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887A -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887A
KR20210117887A KR1020200054294A KR20200054294A KR20210117887A KR 20210117887 A KR20210117887 A KR 20210117887A KR 1020200054294 A KR1020200054294 A KR 1020200054294A KR 20200054294 A KR20200054294 A KR 20200054294A KR 20210117887 A KR20210117887 A KR 2021011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ring
sensor
fixing mea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630B1 (ko
Inventor
이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1011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1Belt sorting accessories, e.g. devices keeping the belts in comfortabl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69Safet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용 안전 로프에서 로프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안전 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 고리에 결합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있어서, 안전 고리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기지정된 위치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안전 고리 내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고정 수단의 삽입 여부와 고정 수단의 굵기를 판별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여, 안전 고리가 충분한 굵기의 고정 수단에 정상 체결되었는지 여부와 고정 수단이 충분한 길이를 갖는 안전한 고정 수단인지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 시에 실제로 안전 로프를 고정 수단에 체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DEVICE FOR DETECTING THE FASTENING OF SAFETY HOOKS}
본 발명은 안전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전 고리가 안전한 고정 수단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건설현장 및 기타의 여러 작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항시 작업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작업 현장의 다양한 안전 사고 중에서도 추락 사고는 다른 사고 유형에 비해 후진국형 사고 유형으로 볼 수 있음에도 전체 산업 재해 사망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사고 발생시 위험도가 매우 높다. 이로 인해 작업 현장에서는 여러 안전 사고들 중 특히 추락 사고 방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작업 현장에서 추락 사고에 의한 위험을 줄여주기 위한 기본적인 방안으로 안전모가 주로 이용되지만, 안전모는 추락 발생 시에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안전 장비로서 추락을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작업 현장에서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비로 주로 로프의 양단에 안전 고리가 결합된 안전 로프를 이용하고 있다.
안전 로프 이용 시 작업자는 작업 시작 이전 안전 로프의 일단에 결합된 안전 고리를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 벨트 등에 체결하고, 안전 로프의 타단에 결합된 안전 고리를 안정적으로 고정된 파이프나 로프 또는 기타 고정 수단에 체결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 로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작업 현장의 일부 작업자들은 작업의 불편함이나 작업 반경의 제약 등을 이유로 안전 로프의 안전 고리를 정상적으로 체결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안전 고리를 안정적인 고정 수단이 아닌 임의의 물체에 체결하거나, 안전 로프 양단의 안전 고리를 모두 착용 중인 안전 벨트에 체결하는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안전 고리를 체결함으로써 안전 로프가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9-0129699호 (2019.11.2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작업 시에 안전 고리를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고리가 안정적인 고정 수단에 체결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추락 방지용 안전 로프에서 로프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안전 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 고리에 결합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지정된 위치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 고리 내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 수단의 삽입 여부와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를 판별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고리 본체와 상기 고리 본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안전 고리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개폐 구조로 변환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 고리에서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고리 본체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고리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를 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제1 거리 측정 센서가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상단 및 일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상단에 배치된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상기 고정 수단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와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안전 고리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가 기지정된 기준 굵기 미만이면,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서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가 양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기지정된 기준 거리에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 센서홀에 삽입 배치되는 제2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별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가 모두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안전 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기지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안전 고리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 로프가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상기 안전 로프가 상기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상기 안전 로프가 상기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 및 상기 제2 센서홀 각각은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가 거리를 측정하는 지향 각도가 한정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가 기지정된 깊이로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어부 삽입홈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과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 