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581B1 - 낚시용 전자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581B1
KR101853581B1 KR1020170012686A KR20170012686A KR101853581B1 KR 101853581 B1 KR101853581 B1 KR 101853581B1 KR 1020170012686 A KR1020170012686 A KR 1020170012686A KR 20170012686 A KR20170012686 A KR 20170012686A KR 101853581 B1 KR101853581 B1 KR 10185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attery
fishing
insulating film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김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진 filed Critical 김현진
Priority to KR102017001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에 낚시를 할 때 LED 등과 같은 발광체의 빛을 이용하여 찌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LED가 일정 간격으로 배선되어 있는 띠 모양의 필름을 찌 톱의 외주면에 부착시킨 형태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선되어 있는 복수 개의 LED를 찌 톱의 외주면에 직접 부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전자찌를 구현함으로써, 찌의 제작성 및 작업성 향상은 물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찌 톱의 단계별 높이에서 발광이 이루어짐에 따라 찌 맞춤 시 수면 위로 보이는 목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좀더 정확한 챔질을 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자찌{ELECTRIC FLOA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전자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에 낚시를 할 때 LED 등과 같은 발광체의 빛을 이용하여 찌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 입질의 신호도구인 찌의 움직임을 보고 낚시대를 챔질하여 물고기를 잡는 것을 말하며, 이때의 낚시용 찌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을 물었을 경우의 신호를 육안으로 전달시켜주는 일종의 부표물을 말한다.
보통 낚시용 찌는 물고기의 입질이나 어신으로 인한 움직임을 잘 파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Float top)과, 찌의 부력을 높이기 위해 찌 톱과 일체로 형성되는 찌 보디(Float body)와, 찌 보디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Float leg)로 구성된다.
한편, 야간에 낚시를 할 경우에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빛을 발하는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를 찌 탑에 연결하여 찌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케미컬 라이트는 화학적 발광량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그 수명도 짧아 야간 낚시를 할 경우 지속적으로 케미컬 라이트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케미컬 라이트의 대체품으로서 LED 등과 같은 발광체를 찌에 부착한 형태의 전자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0424607호에는 찌 보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터리가 고정되는 배터리 홀더를 구비하여 찌 보디에 나사식으로 체결하고, 배터리 홀더의 내부에는 양극 리드선과 음극 리드선이 매설되도록 하며, 양극 리드선과 음극 리드선으로부터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배선의 각 일단이 접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각 배선은 찌 톱의 중공을 통해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LED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형태의『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는 찌 톱 제작 시 내부로 배선이 지나는 중공을 조성해야 하므로, 대단히 작은 직경의 찌 톱에 중공을 형성하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 제작성이 좋지 않고, 작은 직경 내에 배선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제작 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042460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LED가 일정 간격으로 배선되어 있는 띠 모양의 필름을 찌 톱의 외주면에 부착시킨 형태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선되어 있는 복수 개의 LED를 찌 톱의 외주면에 직접 부착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는 새로운 전자찌를 구현함으로써, 찌의 제작성 및 작업성 향상은 물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찌 톱의 단계별 높이에서 발광이 이루어짐에 따라 찌 맞춤 시 수면 위로 보이는 목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음과 더불어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좀더 정확한 챔질을 할 수 있는 낚시용 전자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전자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낚시용 전자찌의 일 예는,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과, 상기 찌 톱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와, 상기 찌 보디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와, 상기 찌 톱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찌 톱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띠 모양의 절연성 필름과, 상기 절연성 필름의 표면에 필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부착되는 동시에 에폭시 수지에 의해 커버되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와, 상기 절연성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면서 배터리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LED 및 각 목표시용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2열의 전기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성 필름은 찌 톱의 외주면 둘레에 톱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면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배터리의 수용을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 홀더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측과 찌 보디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그리고 절연성 필름의 전기배선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홀더는 찌 보디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홀더의 다른 예로서, 상기 배터리 홀더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측과 