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095B1 -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095B1
KR100854095B1 KR1020080022521A KR20080022521A KR100854095B1 KR 100854095 B1 KR100854095 B1 KR 100854095B1 KR 1020080022521 A KR1020080022521 A KR 1020080022521A KR 20080022521 A KR20080022521 A KR 20080022521A KR 100854095 B1 KR100854095 B1 KR 10085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attery
light
bobbi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웅차
최순이
홍성희
홍대희
Original Assignee
홍웅차
최순이
홍성희
홍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웅차, 최순이, 홍성희, 홍대희 filed Critical 홍웅차
Priority to KR102008002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발광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는 연장찌톱과,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를 포함한다. 연장찌톱은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전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는 각각 연장찌톱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는 찌톱의 상부에 연결되어 부력체가 찌톱 외주에 삽입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제2 발광체를 노출 또는 은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이러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와 부력체를 포함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와 낚시용 전자찌는 전지수용부가 물속에 잠기지 않아 누전과 부식과 같은 전기적인 문제를 최소화하고, 낚시용 전자찌의 승하강 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발광체와 전지의 연결을 위한 배선공간이 제거되며, 도전성 페인트를 외부에 발라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단락 및 이에 의한 전지의 수명 단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전지수용부, 제1 발광체, 낚시용 다단 발광체, 부력체 및 낚시용 전자찌

Description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Multi-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Light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발광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발광체를 갖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 입질의 신호도구인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낚시대를 챔질을 하여 물고기를 낚는 것을 말한다.
낚시의 신호도구인 낚시찌는, 가능한 한 물고기의 입질이나 어신으로 인한 움직임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색깔이 층층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형광체가 칠해져 있는 상부의 찌톱과, 찌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대략 중앙에서 찌톱이 일체로 형성되는 찌몸통 및,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다리로 구성된다.
한편, 야간낚시의 경우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하는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라고 하는 발광체를 낚시찌의 찌톱에 꽂아 쓰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케미컬라이트는, 밀폐된 막대 형상의 용기 내에 염화옥살산과 형광제의 배합물과 같은 제1 약품이 충전되고, 제1 약품 속에 다시 과산화수소와 같은 제2 약품이 들어 있는 쉽게 파손되는 앰플이 수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야간낚시를 할 경우 사용자가 막대 형상의 용기를 꺾으면 앰플이 파손되어 앰플 내의 제2 약품과 용기 내의 제1 약품이 혼합되고, 이에 의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 발광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원리를 갖는 케미컬라이트는, 화학적 발광의 광량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그 수명도 짧아 야간낚시를 할 경우 계속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갖는 케미컬라이트를 대체해서 개발된 것으로서 전자발광 낚시찌(이하, "전자찌"라 함)가 있다.
전자찌는 상단에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체가 고정된 찌톱과 찌몸통 및 찌다리로 구성되고, 찌몸통은 상하 조립 가능한 2개의 몸통으로 분할 형성되며, 이러한 찌몸통 내부에는 교체 가능한 전지가 장착된다. 전지의 양 단자에는 배선이 연결되고, 배선은 발광체에 연결되어 전지의 전원이 발광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발광체가 발광되어 야간낚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찌는 케미컬라이트에 비하여 그 광도가 수배에 이르고 수명도 전지의 용량에 따라 2-3일 이상 지속되며, 주야간으로 케미컬라이트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지의 교체만으로 주야간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찌는 발광체가 찌톱의 상단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낚시를 함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는 입질을 판단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즉, 물고기의 입질 순간 수면에 있던 발광체가 상승될 때 눈에 보이는 밝기가 변함에 따라 입질 순간의 시인성은 케미컬라이트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지만, 수면 바닥의 고저 차이(수심차이)로 발광체가 수면 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물고기의 약한 입질 작용으로 수면 위에 있던 발광체가 수면 밑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며, 이런 경우 물고기의 입질 파악이 어려우므로 전자찌를 앞으로 당겨주거나 다시 투척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가 공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1)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찌와 마찬가지로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10)과, 찌몸통(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40) 및, 찌몸통(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60)로 구성되고, 찌톱(40)의 상단에는 제1 발광체(51)가 고정되며, 찌톱(40)의 대략 중앙에는 제2 발광체(52)가 고정된다.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에는 각각 전지(2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배선(30)이 연결된다.
