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498A -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498A
KR20210127498A KR1020200045448A KR20200045448A KR20210127498A KR 20210127498 A KR20210127498 A KR 20210127498A KR 1020200045448 A KR1020200045448 A KR 1020200045448A KR 20200045448 A KR20200045448 A KR 20200045448A KR 20210127498 A KR20210127498 A KR 2021012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shing
float
paulownia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125B1 (ko
Inventor
조재정
Original Assignee
조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정 filed Critical 조재정
Priority to KR102020004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125B1/ko
Priority to PCT/KR2021/003727 priority patent/WO2021210803A1/ko
Priority to JP2022562790A priority patent/JP7490080B2/ja
Publication of KR2021012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부력의 오동나무를 이용하여 민감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에 접촉되어도 부식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오동나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낚싯줄 통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홈이 함몰 형성되는 찌몸체; 홈에 삽입되는 배터리와, 찌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미라이트와, 케미라이트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홈의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되어 홈을 밀폐시키는 탄성튜브를 포함하는 발광수단; 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미라이트를 보호하는 투명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Fishing float using paulownia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부력의 오동나무를 이용하여 민감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에 접촉되어도 부식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레저 중 하나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취향에 따른 다양한 장르의 낚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찌는 수면에서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혀 낚싯줄을 타고 전해오는 물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낚시찌가 떠오르도록 부력을 갖는 찌몸체과, 찌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고기의 입질이나 어신으로 인한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색으로 눈금이 칠해진 식별띠가 표시된 찌톱과, 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낚시바늘과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찌다리로 구성된다.
보통 낚시를 할 때 찌몸체는 낚싯줄과 함께 수면에 잠기게 되고, 부력에 의해 찌몸체와 결합된 상부의 찌톱 부분만 수면 위로 노출된다. 즉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시바늘에 걸리게 되면 물고기의 움직임에 따라 찌몸체가 상하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찌몸체는 수면에 잠겨 보이지 않지만 찌몸체와 결합된 찌톱 부분이 움직이는 것에 의해 입질의 신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주간이 아닌 야간에 낚시를 하는 경우, 식별띠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전체적인 낚지씨의 움직임 또한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려워 발광수단이 결합된 낚시찌가 제공되어 왔다.
발광수단으로는, 찌톱에 발광도료를 코팅하는 방식부터 찌톱 상단의 홀더에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하는 케미라이트를 연결하는 방식, 전자식 발광체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 중 LED와 같은 전자식 발광체를 이용한 방식은 더 높은 휘도로 인한 우수한 식별성과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발광체가 접목된 낚시찌의 경우 다수 개의 발광체를 구비하여 낚시찌의 시인성을 높이거나 낚시찌의 위치 확인 뿐만 아니라 어신이 왔을 때를 알려주는 어신감지 발광체를 따로 두는 등의 발전을 거듭해왔다.