찌 보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잔여(殘餘) 찌 톱의 상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그리고 절연성 필름의 전기배선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낚시용 전자찌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과, 상기 찌 톱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와, 상기 찌 보디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와, 상기 찌 톱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 및 상기 LED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특히 찌 톱의 외주면에 톱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부착되는 동시에 에폭시 수지에 의해 커버되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와, 상기 찌 톱의 표면에 단독으로 직접 또는 띠형 절연성 필름과 함께 형성되면서 배터리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LED 및 각 목표시용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2열의 전기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배터리의 수용을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홀더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측과 찌 보디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그리고 전기배선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홀더는 찌 보디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의 배터리 홀더의 다른 예로서, 상기 배터리 홀더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측과 찌 보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잔여(殘餘) 찌 톱의 상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 그리고 절연성 필름의 전기배선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전자찌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낚시용 찌의 찌 톱 외주면에 LED 등의 발광체를 갖춘 형태의 전자찌를 적용함으로써, 낚시용 찌의 제작이 쉽고 배선 작업 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등 제작성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낚시용 찌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찌 톱의 단계별 높이에서 복수 개의 LED가 발광하는 형태의 전자찌를 적용함으로써, 맞춤 시 수면 위로 보이는 목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좀더 정확한 챔질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존의 일반 낚시용 찌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한 호환성이 있는 구조이므로, 모든 낚시인들이 부담없이 경제적으로 전자찌를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야간 낚시 시에 LED의 빛을 이용하여 찌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복수의 LED 배선을 갖는 필름을 찌 톱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하여, 전자찌의 제작을 쉽게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기능성을 한층 향상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일반적인 전자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10), 상기 찌 톱(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11), 상기 찌 보디(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1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찌 톱(10), 찌 보디(11) 및 찌 레그(12)의 형태, 이들 간의 결합 관계 등은 일반 전자찌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발광을 통한 야간 식별을 위한 수단으로, 즉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찌 톱(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13)는 물론 이때의 LED(1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LED(13)의 경우, 투명의 렌즈(2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찌 톱(1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케미 꽂이(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LED(13)는 후술하는 전기배선(18a,18b)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케미 꽂이(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관 내벽 양편에는 LED(13)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전극판(23a,23b)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케미 꽂이(22)를 찌 톱(10)에 끼워서 결합하게 되면, 찌 톱(10)의 상단부가 원형의 관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찌 탑측 전기배선(18a,18b)과 케미 꽂이측 전극판(23a,23b)이 접속되면서 LED(13)측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찌 톱(10)의 길이 구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야간 시인성을 위한 목수 기능을 하는 절연성 필름(15)과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성 필름(1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폭, 예를 들면 찌 탑(10)의 외경에 상응하는 폭이나 찌 탑(10)의 외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띠 모양의 박막형 필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성 필름(15)은 투명 필름, 또는 반투명이나 불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간 식별 시에 찌 톱(10)의 목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필름 일정 길이 구간마다 식별이 가능한 다양한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찌 톱에 부착 시 밖으로 노출되는 면)에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가 접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 목표시용 LED(17)는 필름 길이 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므로서, 찌 톱(10)의 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목표시용 LED(17)는 전기배선(18a,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배터리측 전원을 제공받아 점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하는 그 주변은 필름 상에 도포되는 에폭시 수지(16)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목표시용 LED(17)는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도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물 