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14Y1 - 전자 낚시찌 - Google Patents

전자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14Y1
KR200428714Y1 KR2020060018649U KR20060018649U KR200428714Y1 KR 200428714 Y1 KR200428714 Y1 KR 200428714Y1 KR 2020060018649 U KR2020060018649 U KR 2020060018649U KR 20060018649 U KR20060018649 U KR 20060018649U KR 200428714 Y1 KR200428714 Y1 KR 200428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insertion tube
lead wire
tub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운
Original Assignee
권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운 filed Critical 권기운
Priority to KR2020060018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찌의 찌톱 상단에서 불빛이 점등될 수 있게 하는 전자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찌톱의 상단에 리튬전지를 상향 삽입하는 전지삽입관을 삽입 설치하고, 이 전지삽입관의 상부에는 절연튜브에 의해 LED의 "+"리드선과 "-"리드선이 분리되게 삽입 설치된 LED설치구를 나사식으로 설치하며, LED설치구의 외측 상부에는 길이가 대폭 길어져서 불빛이 비취지는 내부공간부가 확대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하는 LED커버를 설치함으로서, LED발광장치부분의 구조가 간단하여 접촉불량이나 고장이 적으며, 길이가 대폭 길어진 LED커버에 의해 불빛이 비춰지는 발광면적이 확대되어 낚시찌에 대한 시인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관 형태로 상부가 개구된 찌톱(4)의 상부에는 상부외주연에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된 전지삽입관(9)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전지삽입관(9)의 내측에는 몸통 외주면에 전원이 통하는 "+"전극몸통(6)이 형성되고 중앙상부에 "-"단자핀(7)이 상향 돌출되며, 고무패킹(8)이 "-"단자핀(7)의 근원부에 끼워진 리튬전지(5)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지삽입관(9)의 상부에는 하부에 나사관부(20)가 형성되고, 나사관부(20)의 상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부(18)가 형성되며, 플랜지부(18)의 상부에 LED삽입관부(19)가 형성된 전도체인 LED설치구(17)가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LED설치구(17)의 내부에는 "-"리드선(15)에 부도체인 절연튜브(16)가 헐겁게 끼워진 리튬전지(5)의 "+"리드선(14)과 "-"리드선(15)을 삽입하되, "+"리드선(14)만 LED설치구(17)의 내부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튬전지(5)의 "-"단자핀(7)은 상향 돌출되어 절연튜브(16)의 내부에서 "-"리드선(15)과 접촉되게 되면서 "+"전극몸통(6)은 LED설치구(17)의 내부면에 접촉되며, 상기 LED설치구(17)의 외측 상부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긴 공간부(22)를 형성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될 수 있는 LED커버(21)가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낚시찌, 리튬전지, 전지삽입관, 찌톱, LED, LED커버, LED설치구

Description

전자 낚시찌{Electronic fishing floa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낚시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낚시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찌 2 : 몸체 3 : 낚시줄고리
4 : 찌톱 5 : 리튬전지 6 : "+"전극몸통
7 : "-"단자핀 8 : 고무패킹 9 : 전지삽입관
10 : 암나사부 11 : 플랜지부 12 : LED
13 : 발광부 14 : "+"리드선 15 : "-"리드선
16 : 절연튜브 17 : LED설치구 18 : 플랜지부
19 : LED삽입관부 20 : 나사관부 21 : LED커버
22 : 공간부
본 고안은 낚시찌의 찌톱 상단에서 불빛이 점등될 수 있게 하는 전자 낚시찌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찌톱의 상단에 리튬전지를 상향 삽입하는 전지삽입관을 삽입 설치하고, 이 전지삽입관의 상부에는 절연튜브에 의해 LED의 "+"리드선과 "-"리드선이 분리되게 삽입 설치된 LED설치구를 나사식으로 설치하며, LED설치구의 외측 상부에는 길이가 대폭 길어져서 불빛이 비취지는 내부공간부가 확대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하는 LED커버를 설치함으로서, LED발광장치부분의 구조가 간단하여 접촉불량이나 고장이 적으며, 길이가 대폭 길어진 LED커버에 의해 불빛이 비춰지는 발광면적이 확대되어 낚시찌에 대한 시인성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낚시찌는 실용신안등록 제207810호(고안의 명칭 : 낚시찌용 전자라이트)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낚시찌의 찌톱상부에 설치되어 밤낚시를 할 때, 낚시찌의 상단에서 불빛이 전기적으로 발광하여 물고기의 민감한 입질도 쉽게 간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찌톱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라이트는 리튬전지로 이루어지는 몸통과, 몸통의 상부에 분리형으로 착탈 가능토록 형성되는 발광캡으로 의루어지며, 몸통은 리튬전지 그 자체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단의 중심부에는 상향 돌출되는 "-"단자핀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연에는 전원이 통전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외피의 "+"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의 외주연상에는 발광캡에 결합되는 두 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단자핀의 하부에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패킹이 결합 형성되며, 상기 발광캡은 하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의 중심에는 몸통의 "-"단지핀이 삽입되어 접속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가이드공의 상부에는 전원이 통전되는 카본고무부재가 형성된다.
