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07Y1 -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4607Y1 KR200424607Y1 KR2020060013382U KR20060013382U KR200424607Y1 KR 200424607 Y1 KR200424607 Y1 KR 200424607Y1 KR 2020060013382 U KR2020060013382 U KR 2020060013382U KR 20060013382 U KR20060013382 U KR 20060013382U KR 200424607 Y1 KR200424607 Y1 KR 2004246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bobbin
- fishing
- bobber
- color conver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TSLXHKWHWQRSH-UHFFFAOYSA-N oxal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O)C(Cl)=O CTSLXHKWHWQR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21 mout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발광체를 갖는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전자찌의 상승 시 물속에 잠겨 있던 하부의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는,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과, 찌몸통 내에 설치되는 전지와, 찌몸통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과, 찌톱의 상단에 고정된 제1 발광체와, 제1 발광체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발광체와, 전지의 전원이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 및,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제2 발광체와 찌몸통 사이의 찌톱에 결합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제2 발광체를 감싸도록 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찌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간낚시, 전자찌, 발광체, 광색 변환구, 찌톱, 원형돌기, 절개부, 스토퍼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채용된 낚시용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
도 8은 찌몸통의 상단부에 스토퍼를 더 설치한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찌 10 : 찌몸통
20 : 전지 40 : 찌톱
51 : 제1 발광체 52 : 제2 발광체
60 : 찌다리 70 : 광색 변환구
72 : 밑면 74a, 74b : 원형돌기
76 : 절개부 80 : 스토퍼
본 고안은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발광체를 갖는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전자찌의 상승 시 물속에 잠겨 있던 하부의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찌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光色) 변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 입질의 신호도구인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낚시대를 챔질을 하여 물고기를 낚는 것을 말한다.
낚시의 신호도구인 낚시찌는, 가능한 한 물고기의 입질이나 어신으로 인한 움직임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색깔이 층층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형광체가 칠해져 있는 상부의 찌톱과, 찌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대략 중앙에서 상기 찌톱이 일체로 형성되는 찌몸통 및, 상기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다리로 구성된다.
한편, 야간낚시의 경우 낚시찌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광(發光)하는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라고 하는 발광체를 상기 낚시찌의 찌톱에 꽂아 쓰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케미컬라이트는, 밀폐된 막대 형상의 용기 내에 염화옥살산과 형광제의 배합물과 같은 제1 약품이 충전되고, 상기 제1 약품 속에 다시 과산화수소와 같은 제2 약품이 들어 있는 쉽게 파손되는 앰플이 수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야간낚시를 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막대 형상의 용기를 꺾으면 상기 앰플이 파손되어 앰플 내의 제2 약품과 용기 내의 제1 약품이 혼합되고, 이에 의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 발광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구조 및 원리를 갖는 케미컬라이트는, 화학적 발광의 광량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그 수명도 짧아 야간낚시를 할 경우 계속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갖는 케미컬라이트를 대체해서 개발된 것으로서 전자발광 낚시찌(이하, "전자찌"라 함)가 있다.
상기 전자찌는 상단에 발광체(예 : LED)가 고정된 찌톱과 찌몸통 및 찌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찌몸통은 상하 조립 가능한 2개의 몸통으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찌몸통 내부에는 교체 가능한 전지가 장착된다. 상기 전지의 양 단자에는 배선이 연결되고, 상기 배선은 발광체에 연결되어 전지의 전원이 발광체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체가 발광되어 야간낚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전자찌는 케미컬라이트에 비하여 그 광도가 수배에 이르고 수명도 전지의 용량에 따라 2-3일 이상 지속되며, 주야간으로 케미컬라이트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지의 교체만으로 주야간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찌는 발광체가 찌톱의 상단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간낚시를 함에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는 입질을 판단함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즉, 물고기의 입질 순간 수면에 있던 발광체가 상승될 때 눈에 보이는 밝기가 변함에 따라 입질 순간의 시인성은 케미컬라이트에 비해 높다고 할 수 있지만, 수면 바닥의 고저 차이(수심차이)로 발광체가 수면 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물고기의 약한 입질 작용으로 수면 위에 있던 발광체가 수면 밑으로 들어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게 되며, 이런 경우 물고기의 입질 파악이 어려우므로 전자찌를 앞으로 당겨주거나 다시 투척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전자찌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가 공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1)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찌와 마찬가지로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10)과, 상 기 찌몸통(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40) 및, 상기 찌몸통(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60)로 구성되고, 상기 찌톱(40)의 상단에는 제1 발광체(51)가 고정되며, 상기 찌톱(40)의 대략 중앙에는 제2 발광체(52)가 고정된다. 상기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에는 각각 전지(2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배선(30)이 연결된다.