밖에서도 이물질 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에는 배터리(14)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LED(13)는 물론 각각의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배선(18a,18b)은 "+" 및 "-" 극을 가지는 2열의 배선으로서, 가는 띠 모양의 동박(銅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에 부착 또는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띠 모양의 동박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기배선(18a,18b)은 얇은 동박판을 레이저 커팅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띠 모양으로 절단 성형한 형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배선(18a,18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배선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되어 있는 접속판(24)이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전기배선(18a,18b)은 이때의 위아래 접속판(24)을 이용하여 LED(13)측과 후술하는 리드선(19c)측에 각각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윗쪽에 있는 각 접속판(24)과 아래쪽에 있는 각 접속판(24)은 찌 톱(10)에 절연성 필름(15)이 감긴 형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찌 톱(10)의 양편, 즉 서로 180°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기배선(18a,18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를 가지는 절연성 필름(15)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절연성 필름(15)은 찌 톱(10)의 외주면 둘레에 감겨지는 형태로 접착되면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성 필름(15)은 찌 톱(10)의 외주면 둘레에 톱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형태로 접착되면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찌 톱(10)의 원주 둘레의 길이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절연성 필름(15)의 경우, 찌 톱(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필름 폭 방향으로 찌 톱(10)의 원주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접착되면서 부착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필름(15)의 표면과 후술하는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찌 톱(10)의 표면은 전기배선 보호를 위하여 투명막 형태의 실링재가 코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LED(13)와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배터리(14)와 이것을 수용하는 배터리 홀더(19)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홀더(19)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 형태로서,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로 구성되며, 이때의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는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배터리 홀더(19)의 내부에 조성되는 공간부에는 배터리(14)가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때의 배터리(14)는 배터리 홀더(19)의 내부, 실질적으로는 상부 홀더(19b)의 내부에 형성되는 2개의 리드선(19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상부 홀더(19b)의 내부 벽면에는 양편으로 배치되는 2개의 리드선(19c)이 벽면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1개의 리드선(19c)의 하단부는 배터리(14)의 "+"극 쪽에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 1개의 리드선(19c)의 하단부는 배터리(14)의 "-"극 쪽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리드선(19c) 중에서 1개의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상부 홀더(19a)의 중심축선을 관통하면서 삽입되는 찌 톱(1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절연성 필름(15)의 "+" 전기배선(18a)에 접속되고, 이와 더불어 다른 1개의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절연성 필름(15)의 "-" 전기배선(18b)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전기배선(18a,18c)측과의 원활한 접속을 위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찌 톱(10)을 상부 홀더(19a)에 끼우기만 하면 전기배선(18a,18b)과 리드선(19c)이 그대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홀더(19)는 상부 홀더(19a)를 통해 찌 톱(10)측과 결합되는 동시에 하부 홀더(19b)를 통해 찌 보디(11)측과 결합된다.
즉, 찌 톱(10)의 하단부가 상부 홀더(19a)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면서 결합되고, 찌 보디(11)의 상단부 내측으로 하부 홀더(19b)가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기배선(18a,18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목표시용 LED(17), 절연성 필름(15), 배터리(14)를 포함하는 배터리 홀더(19) 등을 기존의 일반적인 낚시용 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3), 전기배선(18a,18b), 목표시용 LED(17), 절연성 필름(15) 등을 포함하는 찌 톱(10)과 배터리(14)를 수용하고 있는 배터리 홀더(19)가 마련되고, 이때의 배터리 홀더(19)는 상부 홀더(19a)를 이용하여 찌 톱(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기존 일반적인 낚시용 찌에서, 찌 보디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찌 톱만 남겨 놓고 나머지 찌 톱 대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이 상태에서 찌 보디(11)의 상단측에 남아 있는 찌 톱 부분, 즉 찌 보디(11)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잔여(殘餘) 찌 톱(20)의 상단측에 배터리 홀더(19)의 하부 홀더(19b)을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낚시용 찌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전자찌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잔여(殘餘) 찌 톱(20)은 하부 홀더(19b)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어 있는 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절연성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목표시용 LED(17)와 전기배선(18a,18b)을 찌 톱(10)의 외주 표면에 직접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일반적인 전자찌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10), 상기 찌 톱(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11), 