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139B1 -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 Google Patents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139B1
KR101775139B1 KR1020170058244A KR20170058244A KR101775139B1 KR 101775139 B1 KR101775139 B1 KR 101775139B1 KR 1020170058244 A KR1020170058244 A KR 1020170058244A KR 20170058244 A KR20170058244 A KR 20170058244A KR 101775139 B1 KR101775139 B1 KR 10177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uminous member
inner space
groov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 학 한
Original Assignee
한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학 filed Critical 한종학
Priority to KR102017005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야광부재와 내부그로브의 결합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에 위치되는 내부그로브(3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상기 내부그로브(30)의 하부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켜 상기 내부그로브(30) 및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듈(40)과; 상기 내부그로브(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과 밀착되는 야광부재(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20)의 하부를 통해 접착제(60)가 주입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에 관한 것으로, 야광부재가 상부에 결합된 내부그로브를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시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내부그로브의 굴곡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일정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일정하게 흡수되고 빛이 발산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Easy to manufacture fishing lamp}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발광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야광부재와 내부그로브의 결합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사는 어종의 대부분은 주광성을 갖고 있는 것인데, 밝은 빛에 반응하는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으로는 갈치나 볼락, 오징어, 주꾸미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을 낚시를 통해 잡기 위해서는 별도의 집어등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집어등은 통상적으로 선박에 직접 설치하는 수상 집어등과 로프나 낚시줄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수중 집어등으로 구분될 것이다.
상기의 수상 집어등은 그물을 이용하여 어종을 포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수중 집어등은 보편적으로는 낚시를 이용하여 어획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중 집어등의 경우 지나치게 부피가 크고 무거워 효과적으로 조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심해 300~400m에서 살고 있는 어종을 낚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중 집어등에 대한 방수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발광량이 부족하여 현재로서는 수중 집어등에 의한 어류 유인의 효과가 크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즉, 통상적인 개념의 수중 집어등은 매우 크고 밝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그물을 이용한 고기의 포획 용도로 널리 쓰여지고 있는 것이 추세인데, 상기와 같은 수중 집어등은 전기한 바와 같이 매우 크고 무거운 형태를 갖고 있어 낚시를 이용한 어획에는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낚시를 이용하여 수중 깊은 곳의 고기 특히, 양의 주광성을 갖고 있는 어종을 잡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집어등이 매우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적용할만한 수준의 수중 집어등이 개발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양의 주광성을 갖는 어종을 낚시로 잡아들이는 일이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어획량과 조과 역시 극히 저조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중에서도 방수가 잘되고, 가벼우며, 주광성이 높은 집어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의 집어등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공간 상부가 아크릴(300)이 주입되어 야광부재(200)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제조에 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성이 떨어지고, 아크릴(300)이 주입되면서 아크릴(300)에 의해 야광부재(200)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일정하게 배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발광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야광부재와 내부그로브의 결합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야광부재가 상부에 결합된 내부그로브를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시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내부그로브의 굴곡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일정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일정하게 흡수되고 빛이 발산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에 위치되는 내부그로브(3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상기 내부그로브(30)의 하부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켜 상기 내부그로브(30) 및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듈(40)과; 상기 내부그로브(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과 밀착되는 야광부재(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20)의 하부를 통해 접착제(60)가 주입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에서 상기 내부그로브(3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31)을 가지며, 상부에 상측으로 둘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2)를 갖고, 외주면 상에는 굴곡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에서 상기 야광부재(50)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1)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부(52)를 포함하여, 상기 야광부재(50)의 삽입홈(51)이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그로브(30) 및 야광부재(50)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될 시 상기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에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엘이디(41)와; 상기 엘이디(41)가 결합된 상부기판(42)과 상기 상부기판(42)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기판(43)과; 상기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을 연결하고, 상기 하부기판(43)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단자(44)와; 상기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단자(44)와 접속되는 배터리(45)를 포함하여, 상기 엘이디(41)는 상기 전극단자(44)가 물과 접촉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에서 상기 내부그로브(30)는 하부에 상기 발광모듈(40)의 상부기판(42)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42)이 결합되도록 결합홈(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제조방법에서 야광부재(50)의 삽입홈(51)에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를 삽입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야광부재(50)가 상부에 삽입된 내부그로브(30)를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를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S30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접착제(60)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을 밀폐시키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집어등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상기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광모듈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야광부재와 내부그로브의 결합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야광부재가 상부에 결합된 내부그로브를 본체의 내부공간에 삽입시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내부그로브의 굴곡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광부재의 날개부가 일정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일정하게 흡수되고 빛이 발산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집어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10)은 본체(20), 내부그로브(30), 발광모듈(40), 야광부재(50)를 포함하여 본체(20)의 하부을 통해 접착제(60)가 주입되어 본체(20)를 밀폐시켜 수중에서도 방수가 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2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21)을 갖는다. 그리고, 외주면 상에는 낚시줄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222)이 형성된 고정구(22)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구에 의해 낚시줄과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23)이 형성되어 진다.