따라서, 찌몸통(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에 전지(20)가 장착되면 상기 전지(20)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즉, 전지(20)를 찌몸통(10)에 장착하면 상기 전지(20)의 단자(21, 22)들이 찌몸통(10)에 구비된 단자(11, 12)들에 접속되며, 이로써 단자(11, 12)들에 연결된 배선(30)에 의해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하,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에 대한 사용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찌(1)의 제2 발광체(52) 위치를 낚시인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2 발광체(52)를 수면 바로 아래나 수면에 거의 일치된 상태로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경우, 물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찌톱이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수면에 약간 가려져 있던 제2 발광체(52)가 수면 위로 노출되면서 눈에 보이는 밝기가 갑자기 밝아지므로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B의 경우에서와 같이 수심차이 등으로 인하여 찌톱이 원하는 위치보다 수면 위에서 조금 높게 위치되어도 제1 발광체(51)에 더하여 제2 발광체(52)가 발광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의 경우에서와 같이 찌톱이 원하는 위치보다 조금 낮게 위치되어도 물고기의 입질 시 제2 발광체(52)가 수면 위로 노출됨에 따라 이 또한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는, 찌톱 상단에만 발광체가 설치된 것에 비하여 야간낚시를 함에 있어서 찌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2개의 발광체를 갖는 전자찌에 있어서, 도 2의 A 경우나 C 경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발광체(52)가 물속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 발광체(52) 주위가 항상 밝은 상태로 있기 때문에 시인성을 오히려 저하시키고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A 경우나 C 경우에서 처럼 제2 발광체(52)가 물속에 위치해 있다가 B의 경우에서와 같이 물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제2 발광체(52)가 수면 위로 상승하여도 이미 물속에서 빛을 발하고 있던 상태임에 따라 시인성의 향상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 발광체(52)가 물속에서 항상 빛을 발하고 있는 상태임에 따라 수심이 비교적 낮은 곳에서는 밝은 곳을 싫어하는 물고기의 특성상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발광체를 갖는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수면 위로 상승된 제1 발광체는 계속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물속에 잠겨 있는 제2 발광체의 빛은 차단되도록 하며,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찌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켜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는,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과, 찌몸통 내에 설치되는 전지와, 찌몸통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과, 찌톱의 상단에 고정된 제1 발광체와, 제1 발광체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발광체와, 전지의 전원이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 및,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제2 발광체와 찌몸통 사이의 찌톱에 결합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제2 발광체를 감싸도록 하여,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찌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는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제2 발광체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직경을 갖는 밑면이 형성되어 제2 발광체를 관통하여 위로 상승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 밑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원형돌기가 형성되어 접촉부의 접촉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색 변환구 밑면의 원형돌기는 각각 3개씩 형성되되, 3개의 원형돌기들은 정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형돌기와 원형돌기 사이의 밑면은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색 변환구는 부력을 갖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발포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색 변환구는 불투명의 검정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의 광색은 서로 다르게 하여 야간낚시에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용 전자찌(1)의 광색 변환구(70)는,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10)과, 상기 찌몸통(10) 내에 설치되는 전지(20)와, 상기 찌몸통(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40)과, 상기 찌톱(40)의 상단에 고정된 제1 발광체(51)와, 상기 제1 발광체(51)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발광체(52)와, 상기 전지(20)의 전원이 상기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30)(도 6에 도시) 및, 상기 찌몸통(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상기 찌톱(40)에 결합되되 상기 제2 발광체(52)와 찌몸통(10) 사이의 찌톱(40)에 위치되는 부력을 갖는 원통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력을 갖는 원통체(원통체 뿐만아니라 다각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로 이루어진 광색 변환구(70)는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제2 발광체(52)를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감소된 직경을 갖는 밑면(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면(72)의 상단부과 하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원형돌기(74a, 74b)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돌기(74a, 74b)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3개의 원형돌기(74a, 74b)는 정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원형돌기(74a, 74b)는 찌몸통(10)의 상단과 제2 발광체(52)의 하단에 접촉되는 광색 변환구(70) 밑면(72)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형돌기(74a, 74b)와 원형돌기(74a, 74b) 사이의 밑면(72)은 절개하여 절개부(76)를 형성한다. 상기 밑면(72)의 절개부(76)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원형돌기(74a, 74b) 및 절개부(76)에 대한 작용효과는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광색 변환구(70)의 재질로는 부력을 갖는 플라스틱이 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발포폴리스티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색 변환구(70)는 불투명하게 이루어지되, 검정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야간낚시에서 제2 발광체(52)를 감싸고 있을 때 상기 제2 발광체(52)의 빛을 완벽히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작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채용된 낚시용 전자찌의 작용 상태도이다.
