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288A - 낚시용 멀티 전자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멀티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288A
KR20070004288A KR1020050059766A KR20050059766A KR20070004288A KR 20070004288 A KR20070004288 A KR 20070004288A KR 1020050059766 A KR1020050059766 A KR 1020050059766A KR 20050059766 A KR20050059766 A KR 20050059766A KR 20070004288 A KR20070004288 A KR 20070004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signal
electronic
fis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6777B1 (ko
Inventor
이원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5005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777B1/ko
Priority to US11/204,090 priority patent/US7131231B1/en
Priority to JP2005314950A priority patent/JP3866271B1/ja
Publication of KR20070004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신호와 각각의 ID고유번호로 통신신호(음향, 진동, 빛)방식의 전자찌를 이용하므로서, 물고기가 입질하거나 낚이게 되면, 찌에서 자동으로 무선에 의한 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RF신호가 수신단말기에 수신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찌를 직접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고서도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불빛이나 수신단말기를 통한 진동 및 음성신호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일부위가 수면에 부상되도록 이루어진 전자찌 내부에 RF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 내설되어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RF신호가 송출되고, 송출된 RF신호를 수신단말기로 수신하여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정보를 음향, 진동 및 빛으로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류(潮流)에 의한 유속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무동력 회전날개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유속으로 떠밀려가는 속도가 매우 작아 자리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잠수형 형상을 갖는 찌와 같이 흘림낚시의 전 유동 찌로도 사용되며 주야 겸용과 낚싯줄 엉킴도 최소화 하고 찌와 낚시원줄도 교체할 필요 없이 자유롭게 부력 조절을 하여 즐길 수 있는 낚시를 간편하고 쉽게 초보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낚시용 멀티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 전자찌, 상부캡, 하부캡, 몸체, 수신단말기

Description

낚시용 멀티 전자찌{MULTI ELECTRON FLO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의 걸이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의 수신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의 송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의 무선 주파수 수신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자찌 10:몸체
11:안착홈 12:수납부
16:슬립홈 20:상부캡
30:하부캡 40:밀폐캡
50:피스톤 60:송신부
70:걸이구 80:마갑캡
90:수신단말기
본 발명은 낚시할 때 사용하는 멀티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F통신과 각각의 ID고유번호로 통신신호(음향, 진동, 빛)방식의 전자찌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입질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멀티 전자 찌는 물고기가 입질하거나 낚이게 되면, 찌에서 자동으로 무선에 의한 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RF신호가 수신단말기에 수신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찌를 직접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고서도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불빛이나 수신단말기를 통한 진동 및 음성(목소리나 각종 음악소리 등)신호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를 행함에 있어, 전자찌 중 수중에 잠겨진 일부위에 회전용 회전날개를 형성함에 따라, 조류(潮流)에 의한 유속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떠밀려가는 속도가 매우 작아 자리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멀티 전자 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낚시대, 낚시줄, 낚시바늘, 찌, 미끼 등의 기본적인 낚시도구가 요구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찌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부력을 갖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나 목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낚시도구 중, 찌는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수중에서 발생되는 물고기의 입질이나 낚임에 대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낚시가 이루어지는 수심의 깊이에 따라, 그에 해당되는 적절한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찌는 육안식별이 가능하도록 상단 일부가 수면위로 떠오른 상태를 이루며,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 낚시하는 사람은 물고기를 낚아 채는 시점을 생각하고 낚시대를 당겨야 할지의 판단을 가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는, 수면에 상단 일부분이 드러나게 설치된 찌가 바람이나 물 흐름에 의해 물결을 일으키게 되면, 물결에 의해 쉽게 유동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찌가 유동되는 것인지, 아니면, 물결에 의해 유동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어려웠다.
따라서, 입질에 따른 적절한 시기에 낚시대를 당겨 물고기를 순간적으로 채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물고기를 낚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낚시를 행함에 있어, 찌를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되므로, 이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낚시를 행하게 되면, 눈의 피로가 쌓이게 되어, 눈이 쉽게 충혈 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시력 저하에 의한 스트레스와 피곤함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 식별을 위한 전자찌를 전자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이 이루어지고 스프링식 피스톤 장치와 볼륨방식으로 물결의 오보를 방지하여 물고기를 낚는 시간을 정확히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전자찌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단말기로 수신하여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찌를 지속적으로 직시하지 않고서도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간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더불어 전자찌로부터 발신된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단말기에서 음향, 진동, 빛 등의 신호로 사용자가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낚는 시점에 대하여 보다 더 명확하고 용이하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낚시용 멀티 전자 찌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자방식에 의해 신호가 발신되는 전자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 조류의 유속으로 인해 전자찌가 흘러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설정된 위치에 낚시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류에 의한 유속 즉, 물흐름이 있는 장소에서도 원할하고 효율적인 낚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낚시 및 등산 등의 컨텐츠기능. 지리정보와, 녹음기능, 디지털 사진 앨범 저장기능 및 디지탈 카메라 DMB텔레비전 기능 CC GOLF장 홀 퍼팅거리 자동측정 기능 전자수첩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라도 즐거운 낚시 레저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상하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수납부가 형성된다.
