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712B1 -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 Google Patents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712B1
KR102663712B1 KR1020230097853A KR20230097853A KR102663712B1 KR 102663712 B1 KR102663712 B1 KR 102663712B1 KR 1020230097853 A KR1020230097853 A KR 1020230097853A KR 20230097853 A KR20230097853 A KR 20230097853A KR 102663712 B1 KR102663712 B1 KR 10266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support
saddle
belt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최필녀
유지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이앤씨
Priority to KR102023009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8Full body harnesses covering at least shoulders and thigh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는 안장대(11)를 갖고 안장대(11)의 전후방좌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좌측지지대(12)를 갖으며 안장대(11)의 전후방우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우측지지대(13)를 갖고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는 안장틀(10); 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좌측지지대(12)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좌측어깨띠(20); 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우측지지대(13)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우측어깨띠(30); 작업자의 등뒤에 위치되어 팔각형 형상으로 수직기립되는 금속판체로 일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좌측어깨띠(20)가 삽입관통되는 좌측사선띠삽입공(41,41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우측어깨띠(30)가 삽입관통되는 우측사선띠삽입공(42,42a)이 각각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구명줄(43a)이 연결되는 구명줄연결고리(43)가 형성되는 구명고리판(40); 및 일단은 상기 좌측어깨띠(2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어깨띠(3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며 중심측이 후크로 체결고정되어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수평띠로 정면에는 좌우측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통공형성되어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52)이 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랜턴고정공(51)이 형성되는 랜턴고정조명띠(50)를 구비하는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안장대와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를 갖는 안장틀과, 좌측어깨띠와, 우측어깨띠와, 구명고리판과, 랜턴고정조명띠를 구비하여, 고소 작업 추락시 작업자가 구명줄로 매달릴 때에도 안장대몸체와 완충관을 갖는 안장대에 의해 작업자를 안장과 같이 체중을 완충시킨 상태로 매달리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과 랜턴고정공을 갖는 랜턴고정조명띠에 의해 조명을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 편리성이 크게 높아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며, 야간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시인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Lighting belt for safety diagnosis of heightened visibility}
본 발명은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 추락시 작업자가 구명줄로 매달릴 때에도 안장대몸체와 완충관을 갖는 안장대에 의해 작업자를 안장과 같이 체중을 완충시킨 상태로 매달리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과 랜턴고정공을 갖는 랜턴고정조명띠에 의해 조명을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 편리성이 크게 높아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며, 야간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시인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높은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구명줄을 달아 장착하는 소위 풀하네스형의 안전벨트로서, 작업자의 양쪽 어깨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어깨띠와, 작업자의 양쪽 대퇴부에 각각 감기는 한 쌍의 대퇴부띠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소위 풀하네스형의 안전벨트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오른쪽 어깨에 걸리는 오른쪽 어깨띠가 작업자의 왼쪽 대퇴부에 감기는 왼쪽 대퇴부띠에 연결된다. 반대로 작업자의 왼쪽 어깨에 걸리는 왼쪽 어깨띠는 작업자의 오른쪽 대퇴부에 감기는 오른쪽 대퇴부띠에 연결된다. 이런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등에서 양쪽 어깨띠를 X자 모양으로 교차시키는 패드를 구비하는 소위 X형 안전벨트이다.
또한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쪽 대퇴부띠에서 연장되는 2개의 어깨띠를 작업자의 허리 부근에 마련된 결속구로 한번 모아지도록 서로 겹치게 하고, 이후 작업자의 등 부근에 위치하는 분기부재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작업자의 어깨를 향하도록 어깨띠를 Y자 모양으로 분기시키는 안전벨트(Y형 안전벨트)도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안전벨트로서, 어깨띠(및 다리띠)로부터 연속되어 허리뼈 부근에서 교차시켜 대퇴부띠를 고리형으로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이것의 경우에는 한 쌍의 대퇴부띠가 서로 지나치게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띠로 연결시켰다.