따라서, 찌몸통(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에 전지(20)가 장착되면 전지(20)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즉, 전지(20)를 찌몸통(10)에 장착하면 전지(20)의 단자(21, 22)들이 찌몸통(10)에 구비된 단자(11, 12)들에 접속되며, 이로써 단자(11, 12)들에 연결된 배선(30)에 의해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에 대한 사용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찌(1)의 제2 발광체(52) 위치를 낚시인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2 발광체(52)를 수면 바로 아래나 수면에 거의 일치된 상태로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경우, 물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찌톱이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수면에 약간 가려져 있던 제2 발광체(52)가 수면 위로 노출되면서 눈에 보이는 밝기가 갑자기 밝아지므로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B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심차이 등으로 인하여 찌톱이 원하는 위치보다 수면위에서 조금 높게 위치되어도 제1 발광체(51)에 더하여 제2 발광체(52)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에서와 같이 찌톱이 원하는 위치보다 조금 낮게 위치되어도 물고기의 입질 시 제2 발광체(52)가 수면 위로 노출됨에 따라 이 또한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1)는, 찌톱 상단에만 발광체가 설치된 것에 비하여 야간낚시를 함에 있어서 찌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에 있어서, 도 2의 A 경우 내지 C 경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20)를 수용하는 찌몸통(10)이 항상 물속에 잠겨 있기 때문에 전지수용부에 물이 들어가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지(20)를 찌몸통(10)에 수용하게 되면 비교적 무거운 전지(20)가 물속에 잠겨있기 때문에 전자찌(1)의 승하강 작용을 무디게 하여 전자찌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전지(20)를 찌몸통(10)에 수용하는 전지수용부에 의해서 발생한 부력에 의해서 전자찌(1)의 입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또한, 2 개의 발광체는 찌톱(40)에 위치하나 전지(20)는 찌몸통(10) 내부의 전지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3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을 공급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배선(30)을 찌톱(40)의 내부에 배선(30)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배선(30)을 수용하는 공간에 의한 부력으로 전자찌(1)의 입수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복잡한 배선(30)에 의한 단락 및 누전이 발생한다.
또한, 찌톱(30)표면에 도전성 페인트를 이용하여 배선(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용 중 스크래치 등에 의한 단선이 쉽게 발생하고, 이에 저항열이 발생하여 전지(20)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지수용부에 물이 들어가 발생하는 전기적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찌의 승하강 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와 전지의 전원을 발광체로 전달하기 위한 배선 공간 및 전지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인한 부력을 제거하여 전자찌의 입수 동작이 원활하게 하고, 복잡한 배선에 의한 단락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전성 페인트의 단선 및 이에 의한 전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찌몸통과, 찌몸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찌톱과,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는 낚시용 전자찌에 결합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는,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전지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연장찌톱과; 연장찌톱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발광체와; 연장찌톱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발광체;를 포함한다.
전지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의 전원이 상기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의 전원을 제1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연장찌톱은 제1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광이 전반사되는 광섬유로 형성되며, 제2 발광체는 광을 노출시키는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발광체는 광섬유의 단부를 스크래치(scratch)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수용부의 상단을 덮도록 연장찌톱의 상부에 끼워지는 방수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수용부는 연장찌톱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발광체는 전지수용부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커넥터는 전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는 상술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와, 찌톱 외주에 삽입되어 승하강함에 따라 제2 발광체를 외부에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는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수 용부와 발광체가 낚시중에 물에 잠기지 않아 물이 들어가 발생하는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는 비교적 무거운 전지가 물 외부에 위치하여 전자찌의 승하강 작용의 움직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아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전지수용부가 찌톱 상부에 위치하여 전지수용부에 의한 부력에 의해서 전자찌의 입수 동작을 방해하지 않아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는 전지와 전지의 전원을 발광체로 전달하기 위한 배선 공간이 물 밖에 위치하여 이러한 공간에 의한 부력을 제거하여 낚시용 전자찌의 입수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발광부와 전지의 위치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복잡한 배선에 의한 단락 및 누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는 종래의 모든 찌에 그대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선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되어 전지의 수명은 물론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낚시용 전자찌의 수명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는 찌몸통과, 찌몸통 상부에 형성되는 찌 톱과, 찌몸통의 하부에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반적인 모든 찌에 이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에 대하여 실시예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찌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는 찌몸통(110)과, 찌톱(120)과, 찌다리(130)와,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 및 부력체(140)를 포함한다.