및 상기 제2 센서홀 각각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제어부 삽입홈에 배치되는 상기 감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삽입 배치되는 선로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안전 고리가 충분한 굵기의 고정 수단에 정상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안전 고리의 양측 방향으로 지향된 거리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여 고정 수단이 충분한 길이를 갖는 안전한 고정 수단인지 판별할 수 있으므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센서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작업 시에 실제로 안전 로프를 고정 수단에 체결하여 작업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고리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기존의 안전 고리를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가 적용되는 스마트 작업 안전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의 조립 외형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서 안전 고리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서 제1 및 제2 감지부의 형상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의 감지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고정 수단이 삽입 체결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가 적용되는 스마트 작업 안전 시스템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10)가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10)는 안전 벨트(20)를 착용한다. 그리고 작업자(10)는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안전 로프(30)를 안전 벨트(20)와 고정 수단(40) 각각에 체결함으로써, 추락 사고 발생 시에도 고정 수단(40)에 체결된 안전 로프(30)가 작업자(1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추락을 방지용 안전 로프(30)는 로프(31)의 양단에 안전 고리(32, 33)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안전 고리(32, 33)는 스냅 훅(snap hook), 카라비너(Carabiner)등의 다양한 종류의 고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고리(32, 33)는 동일한 종류의 안전 고리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양단이 서로 다른 종류의 안전 고리로 구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안전 로프(30)에서 고정 수단(4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2)는 스냅 훅 타입의 안전 고리가 이용되는 반면, 안전 벨트(2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3)는 카라비너 타입의 안전 고리가 이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고정 수단(40)은 작업 현장에서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추락 등의 안전 사고 발생시 체결된 안전 로프(30)를 통해 작업자(10)가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나타낸다. 고정 수단(40)은 작업 현장의 구조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작업자(1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구조물인 경우, 구조물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고정 수단(40)은 작업 현장에서 조립된 비계(scaffolding)의 각종 파이프 등이 이용되거나, 베란다의 추락 방지용 난간 및 전신주의 지지 바(ba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 로프(30)는 안전 고리(32, 33)를 이용하여 작업자(10)의 안전 벨트(20)와 고정 수단(40)을 결합할 뿐이지만, 본 실시예에서 안전 로프(30)의 안전 고리(32, 33)에는 안전 고리(32, 33)가 안전한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감지 장치는 작업자(10)의 사용자 명령 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작업이 시작되면 구동되어 안전 고리(32, 33)가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고리(32, 33)의 고리 내부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거리 측정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에 따라 안전 고리(32, 33)가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고리(32, 33)가 체결된 고정 수단(40)이 안정적인 고정 수단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체결 감지 장치는 고리 외측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안전 고리(32, 33)가 체결된 고정 수단(40)이 안정적인 고정 수단인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50)으로 전달하여, 안전 고리(32, 33)가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았거나, 고정 수단(40)이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 직접 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해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10)가 안전 고리(32, 33)를 안전한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 체결 감지 장치가 안전 로프(30)의 2개의 안전 고리(32, 33) 중 고정 수단(40)에 체결되는 스냅 훅 타입의 안전 고리(32)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로프(30)의 2개의 안전 고리(32, 33) 모두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안전 고리(32, 33)가 카라비너 타입과 같은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체결 감지 장치와 기지정된 다양한 통신 기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감지 결과를 인가받고, 인가된 감지 결과에 따라 경고를 출력하거나, 감지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관리 서버(60)로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50)은 일 예로 체결 감지 장치와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반면, 관리 서버(60)와는 WIFI나 기지정된 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통신 기법으로 체결 감지 장치 및 관리 서버(6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50)은 작업자(10)의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작업 시작 여부를 판별하고, 작업자(10)의 작업이 시작되면, 체결 감지 장치로 작업 시작을 통지하여 체결 감지 장치가 감지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 서버(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50)과 통신을 수행하여, 작업자(10)가 작업 시에 안전 로프(30)의 안전 고리(32, 33)을 안전한 고정 수단(40)에 정상적으로 체결하여 작업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50)로 작업자(10)가 수행해야할 작업 내역을 통지하거나, 작업자(10)가 수행한 작업 내역을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인가받아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고리(32, 33)의 고리 내부 및 외측을 감지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구비하여 안전 고리(32, 33)가 정상적으로 고정 수단(40)에 체결되었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체결된 고정 수단(40)이 안정적인 고정 수단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작업자(10)에게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작업자(10)가 작업 시에 안정적인 고정 수단(40)에 