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073B1 - 부력조절 낚시찌 - Google Patents

부력조절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073B1
KR102054073B1 KR1020180073584A KR20180073584A KR102054073B1 KR 102054073 B1 KR102054073 B1 KR 102054073B1 KR 1020180073584 A KR1020180073584 A KR 1020180073584A KR 20180073584 A KR20180073584 A KR 20180073584A KR 102054073 B1 KR102054073 B1 KR 10205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uoyancy
bobber
weigh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090A (ko
Inventor
연성열
Original Assignee
연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성열 filed Critical 연성열
Priority to PCT/KR2018/00736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13476A1/ko
Priority to JP2020523224A priority patent/JP2020527052A/ja
Publication of KR2019000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시 사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판 형상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상,하면 각각에 봉 형상의 제1,2지지봉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상부캡;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하부캡;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캡과 상기 밀폐부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 하부 공간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물을 채우는 물통이 삽입되는 물저장부; 및 상기 물저장부에서 상기 상,하부캡 외부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지지봉의 일측에 각각 삽입되는 밀폐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패킹부는, 상기 제1,2관통공에 각각 밀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력조절 낚시찌{A buoyancy-adjustable fishing floa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낚시할 때 담수에 의한 부력조정으로 한 개의 찌만으로 다수의 부력을 갖는 찌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다양한 낚시기법으로 낚시할 때 봉돌의 가감 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인에게 편의와 예민함을 주고자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일정한 1개의 부력을 갖도록 고정되어 있어 각각이 1개의 역할만 하기에 찌 내부의 부력을 자유 조정하여 다수 부력의 여러 가지 찌로 사용할 수 있을 경우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낚시 봉돌은 낚시 바늘이 물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과 함께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기 위한 기능을 하게 된다.
낚시용 봉들은 대부분 어신찌와 별도로 어신찌 하부의 낚시줄에 끼워 사용하거나 낚시바늘 상부의 낚기줄에 집게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낚시용 봉돌의 부피는 최대한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주로 납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단 도구로 잘라내어 봉돌 전체의 무게를 줄이거나 별도의 중량 추가부재를 부착하여 봉돌의 전체 무게를 늘이는 방법으로 무게 평형을 맞춰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납 재질의 낚시용 봉돌을 사용하는 경우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고 난 후에 물속에 버려지는 납 부스러기와 낚시 중 또는 낚시 후 버려지는 납 봉돌의 유해한 성분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어 어족자원이나 수생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찌 몸체부의 부피를 직접 늘리거나 또는 찌몸체부의 상부나 낚시줄에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 조절체를 부착시킨 후, 공기중에서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조절방식들이 발명되었다.
등록특허 제10-1279290호는 부력 조절체를 구비하는 낚시찌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일반적인 낚시찌에 비해 다양한 장점이 있다고 보여지나,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부력체가 찌톱 상단 공기중에 위치하는데, 이 부력체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물고기의 상방향 입질 시 부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있다.
또한, 찌톱 하단부가 수면에 위치되도록 규격화시키기 위해 상부의 부력조절체의 무게가 찌몸체의 부력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상부 부력 조절체 무게만큼 찌몸체에 해당하는 부력체가 커져 수중에서 물의 저항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아주 사소한 부력 차이일 수도 있으나, 예민함이 생명인 찌낚시에 있어서는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되는 부분인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부력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예민하고 정직한 찌의 운동성을 제어할 수 있고 1개의 찌로 다수 부력의 찌로 사용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92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낚시인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낚시할 때 담수에 의한 부력조정으로 한 개의 찌만으로 다수 부력의 찌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봉돌의 가감 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인에게 편의와 예민함을 주고자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시시 사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판 형상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상,하면 각각에 봉 형상의 제1,2지지봉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상부캡;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하부캡;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캡과 상기 밀폐부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 하부 공간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물을 채울 수도 있고 추가로 물통이 삽입될 수도 있는 물저장부; 및 상기 물저장부에서 상기 상,하부캡 외부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지지봉의 일측에 각각 삽입되는 밀폐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패킹부는, 상기 제1,2관통공에 각각 밀폐 삽입된다.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맞추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하부캡의 제1,2관통공에 상기 밀폐부의 제1,2지지봉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상,하부캡의 오픈된 면이 상기 밀폐판의 상,하면에 각각 맞물리면서 밀폐될 수 있다.