상, 하단부 외주면에 제 1, 2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부위에는 슬립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면이 돔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캡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개구부와 격판이 형성된다.
상단부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며, 격판에는 내측을 향하도록 회전날개가 돌출된 원통형태의 하부캡과; 상단에 뚜껑이 결합되고 코일스프링이 내설되는 피스톤 하우징과;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단차진 형태로 상부에 마그네틱이 부착되고 하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몸체와 상부캡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패킹과; 소정의 RF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부와; 송신부로부터 발생된 RF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이나 음성, 진동이나 빛 또는, RF신호가 모니터링 되도록 이루어진 수신단말기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전자 찌의 송신부는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가 제 1, 2, 3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가 송신제어부에 인가되며, 송신제어부에 의해 RF통신부를 통해 RF신호가 송출되게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수신기는 송출되어진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부와; 송·수신 및 입력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중앙처리장치와; 수신된 RF신호에 따라, 빛이나 음향 및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와;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음악 및 음성을 발생하는 오디오부와; FM튜너, PC가 연결되는 USB포트, 키패드 및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의 영구기록과 임시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1)는 상면에 단턱부(11')를 갖는 안착홈(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수납부(12)가 형성된다.
상, 하단부 외주면에는 제 1, 2나사부(14, 15)가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부위에는 슬립홈(18)이 형성된다.
상부 바닥면에는 결합봉(16)이 수직되게 돌출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7)가 형성된 몸체(10)와; 상면이 돔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캡(20)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개구부(31)와 회전날개(32)가 형성된다.
상단부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33)가 돌출된 원통형태의 하부캡(30)과; 상면에 손잡이(4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부(42)가 형성된 밀폐캡 (40)과;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단차진 형태로 마그네틱(51)이 결합되고, 코일스프링(52)이 끼워지며, 하단부에 결합공(53)이 형성된 피스톤(50)과;
몸체(10)와 상부캡(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패킹(23)과;
몸체(10)에 형성된 단턱부(11')에 안착되게 결합되는 수밀패킹(53')과;
후크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제 1, 2커버(71, 72)로 이루어진다.
상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홈(73)이 형성되고, 스프링(74)에 의해 반발력을 갖도록 고정핀(75)이 결합된다.
고정핀(75)은 낚시원줄이 끼워져 통과되는 유입홈(76)이 형성되고, 유입홈(76)에는 힌지축(77)에 의해 디스크(78)가 유동되게 결합되며, 디스크(78)의 제동을 위한 고무패드(79)가 결합되게 이루어진 걸이구(70)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송신부(60)는 소정의 RF신호를 발생시키는 PCB기판(61)에 접속단자(62)와 밧데리(63)가 설치되고, 수신단말기(90)는 송신부(60)로부터 발생된 RF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이나 음성, 진동이나 빛 또는, RF신호가 모니터링 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몸체(10)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1)의 단턱부(11')에는 수밀패킹(53')에 의해 밀폐되게 송신부(60)가 결합되고, 밀폐캡(40)이 차폐되게 결합되며, 제 1나사부(14)에는 상부캡(20)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방으로부터 피스톤(50) 결합되고, 하부캡(3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10)의 안착홈(11)에는 결합봉(16)이 돌출되고, 송신부(60)의 PCB기판(61)에는 통공(6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공(64)으로 결합봉(16)이 관통되게 끼워져 고정된다.
송신부(60)의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는 몸체(10)에 형성된 수납부(12)에 내설되게 위치되며, 나사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10)와 상부캡(20) 상호간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23)이 결합된다.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는 서로 다른 위치를 갖도록 소정의 높이차를 이루게 된다.
피스톤(50)은 상부 일부위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마그네틱(51)이 결합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코일스프링(52)이 끼워져 결합된다.
몸체(10)와 하부캡(30)은 슬립홈(18)과 돌기(3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10)에 하부캡(30)이 결합된 후, 마감캡(80)이 몸체(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하부캡(30)의 하단부에는 슬림돌기(34)가 형성되고, 마감캡(80)의 상면에는 돌기안착홈(81)이 형성되어, 마감캡(80)이 몸체(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하부캡(30)의 슬림돌기(33)가 돌기안착홈(81)에 끼워져 가이드되며, 몸체(10)와 하부캡(30)은 돌기(33)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고, 슬림홈(18과33)은 돌기(30)을 따라, 회전되게 구성된다.