먼저, 종래와 동일하게 찌몸통(10)에 마련된 전지수용부에 전지(20)가 장착되면 상기 전지(20)로부터 제1 및 제2 발광체(51, 52)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발광체(51, 52)가 동시에 전기적으로 발광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제1 발광체(51)가 수면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발광체(52)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찌맞춤을 하여 사용할 경우, 불투명의 검정색을 갖는 광색 변환구(70)는 자체 부력에 의하여 떠올라 제2 발광체(52)를 감싸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52)의 빛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2 발광체(52)와 찌몸통(10) 사이의 찌톱(40)에 결합되어 위치된 광색 변환구(70)는 부력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이어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제2 발광체(52)의 하부면에 걸려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되면서 상기 제2 발광체(52)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물고기의 입질에 의해 본 고안의 전자찌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52) 또한 상승되며, 자체 부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발광체(52)를 감싸고 광색 변환구(70)도 함께 상승된다. 이 때까지 광색 변환구(70)에 의하여 제2 발광체(52)의 빛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계속적으로 전자찌가 상승되면 상기 제2 발광체(52)가 수면 상부로 노출되어 발광하게 되고, 상기 광색 변환구(70)는 수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수면부까지 제2 발광체(52)와 상기 제2 발광체(52)를 감싸고 있는 광색 변환구(70)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상기 광색 변환구(70)는 부력이 미치는 상기 수면부까지만 상승되며, 상기 제2 발광체(52)는 수면 상부로 노출되는 순간부터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 발광체(52)의 발광을 확인하는 순간 챔질을 시도하면 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 상단부에 형성된 3개의 원형돌기(74a)는 제2 발광체(52) 하단부와의 접촉 시 점접촉을 이룸에 따라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 하단부에 형성된 3개의 원형돌기(74b)는 찌몸통(10) 상단부와의 접촉 시 점접촉을 이룸에 따라 마찰력을 줄일 수 있어, 상기 광색 변환구(70)의 유동이 비교적 원활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원형돌기(74a, 74b)가 정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형돌기(74a, 74b)들은 제2 발광체(52) 하단부 또는 찌몸통(10) 상단부의 동일 접촉면을 가짐에 따라 기울어져 접촉되는 문제점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부력발생 시 광색 변환구(70)의 원활한 상승을 이룰 수 있는 동시에 물속에서의 하강 시 물과의 저항력을 줄여 전자찌의 입수가 빨라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에 형성된 절개부(76)(도 5a에 도시)에 의해 물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물과의 저항력이 감소되어 궁극적으로 전자찌의 입수가 빨라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작용효과를 갖는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의 이격 거리는 어종 대상에 따른 전자찌의 종류나, 바닥낚시나 중층낚시와 같은 낚시 기법의 차이 및, 낚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는 빛의 색깔을 서로 달리하여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체(51)와 제2 발광체(52) 뿐만아니라 더 많은 발광체를 형성할 수도 있고, 최상단의 발광체만 빼고 다른 발광체들에는 모두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찌몸통의 상단부에 스토퍼를 더 설치한 본 고안의 광색 변환구가 결합된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찌몸통(10)의 상단부에는 스토퍼(80)를 더 고정시켜, 광색 변환구(70)의 밑면(72)에 형성된 3개의 원형돌기(74b)가 상기 스토퍼(80)에 점접촉하도록 하여 그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부력으로 인한 상기 광색 변환구(70)의 상승 유동이 더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는, 수면 위로 상승 된 제1 발광체는 계속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 물속에 잠겨 있는 제2 발광체의 빛은 차단되도록 하며, 물고기의 입질에 따라 상기 제2 발광체가 수면 위로 오르는 순간 그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야간낚시에 있어 찌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어 물고기의 입질 판단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 전지수용부가 마련된 분리 가능한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 내에 설치되는 전지와, 상기 찌몸통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톱과, 상기 찌톱의 상단에 고정된 제1 발광체와, 상기 제1 발광체의 하부에 고정된 제2 발광체와, 상기 전지의 전원이 상기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선 및, 상기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찌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상기 제2 발광체와 찌몸통 사이의 찌톱에 결합되어, 부력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상기 