상기 종래의 안전벨트는 고소 작업시에 작업자가 등쪽에 접속된 구명줄로 매달린 상태가 되면 어깨띠나 다리띠에 의해 대퇴부띠가 당겨져 작업자의 고관절 둘레로 대퇴부띠가 세게 파고든 상태가 된다. 이때, 양쪽 대퇴부띠를 연결하는 연결띠가 둔부 쪽에 위치하여도, 작업자의 등쪽 구명줄로 매달린 상태이므로 양쪽 대퇴부띠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인장력이 부여되어 연결띠의 위치가 둔부 아래에서 벗어나므로 연결띠로 작업자의 체중을 거의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고관절 둘레에 세게 파고든 대퇴부띠로 인해 작업자가 많은 고통을 느끼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자의 양쪽 어깨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어깨띠와, 장착자의 양쪽 대퇴부에 각각 감기는 한 쌍의 대퇴부띠와, 상기 대퇴부띠에 접속되는 다리띠와, 상기 어깨띠와 상기 다리띠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 통과되어 구명줄과 접속하는 접속부재와, 한 쌍의 상기 대퇴부띠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띠를 구비하는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어깨띠와 상기 다리띠는 상기 대퇴부띠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어깨띠와 상기 다리띠는 상기 대퇴부띠의 전방 부분에 동일 위치에서 고정되며, 상기 어깨띠와 상기 다리띠는 상기 대퇴부띠의 전방 부분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되고, 상기 다리띠는 상기 대퇴부띠의 고정 위치보다 후방에서부터 이 고정 위치까지 상기 대퇴부띠와 겹쳐지는 겹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퇴부띠는 상기 다리띠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겹침부를 윗쪽으로 탈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띠에는 윗쪽을 향해 접힌 접힘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가 특허공개 제10-2021-0095195호(2021.07.30. 공개)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안전벨트는, 고소 작업 추락시 구명줄로 매달릴 때 작업자의 둔부를 연결띠가 확실히 지지하여 작업자의 체중에 따른 대퇴부띠에 의한 고관절 둘레의 조임에 의한 작업자의 고통을 어느 정도는 겸감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작업자에게는 큰 고통을 가져다 주거나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 작업시와 같은 경우에도 시인성이 크게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1-0095195호(2021.07.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장대와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를 갖는 안장틀과, 좌측어깨띠와, 우측어깨띠와, 구명고리판과, 랜턴고정조명띠를 구비하여, 고소 작업 추락시 작업자가 구명줄로 매달릴 때에도 안장대몸체와 완충관을 갖는 안장대에 의해 작업자를 안장과 같이 체중을 완충시킨 상태로 매달리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과 랜턴고정공을 갖는 랜턴고정조명띠에 의해 조명을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 편리성이 크게 높아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며, 야간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시인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는 안장대(11)를 갖고 안장대(11)의 전후방좌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좌측지지대(12)를 갖으며 안장대(11)의 전후방우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우측지지대(13)를 갖고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는 안장틀(10);
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좌측지지대(12)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좌측어깨띠(20);
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우측지지대(13)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우측어깨띠(30);
작업자의 등뒤에 위치되어 팔각형 형상으로 수직기립되는 금속판체로 일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좌측어깨띠(20)가 삽입관통되는 좌측사선띠삽입공(41,41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우측어깨띠(30)가 삽입관통되는 우측사선띠삽입공(42,42a)이 각각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구명줄(43a)이 연결되는 구명줄연결고리(43)가 형성되는 구명고리판(40); 및
일단은 상기 좌측어깨띠(2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어깨띠(3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며 중심측이 후크로 체결고정되어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수평띠로 정면에는 좌우측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통공형성되어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52)이 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랜턴고정공(51)이 형성되는 랜턴고정조명띠(50)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안장틀(10)의 안장대(11)는, 수평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막대로 전후방선단면의 좌우측에는 전방좌우측체결공(11aa,11ab)과 후방좌우측체결공(11ac,11ad)이 각각 통공형성되는 안장대몸체(11a)가 형성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져 안장대몸체(11a) 외주연에 삽입되어 일정 두께로 감싸 완충시키는 관체인 완충관(11b)이 형성되며, 작업자의 사타구니에 위치되어 고소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는, 수평을 이루는 일정길이의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좌측체결공(11aa)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전방지지대(12a)가 형성되고, 좌측전방지지대(12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좌측체결공(11ac)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후방지지대(12b)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전방지지대(12a)와 좌측후방지지대(12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좌측어깨띠(2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2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2cb,12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2a,12b)의 축회동공(12ab,12bb) 연장선상에 축핀(12ac,12bc)이 축고정되는 핀공(12cd,12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때 작업자의 좌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좌측단어깨띠지지봉(12c)이 형성되며;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는, 상기 안장대(11)의 안장대몸체(11a) 중심측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이루어진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우측체결공(11ab)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전방지지대(13a)가 