부력을 조절하는 부피유닛이 상기 제1,2지지봉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지지봉 일측에 설치되어 채워지는 물의 양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봉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의 내부면이 상기 나사선에 맞물리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게추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봉의 일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의 내부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제2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걸림홈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되도록 한 후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다.
빛을 발광하여 낚시찌의 시인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상기 상부캡을 개방하고 상부쪽에서 상기 밀폐판 상부로 유입시켜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낚시인이 낚시시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낚시기법을 변경하여 낚시를 하더라도 봉돌의 가감 없이 낚시추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낚시인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 발명이다.
즉, 낚시찌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량에 따라 고부력찌, 중부력찌, 저부력찌로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내부에 유동추가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 낚시에 따라 낚시찌의 예민도를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낚시찌의 내부에 물을 담수하여 무게를 늘릴 수 있어 낚시시 다른 낚시찌 대비 멀리 보낼 수도 있고, 하부중심으로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낚시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낚시찌의 밀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 낚시찌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낚시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낚시찌의 밀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부력조절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낚시시 사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판 형상 밀폐판(110)과 밀폐판(110)의 상,하면 각각에 봉 형상의 제1,2지지봉(120,130)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100)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1관통공(210)이 뚫려 있는 상부캡(200)과,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관통공(310)이 뚫려 있는 하부캡(300)과,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하부캡(200,300)과 밀폐부(100)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 하부 공간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물을 채우는 물통(410)이 삽입되는 물저장부(400)에서 상,하부캡(200,300) 외부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 지지봉(120,130)의 일측에 각각 삽입되는 밀폐패킹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밀폐부(100), 상부캡(200), 하부캡(300), 물저장부(400), 밀폐패킹부(500)로 구성되는 것으로 낚시할 때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다양한 낚시기법으로 낚시할 때 봉돌의 가감 없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인에게 편의와 예민함을 주고자하는 부력조절 낚시찌(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봉돌은 낚시바늘이 물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과 함께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을 찌에 전달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낚시용 봉돌은 어신찌와 별도로 어신찌 하부의 낚시줄에 끼워 사용하거나 낚시바늘 상부의 낚기줄에 집게형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낚시용 봉돌의 부피는 최대한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주로 납을 사용하고 있고,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단도구로 잘라내어 봉돌의 전체의 무게를 줄이거나 별도의 중량 추가부재를 부착하여 봉돌의 전체 무게를 늘이는 방법으로 무게 평형을 맞춰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납 재질의 낚시용 봉돌을 사용하는 경우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고 난 후에 물속에 버려지는 납 부스러기의 유해한 성분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어 어족자원이나 수생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찌몸체부의 부피를 직접 늘리거나 또는 찌몸체부의 상부나 낚시줄에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조절체를 부착시킨 후, 공기중에서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조절방식들이 발명되었다.