상기 찌 보디(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1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도 상기 찌 톱(10), 찌 보디(11) 및 찌 레그(12)의 형태, 이들 간의 결합 관계 등은 일반 전자찌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발광을 통한 야간 식별을 위한 수단으로, 즉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찌 톱(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13)는 물론 이때의 LED(1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LED(13)의 경우, 투명의 렌즈(2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찌 톱(1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케미 꽂이(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LED(13)는 후술하는 전기배선(18a,18b)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케미 꽂이(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관 내벽 양편에는 LED(13)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전극판(23a,23b)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라 케미 꽂이(22)를 찌 톱(10)에 끼워서 결합하게 되면, 찌 톱(10)의 상단부가 원형의 관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찌 탑측 전기배선(18a,18b)과 케미 꽂이측 전극판(23a,23b)이 접속되면서 LED(13)측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찌 톱(10)의 길이 구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야간 시인성을 위한 목수 기능을 하는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시용 LED(17)는 찌 톱(10)의 표면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복수 개가 부착되며, 이때의 각 목표시용 LED(17)는 톱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찌 톱(10)의 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목표시용 LED(17)는 전기배선(18a,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배터리측 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하는 그 주변은 찌 톱(10)의 표면 상에 도포되는 에폭시 수지(16)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목표시용 LED(17)는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도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물 밖에서도 이물질 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찌 톱(10)의 표면에는 배터리(14)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LED(13)는 물론 각각의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배선(18a,18b)은 "+" 및 "-" 극을 가지는 2열의 배선으로서, 가는 띠 모양의 동박(銅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찌 톱(10)의 외주둘레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또는 용융 동박 소재를 이용한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배선(18a,18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배선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되어 있는 접속판(24)이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전기배선(18a,18b)은 이때의 위아래 접속판(24)을 이용하여 LED(13)측과 후술하는 리드선(19c)측에 각각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윗쪽에 있는 각 접속판(24)과 아래쪽에 있는 각 접속판(24)은 찌 톱(10)에 절연성 필름(15)이 감긴 형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찌 톱(10)의 양편, 즉 서로 180°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찌 톱(10)의 표면은 전기배선 보호를 위하여 투명막 형태의 실링재가 코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LED(13)와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배터리(14)와 이것을 수용하는 배터리 홀더(19)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홀더(19)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 형태로서,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로 구성되며, 이때의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는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이러한 배터리 홀더(19)의 내부에 조성되는 공간부에는 배터리(14)가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때의 배터리(14)는 배터리 홀더(19)의 내부, 실질적으로는 상부 홀더(19b)의 내부에 형성되는 2개의 리드선(19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상부 홀더(19b)의 내부 벽면에는 양편으로 배치되는 2개의 리드선(19c)이 벽면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1개의 리드선(19c)의 하단부는 배터리(14)의 "+"극 쪽에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 1개의 리드선(19c)의 하단부는 배터리(14)의 "-"극 쪽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리드선(19c) 중에서 1개의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상부 홀더(19a)의 중심축선을 관통하면서 삽입되는 찌 톱(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 전기배선(18a)에 접속되고, 이와 더불어 다른 1개의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찌 톱(10)의 표면에 있는 "-" 전기배선(18b)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리드선(19c)의 상단부는 전기배선(18a,18c)측과의 원활한 접속을 위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는 호(弧)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찌 톱(10)을 상부 홀더(19a)에 끼우기만 하면 전기배선(18a,18b)과 리드선(19c)이 그대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홀더(19)는 상부 홀더(19a)를 통해 찌 톱(10)측과 결합되는 동시에 하부 홀더(19b)를 통해 찌 보디(11)측과 결합된다.