안전 고리(32, 33)을 정상적으로 체결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불의의 추락 사고 등의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의 조립 외형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서 안전 고리부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서 제1 및 제2 감지부의 형상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의 감지 제어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2의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고정 수단이 삽입 체결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와 안전 고리부, 제1 및 제2 감지부 각각 구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a), (b) 및 (c)로 서로 다른 3가지 관측 방향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고리부(100)와 체결 감지부 및 감지 제어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감지부는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고리부(100)는 고정 수단(40)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 기존의 안전 고리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여기서도 안전 고리부(100)는 스냅 훅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스냅 훅 타입으로 구현된 안전 고리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안전 고리부(100)는 크게 고리 본체(110)와 잠금 수단(1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본체(110)는 일부가 개방된 고리 형태(또는 훅(Hook) 형태)를 갖는 고정형 구조물로 구현되어, 고리 내부측으로 고정 수단(4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걸쳐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잠금 수단(120)은 고리 본체(110)에서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고, 일단이 고리 본체(110) 또는 힌지 축(130)에 결합되어 고리 본체(110) 또는 힌지 축(13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잠금 수단(120)의 일단만이 고리 본체(110) 또는 힌지 축(130)에 결합되어 타단이 회전 가능함에 따라, 잠금 수단(120)은 고리 본체(110)에서 개방된 부분으로 고정 수단(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잠금 수단(120)의 타단이 고리 본체(110)와 이격됨으로써, 고정 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고리 본체(110)의 내부측에 고정 수단(40)이 삽입된 이후에는 안전 고리부(100)의 내부측이 폐쇄되어 삽입된 고정 수단(4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즉 잠금 수단(120)의 타단이 고리 본체(110)와 접촉되어 안전 고리부(100)의 내부측이 폐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삽입된 고정 수단(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힌지 축(130)은 고리 본체(110)와 잠금 수단(120)을 결합할 뿐만 아니라, 잠금 수단(120)이 힌지 축(130)에 결합된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힌지 축(130)은 잠금 수단(12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잠금 수단(120)의 타단이 자동으로 고리 본체(110)와 접촉되어 폐구조를 이루도록 탄성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잠금 수단(120)의 일단이 고리 본체(110)에 직접 결합되고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져 타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힌지 축(130)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고리부(100)에서 고리 본체(110)에는 다수의 감지부 결합홀(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감지부 결합홀(140)은 고리 본체(110)의 양측에 체결 감지부의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체결 감지부의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는 고리 본체(11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리 본체(110)의 양측에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결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결합 수단이 고리 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결합홀(140)을 통해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를 결합함으로써, 체결 감지부가 안전 고리부(100)에 튼튼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고리 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가 고리 본체(110)를 둘러 싸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고리 본체(110)에는 감지부 결합홀(14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고리 본체(110)에 감지부 결합홀(140)이 형성되지 않은 안전 고리부(100)의 구조는 기존의 안전 고리와 동일한 구조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안전 고리부(100)는 기존의 안전 고리가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전 고리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감지부(200)는 안전 고리부(100)의 고리 본체(110)에 결합되는 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감지 제어부(400)가 삽입 배치되는 제1 하우징(2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하우징(2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210)을 형성하는 재료는 제한되지 않으나, 작업 현장에서 파손되어 안전 고리부(100)에 결합되지 않거나, 감지 제어부(400)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의 기지정된 위치에는 감지 제어부(400)가 삽입 배치되는 제어부 삽입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 삽입홈(250)은 삽입 배치되는 감지 제어부(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하우징(210)에서 안전 고리부(100)에 결합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210)에서 제어부 삽입홈(250)에 대응하는 영역의 일부에는 감지 제어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스위치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감지 제어부(400)의 스위치는 직접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감지 제어부(400)의 스위치가 간접적으로 스위칭 되도록 제어부 삽입홈(250)에 대응하는 영역의 일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홀(252)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의 기지정된 위치에는 도 2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가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231, 23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가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231, 232)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가 안전 고리부(100)의 고리 내부측을 지향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가 안전 고리부(100)의 외측을 지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가 안전 고리부(100) 내부로 고정 수단(4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삽입된 고정 수단(40)이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굵기를 가졌는지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가 