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051B1 -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 Google Patents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051B1
KR101546051B1 KR1020140040339A KR20140040339A KR101546051B1 KR 101546051 B1 KR101546051 B1 KR 101546051B1 KR 1020140040339 A KR1020140040339 A KR 1020140040339A KR 20140040339 A KR20140040339 A KR 20140040339A KR 101546051 B1 KR101546051 B1 KR 101546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ball
lower cover
fishing
cover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학 한
Original Assignee
종 학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학 한 filed Critical 종 학 한
Priority to KR102014004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커버에 캐스팅볼을 결합함으로써 낚시를 할 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은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에 결합되어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캐스팅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Fishing lamp with castingball}
본 발명은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커버에 캐스팅볼을 결합함으로써 낚시를 할 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사는 어종의 대부분은 주광성을 갖고 있는 것인데, 밝은 빛에 반응하는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으로는 갈치나 볼락, 오징어, 주꾸미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을 낚시를 통해 잡기 위해서는 별도의 집어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집어등은 통상적으로 선박에 직접 설치하는 수상 집어등과 로프나 낚시줄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수중 집어등으로 구분될 것이다.
상기의 수상 집어등은 그물을 이용하여 어종을 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수중 집어등은 보편적으로는 낚시를 이용하여 어획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집어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집어등'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어류들의 추광성을 이용하여 모여들게 하기 위하여 주변을 밝게 하는 불빛이며 불빛에 모여드는 어류의 성질을 이용하여 어획을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커버의 내부공간에 발광부재가 위치되어 빛을 발광하도록 한다.
한편, 원거리의 어류를 어획하기 위해서는 캐스팅볼을 낚시줄에 결합하여 보다 멀리 낚시줄을 보내어 어류를 어획하고 있는 바, 캐스팅볼(6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어등(500)과 근접하게 위치되어 내부로 낚시줄(70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낚시줄에 캐스팅볼이 구비되어 낚시를 할 시 보다 원 거리까지 낚시줄을 보내어 어류를 어획할 수는 있지만, 낚시줄을 원거리까지 보낼 시 집어등과 캐스팅볼이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6698호 "집어등"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부커버에 캐스팅볼을 결합함으로써 낚시를 할 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에 결합되어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캐스팅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서 상기 캐스팅볼은 상기 캐스팅볼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커버가 삽입되도록 중심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서 상기 캐스팅볼은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형광부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 의하면, 하부커버에 캐스팅볼을 결합함으로써 낚시를 할 시 비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에서 캐스팅볼의 일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10)은 배터리(1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을 갖는 하부커버(20)와, 하부커버(20)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32)을 갖는 상부커버(30)와, 상부커버(30)의 수용공간(32)에 수용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40)와, 하부커버(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캐스팅볼(50)을 포함하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커버(2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배터리(1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을 갖는다. 그리고, 상측의 개방되는 부분의 내주면 상에 발광부(40)가 결합되도록 나사부(24)가 형성되어 진다.
상부커버(30)는 하측이 개방되고, 수용공간(32)을 가지며, 하부커버(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진다. 이때,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 사이에는 고무링(200)이 위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커버(30)의 외주면은 후술하는 발광부(4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굴절시키기 위해 굴곡부(34)를 갖는다.
이와 같이 상부커버(30)가 굴곡부(34)를 갖도록 함으로써 발광부(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굴절되기 때문에 발광부(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 각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광부(40)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커버(20)의 상측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4)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 상에 나사부(422)가 형성되고, 배터리(100)의 상측이 삽입되는 본체(42)와, 본체(42)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커버(30)의 수용공간(32)에 위치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엘이디(44)와, 일측이 배터리(100)와 접속되고, 타측이 엘이디(44)와 접속되는 접속단자(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스팅볼(50)은 하부커버(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낚시줄의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여 하부커버(20)가 삽입되도록 중심홀(52)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진다.
한편, 캐스팅볼(50)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 상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홀(54)이 형성되며, 공기주입홀(54)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마개(56)에 의해 공기주입홀(54)을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캐스팅볼(50)은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형광부재가 도포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10)에서 캐스팅볼(50)을 하부커버(20)의 외측에 결합함으로써 낚시를 할 시 낚시줄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시줄의 비거리를 증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스팅볼(50)을 형광부재로 도포함으로써 발광부(40)가 동작하지 않아도 야간에 쉽게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집어등
20 : 하부커버 22, 32 : 수용공간
24 : 나사부 30 : 상부커버
34 : 굴곡부 40 : 발광부
50 : 캐스팅볼 52 : 중심홀
100 : 배터리 200 : 고무링

Claims (3)

  1.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와;
    상기 하부커버의 외측에 결합되어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캐스팅볼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는 외주면에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스팅볼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커버가 삽입되도록 중심홀이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주입홀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공기주입홀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볼은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형광부재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KR1020140040339A 2014-04-04 2014-04-04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KR101546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39A KR101546051B1 (ko) 2014-04-04 2014-04-04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339A KR101546051B1 (ko) 2014-04-04 2014-04-04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051B1 true KR101546051B1 (ko) 2015-08-20

Family

ID=5406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339A KR101546051B1 (ko) 2014-04-04 2014-04-04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18B1 (ko) * 2021-10-20 2022-05-10 서정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07Y1 (ko) * 1999-07-21 2000-02-15 김갑진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 집어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07Y1 (ko) * 1999-07-21 2000-02-15 김갑진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 집어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18B1 (ko) * 2021-10-20 2022-05-10 서정태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08Y1 (ko) 두족류 낚시채비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KR200484380Y1 (ko) 발광 루어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7607253B2 (en) Lure light for illuminating lure while fishing
KR101597030B1 (ko) 낚시용 집어등
KR200479338Y1 (ko) 수중 집어등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101546051B1 (ko)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RU2745931C1 (ru) Световая приманка
KR200479507Y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20170001071U (ko) 발광체 모듈을 구비한 낚시용 루어
KR20120014337A (ko) 바다 낚시용 집어등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1775139B1 (ko)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CN103098766B (zh) 一种简易虾类幼体灯光诱捕装置
JP2010200736A (ja) 発光色可変の出来るイカツノと餌木或いは集魚灯
KR101801709B1 (ko) 에어포켓 타입의 어구용 축광부자
CN109983278A (zh) 一种诱鱼灯以及一种使用这种诱鱼灯捕鱼的方法
CN209201919U (zh) 一种改进的钓鱼浮标
KR200166807Y1 (ko)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 집어등
KR200421095Y1 (ko) 낙지 주낙용 낚시구
CN205480787U (zh) 用于提高灯光围网作业集鱼灯反光效率的工具
KR20190003068U (ko) 점멸 속도 가변식 집어등
KR20180047237A (ko) 두족류 낚시용 발광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