어신감지 발광체는 낚시찌가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는 소등되어 있다가 입질이 시작되면 낚시찌가 수면 위로 상승되면서 어신감지 발광체가 점등하여 어신이 왔음을 알려준다. 즉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뜨는 유동체와 이에 접속되는 전도성 금속체가 구비되어 낚시찌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 유동체와 전도성 금속체가 접촉되어 각 전선들의 단자가 연결되면서 점등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경우 유동체와 전도성 금속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만 전원이 공급되어 어신감지 발광체가 점등되고, 스위치단자가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이 불량하거나 이물질이 끼어있을 경우 제대로 점등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단자에 의해 낚싯줄이 엉키거나, 바닷물에 직접 접촉됨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이 되면서 낚시찌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벵어돔과 같은 물고기는 활성도가 좋지 않을 때에 예민한 입질로 미끼를 살짝 따먹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낚시 초보자가 낚시찌를 보고 어신을 파악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낚시찌가 밀폐식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 부력이 물보다 강해져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는지의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해 보기 위하여 민감성이 좋은 오동나무를 활용하여 케미라이트와 접목시켜 간단하게 제조 가능하고,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에 오랜시간 접촉되더라도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낚시찌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6209호, 1998.04.30.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저부력을 갖는 오동나무를 이용하여 민감도를 상승시켜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에 접촉되어도 부식이 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동나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낚싯줄 통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홈이 함몰 형성되는 찌몸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배터리와, 상기 찌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미라이트와, 상기 케미라이트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홈의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홈을 밀폐시키는 탄성튜브를 포함하는 발광수단; 및 상기 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미라이트를 보호하는 투명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의 내면에는 다수 개의 함몰된 오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동나무를 일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로 낚싯줄 통로를 관통 형성하고, 상면에 홈을 함몰 형성하여 찌몸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케미라이트의 둘레면에 탄성튜브를 장착하고, 상기 홈에 배터리와 상기 케미라이트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상기 케미라이트가 상기 찌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홈의 내면에 상기 탄성튜브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상기 홈을 밀폐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찌몸체의 상부에 상기 케미라이트를 보호하는 투명캡을 결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투명캡 내면에는 다수 개의 함몰된 오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동나무를 가공한 찌몸체에 탄성튜브로 감싼 케미라이트를 장착한 후 찌몸체와 투명캡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낚시찌의 상하로 통과되는 낚싯줄을 엉키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낚시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부력이 물보다 작은 오동나무를 이용하기 때문에 민감도가 상승되어 입질의 감도를 극대화함으로써,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찌몸체의 낚싯줄 통로와 투명캡의 낚싯줄 통과홀에 의해 개방된 케미라이트의 발광공간에 바닷물이 유입되어도 케미라이트와 배터리 사이로는 바닷물이 침투되지 않기 때문에 낚시찌의 내식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케미라이트에 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 뿐만 아니라 일조량이 적은 장소나 야간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사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캡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100)의 사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100)와, 낚시찌(100)의 상하로 관통되는 낚싯줄(F1)과, 낚싯줄(F1)의 끝단에 연결된 낚시바늘(F2)로 이루어진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시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100)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100)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찌(100)는 찌몸체(110), 발광수단(120) 및 투명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찌몸체(110)는 상하로 낚싯줄 통로(112)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홈(113)이 함몰 형성되어 낚시찌(100)에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찌몸체(110)는 오동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동나무는 단단하면서 물보다 부력이 작아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찌몸체(110)는 바닷물에서의 부유가 쉽도록 방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술한 방추형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낚시찌(100)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광수단(120)은 홈(113)에 삽입되는 배터리(121)와,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터리(121)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미라이트(122)와,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홈(113)의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되어 홈(113)을 밀폐시키는 탄성튜브(123)를 포함함으로써, 케미라이트(122)의 발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일조량이 적은 장소에서나 야간에 낚시를 할 때에는 시야 확보가 쉽지 않아 낚시찌(100)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광수단(120)은 낚시찌(100)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경우 낚시찌(10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1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찌몸체(110)에 형성된 홈(113)의 최저면에 안착되고, 케미라이트(122)의 하단과 접촉되어 케미라이트(122)에 전원을 공급한다.
케미라이트(122)는 화학식 또는 전자식에 의하여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 중 화학식은 특정 자극을 줄 경우에 발광이 되도록 하는 것이고, 전자식은 배터리(1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되는 발광소자인 것으로, 화학식은 그 수명 파악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배터리(121)에 의해 발광하는 전자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튜브(123)는 케미라이트(122)의 외부를 감싸도록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배터리(121)가 삽입되어 있는 찌몸체(110)의 홈(113)에 삽입하되, 케미라이트(122)의 외면과 홈(113)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홈(113)의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홈(113)을 밀폐시킨다.
