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52U - 낚시용 전자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52U
KR20120002552U KR2020100010223U KR20100010223U KR20120002552U KR 20120002552 U KR20120002552 U KR 20120002552U KR 2020100010223 U KR2020100010223 U KR 2020100010223U KR 20100010223 U KR20100010223 U KR 20100010223U KR 20120002552 U KR20120002552 U KR 201200025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fishing
battery
emi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부
Original Assignee
오건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부 filed Critical 오건부
Priority to KR2020100010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55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낚시용 전자찌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발광체 부분에서 빛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광체에서 발산되는 빛이 일정 부분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부분이 이중캡 구조의 방수성이 뛰어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여 배터리의 부식방지 및 접속불량 현상을 예방함으로써 낚시 찌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부력을 갖도록 원형의 막대형태로 형성된 찌몸체부와, 배터리와, 서로 대응하는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외부 양측에서 나사결합되는 밀봉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게 연결된 배터리부와, 하단부에 낚시줄연결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수밀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찌밑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상부발광체 및 하부발광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부에서 연장된 전선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발광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이 구비된 발광부와, 내부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발광체의 빛이 상기 찌몸체부 방향으로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측 말단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외부관의 하단부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칸막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자찌{ELECTRICAL FROAT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낚시용으로 사용되는 낚시용 전자찌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발광체 부분에서 빛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광체에서 발산되는 빛이 일정 부분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부분이 이중캡 구조의 방수성이 뛰어난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여 배터리의 부식방지 및 접속불량 현상을 예방함으로써 낚시 찌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물에 뜨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포획되었을 때 수중으로 잠겼다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뜨는 방법으로서 포획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의 낚시찌의 상측부에는 포획상태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수면위로 부상하는 부위는 식별이 용이한 색채 표시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낚시찌는 주간 낚시에는 크게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야간 낚시에는 식별이 곤란한 것이어서, 최근에는 수면위에 부상된 부위에 빛이 발산되는 발광체가 구비된 낚시용 전자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야간낚시의 경우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發光)하는 앰플 형태의
캐미라이트(Chemilight, Chemical Light) 1개를 상기 찌톱 상단의 홀더에 꽂아 쓰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최근 캐미컬 라이트 보다 휘도가 크고 수명이 긴 LED를 발광체로서 이용한 전자찌를 사용하기도 한다.
전자찌는 상단에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체가 고정된 찌톱과 찌몸통 및 찌다리로 구성되고, 찌몸통은 상하 조립 가능한 2개의 몸통으로 분할 형성되며, 이러한 찌몸통 내부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된다. 배터리의 양 단자에는 배선이 연결되고, 배선은 발광체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발광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발광체가 발광되어 야간낚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전자찌는 캐미컬라이트에 비하여 그 광도가 수배에 이르고 수명도 전지의 용량에 따라 2-3일 이상 지속되며, 주야간으로 캐미컬라이트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지의 교체만으로 주야간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찌는 발광체가 찌톱의 상단부분에 설치되어 확산되면서 찌몸통 부분의 내부 공간을 따라 빛이 퍼지면서 빛의 밝기가 흐려지게 되어 발광체 부분의 빛의 시인성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야간낚시 중 상황에 따라서 입질을 판단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낚시용 전자찌는 낚시찌를 수중에 투척할 경우 틈새로 유입된 수분에 의해 낚시 찌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가 유입된 부식되는 등 본래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야간 낚시 등에 사용되는 낚시용 전자찌의 발광체 부분에서 발산되는 빛이 발광체 주변으로만 집중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캡 구조를 갖는 별도의 배터리부를 구성하여 수중에 투척된 낚시 찌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의 부식 및 접속불량 현상을 예방하여 제품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부력을 갖도록 원형의 막대형태로 형성된 찌몸체부와, 배터리와, 서로 대응하는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외부 양측에서 나사결합되는 밀봉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게 연결된 배터리부와, 하단부에 낚시줄연결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수밀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찌밑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상부발광체 및 하부발광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부에서 연장된 전선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발광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이 구비된 발광부와, 내부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발광체의 빛이 상기 찌몸체부 방향으로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측 말단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외부관의 하단부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칸막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상기 외부관의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발광체의 빛이 상기 외부관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칸막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칸막이부재의 상단부에는 캐미라이트가 고정되기 위한 캐미라이트 꽂이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상기 상부칸막이부재 및 하부칸막이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발광체 및 하부발광체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 각각에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상기 외부관의 상부측 말단부에는 상기 상부발광체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도록 외측을 향하여 타원형으로 돌출되는 확산돌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발광체 부분에서 발산되는 빛이 발광체 주변으로만 집중되어 시인성이 향상됨으로써 특히 야간 낚시중에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편리하고, 찌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빛의 움직임을 주시할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가 최소화된다.