그리고, 발광캡의 상부에는 투명의 에폭시수지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LED칩이 내장되는 반사체가 외부로 오픈된 상태로 형성되고, LED칩의 일측 "-"리드선은 카본고무부재와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 "+"리드선은 내경에 밀착된 채로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리드선은 하향 개구부의 선단까지 연장되면서 내측으로 걸림턱이 절곡 형성되고, 발광캡의 외피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몸체와 결합될 경우 완벽한 결합력과 방수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발광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한 문제와, 불빛이 비춰지는 반사체가 반구형태로 형성되어서 발광되는 면적이 그만큼 적어짐에 따라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찌톱의 상단에 리튬전지를 상향 삽입하는 전지삽입관을 삽입 설치하고, 이 전지삽입관의 상부에는 절연튜브에 의해 LED의 "+"리드선과 "-"리드선이 분리되게 삽입 설치된 LED설치구를 나사식으로 설치하며, LED설치구의 외측 상부에는 길이가 대폭 길어져서 불빛이 비취지는 내부공간부가 확대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하는 LED커버를 설치함으로서, LED발광장치부분의 구조가 간단하여 접촉불량이나 고장이 적으며, 길이가 대폭 길어진 LED커버에 의해 불빛이 비춰지는 발광면적이 확대되어 낚시찌에 대한 시인성 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관 형태로 상부가 개구된 찌톱의 상부에는 상부외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전지삽입관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전지삽입관의 내측에는 몸통 외주면에 전원이 통하는 "+"전극몸통이 형성되고 중앙상부에 "-"단자핀이 상향 돌출되며, 고무패킹이 "-"단자핀의 근원부에 끼워진 리튬전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지삽입관의 상부에는 하부에 나사관부가 형성되고, 나사관부의 상단부 외주연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플랜지부의 상부에 LED삽입관부가 형성된 전도체인 LED설치구가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LED설치구의 내부에는 "-"리드선에 부도체인 절연튜브가 헐겁게 끼워진 리튬전지의 "+"리드선과 "-"리드선을 삽입하되, "+"리드선만 LED설치구의 내부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튬전지의 "-"단자핀은 상향 돌출되어 절연튜브의 내부에서 "-"리드선과 접촉되게 되면서 "+"전극몸통은 LED설치구의 내부면에 접촉되며, 상기 LED설치구의 외측 상부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긴 공간부를 형성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될 수 있는 LED커버가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낚시찌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낚시찌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낚시줄이 끼워지는 낚시줄고리(3)를 형성한 몸체(2)의 상부에 찌톱(4)이 상향 설치 된 낚시찌(1)의 찌톱(4) 상부에 리튬전지(5)의 전원에 의해 LED(12)가 점등되는 LED발광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찌톱(4)의 상부는 원통관 형태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이 개구된 찌톱(4)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리튬전지(5)가 삽입되는 전지삽입관(9)이 삽입 설치되며, 이 전지삽입관(9)은 상단부 외주연에 찌톱(4)의 상단부 외주연에 걸리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지삽입관(9)의 길이는 리튬전지(5)이 삽입된 상태에서 리튬전지(5)의 상부에 상향 설치된 "-"단자핀(7)이 전지삽입관(9)의 상단부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하고, 전지삽입관(9)의 몸통이 찌톱(4)의 내주연에 억지끼움식으로 빡빡하게 끼워져야 한다.