피스톤(50)에 끼워진 코일스프링(52)은 하단부가 마감캡(80)에 고정되고, 피 스톤(50)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53)에는 낚시대에 고정된 원줄(L)이 끼워져 통과되는 걸이구(70)가 결합된다.
걸이구(70)는 제 1, 2커버(71, 72)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73)에 피스톤(50) 하단부가 끼워진 후, 스프링(74)에 의해 반발력을 갖는 고정핀(75)으로 결합되며, 낚시원줄이 끼워져 통과되는 유입홈(76)에는 디스크(78)가 힌지축(77)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크(78)는 고무패드(79)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디스크(78)는 힌지축(77)에 결합됨에 있어, 유동가능하게 소정크기의 유격을 갖게 되며, 유입홈(76)을 통과하는 낚시원줄이 하부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찌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의해 피스톤(50)이 하방으로 위치 이동되되, 입질 정도나 낚임에 따라, 피스톤(50)의 위치 이동이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고, 위치 이동에 따른 신호가 마그네틱(51)에 의한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를 통해 감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고기의 입질강도에 따라, 피스톤(50)의 하강 이동거리가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는 바, 작은 물고기의 약한 입질시에는 피스톤(50)에 결합된 마그네틱(51)이 하강 이동되어, 제 1리드스위치(65)를 통해 입질신호가 발생된다.
이때, 비교적 큰 물고기의 강한 입질시에는 마그네틱(51)이 보다 더 하강 이동되어 제 2리드스위치(66)를 통해 입질신호가 발생되며, 물고기의 낚임시에는 피스톤(50)이 최하단으로 하강이동되어 제 3리드스위치(67)를 통해 낚임신호가 발생 하게 되는 것이다.
입질이나 낚임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 이동된 피스톤(50)은 코일스프링(52)에 의해 반발력을 갖게 되므로, 원상태로 자동 복귀된다.
본 고안의 코일스프링(52)은 낚고자 하는 물고기의 종류 및 크기 또는, 낚시를 행하고자 하는 장소(밀물 또는 바닷물)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력을 갖게 되는 바, 물고기의 크기가 작고 입질이 약한 경우에는 탄성력이 약한 코일스프링(52)을 사용하게 되고, 물고기가 크고 입질이 강한 경우에는 탄성력이 강한 코일스프링(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이상의 단위별로 탈 부착하며 사용하고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의 걸이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낚시원줄이 통과되는 걸이구(70)를 나타내는 것으로, 걸이구(70)는 후크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제 1, 2커버(71, 72)로 이루어진다.
제 1커버(71)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73)에는 고정핀(75)이 스프링(74)에 의해 발반력을 갖도록 결합되며, 횡방 향으로 유입홈(76)이 관통되되, 제 1커버(71)에 형성된 유입홈(76)에는 가운데부위에 힌지축(77)이 돌출되고, 디스크(78)가 끼워져 결합되며, 디스크(78)의 상부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무패드(79)가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디스크(78)는 힌지축(77)과 유격되게 끼워져 결합되므로, 유격범위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때, 디스크(78)와 힌지축(77)간의 발생되는 유격 과, 디스크(78)와 고무패드(79) 사이에 이격된 거리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의 수신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의 송신 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의 수신단말기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로서, 전자찌(1)에 내설된 송신부는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가 제 1, 2, 3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가 송신제어부에 인가되며, 송신제어부에 의해 작동부의 LED가 발광되고, RF통신부를 통해 RF신호가 송출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부의 LED는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을 표시하는 점등램프와, 야간시 위치확인 및 유무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발광램프로 이루어진다.
수신단말기는 송출되어진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부와; 송·수신 및 입력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중앙처리장치와; 수신된 RF신호에 따라, 빛이나 음향 및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와;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상태 및 컨텐츠 기능 추가한 지리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음악 및 음성을 발생하는 오디오부와; FM튜너, PC가 연결되는 USB포드, DMB TV기능 CC GOLF홀 페어웨이약도 퍼팅거리측정기능 전자수첩기능 등 키패드 및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의 영구기록과 임시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가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전자 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로서, 하나의 수신단말기(90)에 다수개의 전자 찌(1)가 송수신 되도록 이루어지고, 각각의 전자찌(1)에 대한 정보, 즉, 물고기의 입질정도 및 낚임에 대한 정보가 RF 신호 방식으로 수신되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각각의 전자찌(1)에는 고유의 ID가 부여되며, 수신단말기(70)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음향, 진동이나 빛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낚시 송수신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여 RF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송신부(60)가 내장되고, RF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진동, 빛(램프점등)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수신기가 구비된 전자 찌(1)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하게 되면, 전자식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화 시대적 낚시레저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찌(1)를 이용하여 낚시를 즐기려면, 몸체(10)에 송신부(60)를 내장하고 상부캡(20)을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한 후, 피스톤(50)이 코일스프링(52)에 의해 탄성력을 갖도록 결합한 다음, 하부캡(30)과 마감캡(8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부력을 갖는 전자 찌(1)를 완성시킨다.
