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900B1 - 낚시용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900B1
KR100893900B1 KR1020080097671A KR20080097671A KR100893900B1 KR 100893900 B1 KR100893900 B1 KR 100893900B1 KR 1020080097671 A KR1020080097671 A KR 1020080097671A KR 20080097671 A KR20080097671 A KR 20080097671A KR 100893900 B1 KR100893900 B1 KR 10089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main body
termi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이
홍성희
Original Assignee
최순이
홍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이, 홍성희 filed Critical 최순이
Priority to KR102008009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야간 낚시에 있어 물고기의 입질을 알 수 있도록 낚시찌에 결합되는 낚시용 발광장치가 개시된다. 낚시용 발광장치는 찌톱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와, 본체 내부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발광소자와, 발광소자 상부에서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 수납부에 수납되는 전지 및 본체의 상부에 끼워지며 내부의 상단에 전지가 고정되는 방수캡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체 상단에 방수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캡의 하강시 발광되고 방수캡의 승강시 전원이 차단되어 소광된다. 이로부터 발광장치의 방수 성능이 향상됨은 물론 발광소자 단자의 변형을 예방함과 동시에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체, 수납부, 결합부, 발광소자, 전지, 방수캡

Description

낚시용 발광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찌의 찌톱 상단에 결합되어 야간 낚시에 있어 물고기의 입질을 판단하기 위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찌는 물고기의 입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색채가 층층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형광체가 도색되어 있는 상부의 찌톱과, 찌의 부력을 높이기 위하여 대략 중앙에서 찌톱이 일체로 형성되는 찌몸통 및 찌몸통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다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낚시찌는 야간낚시를 위하여 찌톱 상부에 발광체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발광체 홀더를 결합하여 사용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발광체로서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와 전자 발광체를 사용하여 왔다.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는, 밀폐된 막대 형상의 앰플 내에 혼합시 발광할 수 있는 화학물질을 분리시켜 충전하고 있으며, 사용시 앰플을 파손함으로써 화학반응에 의한 발광이 발생된다. 그러나 케미컬 라이트는 발광시간이 짧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광도가 떨어져 자주 교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자 발광체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10) 상단의 발광체 홀더(20) 내부에 소형의 전지(30)를 삽입하고, 내부에 LED와 같은 발광소자(40)가 삽입된 캡(50)을 전지(30) 상부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때 전지(30)의 상단과 몸통 외주면에는 각각 제1, 제2전극(31, 32)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소자(40)의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제1, 제2단자(41, 42)가 형성되어 이들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40)에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자 발광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낚시를 함에 있어 낚시찌는 항상 물과 접촉하게 되는데 발광체 홀더(20)와 캡(50) 사이에 삽입되는 전지(30)의 제2전극(32) 부분이 물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캡(50) 내부로 물이 침투할 소지가 크므로 발광소자(40)의 단락에 의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둘째, 주간 낚시를 위하여 전자 발광체의 전원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전지(30)를 캡(5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거나, 적어도 전지(30)의 제1전극(31)을 발광소자(40)의 제1단자(41)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시켜야 한다. 그러나 방수를 위하여 캡(50)과 전지(30)는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데, 전지(30)의 길이는 대략 10mm 정도이고 캡(50) 외부로 노출된 전지(30) 부분의 길이는 5mm 정도에 불과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캡(50)으로부터 전지(30)를 분리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였다.
셋째, 캡(50)으로부터 전지(30)를 자주 분리함에 따라 캡(50)과 전지(3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방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넷째, 캡(50)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된 발광소자(40)의 제2단자(42) 단부가 전지(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눌려서 구부러지는 경우 더 이상 고가의 전자 발광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배경기술에서 지적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용 발광장치는, 발광소자와 전지가 수납될 수 있는 별도의 본체를 구비하고 본체 상부를 방수캡으로 밀봉함으로써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와 결합된 방수캡의 하강 또는 승강 동작만으로 발광장치의 ON/OFF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의 삽입과정에서 전지의 전극과 발광소자 단자 간의 접촉이 확실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간섭에 의한 발광소자 단자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용 발광장치는, 상기 찌톱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 상부의 수납부 내부로 삽입되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 또는 승강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지의 상단이 내부 상 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수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수납부 하부에 수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어, 결합부가 찌톱 상단과 홀더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거나, 찌톱 상단과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결합부 내부는 상기 발광소자 하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다른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이 수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소자 양측단에 형성된 단자 중 제1단자는 발광소자 배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전지 하단의 제1전극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본체 수납부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전지 외주면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수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2단자의 양측으로 각각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 중간이 가이드돌기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소자 양측단에 형성된 단자 중 제1단자는 발광소자 배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전지 하단의 제1전극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본체 수납부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전지 외주면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 수납부 상단에 상기 제2단자의 단부가 절곡되어 삽입되는 단자고정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수납부의 외주면 상부에는 방수캡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1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캡은 본체 상부에 끼움 결합시 수축작용에 의하여 전지를 하방으로 밀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발광장치의 효과를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 발광소자와 전지가 수납되고 방수캡 내부에 전지의 상단이 고정되어 방수는 물론 본체와 방수캡을 결합한 상태에서도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여 주간 낚시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체 하부에 부가할 수 있는 결합부에 의하여 통상의 낚시찌 상단의 홀더에 결합되거나, 직접 찌톱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결합부 내부에 전선이 수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소자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본체 내부에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전지의 삽입 및 분리로부터 발광소자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수납부 상단에 발광소자의 단자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다.
