고 나서 오히려 부상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붕어 낚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낚시 바늘이 연결된 봉줄(220) 및 낚시대와 연결된 원줄(210)을 몸체(10)에서 이동형 단자(22)가 대기하는 측에 배치된 낚시줄 결합용 고리(11)에 결합한 상태로 대기하고(도 8a 참조), 물고기가 미끼를 문 후 부상하면 몸체(10)를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이동형 단자(22)가 고정형 단자(21)측으로 이동된다.(도 8b 참조) 이후 경보발신부(30)를 통해 무선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LED(32)를 통해 어신이 감지되었음을 외부로 표시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가 전체적으로 'V'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가 반원형(도 5의 (a)), 원형(도 5의 (b)), 삼각형(도 5의 (c)) 형태를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를 낚시찌(230)에 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동작 상태는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낚싯대(200)에 구비된 버트가이드(240)에 어신감지기(1)를 삽입한 상태로 대기하고(도 9의 (a)참조), 입질 발생시 수중으로 이동하는 낚시줄에 의해 어신감지기(1)는 버트가이드(240)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이동형 단자(22)가 고정형 단자(21)측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된 부력부를 통해 낚시용 찌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물고기의 입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정확하게 감지한 후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빛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림으로써 입질을 놓치지 않도록 하여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내부 구조를 개선하고 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추어 가격 경쟁력을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다수개의 분체로 형성하여 대상 어종의 입질 강도에 따른 민감도 조절 및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수면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몸체의 무게 및 중심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과 활용도를 높인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10 : 몸체
11 : 낚시줄 결합용 고리 12 : 부력구
13 : 수용공간
111 : 고정형 고리 112 : 이동형 고리
20 : 어신감지부
21 : 고정형 단자 22 : 이동형 단자
30 : 경보발신부
31 : 무선신호발신기 32 : LED
33 : PCB기판 34 : 배터리

Claims (4)

  1.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고,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 결합용 고리(11)가 구비된 몸체(10);와,
    물고기의 입질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어신감지부(20);와,
    상기 어신감지부(20)를 통해 입질 감지시 이를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발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신감지부(2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 일단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단자(2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단자(22)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형 단자(21)는 전도(傳導)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형 단자(22)는 금속볼로 이루어져,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서 몸체(10)의 상하가 변경됨에 따라서 이동형 단자가 고정형 단자를 통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발신부(30)는,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3)에 배치되며 PCB기판(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32)와,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 및 LED(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실장된 PCB기판(33) 및
    상기 무선신호발신기(31)와, 상기 LED(32)와, 상기 PCB기판(33) 및 상기 고정형 단자(2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결합용 고리(11)는,
    상기 몸체(1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 고리(111)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형 고리(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4. 삭제
KR1020180072144A 2018-06-22 2018-06-22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10211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44A KR102115172B1 (ko) 2018-06-22 2018-06-22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PCT/KR2019/007504 WO2019245321A1 (ko) 2018-06-22 2019-06-21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44A KR102115172B1 (ko) 2018-06-22 2018-06-22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5A KR20200000175A (ko) 2020-01-02
KR102115172B1 true KR102115172B1 (ko) 2020-05-26

Family

ID=6915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44A KR102115172B1 (ko) 2018-06-22 2018-06-22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1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66Y1 (ko) 2001-03-13 2001-10-08 김철재 어신 감지센서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101440776B1 (ko) 2013-04-09 2014-09-18 박종민 낚시용 어신 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513U (ko) * 2008-05-08 2009-11-12 남진윤 진동감지장치
KR200487280Y1 (ko) * 2015-09-04 2018-08-29 엄길영 학꽁치용 오똑이 낚시찌
KR101906671B1 (ko) 2016-09-23 2018-10-10 이명수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66Y1 (ko) 2001-03-13 2001-10-08 김철재 어신 감지센서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101440776B1 (ko) 2013-04-09 2014-09-18 박종민 낚시용 어신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5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2132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US4437255A (en) Fish detecting system
JP3866271B1 (ja) 釣り用マルチ電子浮子
US201602783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fishing data
US20150264904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US20130333270A1 (en) Multiple Mode Artificial Fishing Lure
CA2454765A1 (en) Fishing bobber with signaling feature
CN105015719A (zh) 智能钓鱼无人船
CN104542517A (zh) 可视化钓竿
CN104824926A (zh) 一种防溺水通信手环
KR102115172B1 (ko)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KR20090083841A (ko) 조도 반응형 낚시 찌
US20160148482A1 (en) Immersion alert bracelet
US8677676B2 (en) Fishing tool of the hook-type
KR100468019B1 (ko) 낚시용 무선 통신 전자찌
KR102072778B1 (ko)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CN207151678U (zh) 一种自动钓鱼浮漂
US11778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racting crustaceans and other aquatic life
KR20150144027A (ko) 자동전자찌
US20170196209A1 (en) Blow Fish
WO2019245321A1 (ko)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JP3060876U (ja) 魚信報知装置
KR102434344B1 (ko)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CN211581276U (zh) 一种夜间用的浮漂
CN218007800U (zh) 一种咬钩报警抛竿浮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