이때, 상부캡(20)은 내부에 부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몸체(10)에 내장된 송신부(60)의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는 수납부(12)에 끼워져 소정 위치를 갖도록 내설되고, 코일스프링(52)에 의해 탄성력을 갖는 피스톤(50)에는 마그네틱(51)이 결합된다.
이때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와 마그네틱(51)은 상호간에 근접된 위치를 이루게 설치되고, 마그네틱(51)의 자력에 의해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에서 피스톤(50)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를 통해 감지된 신호는 송신부(60)에서 RF신호 즉, 즉 물고기의 입질에 의한 피스톤(5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신호가 송출된다.
원줄(L)에는 구슬형태의 잠수용 무게추(W)가 결합되며, 무게추(W)는 환경오염에 제재를 받지 않는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또는 비중이 무거운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하여, 송신부(60)가 내장된 전자찌(1)와 수신단말기(90)를 이용하여 낚시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부(60)는 부력에 의해 수면위에 일 부위가 드러나도록 부상된 몸체(10)에 내장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따른 피스톤(50)의 위치 이동을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로 감지하여 RF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송신부(60)의 접속단자(62)를 통해 몸체(10)에 표시된 고유번호, 즉, ID를 입력하게 되며, 입력된 고유번호는 수신단말기(90)에 입력 저장되어 송신부(60)에서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음향이나 음성, 진동 및 빛, 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전자찌(1)의 몸체(10)에 결합된 하부캡(30)은 슬립홈(18)과 돌기(3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류 또는, 물살의 흐름이 있는 장소에서 낚시를 즐기게 되더라도, 전자 찌(1)가 흘러 위치 이동 속도가 느리므로 비교적 일정한 낚 시 포인트를 유지하는 조건에 적합하다.
즉, 물살에 의해 회전날개(3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부캡(30)이 회전되면서, 물살의 흐름 반대방향으로 추진력을 갖게 되므로, 전자 찌(1)가 느린 속도로 떠내려가므로 설정된 위치 유지가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부(30)에서 송출되는 RF신호는 VHF, UHF, AM, FM 통신으로 50M내의 통신거리를 유지하며, 각각에 사용되는 ID는 일련번호로 무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찌(1)는 사용하고자 하는 낚시 장소 및 낚고자 하는 물고기류 및 주변 환경에 따라, 그에 알맞는 기능 및 구조를 갖도록 교체가 요구되는 바, 전자 찌(1)의 교체하려면, 걸이구(70)의 고정핀(75)을 측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피스톤(50)의 결합공(53)을 관통하며 결합된 고정핀(75)이 분리되면서, 피스톤(50)으로부터 걸이구(70)가 분리되므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찌(1)는 걸이구(70)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걸이구(70)가 결합된 피스톤(50)이 상, 하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 찌(1)의 교체가 신속·정확하고 간편·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낚시를 행함에 있어, 원줄(L)이 엉키거나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걸이구(70)에는 원줄(L)이 통과되게 끼워지고, 통과된 원줄(L)에는 구슬형태의 무게추(W)가 결합되며, 무게추(W)는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또는 비중이 무거운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납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자 낚시 송수신 장치의 수신기는 전자찌(1)에 내장된 송신부(60)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타화 하고, 데이타에 따른 음향, 진동이나 빛으로 표시하게 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입질이나 낚임에 따른 소리는 수신단말기(90)를 통해 직접 울리거나 또는, 이어폰을 통해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RF신호가 수신됨에 있어, 약은 물고기의 입질과 강한 물고기의 입질을 수신단말기(90)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파장표시와, 음파의 소리를 듣고, 물고기를 낚아채게 되므로, 물고기 낚음에 대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수신단말기(90)는 모니터에 의한 디지탈 방법과 이어폰을 이용한 볼륨식(volume) 기능으로 스위치는 버튼(button)식이며, 물고기의 입질에 대한 신호는 모니터에 이퀼라이저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수신단말기(90)는 구입시 사용자 고유의 ID를 등록하게 되는 바, 사용자가 원하는 비밀번호를 키패드로 입력하게 되면, 음성멘트에 따라 입력된 비밀번호가 디스플레이되며, 보안을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ID를 프로그램 할 수 있다.
이때, 키패드에 의해 RF송신부에 부여된 ID는 수신단말기(90)에 등록된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전자찌(1)의 ID번호를 등록할 수 있으며,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입력가능 한 것이다.