또한, 이중캡 구조를 갖는 별도의 배터리부를 구성하여 수중에 투척된 낚시 찌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가 부식되거나 접속불량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발광부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반사판 부분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발광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배터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발광부 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반사판 부분을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는, 찌몸체부(10), 배터리부(20), 찌밑부(30), 발광부(40), 하부칸막이부재(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찌몸체부(10)는 부력을 갖는 원형의 막대형태로 형성된 찌목(11)과, 상기 찌목(11)의 하부에서 서로 압입되게 연결되는 원통형의 찌몸통(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찌몸체부(10)는 입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 표면으로 적정 간격만큼 이격된 색표시가 형성된다. 상기 찌목(11)은 낚시 찌가 수면에서 수직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찌몸통(12)의 상부에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찌몸통(12)은 상기 찌목(11)이 연결된 부분의 타측 말단부의 내주면으로 암나사부(12a)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배터리부(20)는 상기 발광부(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와, 상기 배터리(21)가 상기 찌몸통(12)의 내부 공간에 수밀되게 밀폐시키는 밀봉캡(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21)는 수면에서 부상하게 되는 상기 찌몸체부(10)의 내부에 내설되는 것으로 소형의 경량이고, 적정 용량을 가진 일회성의 리튬 건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밀봉캡(22)은 상기 배터리(21)가 수용되도록 원통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각각의 극성에 따라 연결된 발광체(41)의 납땜 부분과 전선(W)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전원연결단자(23)가 구비된 전원연결캡(22a)과 상기 전원연결캡(22a)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덮개(22b)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원연결캡(22a)과 캡덮개(22b)는 서로 대응하는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23)에 연결된 배터리(21)의 몸체를 덮도록 나사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20)는 상기 찌몸체부(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찌몸통(12)의 하부에 형성된 내부관통공(13)에 압입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21)는 상기 밀봉캡(22)에 의해 그 내부가 견고히 수밀됨으로써 수면으로 투척된 낚시 찌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방수 처리되게 된다.
상기 찌밑부(30)는 하단부에 낚시줄에 연결하여 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낚시줄연결구(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낚시줄연결구(31)가 형성된 타측 즉, 찌밑부(30) 상단부의 외주면으로 숫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상기 찌몸체부(10)의 암나사부(12a)와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밀봉캡(22)에 내설된 상기 배터리(21)가 이중으로 견고하게 방수 처리되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찌몸체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21)에서 상기 찌몸체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선(W)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것이다. 상기 발광부(40)는 상부와 하부를 향하여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광되는 상부발광체(41a) 및 하부발광체(41b)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발광체(41)와, 상기 발광체(41)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도록 상기 발광체(41)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부관(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체(41)는 기존 발광소자에 비해서 저소비전력으로 고휘도를 낼 수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작은 전지를 사용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어 야간 전지찌에 적용이 용이한 통상의 LED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상부발광체(41a) 및 하부발광체(41b)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병렬 연결되어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외부관(42)의 내부에서 외부관(42) 전체 부분이 밝게 비춰지도록 발광하게 된다.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는 상기 하부발광체(41b)의 빛이 상기 찌몸체부(10) 방향으로 통과되기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는 양측 말단부가 중앙 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양측 각각이 상기 찌목(11)의 상단부와 상기 외부관(42)의 하단부 사이에서 끼워지게 결합되어 상기 찌몸체부(10)와 상기 발광부(40) 서로가 이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하부칸막이부재(51)에 의해 상기 발광부(4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찌몸체부(10)로 번지거나 퍼지지 않게 됨으로써 낚시 찌의 사용자가 상기 찌몸체부(10)와 상기 발광부(40)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 야간 낚시중에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수면 아래쪽으로 빛이 멀리 퍼지지 않도록 하여 물속의 대상어가 섭이활동을 기피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낚시 찌에 비해 많은 입질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는 상기 상부발광체(41a)의 빛이 상기 외부관(42)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관(42)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칸막이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는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발광부(40)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발광체(41)의 빛이 상기 발광부(40)의 주변으로만 더욱 집중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50)를 구성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는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상기 외부관(42)의 상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관(42)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 및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가 상부와 하부 양측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의 상단부에는 캐미라이트(C)가 고정되기 위한 캐미라이트 꽂이(4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캐미라이트 꽂이(40')는 야간낚시의 경우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하는 캐미라이트(C)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 낚시용 전자찌(1)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최상단부에 캐미라이트(C)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발광체(41)와 캐미라이트(C)의 색깔 및 빛의 세기 등을 다르게 적용하여 입질에 의해 낚시 찌가 수면 아래로 잠기는 깊이 또는 낚시 찌의 움직임을 더욱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의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 및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는 상기 상부발광체(41a) 및 하부발광체(41b)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 각각에 