또한, 본체와 방수캡을 견고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탄성 재질의 방수캡의 수축작용에 의하여 전지의 전극과 발광소자 단자 간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과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와 방수캡을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방수는 물론, 전지의 전극과 발광소자 단자 간의 확실한 전기적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광장치의 결합된 상태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6은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발광장치는 크게, 찌톱(100) 상단의 홀더(200)에 결합되는 본체(300)와, 본체(300) 내부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LED로 이루어진 발광소자(400)와, 발광소자(400) 상부에서 발광소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체(300) 수납부에 수납되는 전지(500), 및 본체(300)의 상부에 끼워지며 내부의 상단에 전지(500)가 고정되도록 전지고정홈(610)이 형성된 방수캡(6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낚시용 발광장치는 본체(300) 상단에 방수캡(6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캡(600)의 하강시 발광되고, 방수캡(600)의 승강시 전원이 차단되어 소광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본체(300)는 발광소자(400)와 전지(500)를 수납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 하방으로 결합부를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결합부는 찌톱(100) 상단과 홀더(200)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거나, 찌톱(100) 상단과 끼움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 외주에는 환형돌기(320)가 형성되어 홀더(20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환형돌기(320)는 본체(300)로부터 방수캡(60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 내부는 관통공(310)이 형성되어 발광소자(400) 하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다른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전선을 수납함으로써 발광체를 2개 구비한 2단 발광장치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300) 수납부 하부의 발광소자삽입홈(360)에 수납되는 발광소자(400)와 그 상부에 수납되는 전지(500)의 접속상태는 다음과 같다.
칩 형태로 되어 하방으로 렌즈부가 형성된 발광소자(400) 양측단에 각각 제1단자(410)와 제2단자(420)가 형성된다. 이 중 제1단자(410)는 발광소자(400) 배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전지(50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전극(510)과 접촉되며, 제2단자(420)는 본체(300) 수납부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전지(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전극(520)과 접촉된다.
따라서 발광소자(400)는 그 제1단자(410)와 전지(500)의 제1전극(510)과의 접촉 또는 분리에 의하여 발광 또는 소광되는데, 이러한 접촉 또는 분리는 본체(300)에 방수캡(6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지(500)의 상단을 고정하고 있는 방수캡(600)을 하강 또는 승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방수캡(600)의 하강 또는 승강시 전지(500)의 외주면은 발광소자(400)의 제2단자(420)와 계속적인 마찰이 있게 되는데, 특히 방수캡(600)의 하강시 전지(500)가 발광소자(400)의 제2단자(420) 단부를 누름으로써 제2단자(420)가 구부러지거나,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제2단자(420)의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접촉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300)의 수납부 내주면에 발광소자(400)의 제2단자(420) 양측으로 가이드돌기(330)가 돌출되도록 형성시킴과 동시에 제2단자(420)의 중간이 가이드돌기(330)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절곡시켜 전지(500)의 계속적인 승하강에도 제2단자(420)의 돌출된 중간 부분만이 전지(500)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2단자(42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자(420)의 변형을 더욱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300) 수납부 상단에 발광소자(400)의 제2단자(420) 단부가 절곡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고정홈(35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수캡(600)을 하강하는 동작 중 부주의에 의하여 방수캡(600)을 회전시키거나 본체(300) 수납부 내주면에 전지(500)를 밀착시키면서 하강시키더라도 제2단자(42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체(300)와 방수캡(6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 또는 차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다음의 2가지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는, 본체(300)의 재질보다 방수캡(600)의 재질을 탄성이 있는 연질로 하고, 본체(300)의 수납부 외주면 상부에 방수캡(600) 내주면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1 이상의 결합돌기(3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부터 본체(300) 상부에 방수캡(600)을 하강시켜 끼움 결합시 방수캡(600)의 탄성에 의한 수축작용에 의하여 방수캡(600) 내부에 상단이 고정된 전지(500)를 하방으로 밀게 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반대로 방수캡(600)을 승강시키는 경우 전지(500)의 제1전극(510)이 발광소자(400)의 제1단자(410)로부터 이격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본체(300)는 투명한 경질의 P.E.T.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방수캡(600)은 탄성 재질의 우레탄, 실리콘, 합성고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방수캡(600)은 형광 물질을 혼합하여 야간뿐만 아니라 주간 낚시에 있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캡(600)의 내주면에 나사산(620)을 형성하고 본체(300)의 외주면에 이에 상응하는 나사산(370)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캡(600) 내부에 전지(500)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300)와 방수캡(600)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시용 발광장치는 낚시용품 중 낚시찌에 적용되므로 레저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발광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용 발광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발광장치의 조립 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의 사시도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체와 방수캡의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본체 310 : 관통공
320 : 환형돌기 330 : 가이드돌기
340 : 결합돌기 350 : 단자고정홈
360 : 발광소자삽입홈 370 : 나사산
400 : 발광소자 410 : 제1단자
420 : 제2단자 500 : 전지
510 : 제1전극 520 : 제2전극
600 : 방수캡 610 : 전지수납홈
620 : 나사산