또한, 수신단말기(90) 1대로 1인이 1~3대의 전자 찌(1)에 각각의 ID를 입력할 수 있으며, 각각 ID가 입력된 전자 찌(1)는 수신단말기(90)를 통해 음향, 진동 및 빛에 대한 신호가 숫자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수신단말기(90)는 낚시를 행함에 있어, 물고기의 입질이나 낚임에 대한 디지털 신호뿐만 아니라, MP3 기능을 갖게 되므로, 음악청취가 가능하며, 뉴스, 기상정보, 오락 등의 FM, AM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다.
수신단말기(90)는 DC 어뎁터 충전용 충전지를 이용하므로 연속 반복적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폐건전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원가를 절감하여 사용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신단말기(90)는 무선인터넷 을 이용한 지리정보 및 낚시, 등산에 대한 정보를 간편·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이용한 각각 컨트리 클럽, 골프필터 페어웨어 홀과 퍼팅거리 및 각도 등을 디지털 센서로 측정할 수 있고, 녹음기능, 디지탈 사진 앨범 저장기능, 디지탈 카메라 기능 전자수첩기능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전자 찌(1)로부터 송출되는 신호, 즉, LED를 통한 발광이나 무선 주파수에 의한 호출기의 진동 및 음성을 통하여 명확하고 판단하고 쉽게 송출·표시되므로, 낚시에 대한 전문 기술이 없는 초보자들도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낚시대의 정확한 채임 동작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낚시찌에 있어서, 부력이란 찌가 물에 뜨려고 하는 힘, 즉, 중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하는 것으로, 각종 찌에 표시되는 <B> 단위, <호> 단위로 표기되며, <G>와 <F>, <J>로 표기되는 부력이 있다.
찌는 크기나 형태에 따라, 원거리용과 근거리용, 저부력용과 고부력용에 따라, 설정하는 기준이 다르고, 찌의 가시성과 대상어의 입질형태, 노리는 수심층, 조류와 염분농도에 따라 찌의 선택이 달라지므로, 다양한 종류의 찌를 구입해야하고, 낚시상황에 따라, 찌를 교체 해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찌(1)는 낚시상황에 따라, 교체가 요구되는 바, 전자찌(1)의 교체는 걸이구(70)에 의해 원줄(L)과 연결되어진 피스톤(50)을 분리하게 되면, 원줄(L)과 연결된 전자찌(1)가 간편하게 분리·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찌(1)는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사람이 다수의 낚시대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낚시대에 사용되는 전자찌(1)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물고기의 입질이나 낚임시 진동이나 소리(각종 음악소리 등)의 신호가 오는 동시에 모니터 또는 호출기 등에 각각의 전자찌에 부여된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므로서, 다수의 낚시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도, 개별적인 낚시대의 식별 및 판별이 가능함은 물론, 밤이나 짙은 안개, 흐릴 때, 우천시 등에도 물고기의 낚임에 대한 식별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찌(1)에 수중을 촬영할 수 있는 수중 카메라(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고, 전기적인 신호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하여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상황을 직접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찌는 리드스위치, 피스톤 및 마그네틱에 의해 낚시원줄에서 보조밑줄 매듭에 낚시바늘 미끼밥에 물고기의 입질시 이에대한 정보가 송신기에서 수신기에 절송되는 시간은 약 0.2초내(RF/ID로 PCB기판)에 스피커 및 이어폰으로 음향, 진동, 빛 등의 디지탈에 의한 수신신호가 전달되므로서, 물고기를 낚아채게 되는 것이다.
주, 야간겸용으로 야간에는 LED램프가 약 30시간 지속되게 발광되며, 발광되는 LED램프 불빛에 의해 다른 낚시줄과 엉키는 것을 예방되고, 특히, 전자 찌의 캡만 바꾸어주면 불빛이 계속 유지되며, 전자찌의 밧데리는 약 100시간이 유지된다.