고정 수단(40)의 길이가 안전 고리부(100)의 일측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는 일 예로 2개의 제1 센서홀(231, 232) 중 하나의 제1 센서홀(231)은 제1 하우징(210)에서 고리 본체(110)의 고리 일단 내측 방향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센서홀(232)은 고리의 상부측 내측 방향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는 2개의 제1 센서홀(231, 232)에 각각 삽입 배치되는 2개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교차로 거리를 측정하여 안전 고리부(100) 내부측의 폐구조 내로 삽입된 고정 수단(40)이 폐구조 내에서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고정 수단(40)의 굵기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센서홀(231, 232)은 다수로 형성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어 제1 하우징(210)에서 고리 내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은 안전 고리부(100)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수단(40)이 안전 고리부(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일 예로 하나의 제1 센서홀(231)과 인접하여 제1 하우징(210)에서 고리 본체(110)의 고리 일단 내측 방향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231, 23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가 일정한 깊이로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231, 23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가 거리를 측정하는 지향 각도를 한정하여 제한되는 방향에서의 거리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 각각을 삽입된 감지 제어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231, 23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220)로부터 제어부 삽입홈(250)까지 연결되는 제1 선로 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로 홈(260)은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에서 안전 고리부(100)에 결합되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하우징(210)에는 제1 감지부(200)를 고리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제1 결합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제1 결합홀(240)은 고리 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감지부 결합홀(140)과 함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제1 감지부(200)와 고리 본체(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고리 본체(110)에 감지부 결합홀(14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다수의 제1 결합홀(240)은 고리 본체(110)를 제외하고 제2 감지부(300)와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고리부(10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감지부(300)는 제1 감지부(200)와 마찬가지로 안전 고리부(100)의 고리 본체(110)에 결합되는 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되, 제1 감지부(200)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제2 하우징(31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310)은 제1 하우징(210)과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하우징(210, 310)이 고리 본체(110)에 결합되는 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은 제1 및 제2 감지부(200)가 잠금 수단(12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 하우징(310)에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삽입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삽입홈(350)은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제2 하우징(310)에서 안전 고리부(100)에 결합되는 측면이 아닌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삽입된 배터리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310)의 기지정된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가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320)은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제2 센서홀(220)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가 안전 고리부(100)의 외측을 지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가 고정 수단(40)의 길이가 안전 고리부(100)의 타측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갖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320)이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제2 센서홀(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전 고리부(100) 내부측으로 삽입되는 고정 수단(40)이 안전 고리부(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제2 센서홀(220)의 위치에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320) 또한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가 거리를 측정하는 지향 각도를 한정하여 제한되는 방향에서의 거리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10)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하우징(310)에는 제1 하우징(210)에서 안전 고리부(100)에 결합되는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와 감지 제어부(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홀(320)로부터 제어부 삽입홈(250)까지 연결되는 제2 선로 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하우징(310)에는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제2 감지부(300)를 고리 본체(110) 또는 제1 감지부(20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제2 결합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지 제어부(400)는 제1 거리 감지부(410), 제2 거리 감지부(420), 움직임 감지부(430), 제어부(440), 알람부(450), 통신부(460) 및 전원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리 감지부(410)는 제1 감지부(200) 또는 제2 감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지정된 위치에서 안전 고리부(100)의 고리 내부측을 지향하도록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부(20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2 감지부(300)의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며, 다수개인 경우 제1 및 제2 감지부(200, 300)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는 다수개인 경우, 안전 고리부(100)의 고리 내부측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교차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고리부(100)의 폐구조 내부측으로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위치 및 굵기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수단(50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거리 감지부(4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각각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440)로 전달한다.
