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655B1 -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655B1
KR102385655B1 KR1020200081350A KR20200081350A KR102385655B1 KR 102385655 B1 KR102385655 B1 KR 102385655B1 KR 1020200081350 A KR1020200081350 A KR 1020200081350A KR 20200081350 A KR20200081350 A KR 20200081350A KR 102385655 B1 KR102385655 B1 KR 102385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zimuth
collision
tower crane
boo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3747A (ko
Inventor
송영대
Original Assignee
송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대 filed Critical 송영대
Priority to KR102020008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붐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붐과,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붐의 충돌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경보장치는 제1청각 경보기와;, 회전하는 붐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와;, 붐의 방위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와;, 붐이 위험물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방위각을 위험물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미리 저장하고,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회전하는 붐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1청각 경보기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Tower crane collision warning system}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 운용 중 빈번히 발생되는 붐(Boom)의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붐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붐과,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붐의 충돌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타워크레인 충돌 방지 방법은 현장 작업자의 수신호 및, 타워크레인 운전자와 현장 관리자 상호 간의 전용 통신장치 등을 운용하는 방법으로, 대체적으로 감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인적 물적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타워크레인의 충돌방지에 관한 몇 가지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타워크레인의 충돌방지를 위한 기술로는 정보수집 기술과,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충돌방지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정보수집 기술은 현장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작업상황, 기후 변화, 타워크레인 설비의 기능 및 기동 상태를 수집하는 것이다.
두 번째, 통합 관리 시스템 기술은 상기 정보수집 기술로 획득한 다양한 정보들을 가지고 타워크레인 간 또는 타워크레인과 장애물 간의 충돌을 예측 경보하는 것은 물론이고, 나아가서 미리 설정한 긴급상황에 처하거나 돌발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에 직접 관여하여 운전정지까지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보수집 기술의 경우에는 특히, 충돌예방과 관련하여 기초적인 방법으로, 현장 작업자 및 운전자 간의 수신호와, 무전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와 현장 관리자 간 직접통신을 하는 방법이지만, 작업자와 운전자가 상호 시계를 벗어나거나, 장애물로 인하여 시야를 가리는 사각지대에 위치하거나, 장애물 또는 타 작업자들의 무선 송출로 인한 무선통화의 혼선 및 수신 감도 불량으로 인한 상호 통신 불가 등의 작업환경으로 인해서, 충돌사고 예방에는 제한적이다.
다음은, 센서기술로 작업자의 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주변 상황 정보 즉, 위치정보(GPS), 각도정보, 하중정보, 물체 간 근접정보 등을 자동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통제장치를 통해 적절한 대응을 하도록 해준다.
특히, 타워크레인의 회전각에 해당하는 각도정보는 첫 번째, 기어를 활용하여 타워크레인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타워크레인의 회전각을 기계식 각도센서로 측정한 정보이고, 두 번째, 2개 또는 그 이상의 GPS 센서를 타워크레인 회전축과 붐에 설치하여 위치 정보를 회전각으로 계산한 정보이다.
여기서, 첫 번째 경우에는 타워마스트의 회전축과 붐에 설치된 기어가 직접적으로 맞물려 작동하기 때문에, 기계식 각도센서로 가장 직관적인 각도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기계식 각도센서를 타워마스트 축과 붐에 직접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타워크레인 설계 시에 설계되어 최초 타워크레인 조립시에 타워마스트와 붐에 설치되어야 하지만, 2차 공급자가 별도 설계/설치 시에는 타워크레인에 기계적 위험을 야기하거나 설치에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두 번째의 상기 GPS 센서 이용 방법은 GPS 센서가 설치된 바로 그 위치의 좌표를 유효한 데이터로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의 위치가 운전석과 붐의 끝단에 설치되어야 하는 등, 센서 설치와 붐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GPS 위치정보 자체의 편차 및 오차가 존재하며 더욱이 위상이 서로 반대가 될 경우 오차의 크기는 배로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계산된 회전각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얻으려면 동일 장소에 두 대 이상의 GPS 센서를 설치하고 이들의 좌표값 평균을 구하는 등 설치와 처리가 매우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 기술은 이러한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타워크레인과 타워크레인 간 또는, 타워크레인과 장애물 간의 안전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산, 통신을 통하여 충돌을 방지했었다. 그러나, 통신 또한 혼선 및 주변의 작업 환경의 소음 등으로 인한 송수신 감도 불량으로 충돌사고 예방에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골리아스 크레인, 지브크레인 또는 타워크레인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종류를 포함한 복수 개의 각각의 크레인마다 설치되고, 각각의 크레인에 관한 GPS좌표를 취득하여 메인관리부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GPS수신기; 상기 지브크레인의 크레인붐인 지브크레인붐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지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기울기 산출을 위한 GPS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좌표값을 메인관리부로 전송하는 제1GPS부; 상기 타워크레인의 크레인붐인 타워크레인붐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되어 상기 타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산출을 위한 GPS값을 수신하여, 수신된 좌표값을 메인관리부로 전송하는 제2GPS부;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각 크레인의 GPS좌표, 상기 제1GPS부로부터 전송받은 GPS값을 통해 산출된 지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기울기 정보, 및 상기 제2GPS부로부터 전송받은 GPS값을 통해 산출된 타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정보를 각각 기 저장된 해당 크레인의 3D 모델형상에 대입하여 상기 각 크레인 간의 충돌을 예측하는 메인관리부;를 포함하는 크레인 충돌 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도 상기 GPS 센서 이용 방법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가 어려웠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0938345호(2010. 