물고기 종류에 따른 다양한 부력기능을 전자찌 하나로 완벽한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피스톤에 스테인레스(sus), 티타늄(titanium) 재질의 코일스프링이 탈부착됨에 따라, 물고기의 종류별로 10가지 이상의 부호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바다 및 밀물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율성과 경제적 가치 및 환경오염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낚시 송수신 장치의를 이용함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따라, LED가 발광되거나, 음향 및 진동 또는 모니터링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찌를 지속적으로 직시하지 않고서도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보다 더 명확하고 적절한 시기의 낚시대 채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물고기의 낚임에 대한 확율을 높여 효율적이며 보다 더 많은 양의 물고기를 낚을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본 발명은 조류의 유속으로 인해 전자찌가 흘러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항시 설정된 위치에 낚시 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어 원할하고 효율적인 낚시가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낚시 및 등산 등의 지리정보와, 녹음기능, 디지털 사진 앨범 저장기능 및 디지탈 카메라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병행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남녀노소 누구라도 즐거운 낚시 레저생활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함에 있어서,
    부력에 의해 일부위가 수면에 부상되도록 이루어진 전자찌(1) 내부에 RF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60)가 내설되어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RF신호가 송출되고, 송출된 RF신호를 수신단말기(90)로 수신하여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정보를 음향, 진동 및 빛으로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2.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찌(1)는 상면에 단턱부(11')를 갖는 안착홈(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수납부(12)가 형성되며, 상,하단부 외주면에 제 1, 2나사부(14, 15)가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부위에는 슬립홈(16)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7)가 형성된 몸체(10)와;
    상면이 돔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캡(20)과;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다수개의 개구부(31)와 회전날개(32)가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기(33)가 돌출된 원통형태의 하부캡(30)과;
    상면에 손잡이(4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숫나사부(42)가 형성된 밀폐캡(40)과;
    소정 높이를 가지며 단차진 형태로 마그네틱(51)이 결합되고, 코일스프링(52)이 끼워지며, 하단부에 결합공(53)이 형성된 피스톤(50)과;
    몸체(10)와 상부캡(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패킹(23)과;
    몸체(10)의 단턱부(11')에 안착되게 결합되는 수밀패킹(53')과;
    PCB기판에 밧데리(63) 및 접속단자(62)와 제 1, 2, 3리드스위치(65, 66, 67)가 구비되며, 몸체(10)의 안착홈(11)에 내설되는 송신부(60)와;
    후크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제 1, 2커버(71, 72)로 이루어지고,상면에 소정길이를 갖는 결합홈(73)이 형성되고, 스프링(74)에 의해 반발력을 갖도록 고정핀(75)이 결합되며, 낚시원줄이 끼워져 통과되는 유입홈(76)이 형성되고, 유입홈(76)에는 힌지축(77)에 의해 디스크(78)가 유동되게 결합되며, 디스크(78)의 제동을 위한 고무패드(79)가 결합되게 이루어진 걸이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3.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단말기(90)는 송출되어진 RF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부와;
    송·수신 및 입력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중앙처리장치와; 수신된 RF신호에 따라, 빛이나 음향 및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부와;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상태를 표시하는 모니터와;
    음악 및 음성을 발생하는 오디오부와;
    FM튜너, PC가 연결되는 USB포트, 키패드 및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4. 제 1항에 있어서,
    수신단말기(90)는 송신부(60)로부터 발생된 RF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이나 음성, 진동, 빛, RF신호가 모니터링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5. 제 2항에 있어서,
    몸체(10)의 상부 바닥면에는 결합봉(16)이 수직되게 돌출되고, 송신부(60)의 PCB기판(61)에는 결합봉(16)이 관통되는 통공(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6. 제 2항에 있어서,
    몸체(10)의 하단에는 마감캡(80)이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7. 제 2항에 있어서,
    하부캡(30)의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돌기(33)가 형성되고,
    마감캡(80)에는 돌기안착홈(8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8. 제 2항에 있어서,
    송신부(60)는 물고기의 입질 및 낚임에 대한 신호가 리드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가 송신제어부에 인가되며, 송신제어부에 의해 작동부의 LED가 발광되고, RF통신부를 통해 RF신호가 송출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9. 제 3항에 있어서,
    수신단말기(90)의 중앙처리장치는 데이터의 영구기록과 임시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멀티 전자찌.
KR1020050059766A 2005-07-04 2005-07-04 낚시용 멀티 전자찌 KR10077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766A KR100776777B1 (ko) 2005-07-04 2005-07-04 낚시용 멀티 전자찌
US11/204,090 US7131231B1 (en) 2005-07-04 2005-08-16 Multi-function electronic fishing float
JP2005314950A JP3866271B1 (ja) 2005-07-04 2005-10-28 釣り用マルチ電子浮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766A KR100776777B1 (ko) 2005-07-04 2005-07-04 낚시용 멀티 전자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88A true KR20070004288A (ko) 2007-01-09
KR100776777B1 KR100776777B1 (ko) 2007-11-28

Family

ID=3730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766A KR100776777B1 (ko) 2005-07-04 2005-07-04 낚시용 멀티 전자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31231B1 (ko)
JP (1) JP3866271B1 (ko)
KR (1) KR1007767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49B1 (ko) * 2010-04-14 2010-09-16 김지혜 전원단자 내구성 보강 발광찌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101242211B1 (ko) * 2011-06-18 2013-03-11 이원도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KR20200048683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763A1 (en) * 2004-07-13 2006-01-19 Bikini Lures, Inc. Electronic fishing lure
US20060288633A1 (en) * 2005-06-28 2006-12-28 Fiferlick Jeff L Float apparatus and method
TWI251464B (en) * 2005-07-15 2006-03-21 Tung Chiou Yue Intermittent mosquito/insect attracting/trapping device
US9137977B2 (en) * 2006-03-21 2015-09-22 Kent G. Davidson Fishing lure for implementing a fishing contest
US20160007581A1 (en) * 2006-03-21 2016-01-14 Kent G. Davidson Fishing Lure For Implementing A Fishing Contest
US7669360B2 (en) * 2006-03-21 2010-03-02 Davidson Kent G Fishing system
WO2008147332A1 (en) * 2007-05-29 2008-12-04 Pavol Miskovic Bite indicator for fishing
US8082100B2 (en) 2007-10-19 2011-12-20 Grace Ted V Watercraft automation and aquatic effort data utilization
KR100933754B1 (ko) * 2007-11-08 2009-12-24 이원도 멀티 전자찌
US8296993B2 (en) * 2007-11-16 2012-10-30 Monster Mosquito Systems, Llc Ultrasonic humidifier for repelling insects
US7562488B1 (en) * 2007-12-31 2009-07-21 Pulstone Technologies, LLC Intelligent strike indicator
KR100861111B1 (ko) * 2008-03-06 2008-09-30 송금옥 전자찌용 엘이디 기판모듈
ITMC20080120A1 (it) * 2008-06-20 2009-12-21 Nazario Luzi Sistema di ripresa video in particolare per la pesca.