제2 거리 감지부(420)는 제1 감지부(200) 및 제2 감지부(300) 각각에 적어도 하나에 기지정된 위치에서 안전 고리부(100)의 외측을 지향하도록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 ds22)를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 ds22) 각각은 도 7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고리부(10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수단(4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되어, 고정 수단(40)이 대응하는 방향에서 기지정된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는지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거리 감지부(420)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 ds22) 각각에서 감지된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44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와 적어도 하나의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 ds22)는 거리 측정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센서, 레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ToF(Time of Flight)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 ds12)는 안전 고리부(100)의 폐구조 내부측으로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위치 및 굵기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정밀 측정이 가능한 ToF 센서나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움직임 감지부(430)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즉 안전 고리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440)로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감지 제어부(400)가 움직임 감지부(430)를 포함하여 안전 고리부(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도 1에서 작업자(10)가 안전 로프(30)의 2개의 안전 고리(32, 33) 중 하나의 안전 고리(32)는 고정 수단(40)에 체결하되, 나머지 하나의 안전 고리(33)를 안전 벨트(20)에 체결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움직임 감지부(430)는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이로스코프, 가속도 센서 및 지자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안전 로프(30)의 2개의 안전 고리(32, 33) 양측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는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정 수단(4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2)와 안전 벨트(2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3)가 서로 다른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아 별도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벨트(2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3)는 대부분 작업자(10)의 작업 편의를 위해 작고 가볍게 구현되므로,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안전 벨트(20)에 체결되는 안전 고리(33)에도 체결 감지 장치가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10)의 작업 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 로프(30)의 2개의 안전 고리(32, 33) 중 하나의 안전 고리(32)에만 안전고리 체결 감지 장치가 적용되더라도 작업자(10)가 나머지 안전 고리(33)를 안전 벨트(20)에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움직임 감지부(430)를 포함한다. 이는 안전고리 체결 감지 장치가 적용된 안전 고리(32)에 움직임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다른 안전 고리(33)가 작업 중인 작업자(1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 거리 감지부(410, 420)와 움직임 감지부(430)는 센서부로 통합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제1 및 제2 거리 감지부(410, 420)에서 인가되는 제1 및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안전 고리부(100)가 안정적인 고정 수단에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움직임 감지부(430)에서 인가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안전 로프(30)의 다른 안전 고리(33)가 작업자(10)에게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에 따라 알람부(450)를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하거나, 통신부(460)를 통해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50)로 판별 결과를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50)이 경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체결 판별부(441), 고정 수단 검증부(442), 움직임 판별부(443) 및 작업 제어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판별부(441)는 제1 거리 감지부(410)에서 인가되는 제1 감지 신호로부터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위치 및 굵기를 판별한다.
체결 판별부(441)는 제1 거리 감지부(410)에서 인가되는 제1 감지 신호 중 고리의 상부측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하부측 방향을 지향하여 측정하는 제1 거리 측정 센서(ds12)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고정 수단(500)이 안전 고리부(100)의 폐구조 내부측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판별부(441)는 판별된 고정 수단(500)의 위치와 다른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고정 수단(500)의 굵기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거리 측정 센서(ds12)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에 따른 거리가 가능한 최근접 거리인 것으로 판별되면, 고정 수단(500)이 고리의 내측 상단에 접촉된 것임을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에 따른 거리는 고정 수단(500)의 굵기에 따라 가변되므로, 체결 판별부(441)는 고정 수단(500)의 굵기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만일 고정 수단(500)이 삽입된 것으로 판별되었음에도 제1 거리 측정 센서(ds11)에서 감지된 제1 감지 신호에 따른 거리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는 고정 수단(500)의 굵기가 감지되지 않는 기준 굵기 미만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체결 판별부(441)는 고정 수단(500)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함께 삽입된 고정 수단(500)이 작업자(10)의 체중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인 고정 수단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고정 수단 검증부(442)는 제2 거리 감지부(420)에서 인가되는 제2 감지 신호 중 제1 감지부(200)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에서 감지된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제1 감지부(200)측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판별하고, 제2 감지부(300)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ds22)에서 감지된 제2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삽입된 고정 수단(500)의 제2 감지부(300)측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판별한다. 