찌톱(120)은 찌몸통(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찌다리(130)는 찌몸통(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는 연장찌톱(210)과, 제1 발광체(220)와, 제2 발광체(230)를 포함한다. 연장찌톱(210)은 찌톱(1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전지수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발광체(220)는 이러한 연장찌톱(2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 발광체(230)는 이러한 연장찌톱(210)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부력체(140)는 찌톱(120) 외주에 삽입되어 승하강하면서 제2 발광체(230)를 노출 또는 은폐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연장찌톱(2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211)에 전지(101)가 장착되면 전지(101)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 및 제2 발광 체(220, 230)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 발광체(220)가 수면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발광체(230)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경우, 불투명한 부력체(140)는 자체 부력에 의하여 떠올라 제2 발광체(230)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발광체(230)의 빛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제2 발광체(230)와 연장찌톱(210) 사이의 찌톱(120)에 결합되어 위치된 부력체(140)는 부력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이어 부력체(140)의 밑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2 발광체(230)의 하부면에 걸려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되면서 제2 발광체(230)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본 발명의 전자찌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제2 발광체(230) 또한 상승되며, 자체 부력에 의하여 제2 발광체(230)를 감싸고 부력체(140)도 함께 상승된다. 이때까지 부력체(140)에 의하여 제2 발광체(230)의 빛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계속적으로 전자찌가 상승되면 제2 발광체(230)가 수면 상부로 노출되어 발광하게 되고, 부력체(140)는 수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수면부까지 제2 발광체(230)와 제2 발광체(230)를 감싸고 있는 부력체(140)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부력체(140)는 부력이 미치는 수면부까지만 상승되며, 제2 발광체(230)는 수면 상부로 노출되는 순간부터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발광체(230)의 발광을 확인하는 순간 챔질을 시도하면 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낚시용 전자찌에 이용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 중에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수용부(211)는 연장찌톱(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발광체(220)는 전지수용부(211)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는 전지수용부(211)가 찌톱(120)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지수용부(211)에 의한 부력으로 인한 낚시용 전자찌(100)의 입수 동작이 전혀 방해 받지 않는다. 또한, 전지(101)가 찌톱(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비교적 무거운 전지가 물속에 잠겨 전자찌의 승하강 작용을 방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 자체가 찌톱(120) 상부에 위치하여 물에 의한 전기적인 문제가 최소화된다.
연장찌톱(210) 내부에 마련된 전지수용부(211)에 전지(101)가 장착되면 전지(101)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가 발광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는 그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 밝기가 뛰어나며 수명이 길기 때문에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는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도록 서로 다른 색깔로 발광하는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동일한 색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되 발광체 외부에 색깔이 있는 광투과 성 코팅을 하여 서로 다른 빛을 조사하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장찌톱(2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211)에 전지(101)가 장착되면 전지(101)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구체적으로, 전지(101)를 전지수용부(211)에 장착하면 전지(101)의 단자(102, 103)들이 연장찌톱(210)에 구비된 배선(104, 105)들에 접속되며, 이로써 배선(104, 105)들은 제1 및 제2 발광체(220, 23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선(104, 105)은 박막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의 배선(104, 105)은 그 길이가 매우 짧아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줄어들며, 이에 의해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의 수명은 물론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100)의 수명 또한 대폭 향상된다. 또한, 배선(104, 105)이 스크래치에 의한 저항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가 확연히 줄어들어 이에 의한 스크래치 및 미세한 단선으로 인한 저항증가에 따른 발열로 전지(101)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찌와 같이 전지는 찌몸통에 발광체는 찌톱에 위치하고 하는 경우처럼,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 공간에 의한 부력으로 전자찌의 입수 동작이 방해받는 것 또한 제거된다.
