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306A -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306A
KR20050004306A KR1020030042536A KR20030042536A KR20050004306A KR 20050004306 A KR20050004306 A KR 20050004306A KR 1020030042536 A KR1020030042536 A KR 1020030042536A KR 20030042536 A KR20030042536 A KR 20030042536A KR 20050004306 A KR20050004306 A KR 2005000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emitting
light
float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경 filed Critical 이재경
Priority to KR102003004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306A/ko
Publication of KR2005000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날날이가 부착된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찌몸통에 연결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발광부와 비발광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찌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 시작되어 광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빛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 찌톱의 종단부에 구성된 반사부재와; 상기 발광소자와 광섬유의 연결부위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을 광섬유의 종단부 방향으로 결집시키기 위해 반사구조로 이루어진 광집속부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A float using an optical fiber}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찌톱으로 사용하는 낚시용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광섬유에 전달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할 때 유지되던 평형상태가 깨지면서 부력에 의해 찌톱이 상승하거나 찌톱이 하강하여 낚시를 즐기는 조사에게 물고기의 입질(어신)을 알려주기 위한 도구이다.
야간 낚시를 할 경우, 찌의 위치 및 어신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빛을 발산하는 장치인 케미컬라이트(Chemical Light)(11)를 낚시용 찌(12) 상단에 꽂아 찌의 상승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밤낚시 채비는 간편하기는 하지만 찌 상단에 꽂는 케미컬라이트의 무게로 인해 찌의 움직임이 둔해 진다. 또한, 케미컬 라이트의 특성상 야간낚시에 필요한 밝기로 발광하는 시간이 약 6시간 이내의 1회용이어서 수시로 교체하여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위 "전자찌"로 불리우는 낚시용찌가 있다. 이는 찌톱에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장착한 낚시찌로서 여러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전자찌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날날이(25)가 부착된 찌몸통(21)과, 상단부에 상기 배터리로 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23)가 설치된 찌톱(22)과, 상기 찌몸통(21)과 찌톱(22)을 결합시키는 캡(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찌몸통(21)과 캡(24)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구나 가이드를 형성하여 분해조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캡(24)의 내부에는 찌몸통의 내부에 수납된 배터리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는 배터리와 접속되어 전원을 찌톱의 발광소자(2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응용한 것으로서 발광색이 다른 두 개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찌톱의 상단부에 설치한 전자찌가 제안되었다. 이는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을 작동 제어하는 회로와 건전지를 찌의 중간부인 부력체 몸통에 내설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들과 작동제어회로를 물의 전도성을 응용하여 찌톱에 설치한 여러 개의 접점 센서로 스위칭시키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의 전자찌는 찌돋보기만 수면위로 노출되고 찌톱 이하의 몸체는 수중에 있으면서 고기의 입질이 없을 경우에는 항상 상측의 녹색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되고, 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전자찌가 수면위로 떠오르면 녹색 발광다이오드는단락되고 그 하단의 적색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되어 낚시인에게 어신을 전달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과 작용효과를 갖는 종래의 전자찌는 1회용의 케미컬 라이트를 사용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는 있으나, 전자찌의 구성에서 찌돋보기에 설치되는 발광다이오드를 여러 개 사용하는 구성이어서 찌톱의 무게를증가시켜 물에서 찌의 직립성을 떨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높고, 발광다이오드들은 찌돋보기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어서 낚시할 때 전자찌를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점을 수표면 바로 아래로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찌돋보기가 거의 수표면 이하의 물 속에 잠입되어 높은 표면장력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고기가 먹이를 물고 입질을 할 때에 전자찌의 상승 부력에 저항을 주게 되어서 고기가 먹이를 물고 올라 올 때에 완전히 물지 못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점이 상하방향으로 이원화되어 있어서 낚시인이 낚시찌를 관찰하는 데 초점상의 혼동을 주어 피곤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광섬유를 찌톱으로 사용하는 낚시찌의 발광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날날이가 부착된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찌몸통에 연결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발광부와 비발광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찌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 시작되어 광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빛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가 상기 찌톱의 종단부에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는 상기 발광소자와 광섬유의 연결부위가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을 광섬유의 종단부로 결집하기 위해 반사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개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날날이(34)가 부착된 찌몸통(30)과; 상기 찌몸통(30)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60)와; 상기 발광소자(60)에 연결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발광부(32)와 비발광부(33)가 형성된 광섬유를 내장한 찌톱(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섬유 찌톱(31) 일부분의 피복을 벗겨 발광부(32)를 형성하여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축방향으로 진행하던 빛을 발광부(3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였다.