형성되고, 우측전방지지대(13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우측체결공(11ad)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후방지지대(13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전방지지대(13a)와 우측후방지지대(13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우측어깨띠(3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3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3cb,13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3a,13b)의 축회동공(13ab,13bb) 연장선상에 축핀(13ac,13bc)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핀공(13cd,13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우측단어깨띠지지봉(13c)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장대와 좌측지지대와 우측지지대를 갖는 안장틀과, 좌측어깨띠와, 우측어깨띠와, 구명고리판과, 랜턴고정조명띠를 구비하여, 고소 작업 추락시 작업자가 구명줄로 매달릴 때에도 안장대몸체와 완충관을 갖는 안장대에 의해 작업자를 안장과 같이 체중을 완충시킨 상태로 매달리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과 랜턴고정공을 갖는 랜턴고정조명띠에 의해 조명을 별도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 편리성이 크게 높아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며, 야간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시인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의 안장틀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의 안장틀의 사용시와 보관시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의 안장틀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의 작업자 착용상태를 보인 사영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는, 안장틀(10)과, 좌측어깨띠(20)와, 우측어깨띠(30)와, 구명고리판(40)과, 랜턴고정조명띠(50)로 구성된다.
상기 안장틀(10)은, 작업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는 안장대(11)를 갖고 안장대(11)의 전후방좌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좌측지지대(12)를 갖으며 안장대(11)의 전후방우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우측지지대(13)를 갖고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한다.
상기 안장틀(10)의 안장대(11)는, 수평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막대로 전후방선단면의 좌우측에는 전방좌우측체결공(11aa,11ab)과 후방좌우측체결공(11ac,11ad)이 각각 통공형성되는 안장대몸체(11a)가 형성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져 안장대몸체(11a) 외주연에 삽입되어 일정 두께로 감싸 완충시키는 관체인 완충관(11b)이 형성되며, 작업자의 사타구니에 위치되어 고소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는, 수평을 이루는 일정길이의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좌측체결공(11aa)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전방지지대(12a)가 형성되고, 좌측전방지지대(12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좌측체결공(11ac)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후방지지대(12b)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전방지지대(12a)와 좌측후방지지대(12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좌측어깨띠(2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2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2cb,12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2a,12b)의 축회동공(12ab,12bb) 연장선상에 축핀(12ac,12bc)이 축고정되는 핀공(12cd,12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때 작업자의 좌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좌측단어깨띠지지봉(12c)이 형성된다.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는, 상기 안장대(11)의 안장대몸체(11a) 중심측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이루어진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우측체결공(11ab)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전방지지대(13a)가 형성되고, 우측전방지지대(13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우측체결공(11ad)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후방지지대(13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전방지지대(13a)와 우측후방지지대(13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우측어깨띠(3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3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3cb,13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3a,13b)의 축회동공(13ab,13bb) 연장선상에 축핀(13ac,13bc)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핀공(13cd,13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우측단어깨띠지지봉(13c)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어깨띠(20)는, 어깨띠로, 우측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의 우측단어깨띠지지봉(13c)의 어끼띠관통공(13ca)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치면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좌측지지대(12)의 좌측단어깨띠지지봉(12c)의 어끼띠관통공(12ca)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된다.
상기 우측어깨띠(30)는, 좌측어깨띠(20)와 좌우측으로 대칭되는 어끼띠로, 좌측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의 좌우측단어깨띠지지봉(12c)의 어끼띠관통공(12ca)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치면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우측지지대(13)의 우측단어깨띠지지봉(13c)의 어끼띠관통공(13ca)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된다.
상기 구명고리판(40)은, 작업자의 등뒤에 위치되어 팔각형 형상으로 수직기립되는 금속판체로 일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좌측어깨띠(20)가 삽입관통되는 좌측사선띠삽입공(41,41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우측어깨띠(30)가 삽입관통되는 우측사선띠삽입공(42,42a)이 각각 형성되며 후방측에는 구명줄(43a)이 연결되는 구명줄연결고리(43)가 형성된다.