이러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는 찌톱(1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고무패킹을 사용하여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를 찌톱(120)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의 저부가 찌톱 상단에 삽입되도록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 능할 것이다. 또한, 고무패킹과 같은 연결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수캡(250)은 전지수용부(211)에 삽입된 전지(101)가 전지수용부(2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수용부(211) 내부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전지수용부(211)의 상단을 덮도록 연장찌톱(210)의 상부에 끼워진다. 이러한 방수캡(250)은 형광칠이나 눈에 잘보이는 색을 칠하여 주간에 물고기의 입질 신호를 확인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방수캡(250)은 전지(101)를 가압 또는 압력을 해지할 수 있도록 압력식으로 제조하거나, 방수캡(250)을 회전시키는 트위스트식으로 제조하여, 전지(101)의 단자(102, 103)와 배선(104, 105)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연결시키거나 단락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의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2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도면번호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는 찌몸통(110)과, 찌톱(120)과, 찌다 리(130),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 및 부력체(140)를 포함한다.
찌톱(120)은 찌몸통(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찌다리(130)는 찌몸통(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낚시용 다단 발광체(200)는 연장찌톱(210)과, 제1 발광체(220)와, 제2 발광체(230)를 포함한다. 연장찌톱(210)은 찌톱(120)의 상단에 연결되며, 전지수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발광체(220)는 이러한 연장찌톱(2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2 발광체(230)는 이러한 연장찌톱(210)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부력체(140)는 찌톱(120) 외주에 삽입되어 승하강하면서 제2 발광체(230)를 노출 또는 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지수용부(211)는 연장찌톱(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1 발광체(220)는 전지수용부(211)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연장찌톱(210) 내부에 마련된 전지수용부(211)에 전지(101)가 장착되면 전지(101)로부터 제1 발광체(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1 발광체(220)가 발광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는 그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 밝기가 뛰어나며 수명이 길기 때문에 제1 발광체(220)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연장찌톱(2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211)에 전지(101)가 장착되면 전지(101)로부터 제1 발광체(2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구체적으로, 전지(101)를 전지수용부(211)에 장착하면 전지(101)의 단자(102, 103)들이 연장찌톱(210)에 구비된 배선(104, 105)들에 접속되며, 이로써 배선(104, 105)들은 제1 발광체(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연장찌톱은 제1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광이 전반사되는 광 섬유로 형성되며, 제2 발광체는 광을 노출시키는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발광체는 광섬유의 단부를 스크래치(scratch)하여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제2 발광체로부터 빛의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광섬유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미미한 물고기의 입질에도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제2 발광체 자체가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져 전지와 제2 발광체 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 중에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의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3 실시예의 구성요소의 도면번호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100)는 투명한 재질의 별도의 커넥터(260)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커넥터(260)에 전지(101)가 삽입된 상태로 전지수용부(211)에 삽입된다. 또한, 제1 발광체(220)는 이러한 커넥터(260)의 저부에 마 련되어 전지(101)가 삽입되면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지의 단자(102, 103)들과 접촉하여 제1 발광체(220)로 전지(101)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104, 105)들은 상술한 커넥터(260)를 지나 연장찌톱(210)으로 연장되어 제2 발광체(23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체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진 경우에 본 실시예의 배선(104, 105)은 전지의 단자(102, 103)와 제1 발광체(220)로 전지(101)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 중에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 중에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 중에서 낚시용 다단 발광체를 설명하기 위한 낚시용 다단 발광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낚시용 전자찌 110:찌몸통
130:찌다리 140:부력체
200:낚시용 다단 발광체 210:연장찌톱
211:전지수용부 220:제1 발광체
230:제2 발광체 250:방수캡

Claims (9)

  1.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찌톱과, 상기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는 낚시용 전자찌에 결합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에 있어서,
    상기 찌톱의 상단에 연결되며, 전지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연장찌톱;
    상기 연장찌톱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발광체; 및
    상기 연장찌톱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2 발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수용부는 연장찌톱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체는 상기 전지수용부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의 전원이 상기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의 전원을 상기 제1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찌톱은 상기 제1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광이 전반사되는 광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발광체는 상기 광을 노출시키는 상기 광섬유의 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체는 상기 광섬유의 단부를 스크래치(scratch)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수용부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연장찌톱의 상부에 끼워지는 방수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를 수용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지수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다단 발광체.