탄성튜브(123)에 의해 홈(113) 내부에는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의 사이에 밀폐된 밀폐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찌몸체(11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홈(113)에 배터리(121)를 삽입하고, 배터리(121)의 상부에 탄성튜브(123)가 장착된 케미라이트(122)를 끼움 삽입하게 되면, 배터리(121)의 상면과 탄성튜브(123)의 하단 사이에 밀폐공간(S2)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탄성튜브(123)가 홈(113)의 내면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밀폐공간(S2)으로 바닷물 등의 이물질 유입을 막을 수 있게 되므로, 케미라이트(122)와 배터리(12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투명캡(130)은 찌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미라이트(122)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투명캡(130)의 하단 내측면에는 찌몸체(110)의 상단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제1나사산(111)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131)이 형성됨으로써, 제1나사산(111)과 제2나사산(131) 간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찌몸체(110)와 투명캡(130)이 일체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명캡(13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러한 도 4를 참고하면 투명캡(130)의 내면에 내부로 오목한 오목패턴(133)이 다수 개 형성되어 케미라이트(122)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의 확산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오목패턴(133)에 의해 케미라이트(122)에서 발산되는 광을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낚시찌(100)의 확인이 시워져 눈의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투명캡(130)은 케미라이트(122)의 발광 확인을 쉽게 하기 위해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100)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5를 참고하면 낚시찌(100)의 제조방법은 오동나무를 일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로 낚싯줄 통로(112)를 관통 형성하고, 상면에 홈(113)을 함몰 형성하여 찌몸체(110)를 제조하는 제1단계(S10),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탄성튜브(123)를 장착하고, 홈(113)에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케미라이트(122)가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홈(113)의 내면에 탄성튜브(123)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홈(113)을 밀폐시키는 제2단계(S20) 및 찌몸체(110)의 상부에 케미라이트(122)를 보호하는 투명캡(130)을 결합하는 제3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제1단계는 오동나무를 일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로 낚싯줄 통로(112)를 관통 형성하고, 상면에 홈(113)을 함몰 형성하여 찌몸체(1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S10).
오동나무를 준비하고, 준비된 오동나무를 일정 기간 자연 건조시킨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다. 절단된 오동나무를 원하는 형상, 예를 들어 방추형으로 절삭 가공하여 찌몸체(110)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찌몸체(110) 형상을 만든 후, 찌몸체(110)의 상면에는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가 수납될 수 있는 홈(113)을 내부로 함몰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판다. 이때 홈(113)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찌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밀과 같은 프레이즈 가공을 통하여 상하로 관통된 낚싯줄 통로(112)를 형성하고, 이때의 낚싯줄 통로(112)는 낚싯줄(F1)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또한 찌몸체(110)에는 낚싯줄 통로(112)를 감싸도록 일정 무게를 갖는 중량추(114)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에서는 중량추(114)를 낚싯줄 통로(11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게 도시하였으나, 찌몸체(110) 내부에 중량추(114)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는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단계는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탄성튜브(123)를 장착하고, 홈(113)에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케미라이트(122)가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홈(113)의 내면에 탄성튜브(123)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홈(113)을 밀폐시키는 단계이다(S20).
우선 케미라이트(122)의 외부를 감쌀 수 있는 일정 면적을 갖는 링 형태의 탄성튜브(123)를 준비한다. 탄성튜브(123)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바, 탄성을 가지면서 케미라이트(122)를 감싸 찌몸체(110)의 홈(113)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단계는 찌몸체(110)의 상부에 케미라이트(122)를 보호하는 투명캡(130)을 결합하는 단계이다(S30).
찌몸체(110)의 상단 외측면을 따라 제1나사산(111)이 형성되고, 투명캡(130)의 하단 내측면을 따라 제1나사산(111)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131)이 형성됨으로써, 탄성튜브(123)가 장착된 케미라이트(122)를 찌몸체(110)의 홈(113)에 끼운 후, 제1나사산(111)과 제2나사산(131)에 의해 찌몸체(110)와 투명캡(130)을 나사 결합하여 일체화시킨다.