반사판(51a,52a)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는 상기 외부관(42)의 하단부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발광체(41b)와 서로 마주하며 하부발광체(41b)에서 발광되는 빛을 주변으로 반사시키게 되고, 상기 상부칸막이부재(52)는 상기 외부관(42)의 상단부에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발광체(41a)와 서로 마주하여 상부발광체(41a)에서 발광되는 빛을 주변으로 반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반사판(51a,52a)은 상기 상부발광체(41a) 및 하부발광체(41b) 각각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외부관(42)의 주변으로 확산되어 상기 발광부(40)가 더욱 선명하게 비춰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관(42)의 상부와 하부 부분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낚시 찌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에는 상기 배터리(21)에서 상기 발광체(41)로 이어지는 전선(W)이 통과되도록 중앙이 상하 관통된 전선통과공(51b)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전선통과공(51b)은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의 상단부에 구비된 반사판(51a)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21)에 연결된 전선(W)은 수분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기 찌몸체부(10)와 상기 하부칸막이부재(51)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발광체(4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발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는, 상기 발광부(140)가 한 쌍의 상부발광체(141a) 및 하부발광체(141b)로 이루어진 발광체(141)와 상기 발광체(141)의 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발광체(141)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14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142)의 상부측 말단부에는 상기 상부발광체(141a)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도록 외측을 향하여 타원형으로 돌출되는 확산돌출구(14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확산돌출구(142a)는 본 고안 낚시용 전자찌(100)의 최상단부에서 형성되어 야간 낚시를 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발광체(141a)에서 발광되는 빛이 주변으로 확산되어 상기 하부발광체(141b)와는 다른 밝기로 발광되고, 빛이 퍼지는 반경이 달라짐에 따라 상호간에 식별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140)가 수면에서 조금 낮게 위치되더라도 낚시 찌 사용자가 낚시 찌의 최상단부에 위치한 상기 상부발광체(141a)의 빛을 인식할 수 있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산돌출구(142a)에는 그 내측 또는 외측의 표면에 돌출되게 만곡된 띠 형태의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발광체(41a)에서 발광되는 빛의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 낚시용 전자찌(100)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낚시용 전자찌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낚시용 발광 찌
10 찌몸체부
11 찌목
12 찌몸통
20 배터리부
21 배터리
22 밀봉캡
23 전원연결단자
30 찌밑부
31 낚시줄연결구
40 발광부
41 발광체
41a 상부발광체
41b 하부발광체
42 외부관
40' 캐미라이트 꽂이
50 칸막이부재
51 하부칸막이부재
52 상부칸막이부재
51a,52a 반사판
51b 전선통과공
W 전선
C 캐미라이트

Claims (4)

  1. 부력을 갖도록 원형의 막대형태로 형성된 찌몸체부와,
    배터리와, 서로 대응하는 숫나사부와 암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외부 양측에서 나사결합되는 밀봉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고정되게 연결된 배터리부와,
    하단부에 낚시줄연결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하부에 수밀되게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찌밑부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상부발광체 및 하부발광체로 이루어져 상기 배터리부에서 연장된 전선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발광체가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이 확산되도록 상기 발광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이 구비된 발광부와,
    내부에 상기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발광체의 빛이 상기 찌몸체부 방향으로 통과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측 말단부가 상기 찌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외부관의 하단부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칸막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의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발광체의 빛이 상기 외부관의 상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외부관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칸막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칸막이부재의 상단부에는 캐미라이트가 고정되기 위한 캐미라이트 꽂이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칸막이부재 및 하부칸막이부재 각각은 상기 상부발광체 및 하부발광체에서 발광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일측 각각에 반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의 상부측 말단부에는 상기 상부발광체의 빛이 외부로 확산되도록 외측을 향하여 타원형으로 돌출되는 확산돌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KR2020100010223U 2010-10-04 2010-10-04 낚시용 전자찌 KR201200025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23U KR20120002552U (ko) 2010-10-04 2010-10-04 낚시용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23U KR20120002552U (ko) 2010-10-04 2010-10-04 낚시용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52U true KR20120002552U (ko) 2012-04-13

Family

ID=466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23U KR20120002552U (ko) 2010-10-04 2010-10-04 낚시용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5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64U (ko) * 2014-07-30 2016-02-12 이덕열 야광수단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낚시찌
KR20220076660A (ko) * 2020-12-01 2022-06-08 정인구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464U (ko) * 2014-07-30 2016-02-12 이덕열 야광수단과 발광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낚시찌
KR20220076660A (ko) * 2020-12-01 2022-06-08 정인구 민물낚시용 전자찌 및 상기 전자찌를 제어하는 전자찌 제어 리모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20170122536A1 (en) Fishing Light
KR100987497B1 (ko) 수중 집어등
KR101904936B1 (ko) 낚시찌용 발광장치
KR101367160B1 (ko) 발광 모형 미끼
KR101744852B1 (ko) 높은 주광성 효과를 유도하는 집어등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102207609B1 (ko) 수중 집어등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200428714Y1 (ko) 전자 낚시찌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102583573B1 (ko) 집어등과 낚시방법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00004589U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5229841B1 (ja) 電気浮き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190003068U (ko) 점멸 속도 가변식 집어등
KR102387066B1 (ko) 낚시용 집어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