상기 랜턴고정조명띠(50)는, 일단은 상기 좌측어깨띠(2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어깨띠(3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며 중심측이 후크로 체결고정되어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수평띠로 정면에는 좌우측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통공형성되어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52)이 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랜턴고정공(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장대(11)와 좌측지지대(12)와 우측지지대(13)를 갖는 안장틀(10)과, 좌측어깨띠(20)와, 우측어깨띠(30)와, 구명고리판(40)과, 랜턴고정조명띠(50)를 구비하여, 고소 작업 추락시 작업자가 구명줄(43a)로 매달릴 때에도 안장대몸체(11a)와 완충관(11b)을 갖는 안장대(10)에 의해 작업자를 안장과 같이 체중을 완충시킨 상태로 구명줄(43a)에 매달리게 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52)과 랜턴고정공(51)을 갖는 랜턴고정조명띠(50)에 의해 작업자가 별도의 조명을 잡고 있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두 손이 자유롭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이 크게 높아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며, 야간 작업시에도 작업자의 위치 및 시인성을 보다 높임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안장틀 11 : 안장대
11a : 안장대몸체 11b : 완충관
12 : 좌측지지대 13 : 우측지지대
20 : 좌측어깨띠
30 : 우측어깨띠
40 : 구명고리판
50 : 랜턴고정조명띠

Claims (2)

  1.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는 안장틀(10)과, 어깨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좌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좌측어깨띠(20)와, 어깨띠로 일단은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우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는 우측어깨띠(30)와, 작업자의 등뒤에 위치되어 팔각형 형상으로 수직기립되는 금속판체로 상기 좌측어깨띠(20)와 우측어깨띠(30)가 관통지지되며 후방측에는 구명줄(43a)이 연결되는 구명줄연결고리(43)가 형성되는 구명고리판(40)과, 각도조절식 충전엘이디랜턴(52)이 볼트를 포함하는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랜턴고정공(51)이 형성되는 랜턴고정조명띠(50)를 구비하는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장틀(10)은, 작업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는 안장대(11)를 갖고 상기 안장대(11)의 전후방좌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좌측지지대(12)를 갖으며 안장대(11)의 전후방우측면에 전후방선단부가 각각 체결고정되는 우측지지대(13)를 갖고;
    상기 좌측어깨띠(20)는, 일단이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좌측지지대(12)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상기 우측어깨띠(30)는, 일단이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고 작업자의 등뒤를 거쳐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걸쳐지면서 우측지지대(13)의 중심측을 관통하여 걸림고정되며;
    상기 구명고리판(40)은, 일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좌측어깨띠(20)가 삽입관통되는 좌측사선띠삽입공(41,41a)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사선방향으로 상기 우측어깨띠(30)가 삽입관통되는 우측사선띠삽입공(42,4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랜턴고정조명띠(50)는,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는 수평띠로 일단은 상기 좌측어깨띠(2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우측어깨띠(30)의 정면부 중심측에 고정되며 중심측이 후크로 체결고정되고 상기 랜턴고정공(51)은 정면에서 좌우측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 통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틀(10)의 안장대(11)는, 수평을 이루는 원형의 금속막대로 전후방선단면의 좌우측에는 전방좌우측체결공(11aa,11ab)과 후방좌우측체결공(11ac,11ad)이 각각 통공형성되는 안장대몸체(11a)가 형성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져 안장대몸체(11a) 외주연에 삽입되어 일정 두께로 감싸 완충시키는 관체인 완충관(11b)이 형성되며, 작업자의 사타구니에 위치되어 고소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감당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틀(10)의 좌측지지대(12)는, 수평을 이루는 일정길이의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좌측체결공(11aa)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전방지지대(12a)가 형성되고, 좌측전방지지대(12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좌측체결공(11ac)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2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2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2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좌측후방지지대(12b)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전방지지대(12a)와 좌측후방지지대(12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좌측어깨띠(2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2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2cb,12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2a,12b)의 축회동공(12ab,12bb) 연장선상에 축핀(12ac,12bc)이 축고정되는 핀공(12cd,12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때 작업자의 좌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좌측단어깨띠지지봉(12c)이 형성되며;