Claims (7)

  1. 낚시찌 상단의 찌톱에 결합되는 낚시용 발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찌톱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로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부 내부에 삽입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 상부의 수납부 내부로 삽입되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및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강 또는 승강에 따라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전지의 상단이 내부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방수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 수납부의 외주면 상부에는 방수캡의 내주면과 결합되는 1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캡은 본체 상부에 끼움 결합시 수축작용에 의하여 전지를 하방으로 밀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 하부에 수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부가 더 구비되어, 결합부가 찌톱 상단과 홀더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거나, 찌톱 상단과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결합부 내부는 상기 발광소자 하부에 병렬로 연결되어 다른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이 수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양측단에 형성된 단자 중 제1단자는 발광소자 배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전지 하단의 제1전극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본체 수납부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전지 외주면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수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2단자의 양측으로 각각 가이드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 중간이 가이드돌기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양측단에 형성된 단자 중 제1단자는 발광소자 배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전지 하단의 제1전극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본체 수납부 내주면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전지 외주면의 제2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 수납부 상단에 상기 제2단자의 단부가 절곡되어 삽입되는 단자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캡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발광장치.
KR1020080097671A 2008-10-06 2008-10-06 낚시용 발광장치 KR10089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71A KR100893900B1 (ko) 2008-10-06 2008-10-06 낚시용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71A KR100893900B1 (ko) 2008-10-06 2008-10-06 낚시용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900B1 true KR100893900B1 (ko) 2009-04-20

Family

ID=4075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671A KR100893900B1 (ko) 2008-10-06 2008-10-06 낚시용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9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7A (ja) * 1996-02-27 1997-09-02 Togami Electric Mfg Co Ltd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0168518B1 (ko) * 1996-08-02 1998-12-01 박재근 낚시찌용 전자라이트
KR200357361Y1 (ko)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96324Y1 (ko) * 2005-07-08 2005-09-21 임재영 낚시찌 조명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7A (ja) * 1996-02-27 1997-09-02 Togami Electric Mfg Co Ltd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0168518B1 (ko) * 1996-08-02 1998-12-01 박재근 낚시찌용 전자라이트
KR200357361Y1 (ko)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96324Y1 (ko) * 2005-07-08 2005-09-21 임재영 낚시찌 조명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68B1 (ko) 집어등
KR101379774B1 (ko) 발광 낚시찌
KR101904936B1 (ko) 낚시찌용 발광장치
KR200454522Y1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100893900B1 (ko) 낚시용 발광장치
KR100854095B1 (ko)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160002840U (ko) 낚시용 엘이디 전자 케미라이트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KR101406564B1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장치
KR102236696B1 (ko) 전자 케미 라이트
CN205583157U (zh) 用于软性光源灯条的连接器结构
KR102258180B1 (ko) 낚시용 케미라이트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CN1174450C (zh) 开关装置
KR20100100658A (ko) 발광 장치
KR200348728Y1 (ko) 야간 민물 낚시용 발광장치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282085Y1 (ko) 전자발광 낚시찌
KR2014009073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200401398Y1 (ko) 장방형 단면 형상의 핀단자를 구비한 전자찌용 전지
KR102595885B1 (ko)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