등록특허 제10-1279290호는 부력 조절체를 구비하는 낚시찌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일반적인 낚시찌에 비해 다양한 장점이 있다고 보여지나,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부력체가 찌톱 상단 공기중에 위치하는데, 이 부력체의 자체무게로 인하여 물고기의 상방향 입질 시 부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찌톱 하단부가 수면에 위치되도록 규격화시키기 위해 상부의 부력조절체의 무게가 찌몸체의 부력에 반영되어야 하므로, 상부 부력 조절체 무게만큼 찌몸체에 해당하는 부력체가 커져 수중에서 물의 저항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아주 사소한 부력 차이일 수도 있으나, 예민함이 생명인 찌낚시에 있어서는 결코 무시해서는 안되는 부분인 것이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부력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예민하고 정직한 찌의 운동성을 제어할 수 있는 낚시찌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할 때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다양한 낚시기법으로 낚시할 때 봉돌의 가감 없이 낚시추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낚시인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부력조절을 할 수 있는 유동식 부력조절 낚시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낚시인이 낚시시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낚시기법을 변경하여 낚시를 하더라도 봉돌의 가감 없이 낚시추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낚시인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 발명이다. 즉, 낚시찌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량에 따라 고부력찌, 중부력찌, 저부력찌로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동추가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 낚시에 따라 낚시찌의 예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찌의 내부에 물을 담수하여 무게를 늘릴 수 있어 낚시시 다른 낚시찌 대비 멀리 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밀폐부(100)는 뒤에서 설명하는 상,하부캡(200,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밀폐판(110)과 제1,2지지봉(120,130)으로 구성된다. 밀폐판(110)은 판 형상의 부재로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에 맞물려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을 밀폐시키는 부재이다. 밀폐판(110)은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에 맞물리도록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밀폐판(110)은 양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결합돌기(140,150)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이 결합돌기(140,150)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100)와 상,하부캡(200,300)이 맞물려 결합되는 곳에 수 밀링(900)이 추가로 결합되어 좀 더 밀폐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1,2지지봉(120,130)은 밀폐판(110)의 상,하면 각각에 결합되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제1,2지지봉(120,130)은 제1관통공(210)과 제2관통공(310) 각각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제2지지봉(130)은 하부캡(300)과 결합시 제2관통공(310)에 삽입되는 봉 부재이다. 제2지지봉(130)은 외주면 일측에 걸림돌기(미도시)가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밀폐부(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캡(200)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1관통공(210)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상부캡(200)은 밀폐판(110)의 일면에 맞물려 상부캡(200)과 밀폐판(110)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부재이다. 이때, 제1관통공(210)으로 제1지지봉(120)이 결합된다.
상부캡(2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하부캡(300)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관통공(310)이 뚫려 있는 부재이다. 하부캡(300)은 밀폐판(110)의 타면에 맞물려 하부캡(300)과 밀폐판(110)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부재이다. 이때, 제2관통공(310)으로 제2지지봉(130)이 결합된다.
하부캡(300)은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하부캡(200,300)의 제1,2관통공(210, 310)에 밀폐부(100)의 제1,2지지봉(120,130)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하부캡(200,300)의 오픈된 면이 밀폐판(110)의 상,하면에 각각 맞물리면서 밀폐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낚시에 필요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낚시인이 낚시시 낚시채비를 변경하거나 낚시기법을 변경하여 낚시를 하더라도 봉돌의 가감 없이 낚시찌(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낚시인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 발명이다.
한편, 상,하부캡(200,300)에 형성된 제1,2관통공(210,310)에는 각각 링(211,311)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링(211,311)은 세라믹 링(Ceramic ring)으로서, 제1,2관통공(210,310)의 외관 둘레를 매끄럽게 막아줄 뿐만 아니라, 제1,2관통공(210,310)의 외부 충격 및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다. 다만 링(211,311)의 재질을 세라믹 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라믹 링의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물저장부(400)는,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하부캡(200,300)과 밀폐부(100)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하부 공간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추가로 물통(410)을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물통(410)은 튜브일 수 있다. 다만 물통(410)의 재질을 튜브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물통(410)의 재질은 물이 저장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통(410)은 물통(410) 없이, 물저장부(400)에 바로 물을 채우게 되면 물이 상,하부캡(200,300) 외부로 세어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세어나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물저장부(400)는 상,하부캡(200,300)과 밀폐부(100)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하부 공간 부 또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물을 채워 낚시에 필요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낚시찌(10)는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량에 따라 고부력찌, 중부력찌, 저부력찌로 낚시찌(1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낚시 형태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낚시찌(10)는 내부에 물이 담수된 만큼 무게가 늘어나 낚시시 다른 낚시찌 대비 멀리 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물 저장 공간에 물통(410)이 선택적으로 상,하부캡(200,300)에 삽입되어 채워지는 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력이 있는 부피유닛(700)이 상,하부캡(200,300)에 설치되어, 제1,2지지봉(120,130) 두개 또는 어느 하나의 지지봉(120,130) 일측에 설치되어 채워지는 물의 양을 줄여줄 수 있다. 