즉, 찌 톱(10)의 하단부가 상부 홀더(19a)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면서 결합되고, 찌 보디(11)의 상단부 내측으로 하부 홀더(19b)가 끼워지면서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기배선(18a,18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목표시용 LED(17), 배터리(14)를 포함하는 배터리 홀더(19) 등을 기존의 일반적인 낚시용 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LED(13), 전기배선(18a,18b), 목표시용 LED(17) 등을 포함하는 찌 톱(10)과 배터리(14)를 수용하고 있는 배터리 홀더(19)가 마련되고, 이때의 배터리 홀더(19)는 상부 홀더(19a)를 이용하여 찌 톱(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기존 일반적인 낚시용 찌에서, 찌 보디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찌 톱만 남겨 놓고 나머지 찌 톱 대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이 상태에서 찌 보디(11)의 상단측에 남아 있는 찌 톱 부분, 즉 찌 보디(11)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잔여(殘餘) 찌 톱(20)의 상단측에 배터리 홀더(19)의 하부 홀더(19b)을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낚시용 찌를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전자찌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잔여(殘餘) 찌 톱(20)은 하부 홀더(19b)의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되어 있는 홀 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띠형 절연성 필름(25)와 전기배선(18a,18b)의 조합을 찌 톱(10)의 외주 표면에 직접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10), 상기 찌 톱(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11), 상기 찌 보디(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12), 찌 톱(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13), LED(1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4), 배터리(14)의 수용을 위한 배터리 홀더(19), 찌 톱(1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케미 꽂이(22) 등의 구성과 이들의 결합관계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낚시용 전자찌는 찌 톱(10)의 길이 구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야간 시인성을 위한 목수 기능을 하는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시용 LED(17)는 찌 톱(10)의 표면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복수 개가 부착되며, 이때의 각 목표시용 LED(17)는 톱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찌 톱(10)의 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목표시용 LED(17)는 전기배선(18a,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배터리측 전원을 제공받아 점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표시용 LED(17)를 포함하는 그 주변은 찌 톱(10)의 표면 상에 도포되는 에폭시 수지(16)에 의해 마감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목표시용 LED(17)는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도 수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물 밖에서도 이물질 등의 침입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찌 톱(10)의 표면에는 배터리(14)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LED(13)는 물론 각각의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배선(18a,18b)은 "+" 및 "-" 극을 가지는 2열의 배선으로서, 가는 띠 모양의 동박(銅薄)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띠형 절연성 필름(25)을 매개로 하여 찌 톱(10)의 외주둘레 표면에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 또는 용융 동박 소재를 이용한 코팅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띠형 절연성 필름(25)의 표면에 동박 형태의 전기배선(18a,18b)이 접착이나 코팅 등의 방식으로 일체 형성되고, 이렇게 전기배선(18a,18b)을 가지는 띠형 절연성 필름(25)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이러한 전기배선(18a,18b) 및 띠형 절연성 필름(25)은 찌 톱(10)의 외주둘레 표면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체식의 전기배선(18a,18b) 및 띠형 절연성 필름(25)의 경우, 판형의 절연성 필름(25)의 표면에 동박 형태의 전기배선(18a,18b)을 도포하거나 코팅한 다음, 레이저 커팅 등으로 전기배선(18a,18b)과 절연성 필름(25)을 띠 모양으로 함께 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일체식의 전기배선(18a,18b) 및 띠형 절연성 필름(25)의 폭은 0.1∼1mm 정도의 폭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전기배선(18a,18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도 배선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되어 있는 접속판(24)이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전기배선(18a,18b)은 이때의 위아래 접속판(24)을 이용하여 LED(13)측과 후술하는 리드선(19c)측에 각각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윗쪽에 있는 각 접속판(24)과 아래쪽에 있는 각 접속판(24)은 찌 톱(10)에 절연성 필름(15)이 감긴 형태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찌 톱(10)의 양편, 즉 서로 180°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찌 톱(10)의 표면은 전기배선 보호를 위하여 투명막 형태의 실링재가 코팅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LED(13)와 각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배선(18a,18b)과 띠형 절연성 필름(25)의 조합 형태를 적용함으로써, 띠 톱(10)의 표면에 전기배선(18a,18b)을 단독으로 직접 형성하는 방식 대비 작업성이나 제작성 측면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자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기를 잡기 위해 사용하는 낚시도구(110)를 낚시방법, 대상어의 습성, 기상, 물때, 조류의 흐름 등에 따라 설정하는 등 모든 채비를 갖춘 상태에서, 찌 톱(10)의 70∼80%가 수면 위로 나오게 맞추면 일반적인 찌 맞춤이 이루어지게 되고, 윗 바늘에 먹이 무게만큼의 지우개나 먹이를 직접 단 후, 찌의 한두 마디가 나오도록 조절하면 수심 맞춤까지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이 상태에서 어신이 왔을 ‹š 챔질을 통해 물고기를 낚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에 채비를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낚시용 전자찌(100)를 이용한 찌 맞춤 시 찌 톱(10)에 있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에서 발광하는 빛을 확인하면서 찌를 맞출 수 있으므로, 찌 맞춤이 매우 수월하고, 또 챔질 시 찌 톱(10)에 있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에서 발광하는 빛을 확인하면서 어신에 따른 찌의 미세한 움직임도 잡아낼 수 있으므로, 순발력있는 챔질을 통해 효과적인 낚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낚시용 전자찌의 찌 톱에 목수 기능을 하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고, 이러한 목표시용 LED들을 절연성 필름을 이용하여 찌 톱 표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목표시용 LED들을 찌 톱 표면에 직접 부착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찌를 제공함으로써, 표면에 복수의 LED 및 전기배선을 가지는 찌 톱을 포함하는 전자찌의 전체적인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 야간에 찌 맞춤을 하는 경우에 수면 위로 보이는 목수를 LED를 통해 쉽게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시 시에 미세한 입질에 대해서도 좀더 정확한 챔질을 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찌 톱