제2 발광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광색 변환구는 중공형 원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발광체의 직경보다 작은 개구직경을 갖는 밑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밑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원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원형돌기는 각각 3개씩 형성되되, 상기 3개의 원형돌기들은 정삼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원형돌기와 원형돌기 사이의 밑면은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광색 변환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발포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광색 변환구는 불투명의 검정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발광체와 제2 발광체의 광색은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찌몸통의 상단부에는 광색 변환구의 스토퍼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3382U KR200424607Y1 (ko) | 2006-05-19 | 2006-05-19 |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3382U KR200424607Y1 (ko) | 2006-05-19 | 2006-05-19 |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9377A Division KR100787558B1 (ko) | 2007-05-21 | 2007-05-21 | 광색 변환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자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4607Y1 true KR200424607Y1 (ko) | 2006-08-28 |
Family
ID=4177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3382U KR200424607Y1 (ko) | 2006-05-19 | 2006-05-19 |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4607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6573Y1 (ko) | 2022-06-29 | 2023-02-28 | 김윤임 | 낚시용 광섬유 전자찌 |
KR200496895Y1 (ko) | 2022-11-04 | 2023-05-26 | 김윤임 | 낚시용 광섬유 전자찌 |
KR200498047Y1 (ko) | 2023-02-03 | 2024-06-03 | 김윤임 | 양방향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KR200498046Y1 (ko) | 2023-01-10 | 2024-06-03 | 김윤임 | 낚시용 led 전자찌 |
KR200498208Y1 (ko) | 2023-03-15 | 2024-07-29 | 김윤임 | 전방향 투명발광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
2006
- 2006-05-19 KR KR2020060013382U patent/KR2004246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6573Y1 (ko) | 2022-06-29 | 2023-02-28 | 김윤임 | 낚시용 광섬유 전자찌 |
KR200496895Y1 (ko) | 2022-11-04 | 2023-05-26 | 김윤임 | 낚시용 광섬유 전자찌 |
KR200498046Y1 (ko) | 2023-01-10 | 2024-06-03 | 김윤임 | 낚시용 led 전자찌 |
KR200498047Y1 (ko) | 2023-02-03 | 2024-06-03 | 김윤임 | 양방향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KR200498208Y1 (ko) | 2023-03-15 | 2024-07-29 | 김윤임 | 전방향 투명발광 led 플립칩을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24607Y1 (ko) |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 |
KR100679353B1 (ko) | 낚시용 전자찌 | |
KR20120033400A (ko) | 전자찌 | |
KR100787558B1 (ko) | 광색 변환구를 구비한 낚시용 전자찌 | |
KR20120050611A (ko) |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 |
KR100854095B1 (ko) |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 |
KR200401516Y1 (ko) |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 |
KR200452428Y1 (ko) |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 |
KR200447338Y1 (ko) | 발광 낚시찌 | |
KR102396318B1 (ko) |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 |
KR20160025099A (ko) | 낚시용 전자찌 | |
JP5229841B1 (ja) | 電気浮き | |
GB2390965A (en) | Light emitting stick | |
KR100787559B1 (ko) | 다단 발광 낚시찌 및 다단 형광 낚시찌 | |
JP2010263876A (ja) | 疑似餌 | |
KR200455650Y1 (ko) | 케미라이트 겸용 전자찌 | |
KR20160074112A (ko) | 다목적 낚시전자찌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74285B1 (ko) | 낚시용 발광 집어기 | |
KR200282085Y1 (ko) | 전자발광 낚시찌 | |
KR200355969Y1 (ko) |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 |
JP2011160741A (ja) | 釣り用発光おもり | |
US20070238386A1 (en) | Light Emitting Bubble Creation Device | |
KR200327154Y1 (ko) |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 |
KR200302104Y1 (ko) | 비엘도료를 이용한 야광 낚시찌 | |
KR100846111B1 (ko) | 낚시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