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195B1 -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 Google Patents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195B1
KR102276195B1 KR1020200107494A KR20200107494A KR102276195B1 KR 102276195 B1 KR102276195 B1 KR 102276195B1 KR 1020200107494 A KR1020200107494 A KR 1020200107494A KR 20200107494 A KR20200107494 A KR 20200107494A KR 102276195 B1 KR102276195 B1 KR 10227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chamber
auxiliary module
rod body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운수
조재형
정호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엠지
Priority to KR102020010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는, 낚싯대 본체 및 상기 낚싯대 본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챔질보조모듈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챔질감지센서, 기 설정된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출력부 및 상기 챔질감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감지값에 따라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Fishing Rod Having Assist Module for Hock-Set}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출력부에 의한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과거 생존 수단으로서 인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낚시는 문명의 발전에 따라 인류의 주요한 취미생활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낚시 기술 및 낚시 도구가 발전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낚시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낚싯대를 사용하여, 낚싯바늘에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 방식이다.
그리고 낚싯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일명 챔질(Hock-Set)이라 불리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이는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낚싯대를 힘차게 들어 올리는 동작을 말한다.
이와 같이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특유의 손맛과 재미를 느끼게 되며,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도 낚시의 가장 인상적인 순간으로 꼽히고 있다.
다만,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를 보조하고 그 재미를 보다 증폭시키기 위한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낚싯대는 현재까지 전혀 제시된 바가 없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75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낚시 중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를 보조하고 그 재미를 보다 증폭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여, 낚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는, 낚싯대 본체 및 상기 낚싯대 본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챔질보조모듈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챔질감지센서, 기 설정된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출력부 및 상기 챔질감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감지값에 따라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낚싯대 본체의 이동 방향이 챔질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복수 개의 모드가 입력되며, 선택된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감지값이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부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출력유닛, 기 설정된 패턴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유닛 및 기 설정된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질보조모듈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챔질감지센서,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챔질감지센서,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손잡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는, 낚시 중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챔질보조모듈이 기 설정된 보조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폭시킬 수 있으며, 초심자 등에게 낚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챔질보조모듈에서 발생하는 챔질 보조신호를 통해 근처의 사람들에게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있어서,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가 작동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것은 상기 낚싯대(1)의 단면도이며, 중간에 도시된 것은 상기 낚싯대(1)의 측면도, 그리고 하부에 도시된 것은 상기 낚싯대(1)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는, 낚싯대 본체(10), 및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수행할 경우 보조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챔질보조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구조는 그 종류 및 제조사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은, 챔질감지센서(130)와, 출력부(140)와,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챔질감지센서(130)는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출력부(140)는 기 설정된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챔질감지센서(130)에 의해 생성된 감지값에 따라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챔질 보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은,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챔질감지센서(130), 상기 출력부(140) 및 상기 제어부(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챔질감지센서(130), 상기 출력부(140) 및 상기 제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배터리(B)가 수용되는 배터리수용부(112)와, 상기 배터리수용부(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B)는 일회용 건전지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 가능한 충전지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전원버튼(102)이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B)로부터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ON/OFF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은 낚싯대 본체(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으로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낚싯대 본체(10)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후크 등을 통한 직접 결합 방식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낙싯대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장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에 있어서,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요소가 작동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낚싯대(1)를 사용하여 챔질을 수행할 경우, 상기 챔질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값이 생성된다.
상기 챔질감지센서(130)는 상기 낚싯대(1)의 변위를 센싱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적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위치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질감지센서(130)에 의해 감지값이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20)에서는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이동 방향이 챔질 방향인지의 여부와, 상기 감지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각각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낚싯대 본체(10)를 이용하여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챔질은 사용자가 낚싯대 본체(10)를 뒤로 당기는 동작이기 때문에, 상기 챔질 방향은 일반적으로 육지 방향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최초 물 쪽을 향해 낚싯바늘을 던지는 과정에서도 낚싯대 본체(10)를 잠시 뒤로 당기는 동작을 수행한 후 다시 앞으로 미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20)는 뒤로 당기는 동작 이후 다시 앞으로 미는 동작이 기 설정된 강도 이상으로 연속 수행될 경우 이는 챔질 동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낚싯대 본체(10)를 이용하여 챔질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챔질감지센서(130)에 의해 생성된 감지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력부(140)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140)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출력유닛(140a), 기 설정된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140b) 및 기 설정된 패턴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유닛(14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출력유닛(140a)은 챔질 동작 수행 중 '삑', '딱' 등과 같은 다양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유닛(140b)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느끼는 손맛을 보다 증폭시키고, 상기 발광유닛(140c)은 빛을 다양한 패턴으로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쾌감을 부여하는 한편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보다 주목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는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복수 개의 모드가 입력될 수 있으며, 선택된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챔질감지센서(130)의 감지값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선택된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출력부(140)의 출력 설정 역시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낚시 중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챔질보조모듈(100)이 기 설정된 보조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낚시의 재미를 보다 증폭시킬 수 있으며, 초심자 등에게 낚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챔질보조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챔질 보조신호를 통해 근처의 사람들에게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챔질보조모듈(100)의 기능 및 형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낚싯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의 하우징(110)을 소정 범위에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정유닛(150)을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행정유닛(150)은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돌출부(151)와,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왕복 행정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152)와, 상기 돌출부(151) 및 상기 스토퍼부(1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압축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15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에 따라, 본 실시예의 낚싯대는 사용자가 챔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관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110)의 이동에 따른 전체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보다 큰 손맛을 느끼게 된다.