찌몸체(110)와 투명캡(130)을 일체화시키게 되면,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된 케미라이트(122)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공간(S1)은 찌몸체(110)의 상하로 관통된 낚싯줄 통로(112)와 투명캡(13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낚싯줄 통과홀(132)로 인해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형을 이루기 때문에, 실제 낚시찌(100)를 바닷물에 띄워 사용하게 되더라도 홈(113) 내부에 삽입된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의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S2)에 의해 케미라이트(122)와 배터리(12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찌몸체(110)의 상부에 별도의 케이스(미도시)를 끼운 후, 케이스의 외면에 제1나사산을 형성하여 투명캡(130)의 제2나사산(131)과의 결합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낚시찌(100)는 바닷물에 사용 시 파도나 조류에 의해 발광공간(S1)에 저압이 형성되고 낚싯줄 통로(112)로는 고압이 형성됨으로써, 발광공간(S1)에 바닷물이 유입되어 부력을 완전히 상쇄하여 입질의 감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동나무를 일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로 낚싯줄 통로(112)를 관통 형성하고, 상면에 홈(113)을 함몰 형성하여 찌몸체(110)를 제조한 후,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탄성튜브(123)를 장착하고, 홈(113)에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케미라이트(122)가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홈(113)의 내면에 탄성튜브(123)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홈(113)을 밀폐시킨 다음, 찌몸체(110)의 상부에 케미라이트(122)를 보호하는 투명캡(130)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낚시찌(100)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데 특징이 있다.
특히 오동나무는 물에 비해 부력이 작기 때문에, 저부력을 갖는 오동나무를 이용하여 입질의 민감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물고기의 예민한 입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미라이트(122)의 둘레면에 탄성튜브(123)를 장착하고, 찌몸체(110)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홈(113)에 배터리(121)와 케미라이트(122)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케미라이트(122)가 찌몸체(11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홈(113)의 내면에 탄성튜브(123)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홈(113)을 밀폐시켜 밀폐공간(S2)을 형성하므로, 케미라이트(122)가 발광되는 발광공간(S1)이 개방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바닷물이 발광공간(S1)으로 유입되어도 배터리(121)의 부식을 방지하여 낚시찌(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낚시찌
110: 찌몸체
111: 제1나사산
112: 낚싯줄 통로
113: 홈
114: 중량추
120: 발광수단
121: 배터리
122: 케미라이트
123: 탄성튜브
130: 투명캡
131: 제2나사산
132: 낚싯줄 통과홀
133: 오목패턴
F1: 낚싯줄
F2: 낚시바늘
S1: 발광공간
S2: 밀폐공간

Claims (4)

  1. 오동나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낚싯줄 통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면에 홈이 함몰 형성되는 찌몸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배터리와, 상기 찌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되는 케미라이트와, 상기 케미라이트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홈의 내면과 억지 끼움 결합되어 상기 홈을 밀폐시키는 탄성튜브를 포함하는 발광수단; 및
    상기 찌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미라이트를 보호하는 투명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의 내면에는 다수 개의 함몰된 오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3. 오동나무를 일정 형상으로 가공한 후, 상하로 낚싯줄 통로를 관통 형성하고, 상면에 홈을 함몰 형성하여 찌몸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케미라이트의 둘레면에 탄성튜브를 장착하고, 상기 홈에 배터리와 상기 케미라이트를 차례대로 삽입하여 상기 케미라이트가 상기 찌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홈의 내면에 상기 탄성튜브를 억지 끼움 결합하여 상기 홈을 밀폐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찌몸체의 상부에 상기 케미라이트를 보호하는 투명캡을 결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투명캡 내면에는 다수 개의 함몰된 오목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의 제조방법.