ITMC20080121A1 (it) * 2008-06-20 2009-12-21 Nazario Luzi Sistema di ripresa video, con trasmissione wireless, in particolare per la pesca
US7921592B2 (en) * 2008-07-10 2011-04-12 Glenn Carelock Strike indicator for automatic fishing device
US8448375B1 (en) * 2009-04-27 2013-05-28 Michael Glen Blankenship Fishing apparatus
US8387303B2 (en) * 2009-10-20 2013-03-05 Tada Lures Llc Powered fishing lure with buoyant and submersible component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GB2477134A (en) * 2010-01-23 2011-07-27 Brian John Albert Wickins A fishing float with bite detection means
US8950107B1 (en) * 2010-06-03 2015-02-10 Field Systems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9867365B1 (en) * 2010-06-03 2018-01-16 Field Systems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044468B1 (ko) * 2011-02-22 2011-06-27 민원식 낚시찌의 어신감지 무선전송 장치
US8505232B2 (en) * 2011-07-12 2013-08-13 Erwin B Reynolds Dual color reversible lighted slip bobber
US20130055600A1 (en) * 2011-09-02 2013-03-07 David Thomas Burt Fishing dredge with a mount for an underwater camera and/or video camera
GB201210673D0 (en) * 2012-06-15 2012-08-01 Bvg Airflo Group The Ltd Combination fishing float and video capture system
US20150113853A1 (en) * 2013-10-24 2015-04-30 Echelon Solutions Group, LLC Fish strike de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150282469A1 (en) * 2014-04-02 2015-10-08 Jerry Fizer Fishing apparatus
WO2015154292A1 (zh) * 2014-04-10 2015-10-15 樊书印 一种垂钓提示器
CN104082259A (zh) * 2014-07-31 2014-10-08 周跃 可调钓目咬钩亮灯电子漂
RU2581240C1 (ru) * 2015-02-06 2016-04-20 Константин Эдуардович Огоньков Поплавок, закид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удилище (варианты)
WO2017074516A1 (en) * 2015-10-28 2017-05-04 Sanaee Sobhan Motorized tackle system for fishing
US10531651B1 (en) * 2016-04-25 2020-01-14 Heather Spillett Illuminating striking fish alert device
RU2634283C1 (ru) * 2016-07-25 2017-10-24 Константин Эдуардович Огонько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адионевод (варианты)
US10349646B2 (en) * 2016-08-31 2019-07-16 Intel Corporation Float with fishing conditions detection
GB2555484B (en) * 2016-11-01 2019-06-12 Fishtek Marine Ltd A fishing light attractor and a method of fishing therewith
CN108142385A (zh) * 2016-12-02 2018-06-12 防城港市港口区天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钓鱼装置
US20180206470A1 (en) * 2017-01-23 2018-07-26 Kenneth Casavant Ice Fishing Notification System
KR101879346B1 (ko) * 2017-08-31 2018-07-17 이성옥 부력조절과 발광기능을 갖는 낚시찌
PL126953U1 (pl) * 2018-01-12 2019-07-15 Dydko Mariusz Przedsiębiorstwo Produkcyjno Handlowo Usługowe Vimarco Obudowa sygnalizatora wędkarskiego
WO2019245321A1 (ko) * 2018-06-22 2019-12-26 권태화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어신감지 낚시찌
CN111165450A (zh) * 2018-11-12 2020-05-19 王金跃 一种可远程监控的钓鱼系统
CN110085015B (zh) * 2019-05-09 2021-03-09 广东省水文局韶关水文分局 一种用于水文监测的数据采集方法及数据采集系统
US11086203B2 (en) * 2019-08-07 2021-08-10 Jesse Pennington Floatable mount for a hunting camera
CN114568402A (zh) * 2020-11-18 2022-06-03 何娟 一种电子流水漂
CN112682709B (zh) * 2021-01-18 2023-06-23 湖南鱼得娱钓具有限公司 一种钓鱼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2598A (en) * 1966-06-06 1968-05-14 Nathan H Horn Fishing device
US4437255A (en) * 1982-04-23 1984-03-20 Dorian Reed Fish detecting system
US4748760A (en) * 1987-03-30 1988-06-07 Timothy R. Thorpe Electrical noise-making fishing bobber