이때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152)의 내측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완충부(1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역시, 챔질보조모듈(100)의 기능 및 형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의 하우징(110)이 제1하우징부재(110a) 및 제2하우징부재(110b)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부재(110a) 및 제2하우징부재(110b)는 각각 일측의 힌지부(111)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111)를 축으로 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낚싯대 본체(10)가 끼워지는 내측의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을 낚싯대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부착되는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부재(110a) 및 제2하우징부재(110b)는 상기 힌지부(111)의 반대 측에 구비된 제1체결부(116)와 제2체결부(117)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116)와 제2체결부(117)는 서로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부재(1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재(110b)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낚싯대 본체(10)의 하나 이상의 임의 위치에는 함몰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부재(110a) 및 상기 제2하우징부재(110b)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챔질보조모듈(1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낚싯대
10: 낚싯대 본체
100: 챔질보조모듈
110: 하우징
112: 배터리수용부
114: 커버
120: 제어부
130: 챔질감지센서
140: 출력부
140a: 음향출력유닛
140b: 진동유닛
140c: 발광유닛
B: 배터리

Claims (6)

  1. 낚싯대 본체; 및
    상기 낚싯대 본체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질보조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챔질보조모듈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챔질감지센서;
    기 설정된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챔질감지센서에 의해 생성된 감지값에 따라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진동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낚싯대 본체의 이동 방향이 챔질 방향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감지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챔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복수 개의 모드가 입력되며, 선택된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감지값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기 설정된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출력유닛; 및
    기 설정된 패턴으로 빛을 발광시키는 발광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질보조모듈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내부에 상기 챔질감지센서,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챔질감지센서,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을 더 포함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낚싯대 본체의 손잡이부에 구비되는,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KR1020200107494A 2020-08-26 2020-08-26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KR10227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94A KR102276195B1 (ko) 2020-08-26 2020-08-26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494A KR102276195B1 (ko) 2020-08-26 2020-08-26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195B1 true KR102276195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494A KR102276195B1 (ko) 2020-08-26 2020-08-26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1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KR20030067531A (ko) 2002-02-07 2003-08-14 메가바스 가부시키가이샤 낚싯대
KR20130114629A (ko) * 2013-09-27 2013-10-17 이한일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낚시대용 자동 조명장치
KR101508506B1 (ko) * 2015-01-10 2015-04-07 최병달 낚시 게임 장치
KR20150106721A (ko) * 2014-03-12 2015-09-22 조희갑 낚시대용 발광장치
KR20190007763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20200053307A (ko) * 2018-11-08 2020-05-18 권태화 자동 챔질 및 입질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KR20030067531A (ko) 2002-02-07 2003-08-14 메가바스 가부시키가이샤 낚싯대
KR20130114629A (ko) * 2013-09-27 2013-10-17 이한일 기울기센서를 이용한 낚시대용 자동 조명장치
KR20150106721A (ko) * 2014-03-12 2015-09-22 조희갑 낚시대용 발광장치
KR101508506B1 (ko) * 2015-01-10 2015-04-07 최병달 낚시 게임 장치
KR20190007763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다비전 물고기 입질신호 알림장치
KR20200053307A (ko) * 2018-11-08 2020-05-18 권태화 자동 챔질 및 입질 알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469B2 (en) Robot system, robot apparatus and cover for robot apparatus
US20030014159A1 (en) Robot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CN108055868B (zh) 机器人
CA2618841A1 (en) Interactive toy with positional sensor
KR102276195B1 (ko) 챔질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낚싯대
US20180008902A1 (en) Toy reactive to a signal
KR100517813B1 (ko) Lcd의 눈을 가지는 봉제 인형
JP2003285285A (ja) ソフトウェアエージェントを有する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US20220152486A1 (en) Device including movable mass body provided in housing
JP2014144211A (ja) 変形ロボット玩具
KR20050048648A (ko) 복수의 캐릭터 형태를 갖는 생동형 장난감
JP2010279817A (ja) 玩具
JP2006230236A (ja) 疑似餌
US6645036B1 (en) Walking toy figure
JP2014121285A (ja) 機能変更可能ルアー
JP2003191187A (ja) 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1256227A1 (ja) 武器玩具
KR100956134B1 (ko) 웹 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완구용 로봇의 활용시스템
JPWO2018042781A1 (ja) 制御システム、記憶媒体、および制御方法
JP2697760B2 (ja) 筆記具
JP6675719B1 (ja) 形態変化玩具
KR20020032085A (ko) 음성 인식 기능 및 인공 지능을 갖는 완구
US20230305569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4411503B2 (ja) 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067882A (ja) 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