부피유닛(700)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단순 링 형상의 부재로부터 양단의 지름이 다른 원기둥 형상 등 사용자의 낚시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부피유닛(700)은 소요되는 강도와 부력을 가지고 있으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발포성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밀폐패킹부(500)는, 물저장부(400)에서 상,하부캡(200,300) 외부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지지봉(120,130)의 일측에 각각 삽입된다. 여기서 밀폐패킹부(500)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밀폐패킹부(500)는 제1,2지지봉(120,130)과 스크류 결합없이, 제1,2관통공(210,310)을 패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밀폐패킹부(500) 및 제1,2지지봉(120,130)의 스크류 구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으로, 재료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무게추(600)는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지지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맞추는 부재이다. 무게추(600)는 중심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제2지지봉(130)이 관통공(미도시)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무게추(600)가 제2지지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어 낚시에 따라 낚시찌(10)의 예민도를 조절하면서 낚시를 할 수 있다. 무게추(600)는 내부면이 제2지지봉(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에 맞물리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추(60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무게추(600)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무게추(600)는 제2지지봉(130)의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 낚시찌(10)의 예민도가 낮아지고, 제2지지봉(130)의 타단(밀폐판과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낚시찌(10)의 예민도가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지지봉(130)의 일단 외주면에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무게추(600)의 내부면에 걸림돌기(미도시)가 관통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되, 무게추(600)가 제2지지봉(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되 걸림홈(미도시)으로 걸림돌기(미도시)가 관통되도록 한 후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무게추(600)가 걸림돌기(미도시)를지난 후에 회전되어 고정되면 외부에 의해서 무게추(600)가 걸림돌기(미도시)에 걸려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빛을 발광하여 낚시찌(10)의 시인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상부캡(200)을 열고 발광채틀(810)에 배터리(820)를 꽂아 연결하는 방식으로 하부캡(300)을 열고 그곳에 담수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밀폐된 상부캡(200)에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채틀(810)은 발광부재(800)가 상,하부캡(200,300)과 밀폐부(100)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부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발광부재(800) 및 배터리(820)를 결합하고, 상부캡(200)에서 발광부재(800) 및 배터리(8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즉 밀폐된 상부캡(200) 내부에는 발광부재(800)와, 발광채틀(810) 및 배터리(82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820)는 공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광부재(800)는 사용자가 낚시시 낚시찌(10)의 시인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야간같이 주변이 어둡거나 빛을 좋아하는 물고기를 낚을 때 효과적이다. 발광부재(800)는 내부에 배터리(820)와 발광채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낚시시 건전지를 연결하면 발광하도록 하는 것으로 불을 밝히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이때, 좀 더 효과적으로 낚시찌(10)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캡(200)은 투명한 형태의 재질이거나 빛을 받아 다양한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력조절 낚시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낚시찌 100 : 밀폐부
110 : 밀폐판 120 : 제1지지봉
130 : 제2지지봉 140, 150 : 결합돌기
200 : 상부캡 210 : 제1관통공
211 : 링 300 : 하부캡
310 : 제2관통공 311 : 링
400 : 물저장부 410 : 물통
500 : 밀폐패킹부; 600 : 무게추
700 : 부피유닛 800 : 발광부재
810 : 발광채틀 820 : 배터리
900 : 수 밀링

Claims (6)

  1. 낚시시 사용되는 낚시찌에 있어서,
    판 형상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의 상,하면 각각에 봉 형상의 제1,2지지봉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밀폐부;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상부캡;
    속이 빈 반원 형상으로 상면 일측에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하부캡;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캡과 상기 밀폐부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인 상, 하부 공간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공간에 물을 채울 수도 있고 추가로 물통이 삽입될 수도 있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에서 상기 상,하부캡 외부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지지봉의 일측에 각각 삽입되는 밀폐패킹부;및
    사용자가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 낚시시 필요한 무게중심을 맞추는 무게추;
    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패킹부는, 상기 제1,2관통공에 각각 밀폐 삽입되고,
    상기 상,하부캡의 제1,2관통공에 상기 밀폐부의 제1,2지지봉이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상,하부캡의 오픈된 면이 상기 밀폐판의 상,하면에 각각 맞물리면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부력을 조절하는 부피유닛이 상기 제1,2지지봉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지지봉 일측에 설치되어 채워지는 물의 양을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봉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의 내부면이 상기 나사선에 맞물리도록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무게추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무게추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봉의 일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게추의 내부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무게추가 상기 제2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걸림홈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관통되도록 한 후 회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
  6. 청구항 1에 있어서,
    빛을 발광하여 낚시찌의 시인성을 높여 주는 것으로 상기 상부캡을 개방하고 상부쪽에서 상기 밀폐판 상부로 유입시켜 설치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조절 낚시찌.