JPS6437236A (en) * 1987-08-04 1989-02-07 Arimura Inst Technology Fishing float having transmitter
US4890334A (en) * 1988-02-26 1989-12-26 Chien Fong K Buoy structure for detecting fishing grounds
US5005309A (en) * 1989-08-25 1991-04-09 Hall John D Instrumented drift fish aggregating device and method
WO1992005692A1 (en) * 1990-09-27 1992-04-16 Kim, Sang, Myun An electronic float for fishing tackle
US5052145A (en) * 1990-12-26 1991-10-01 Wang Wen Chang Electric fishing float
IL102182A (en) * 1992-06-12 1996-10-16 Trigon Research & Dev Ltd Fish locator
US5511335A (en) * 1993-07-13 1996-04-30 Langer; Alexander G. Fishing lure
US5581930A (en) * 1993-07-13 1996-12-10 Langer; Alexander G. Remote activity sensing system
US5782033A (en) * 1996-03-08 1998-07-21 Aquametrics Inc. Fishing device with strike detection, data lock and line breakage protection
US5937566A (en) * 1997-03-24 1999-08-17 Buczkowski; Andrzej Fishing bobber with variable illumination
US6222449B1 (en) * 1997-07-21 2001-04-24 Ronald F. Twining Remote fish logging unit
US6138398A (en) * 1998-10-22 2000-10-31 Livingston; Kent A. Fishing bobber with sound output
KR100332396B1 (ko) * 1999-12-27 2002-04-13 송용석 전자 찌
US6397510B1 (en) * 2000-05-15 2002-06-04 Darrel J. Klein Fishing bobber with strike-indicating radio transmitter
US6584722B1 (en) * 2001-04-18 2003-07-01 Peter L. Walls Fishing inform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771562B2 (en) * 2002-06-02 2004-08-03 Techsonic Industries, Inc. Fish finding method and system
US6724688B2 (en) * 2002-06-02 2004-04-20 Techsonic Industries, Inc. Fish finding method and system
US6671994B1 (en) * 2002-06-04 2004-01-06 Darrel J. Klein Fishing bobber with signaling feature
KR100468019B1 (ko) * 2003-07-02 2005-01-25 주식회사 원도넷 낚시용 무선 통신 전자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49B1 (ko) * 2010-04-14 2010-09-16 김지혜 전원단자 내구성 보강 발광찌
KR101242211B1 (ko) * 2011-06-18 2013-03-11 이원도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KR101159025B1 (ko) * 2011-11-18 2012-06-21 김한진 어신감지용 전자찌
KR20200048683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210049496A (ko) * 2019-10-25 2021-05-0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66271B1 (ja) 2007-01-10
JP2007014325A (ja) 2007-01-25
KR100776777B1 (ko) 2007-11-28
US7131231B1 (en) 200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777B1 (ko) 낚시용 멀티 전자찌
US5331760A (en) Fish-attracting float
CN103238573B (zh) 全天候多功能智能电子灯式渔漂
KR100933754B1 (ko) 멀티 전자찌
US20150282469A1 (en) Fishing apparatus
US4809456A (en) Fish activated signalling apparatus
US5184414A (en) Floating fishing light and transducer
US11864531B1 (en) Fish bite indicator
KR100468019B1 (ko) 낚시용 무선 통신 전자찌
US20240032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racting crustaceans and other aquatic life
KR101242211B1 (ko)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분리형 무선 통신 전자찌
KR100839202B1 (ko) 낚시용 전자찌
US20170055510A1 (en) Signaling fishing float
GB2244196A (en) Fishing float with sensor
JP2004275164A (ja) 釣魚用浮子
CN107105635B (zh) 钓鱼用发光浮标
KR100593260B1 (ko) 움직이는 루어
CN211185540U (zh) 具有配重调整的改良浮标
KR102115172B1 (ko) 낚시용 찌로 활용 가능한 어신감지기
CA2167180A1 (en) Remote activity sensing system
CN103271009A (zh) 一种可回线报警灵敏度可调节的无线海竿语音报警器
TWM555130U (zh) 浮標結構
KR102434344B1 (ko)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KR101476655B1 (ko) 낚시용 찌
JP2010246394A (ja) 釣竿用当たり報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