이와 같은 전지삽입관(9)의 내측에는 몸통 외주면에 전원이 통하는 "+"전극몸통(6)이 형성되고 중앙상부에 "-"단자핀(7)이 상향 돌출되며, "+"전극몸통(6)과 "-"단자핀(7)을 절연하는 고무패킹(8)이 "-"단자핀(7)의 근원부에 끼워진 공지된 리튬전지(5)가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전지삽입관(9)의 내부로 리튬전지(5)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지삽입관(9)의 상부에는 LED(12)가 절연튜브(16)를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된 금속재의 LED설치구(17)가 나사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LED설치구(17)는 하부에 전지삽입관(9)의 암나사부(10)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나사관부(20)가 형성되고, 이 나사관부(20)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전지삽입관(9)의 플랜지부(11)와 대응하는 플랜지부(18)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8)의 상부에는 LED(12)의 "+"리드선(14)과 "-"리드선(15)이 절연튜브(16)를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되는 LED삽입관부(19)가 형성되며, 이 LED설치구(17)는 내측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LED삽입관부(19)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LED(12)는 공지된 것으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3)의 하단에 "+"리드선(14)과 "-"리드선(15)이 하향 설치되었으며, 이 중 "+"리드선(14)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금속재로 형성되어 전기가 통하는 LED설치구(17)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리드선(15)의 하단부도 외측으로 절곡하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선(15)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절연튜브(16)의 하단부에 걸리도록 조금만 절곡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리드선(15)의 외측에 끼워지는 절연튜브(16)에 의해 "+"리드선(14)과 "-"리드선(15)이 이격되면서 "+"리드선(14)만 LED설치구(17)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절연튜브(16)는 "-"리드선(15)에 헐겁게 끼워져서 리튬전지(5)의 "-"단자핀(7)이 절연튜브(16)의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리드선(15)과 "-"단자핀(7)이 접촉되게 된다.
위와 같이 LED(12)가 하향 설치된 LED설치구(17)의 외측 상부에는 하부가 개구되어 LED삽입관부(19)의 외주면에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지는 LED커버(21)가 설치되는데, 이 LED커버(21)는 LED(12) 불빛이 많이 차도록 길게 형성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고, 내측에 불빛이 차게 되는 공간부(22)가 형성된다.
참고로 이 LED커버(21)의 길이를 리튬전지(5)의 길이보다 두배 정도 길게 형 성하여 그 만큼 발광면적이 확대되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 중 미설명부호 "23"은 LED설치구(17)의 플랜지부(18)와 전지삽입관(9)의 플랜지부(11)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 낚시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지삽입관(9)의 내부에 리튬전지(5)가 상향 삽입되어 있어야 하고, LED설치구(17)에는 LED(12)가 하향 삽입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지삽입관(9)에 상향 삽입되고, LED설치구(17)에 LED(12)를 하향 삽입시킨 상태에서 LED설치구(17)의 나사관부(20)를 전지삽입관(9)의 암나사부(10)에 체결시키게 되면, 전지삽입관(9)의 플랜지부(11) 보다 높게 상향 돌출된 "-"단자핀(7)이 절연튜브(16)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절연튜브(1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리드선(15)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리튬전지(5)의 몸통 외주면에 금속재로서 형성된 "+"전극몸통(6)은 LED설치구(17)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LED설치구(17)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고, 이러한 전도체로 된 LED설치구(17)의 내주면에는 LED(12)의 "+"리드선(14)이 접촉하고 있음에 따라 리튬전지(5)의 "+", "-"전원이 모두 통전되어 LED(12)의 발광부(13)가 점등되게 된다.
이렇게 점등되는 불빛은 길이가 긴 LED커버(21)의 내부 공간부(22)에 가득 차게 되면서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된 LED커버(21)가 전체적으로 환하게 발광되게 된다.