KR1020180073584A 2017-07-13 2018-06-26 부력조절 낚시찌 KR10205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360 WO2019013476A1 (ko) 2017-07-13 2018-06-28 부력조절 낚시찌
JP2020523224A JP2020527052A (ja) 2017-07-13 2018-06-28 浮力調整釣りウ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07 2017-07-13
KR20170088907 2017-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90A KR20190008090A (ko) 2019-01-23
KR102054073B1 true KR102054073B1 (ko) 2019-12-09

Family

ID=6532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584A KR102054073B1 (ko) 2017-07-13 2018-06-26 부력조절 낚시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527052A (ko)
KR (1) KR102054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125B1 (ko) 2020-04-14 2022-08-03 조재정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16Y1 (ko) * 2002-08-05 2002-10-25 손원일 어신감지용 발광 낚시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1114A (en) * 1982-06-28 1984-07-24 Riead John T Fishing float
JP3549649B2 (ja) * 1995-12-15 2004-08-04 株式会社釣研 釣用浮き
JP2004097217A (ja) * 2002-08-19 2004-04-02 Tatsuo Yamamoto 釣魚用浮子
US20060254121A1 (en) * 2005-05-10 2006-11-16 Huynh Minh T Two-way sensitive fishing bobber and stop bead for use therewith
KR101279290B1 (ko) 2012-10-29 2013-06-26 원철호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KR20170107334A (ko) * 2016-03-15 2017-09-25 윤은배 캡슐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16Y1 (ko) * 2002-08-05 2002-10-25 손원일 어신감지용 발광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090A (ko) 2019-01-23
JP2020527052A (ja)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793B1 (ko) 다기능 낚시찌
KR102054073B1 (ko) 부력조절 낚시찌
KR100639600B1 (ko) 부력조절장치 및 그 부력조절장치를 구비한 낚시용 찌
KR200465107Y1 (ko) 낚시용 추
US2832169A (en) Fishing lure
KR10160047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전자찌
KR20190014310A (ko) 부력체의 가감으로 부력이 조정되는 낚시찌
KR200496849Y1 (ko)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JP3098737B2 (ja) 釣り浮き
JP4676571B1 (ja) 万能釣り用浮き。
KR101576766B1 (ko) 유동식 부력조절 낚시추
JP7428371B2 (ja) 釣り用浮き
KR101672168B1 (ko) 에어 포켓 현상을 이용한 부력조절 찌
KR200271482Y1 (ko) 중공낚시찌
KR970001360Y1 (ko) 낚시용 수중찌
RU122246U1 (ru) Поплавок
CN210406778U (zh) 一种可更换鱼钩的仿生鱼饵
KR100321482B1 (ko)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낚시찌
JP2001103892A (ja) 中通し棒浮子
KR101695939B1 (ko) 낚시용 찌
WO2019013476A1 (ko) 부력조절 낚시찌
KR200494187Y1 (ko) 부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KR20180052804A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낚시용 봉돌
KR20170143333A (ko) 루어낚시용 던질찌
KR200288474Y1 (ko) 낚시용 흘림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