내부그로브(30)는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본체(20)의 내부공간(21) 상측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증대시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그로브(3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31)을 가지며,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에는 굴곡부(33)가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하부에 내부공간(31)과 연통되어 외측으로 단턱 형상의 결합홈(34)이 형성되어 진다.
발광모듈(40)은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내부그로브(30)의 하부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켜 내부그로브(30) 및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것으로,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엘이디(41)와, 엘이디(41)가 결합된 상부기판(42)과 상부기판(42)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기판(43)과,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을 연결하고, 하부기판(43)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단자(44)와,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 사이에 위치되고, 전극단자(44)와 접속되는 배터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엘이디(41)는 전극단자(44)가 물과 접촉시 자동으로 점등되고, 전극단자(44)가 물 밖으로 나오게 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광모듈(40)의 상부기판(42)은 내부그로브(3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34)에 끼워져 엘이디(41)가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켜 내부그로브(30) 및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모듈(40)을 내부그로브(30)의 결합홈(34)에 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는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 상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야광부재(50)는 내부그로브(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그로브(3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32)에 삽입되는 삽입홈(51)을 갖고, 삽입홈(51)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야광부재(50)는 삽입홈(51)이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에 삽입되어 내부그로브(30) 및 야광부재(50)가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될 시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10)에 의하면, 발광모듈(4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흡수함과 동시에 빛을 증대시켜 발산시키기 위한 야광부재(50)와 내부그로브(30)의 결합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야광부재(50)가 상부에 결합된 내부그로브(30)를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 삽입시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가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가 일정하게 배열되기 때문에 엘이디(41)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일정하게 흡수되고 빛이 발산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조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어등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집어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이를 이용하여 조립 및 결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야광부재(50)의 삽입홈(51)에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를 삽입하는 제1단계(S100)와, 야광부재(50)가 상부에 삽입된 내부그로브(30)를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하는 제2단계(S200)와,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를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S300)와,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접착제(60)를 주입하여 본체(20)의 내부공간(21)을 밀폐시키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1단계(S100) 이전에 본체(20), 내부그로브(30), 발광모듈(40) 및 야광부재(50)는 사출성형 등을 통해 먼저 제조되는 것이 선행되어 진다.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어 진다. 즉,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에 삽입된 야광부재(50)는 내부그로브(30)가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될 시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본체(20)의 측면에 의해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접히게 되고, 이에 따라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위치되어 밀착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20 : 본체 21, 31 : 내부공간
30 : 내부그로브 32 : 돌출부
33 : 굴곡부 40 : 방광모듈
41 : 엘이디 42 : 상부기판
43 : 하부기판 44 : 전극단자
50 : 야광부재 51 : 삽입홈
52 : 날개부 60 : 접착제

Claims (7)

  1.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폐쇄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21)을 갖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의 상측에 위치되는 내부그로브(3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에서 상기 내부그로브(30)의 하부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켜 상기 내부그로브(30) 및 본체(20)를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모듈(40)과;