11 : 찌 보디
12 : 찌 레그
13 : LED
14 : 배터리
15 : 절연성 필름
16 : 에폭시 수지
17 : 목표시용 LED
18a,18b : 전기배선
19 : 배터리 홀더
19a : 상부 홀더
19b : 하부 홀더
19c : 리드선
20 : 잔여 띠 톱
21 : 렌즈
22 : 케미 꽂이
23a,23b : 전극판
24 : 접속판
25 : 띠형 절연성 필름

Claims (9)

  1. 여러 가지 색깔의 형광체가 층층이 표시되어 있는 찌 톱(10)과, 상기 찌 톱(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찌 보디(11)와, 상기 찌 보디(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 레그(12)와, 상기 찌 톱(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LED(13) 및 상기 LED(13)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4)를 포함하는 낚시용 전자찌에 있어서,
    상기 찌 톱(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띠 모양의 절연성 필름(15)과, 상기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에 필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부착되는 동시에 에폭시 수지(16)에 의해 커버되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와, 가는 띠 모양의 동박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에 부착 또는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면서 배터리(14)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LED(13) 및 각 목표시용 LED(17)에 전원을 공급하는 2열의 전기배선(18a,18b)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배선(18a,18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목표시용 LED(17)를 가지는 절연성 필름(15)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절연성 필름(15)은 찌 톱(10)의 외주면 둘레에 감겨지는 형태로 접착되면서 부착되고, 상기 전기배선(18a,18b)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필름(15)의 표면은 전기배선 보호를 위하여 투명막 형태의 실링재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4)의 수용을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홀더(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홀더(19)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10)측과 찌 보디(11)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 그리고 절연성 필름(15)의 전기배선(18a,18b)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19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4)를 포함하고 있는 배터리 홀더(19)는 찌 보디(11)의 상단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4)의 수용을 위한 수단으로 배터리 홀더(19)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홀더(19)에는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찌 톱(10)측과 찌 보디(11)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잔여(殘餘) 찌 톱(20)의 상단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홀더(19a)와 하부 홀더(19b), 그리고 절연성 필름(15)의 전기배선(18a,18b)측과의 접속을 위한 2개의 리드선(19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자찌.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12686A 2017-01-26 2017-01-26 낚시용 전자찌 KR10185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86A KR101853581B1 (ko) 2017-01-26 2017-01-26 낚시용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86A KR101853581B1 (ko) 2017-01-26 2017-01-26 낚시용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581B1 true KR101853581B1 (ko) 2018-04-30

Family

ID=6208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86A KR101853581B1 (ko) 2017-01-26 2017-01-26 낚시용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25Y1 (ko) 2018-11-30 2020-05-26 허영웅 시인성이 개선된 낚시용 전자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624Y1 (ko) * 1999-12-20 2000-06-15 김용 전기발광 낚시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624Y1 (ko) * 1999-12-20 2000-06-15 김용 전기발광 낚시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25Y1 (ko) 2018-11-30 2020-05-26 허영웅 시인성이 개선된 낚시용 전자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447A (en) Fishing apparatus with illuminated bait
US20090223109A1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JP5778217B2 (ja) 集魚灯
US20070039228A1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KR101853581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US5937566A (en) Fishing bobber with variable illumination
US7047687B2 (en) Fishing float for positioning, detecting fish catch and lighting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100679353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JP2023521900A (ja) 桐を用いた釣り用ウ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516Y1 (ko) 2개의 발광체를 가지는 전자찌
KR102196570B1 (ko) 발광부자가 설치된 주낙어구
CN210352808U (zh) 一种碳纤维螺旋状漂尾的发光体浮漂
KR200454343Y1 (ko) 낚시용 발광 찌
KR10078875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집어등
KR200260469Y1 (ko) 전계발광체를 이용한 밤낚시용 찌
KR101363179B1 (ko) 주 야간 겸용 찌 돋보기
KR102553805B1 (ko) 민물낚시용 전자찌
KR101182139B1 (ko) 발광부를 포함한 조립식 낚시찌 구성품
KR200415536Y1 (ko) 전자 발광 찌
KR200150848Y1 (ko) 낚시용 전자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