이처림 길이가 긴 LED커버(21)는 그 길이가 긴 만큼 발광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밤 낚시할 때 낚시찌(1)의 움직임을 쉽게 알아 볼 수 있어 시인성이 대폭 증대되어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 낚시찌는, 찌톱의 상단에 리튬전지를 상향 삽입하는 전지삽입관을 삽입 설치하고, 이 전지삽입관의 상부에는 절연튜브에 의해 LED의 "+"리드선과 "-"리드선이 분리되게 삽입 설치된 LED설치구를 나사식으로 설치하며, LED설치구의 외측 상부에는 길이가 대폭 길어져서 불빛이 비취지는 내부공간부가 확대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하는 LED커버를 설치함으로서, LED발광장치부분의 구조가 간단하여 접촉불량이나 고장이 적으며, 길이가 대폭 길어진 LED커버에 의해 불빛이 비춰지는 발광면적이 확대되어 낚시찌에 대한 시인성이 확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낚시찌의 찌톱 상단부에 전지에 의해 발광되는 LED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원통관 형태로 상부가 개구된 찌톱(4)의 상부에는 상단부 외주연에 찌톱(4)의 상단부 외주연에 걸리는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내주연 상부에 암나사부(10)가 형성된 전지삽입관(9)이 삽입된 전지삽입관(9)이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지며,
    상기 전지삽입관(9)의 내측에는 몸통 외주면에 전원이 통하는 "+"전극몸통(6)이 형성되고 중앙상부에 "-"단자핀(7)이 상향 돌출되며, "+"전극몸통(6)과 "-"단자핀(7)을 절연하는 고무패킹(8)이 "-"단자핀(7)의 근원부에 끼워진 리튬전지(5)를 삽입 설치하되, "-"단자핀(7)이 플랜지부(11) 보다 높게 설치되고,
    상기 전지삽입관(9)의 상부에는 하부에 전지삽입관(9)의 암나사부(10)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나사관부(20)가 형성되며, 이 나사관부(20)의 상단부 외주연에는 전지삽입관(9)의 플랜지부(11)와 대응하는 플랜지부(18)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18)의 상부에는 LED(12)의 "+"리드선(14)과 "-"리드선(15)이 절연튜브(16)를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되는 LED삽입관부(19)가 형성된 LED설치구(17)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LED설치구(17)가 전지삽입관(9)에 체결시"+"리드선(14)의 하단부와 "+"전극몸통(6)은 전도체인 LED설치구(17)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절연튜브(16)에 헐겁게 끼워진 LED(12)의"-"리드선(15)은 리튬전지(5)의 "-"단자핀(7)과 절연튜브(16)의 내부에서 접촉되게 되며,
    상기 LED설치구(17)의 외측 상부에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긴 공간부(22)를 형성하며 불빛이 외측으로 투과될 수 있는 LED커버(21)가 억지끼움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낚시찌.
KR2020060018649U 2006-07-10 2006-07-10 전자 낚시찌 KR200428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49U KR200428714Y1 (ko) 2006-07-10 2006-07-10 전자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49U KR200428714Y1 (ko) 2006-07-10 2006-07-10 전자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14Y1 true KR200428714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49U KR200428714Y1 (ko) 2006-07-10 2006-07-10 전자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1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95B1 (ko) 2008-03-11 2008-08-25 홍웅차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200455650Y1 (ko) 2009-04-10 2011-09-16 김성식 케미라이트 겸용 전자찌
KR200462406Y1 (ko) 2010-03-30 2012-09-11 정말영 전자식 케미라이트의 커버
KR101363179B1 (ko) 2013-01-09 2014-02-13 이은희 주 야간 겸용 찌 돋보기
KR200481511Y1 (ko) 2016-01-18 2016-10-12 양재영 낚시용 발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95B1 (ko) 2008-03-11 2008-08-25 홍웅차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200455650Y1 (ko) 2009-04-10 2011-09-16 김성식 케미라이트 겸용 전자찌
KR200462406Y1 (ko) 2010-03-30 2012-09-11 정말영 전자식 케미라이트의 커버
KR101363179B1 (ko) 2013-01-09 2014-02-13 이은희 주 야간 겸용 찌 돋보기
KR200481511Y1 (ko) 2016-01-18 2016-10-12 양재영 낚시용 발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714Y1 (ko) 전자 낚시찌
RU2010116105A (ru) Безлампов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базе светодиодов
CN213299799U (zh) 密封灯管
KR20180058007A (ko) 낚시찌용 발광장치
KR102233489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찌
KR101133579B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전구식 엘이디 램프
CN215489217U (zh) 一种新型防水串灯结构
KR200368484Y1 (ko) 분수 조명장치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423864B1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02532235U (zh) 一种灯泡组合体的连接结构
JP5840509B2 (ja) 電球用ソケットなら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直流用の電球、および当該電球用ソケットを含む照明装置ならびに照明システム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CN216844605U (zh) 一种庭院防水幻彩灯具
KR102648513B1 (ko)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JP3144910U (ja) 照明付きボトルキャップ
CN212057208U (zh) 一种可藏线洗墙灯的防水结构
CN213983246U (zh) 一种桥涵灯用led灯
CN218671866U (zh) 一种结构改良的灯泡
KR20100010115U (ko) 낚시용 발광 찌
CN213146131U (zh) 一种可防水塑料led灯泡
CN213146132U (zh) 一种防水型塑料led灯泡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09893160U (zh) 一种led灯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