    상기 내부그로브(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주면과 밀착되는 야광부재(50)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20)의 하부를 통해 접착제(60)가 주입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그로브(3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31)을 가지며, 상부에 상측으로 둘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32)를 갖고, 외주면 상에는 굴곡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광부재(50)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도록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1)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날개부(52)를 포함하여,
    상기 야광부재(50)의 삽입홈(51)이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그로브(30) 및 야광부재(50)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될 시 상기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40)은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하는 엘이디(41)와;
    상기 엘이디(41)가 결합된 상부기판(42)과 상기 상부기판(42)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기판(43)과;
    상기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을 연결하고, 상기 하부기판(43)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단자(44)와;
    상기 상부기판(42)과 하부기판(43)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단자(44)와 접속되는 배터리(45)를 포함하여,
    상기 엘이디(41)는 상기 전극단자(44)가 물과 접촉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그로브(30)는 하부에 상기 발광모듈(40)의 상부기판(42)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기판(42)이 결합되도록 결합홈(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
  6. 청구항 제 1 항 내지 청구항 제 5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어등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야광부재(50)의 삽입홈(51)에 내부그로브(30)의 돌출부(32)를 삽입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야광부재(50)가 상부에 삽입된 내부그로브(30)를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으로 삽입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발광모듈(40)의 엘이디(41)를 상기 내부그로브(30)의 내부공간(31)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S300)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접착제(60)를 주입하여 상기 본체(20)의 내부공간(21)을 밀폐시키는 제4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200)에서 상기 야광부재(50)의 날개부(52)는 상기 내부그로브(30)의 굴곡부(3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등의 제조방법.
KR1020170058244A 2017-05-10 2017-05-10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KR10177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44A KR101775139B1 (ko) 2017-05-10 2017-05-10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244A KR101775139B1 (ko) 2017-05-10 2017-05-10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139B1 true KR101775139B1 (ko) 2017-09-05

Family

ID=5992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244A KR101775139B1 (ko) 2017-05-10 2017-05-10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066A (ko) 2019-07-08 2021-01-18 종 학 한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93B1 (ko) 2013-11-25 2014-02-19 최봉규 다기능 낚시찌
KR101591868B1 (ko) 2015-10-19 2016-02-04 한기석 집어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93B1 (ko) 2013-11-25 2014-02-19 최봉규 다기능 낚시찌
KR101591868B1 (ko) 2015-10-19 2016-02-04 한기석 집어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066A (ko) 2019-07-08 2021-01-18 종 학 한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68B1 (ko) 집어등
KR102091503B1 (ko) 낚시용 야광루어 축광장치
US6029388A (en) Light-emitting fishing lure
EP1746666A3 (en) Side view led packag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1838849B1 (ko) 두족류 낚시용 지그
KR101999356B1 (ko) 집어등
KR20180073527A (ko) 방수기능이 강화된 경량(輕量) 엘이디 등기구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101775139B1 (ko)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KR101744852B1 (ko) 높은 주광성 효과를 유도하는 집어등
RU2745931C1 (ru) Световая приманка
KR20120014337A (ko) 바다 낚시용 집어등
KR102207609B1 (ko) 수중 집어등
KR20180043945A (ko) 다기능 집어등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200430057Y1 (ko) 낚시용 발광 루어
JP7235314B2 (ja) 集魚灯及び集魚灯を用いた漁法
KR10164414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2231744B1 (ko) 제조가 간단한 집어등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546051B1 (ko) 캐스팅볼이 구비된 집어등
KR20210096985A (ko) 낚시용 인조미끼
KR100823314B1 (ko) 어선용 집어등
KR200166807Y1 (ko) 부이기능을 겸한 수중 집어등
KR20160112335A (ko) 에어포켓 타입의 어구용 축광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