  9.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6항 및 상기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상기 찌톱 외주에 삽입되어 승하강함에 따라 제2 발광체를 외부에 노출 또는 은폐시키는 부력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KR1020080022521A 2008-03-11 2008-03-11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10085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521A KR100854095B1 (ko) 2008-03-11 2008-03-11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521A KR100854095B1 (ko) 2008-03-11 2008-03-11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095B1 true KR100854095B1 (ko) 2008-08-25

Family

ID=3987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521A KR100854095B1 (ko) 2008-03-11 2008-03-11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099A (ko) 2014-08-26 2016-03-08 조창휘 낚시용 전자찌
WO2017188705A1 (ko) * 2016-01-17 2017-11-02 원철호 에어 포켓 현상을 이용한 부력조절 찌
KR200491725Y1 (ko) * 2018-11-30 2020-05-26 허영웅 시인성이 개선된 낚시용 전자찌
KR20220080034A (ko) 2020-12-06 2022-06-14 박민우 낚시찌톱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91A (ja) 1999-05-19 2000-11-28 Goji Kogyo Kk 釣り具用電気浮子
KR200347615Y1 (ko) * 2004-01-28 2004-04-14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87275Y1 (ko) 2005-04-01 2005-06-17 김외규 다색 발광 낚시찌
KR200396324Y1 (ko) * 2005-07-08 2005-09-21 임재영 낚시찌 조명구
KR200401516Y1 (ko) 2005-08-30 2005-11-17 박종민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KR200428714Y1 (ko) 2006-07-10 2006-10-16 권기운 전자 낚시찌
KR100679353B1 (ko) 2006-08-11 2007-02-06 박종민 낚시용 전자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991A (ja) 1999-05-19 2000-11-28 Goji Kogyo Kk 釣り具用電気浮子
KR200347615Y1 (ko) * 2004-01-28 2004-04-14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87275Y1 (ko) 2005-04-01 2005-06-17 김외규 다색 발광 낚시찌
KR200396324Y1 (ko) * 2005-07-08 2005-09-21 임재영 낚시찌 조명구
KR200401516Y1 (ko) 2005-08-30 2005-11-17 박종민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KR200428714Y1 (ko) 2006-07-10 2006-10-16 권기운 전자 낚시찌
KR100679353B1 (ko) 2006-08-11 2007-02-06 박종민 낚시용 전자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099A (ko) 2014-08-26 2016-03-08 조창휘 낚시용 전자찌
WO2017188705A1 (ko) * 2016-01-17 2017-11-02 원철호 에어 포켓 현상을 이용한 부력조절 찌
KR200491725Y1 (ko) * 2018-11-30 2020-05-26 허영웅 시인성이 개선된 낚시용 전자찌
KR20220080034A (ko) 2020-12-06 2022-06-14 박민우 낚시찌톱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447A (en) Fis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bait
KR100854095B1 (ko)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101379774B1 (ko) 발광 낚시찌
KR100679353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20120033400A (ko) 전자찌
JP2008072043A (ja) 光半導体装置
KR200424607Y1 (ko)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0401516Y1 (ko)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KR200491725Y1 (ko) 시인성이 개선된 낚시용 전자찌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0787558B1 (ko) 광색 변환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자찌
CN213756331U (zh) 一种改进型发光电子浮漂以及用于该发光电子浮漂的卡塞
KR100893900B1 (ko) 낚시용 발광장치
KR200282085Y1 (ko) 전자발광 낚시찌
KR20050004306A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20200129460A (ko) 전자 케미 라이트
KR101853581B1 (ko) 낚시용 전자찌
CN220734099U (zh) 一种电子鱼漂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20140134920A (ko) 전기식 발광 낚시찌
JP2005327669A (ja) 水中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