KR1020200045448A 2020-04-14 2020-04-14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KR10242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48A KR102429125B1 (ko) 2020-04-14 2020-04-14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PCT/KR2021/003727 WO2021210803A1 (ko) 2020-04-14 2021-03-25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562790A JP7490080B2 (ja) 2020-04-14 2021-03-25 桐を用いた釣り用ウ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48A KR102429125B1 (ko) 2020-04-14 2020-04-14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498A true KR20210127498A (ko) 2021-10-22
KR102429125B1 KR102429125B1 (ko) 2022-08-03

Family

ID=7808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448A KR102429125B1 (ko) 2020-04-14 2020-04-14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90080B2 (ko)
KR (1) KR102429125B1 (ko)
WO (1) WO20212108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759B1 (ko) * 2023-06-05 2023-07-19 백성복 낚시용 uv 써치라이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458A (ja) * 1995-12-01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浮子
KR980006209U (ko) 1996-07-26 1998-04-30 육상수 포리카보라이트톱과 스테인레스보디의 조립찌
KR19980083414A (ko) * 1997-05-15 1998-12-05 우홍석 바다 낚시찌의 부력 변동방지 방법 및 구성
KR200415536Y1 (ko) * 2005-11-19 2006-05-03 현병남 전자 발광 찌
KR20090008782A (ko) * 2007-07-19 2009-01-22 류지현 발광 찌
CN102405891A (zh) * 2011-09-30 2012-04-11 西安华科光电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电子渔漂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41A (ja) * 1998-06-23 2000-01-11 Masami Hirose 釣用発光浮き
JP2001045935A (ja) 1999-08-05 2001-02-20 Kenichi Tashiro 照明付き浮き
JP2001346486A (ja) 2000-06-02 2001-12-18 Daiwa Seiko Inc 釣り用中通し電気浮き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7882A (ja) 2000-07-12 2002-01-29 Shigeru Komai 遠投用飛ばしウキ
KR200447338Y1 (ko) * 2007-12-10 2010-01-19 최상용 발광 낚시찌
KR20170070381A (ko) * 2015-12-14 2017-06-22 강경식 낚시용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49646B2 (en) 2016-08-31 2019-07-16 Intel Corporation Float with fishing conditions detection
KR102054073B1 (ko) 2017-07-13 2019-12-09 연성열 부력조절 낚시찌
JP2020078290A (ja) 2019-07-08 2020-05-28 和代 長谷川 エコな魚釣りウ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4458A (ja) * 1995-12-01 1997-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浮子
KR980006209U (ko) 1996-07-26 1998-04-30 육상수 포리카보라이트톱과 스테인레스보디의 조립찌
KR19980083414A (ko) * 1997-05-15 1998-12-05 우홍석 바다 낚시찌의 부력 변동방지 방법 및 구성
KR200415536Y1 (ko) * 2005-11-19 2006-05-03 현병남 전자 발광 찌
KR20090008782A (ko) * 2007-07-19 2009-01-22 류지현 발광 찌
CN102405891A (zh) * 2011-09-30 2012-04-11 西安华科光电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电子渔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759B1 (ko) * 2023-06-05 2023-07-19 백성복 낚시용 uv 써치라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803A1 (ko) 2021-10-21
KR102429125B1 (ko) 2022-08-03
JP2023521900A (ja) 2023-05-25
JP7490080B2 (ja)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447A (en) Fis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bait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102429125B1 (ko)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US8402686B1 (en) Light emitting fishing teaser
US5184414A (en) Floating fishing light and transducer
US4250651A (en) Lighted fish lure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100679353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196570B1 (ko)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KR102258180B1 (ko) 낚시용 케미라이트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101853581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200260469Y1 (ko) 전계발광체를 이용한 밤낚시용 찌
TWI663360B (zh) 電子螢光棒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100372271B1 (ko) 낚시찌
TWM614571U (zh) 浮標
KR20190003068U (ko) 점멸 속도 가변식 집어등
KR100842106B1 (ko) 기능성 낚시찌
KR200288545Y1 (ko) 찌 속에서 부상하는 낚시찌
CN219679551U (zh) 一种仿生诱鱼灯
KR0168518B1 (ko) 낚시찌용 전자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