    상기 안장틀(10)의 우측지지대(13)는, 상기 안장대(11)의 안장대몸체(11a) 중심측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이루어진 금속 지지대로, 일단부에는 상기 안장대(11)의 전방우측체결공(11ab)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a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a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a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전방지지대(13a)가 형성되고, 우측전방지지대(13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안장대(11)의 후방우측체결공(11ad)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공(13ba)을 갖고 타단부에는 축핀(13bc)이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축회동공(13bb)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갖는 우측후방지지대(13b)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전방지지대(13a)와 우측후방지지대(13b) 사이에 위치되는 금속재질의 수평봉체로 중심부에는 상기 우측어깨띠(30)의 하단이 관통걸림되는 어깨띠관통공(13ca)을 갖고 전후방측에는 전후방완충스폰지관(13cb,13cc)이 각각 삽입지지되며 전후면에는 좌측전후방지지대(13a,13b)의 축회동공(13ab,13bb) 연장선상에 축핀(13ac,13bc)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핀공(13cd,13ce)을 갖고 사용시 정면에서 볼 때 작업자의 우측허리부에 위치되는 우측단어깨띠지지봉(13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KR1020230097853A 2023-07-26 2023-07-26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KR10266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853A KR102663712B1 (ko) 2023-07-26 2023-07-26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853A KR102663712B1 (ko) 2023-07-26 2023-07-26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712B1 true KR102663712B1 (ko) 2024-05-03

Family

ID=9107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853A KR102663712B1 (ko) 2023-07-26 2023-07-26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7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0152A1 (en) * 2002-10-31 2004-07-22 Hal Richardson Convertible harnes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10005916U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KR20160149415A (ko) * 2015-06-18 2016-12-28 서윤영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2019180542A (ja) * 2018-04-03 2019-10-24 中国電力株式会社 安全帯
KR20210095195A (ko) 2019-12-16 2021-07-30 타니자와 세이사쿠쇼, 엘티디. 안전벨트
CN213964889U (zh) * 2020-12-04 2021-08-17 吴小虎 一种建筑电气施工安全防护装置
CN216258794U (zh) * 2021-11-03 2022-04-12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高空作业人员人身安全带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0152A1 (en) * 2002-10-31 2004-07-22 Hal Richardson Convertible harnes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KR20110005916U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산업용 안전그네 및 충격흡수장치
KR20160149415A (ko) * 2015-06-18 2016-12-28 서윤영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2019180542A (ja) * 2018-04-03 2019-10-24 中国電力株式会社 安全帯
KR20210095195A (ko) 2019-12-16 2021-07-30 타니자와 세이사쿠쇼, 엘티디. 안전벨트
CN213964889U (zh) * 2020-12-04 2021-08-17 吴小虎 一种建筑电气施工安全防护装置
CN216258794U (zh) * 2021-11-03 2022-04-12 四川公路桥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高空作业人员人身安全带
KR102431043B1 (ko) * 2022-07-12 2022-08-10 (주)일신이앤씨 시설물 안전진단을 위한 추락방지용 안전장치가 일체화된 작업용 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0480A (en) Fall protection safety suit
JP4426850B2 (ja) 作り付けのハーネスを有するターンアウト上着及びズボン
JP2922642B2 (ja) 作業ズボン
US5487444A (en) Shock-absorbing safety harness
USRE35028E (en) Safety harness with adjustable front D-ring
JP4464467B2 (ja) 安全ハーネス
US6390234B1 (en) Shock absorbing safety harness
CA2155457A1 (en) Harness with adjustable means for supporting a tool belt
EP3678745A1 (en) Harness with pivoting hip connection
US9492692B2 (en) Attachable arrangement
KR102034375B1 (ko) 다목적 하네스 일체형 작업복
KR102663712B1 (ko) 시인성을 높인 고소 안전진단용 조명벨트
KR200492490Y1 (ko) 송전탑용 안전대
WO2015098821A1 (ja) 保護具
KR200489690Y1 (ko) 바지형태의 안전대
KR200471729Y1 (ko)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KR200480530Y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KR102644112B1 (ko) 안전벨트
JP2018011817A (ja) 工具吊り具
JP6864355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22034433A (ja) ハーネス型安全帯用パッド
JP2004275581A (ja) フルボディハーネス
CN214762964U (zh) 舒适型配套锚点链接器安全带
KR100973163B1 (ko) 산업용 안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