이는 안전 고리부(100)가 고정 수단(500)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삽입된 고정 수단(5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체결 판별부(441)는 고정 수단(50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와 고정 수단(500)의 굵기를 판별한다. 이에 따라 고정 수단(500)이 안정적으로 체결되고 작업자(10)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고 판별된 경우일지라도, 고정 수단(500)의 길이가 충분히 길거나 양단이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작업자(10)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안전 고리부(100)가 고정 수단(50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안전 고리부(100)의 잠금 수단(120)이 회전하여 개방되지 않더라도, 안전 고리부(100)와 고정 수단(50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수단(500)이 안정적인 굵기를 갖더라도 작업자(10)의 추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에 고정 수단 검증부(442)는 안전 고리부(100)를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고정 수단(500)이 연장된 길이를 감지함으로써, 삽입된 고정 수단(500)이 안전한지 여부를 검증한다. 이때, 고정 수단 검증부(442)는 안전 고리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감지된 제2 감지 신호로부터 측정되는 거리가 모두 기지정된 기준 거리 이내이면, 안전한 고정 수단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의 지향 방향에서 고정 수단(500)의 연장되는 방향이 교차되는 위치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수단(5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제2 거리 측정 센서(ds21)의 측정 방향에서 고정 수단(500)이 교차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제2 감지 신호로부터 측정되는 거리는 기준 거리를 초과하게 된다. 즉 고정 수단(500)이 감지되지 않으므로 측정 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그에 반해, 고정 수단(500)이 충분한 길이를 갖게 되면, 제2 감지 신호로부터 측정되는 거리는 기준 거리가 된다. 또한 고정 수단(500)의 일단이 지면에 결합되어 있거나 다른 구조물에 연결된 경우, 제2 감지 신호로부터 측정되는 거리는 기준 거리 이내가 된다. 따라서 고정 수단 검증부(442)는 안전 고리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측정되는 거리가 기준 거리 이내이면, 고정 수단(500)이 안전한 고정 수단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움직임 판별부(443)는 움직임 감지부(430)에서 인가되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작업자(10)가 안전 로프(30)에서 고정 수단(500)에 결합되지 않는 안전 고리(33)가 작업자(10)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움직임 판별부(443)는 기지정된 기준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안전 로프(30)가 작업자(10)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작업 제어부(444)는 사용자 명령으로 작업 시작 명령이 인가되거나, 통신부(46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작업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전원부(47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제1 및 제2 거리 감지부(410, 420)과 움직임 감지부(430)로 인가하여 구동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고 움직임을 감지한다.
체결 판별부(441), 고정 수단 검증부(442) 및 움직임 판별부(443)의 판별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 고리부(100)에 고정 수단(500)이 삽입되지 않거나 삽입된 고정 수단(500)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알람부(450)를 제어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50)로 경고를 전달함으로써, 작업자(10)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450)는 작업 제어부(444)의 제어에 따라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460)는 작업자(10)의 사용자 단말(50)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기지정된 통신 기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작업 시작 명령 또는 작업 종료 명령 등을 인가받아 작업 제어부(444)로 전달하거나, 작업 제어부(444)에서 인가되는 경고를 사용자 단말(50)로 전달한다.
전원부(470)는 배터리 등으로 구현되어 감지 제어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작업자 20: 안전 벨트
30: 안전 로프 31: 로프
32, 33: 안전 고리 40: 고정 수단
50: 사용자 단말 60: 관리 서버
100: 안전 고리부 110: 고리 본체
120: 잠금 수단 130: 힌지 축
140: 감지부 결합홀 200: 제1 감지부
210: 제1 하우징 220: 제2 센서홀
231, 232: 제1 센서홀 240: 제1 결합홀
250: 제어부 삽입홈 251: 스위치 홀
252: 라인 홀 260: 제1 선로 홈
300: 제2 감지부 310: 제2 하우징
320: 제2 센서홀 340: 제2 결합홀
350: 배터리 삽입홈 360: 제2 선로 홈
400: 감지 제어부 410: 제1 거리 감지부
420: 제2 거리 감지부 430: 움직임 감지부
440: 제어부 441: 체결 판별부
442: 고정 수단 검증부 443: 움직임 판별부
444: 작업 제어부 450: 알람부
460: 통신부 470: 전원부

Claims (16)

  1. 추락 방지용 안전 로프에서 로프 양단에 결합되는 2개의 안전 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안전 고리에 결합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지정된 위치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 고리 내에 삽입되는 고정 수단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 수단의 삽입 여부와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를 판별하는 감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고리 본체와 상기 고리 본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안전 고리의 일부 영역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개폐 구조로 변환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안전 고리에서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고리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고리 본체의 타측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고리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를 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에 삽입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 거리 측정 센서가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상단 및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상단에 배치된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에서 상기 고정 수단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와 상기 일측에 배치된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감지된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를 판별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안전 고리에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고정 수단의 굵기가 기지정된 기준 굵기 미만이면,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서 상기 안전 고리의 내부측 폐구조가 양측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기지정된 기준 거리에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 센서홀에 삽입 배치되는 제2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내인지 판별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에 배치된 제2 거리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가 모두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안전 고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기지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안전 고리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안전 로프가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상기 안전 로프가 상기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는