광섬유(optical fiber)란 빛의 진행을 가는 선에 제한하여 유리로된 섬유로 감싼 것으로, 빛은 유리와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또는 굴절)하며 축방향으로 진행하며, 석영 유리를 기본 재료로 하여 높은 굴절율의 중심을 낮은 굴절율 부분이 감싸고 있는데, 그 직경은 0.1~0.2mm로서 피복을 하더라도 1mm이하의 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찌톱(31)과 몸통이 연결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회로기판(70)에 연결된 발광소자(60)에서 빛이 발생하면, 이 빛을 광섬유 찌톱이 시작되는 부분(종단부)으로 결집시키기 위해 반사구조로 이루어진 광집속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로부터 시작되어 광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빛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켜 사용자가 찌의 톱(top)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섬유 찌톱의 종단부에 반사부재(40)가 형성되어 있다. 반사부재(40)는 버섯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단부(41)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이 코팅(coating)되어 있다. 광섬유를 통해 발광소자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빛은 코팅부분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시인성(視認性)이 좋아져 멀리 있는 사용자에게도 빛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사용상태도이다. 물고기가 미끼를 물면, 봉돌과 낚시찌의 사이에 균형을 이루던 부력의 영점이 깨지게 된다. 따라서, 낚시찌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물 밖으로 나와 있던 하나의 불빛이 서서히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낚시찌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서 찌톱의 발광부(32)를 통해 새어 나오는 빛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찌톱이 몇 마디까지 상승할 때 챔질을 해야 하는지 적절한 챔질 타이밍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는 발광소자의 빛을 효과적으로 광섬유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광섬유의 종단부에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하게 빛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날날이가 부착된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와; 찌몸통에 연결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발광부와 비발광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찌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에 있어서,
    발광소자로부터 시작되어 광섬유의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는 빛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 찌톱의 종단부에 구성된 반사부재와;
    상기 발광소자와 광섬유의 연결부위에,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된 빛을 광섬유의 종단부 방향으로 결집시키기 위해 반사구조로 이루어진 광집속부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1020030042536A 2003-06-27 2003-06-27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20050004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536A KR20050004306A (ko) 2003-06-27 2003-06-27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536A KR20050004306A (ko) 2003-06-27 2003-06-27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460U Division KR200327154Y1 (ko) 2003-06-27 2003-06-27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06A true KR20050004306A (ko) 2005-01-12

Family

ID=3721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536A KR20050004306A (ko) 2003-06-27 2003-06-27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3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39B1 (ko) * 2012-12-07 2014-04-01 임형구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의 찌톱 제조방법
KR20150122992A (ko) 2014-04-24 2015-11-03 김국한 전자찌용 광섬유 찌톱, 이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014U (ko) * 2016-05-18 2017-11-28 심유정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발광 낚시찌 전자케미
CN111587854A (zh) * 2020-06-17 2020-08-28 成都创融达科技有限公司 一种漂目可变的日夜双用电子浮漂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939B1 (ko) * 2012-12-07 2014-04-01 임형구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의 찌톱 제조방법
KR20150122992A (ko) 2014-04-24 2015-11-03 김국한 전자찌용 광섬유 찌톱, 이의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014U (ko) * 2016-05-18 2017-11-28 심유정 편의성을 향상시킨 led 발광 낚시찌 전자케미
CN111587854A (zh) * 2020-06-17 2020-08-28 成都创融达科技有限公司 一种漂目可变的日夜双用电子浮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US7607253B2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KR20190143171A (ko) 입질반응 변색 발광 낚시찌
KR20120033400A (ko) 전자찌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20050004306A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90001888U (ko) 낚시찌
KR200327154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100854095B1 (ko) 낚시용 다단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전자찌
KR200447338Y1 (ko) 발광 낚시찌
KR200401516Y1 (ko)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KR101045755B1 (ko) 반사경을 갖는 발광찌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5596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KR200415536Y1 (ko) 전자 발광 찌
KR200424607Y1 (ko)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KR200271067Y1 (ko) 민물낚시용 어신감지찌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102553805B1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CN203897088U (zh) 一种具有光诱捕功能的led灯渔具
CN213756331U (zh) 一种改进型发光电子浮漂以及用于该发光电子浮漂的卡塞
KR100616754B1 (ko) 낚시찌
KR200235427Y1 (ko) 어신 감지 전자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