    기지정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고정 수단이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거나 상기 안전 로프가 상기 작업자에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를 전달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 및 상기 제2 센서홀 각각은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가 거리를 측정하는 지향 각도가 한정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가 기지정된 깊이로 삽입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제어부는
    상기 제1 하우징과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어부 삽입홈에 삽입 배치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홀 및 상기 제2 센서홀 각각에 삽입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거리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제2 거리 측정 센서와 상기 제어부 삽입홈에 배치되는 상기 감지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 삽입 배치되는 선로 홈이 더 형성되는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0200054294A 2020-03-19 2020-05-07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552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3711 2020-03-19
KR1020200033711 2020-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87A true KR20210117887A (ko) 2021-09-29
KR102552630B1 KR102552630B1 (ko) 2023-07-13

Family

ID=779250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94A KR102552630B1 (ko) 2020-03-19 2020-05-07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0200054295A KR102481963B1 (ko) 2020-03-19 2020-05-07 버클 체결 감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295A KR102481963B1 (ko) 2020-03-19 2020-05-07 버클 체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263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JP2017184774A (ja) * 2016-03-31 2017-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状態評価装置及び状態評価方法
KR20190129699A (ko) 2018-05-10 2019-11-20 주기철 산업안전용 연결고리
KR102057239B1 (ko) * 2018-03-27 2019-12-18 (주) 세이프온 추락방지 시스템
JP2020043964A (ja) * 2018-09-18 2020-03-26 株式会社プロップ 安全帯用発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7636B2 (ja) * 2008-10-17 2013-02-20 藤井電工株式会社 安全帯および安全帯の装着確認システム
KR101398030B1 (ko) * 2012-06-29 2014-05-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네스형 안전대
KR101790157B1 (ko) 2015-12-22 2017-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101740508B1 (ko) * 2016-10-10 2017-05-26 강민규 안전벨트 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92730A (ko) * 2018-01-31 2019-08-08 신한순 안전유도형 하네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9021A (ja) * 2001-02-20 2002-08-27 Yayoi Kiko:Kk 高所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KR20160135080A (ko) * 2015-05-15 2016-11-24 삼성물산 주식회사 발광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
JP2017184774A (ja) * 2016-03-31 2017-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状態評価装置及び状態評価方法
KR102057239B1 (ko) * 2018-03-27 2019-12-18 (주) 세이프온 추락방지 시스템
KR20190129699A (ko) 2018-05-10 2019-11-20 주기철 산업안전용 연결고리
JP2020043964A (ja) * 2018-09-18 2020-03-26 株式会社プロップ 安全帯用発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963B1 (ko) 2022-12-27
KR20210117888A (ko) 2021-09-29
KR102552630B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167B2 (en) Crane control, crane and method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KR101526938B1 (ko) 현장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9480866B2 (en) Line connector having a lin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120653B2 (en) Method of monitoring crane safety during the setup procedure, as well as crane and crane control
US11724136B2 (en) Safety apparatus comprising mechanical command interface
US9751635B2 (en) Indicating device for indicating an activation status of an escape slide in an aircraft
CN107207222B (zh) 用于监控起重机安全性的方法以及用于监控起重机安全性的系统
KR10239957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닛
KR20140002303A (ko) 하네스형 안전대
KR102052548B1 (ko)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21168983A (ja) 安全帯用発報装置
KR20210101767A (ko) 안전고리장치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20210117887A (ko)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20210152110A (ko)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RU234594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варианты)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KR102385655B1 (ko)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102426312B1 (ko)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EP3942539A1 (en) Flame detecting arrangement
KR20210065664A (ko) 스마트 볼트 관리 시스템
KR102651763B1 (ko)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US20220411239A1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for lifting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