1. 14.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붐의 방위각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붐과,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붐의 충돌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위험물로 타워크레인의 붐 회전 시, 충돌 위험을 경보해주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경보장치를 포함하며, 경보장치는 제1청각 경보기와;, 회전하는 붐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와;, 붐의 방위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와;, 붐이 위험물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방위각을 위험물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미리 저장하고,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회전하는 붐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1청각 경보기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위험물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과, 회전하는 붐의 방위각을 비교하여 붐이 위험물에 근접할 때, 운전실의 운전자에게 충돌 위험 신호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하는 붐과,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과의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붐의 충돌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취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붐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가 포함된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을,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즉, 타워크레인의 위험한 곳에 어렵게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게 타워크레인의 운전실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의 조작으로 충돌 위험 방위각을 제어부에 저장하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운전자가 원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설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의 조작으로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을 나중에 저장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대체할 것인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조작의 미숙 또는 실수로 충돌 위험 방위각을 재설정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붐이 위험물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조작부의 조작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로 측정한 다수의 방위각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얻어진 방위각을, 위험물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저장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돌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타워크레인이 흔들려서, 운전자가 충돌 위험 방위각을 제대로 설정하지 못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돌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운전실 밖에 있는 현장 작업자들에게도, 시각 경보기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소음이 심한 건설현장에서 현장 작업자에게 충돌 위험 신호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돌 위험을 인지한 운전자가 운전실 밖에 있는 현장 작업자들에게도, 제2청각 경보기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시야 확보가 어려운 건설현장에서 현장 작업자에게 충돌 위험 신호를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현장 작업자에게 건설현장에서 혹시 모를 추가적인 위험에 대비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돌 위험 후 기록장치에 기록되는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를 통해, 운전자가 주의해서 타워크레인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붐의 방위각이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 시, 작동부에 연결된 외부 장치인 시각 경보기와 제2청각 경보기 및 기록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가 작동부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경보장치 하나로 시각 경보기와 제2청각 경보기 및 기록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타워크레인에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이 설치되기 때문에,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를 다수의 운전자들이 공유하는 효과가 있다.
즉, 다수의 운전자에게 건설현장에서 혹시 모를 추가적인 위험에 대비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의 충돌 위험 방지각 설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의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따른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어, 건설현장에서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100)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위험물(1)로 타워크레인(100)의 붐(110) 회전 시, 충돌 위험을 경보해줄 때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타워크레인(100)은 공지된 바와 같이, 타워마스트(130)의 상부에 선회동작하도록 설치되는 붐(110) 및 운전실(120)과;, 상기 붐(110)을 따라 횡행동작하도록 설치되는 트롤리(140)와;, 호이스팅 로프(151)를 통해 상기 트롤리(140)에 권상동작하도록 설치되며, 건축자재를 운반하는 갈고리가 구비된 호이스팅 블록(150)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상 장애물은 적층된 건축자재 및 전선 및 전봇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는 경보장치(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200)는 제1청각 경보기(210)와;,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가 측정하는 붐(100)의 방위각은 타워크레인(100)의 타워마스트(130) 중심에서 지자기에 의해 정해진 북쪽을 기준으로 붐(110)이 위치를 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수평 각도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200)는 붐(110)의 방위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붐(110)이 위험물(1)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방위각을 상기 위험물(1)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1청각 경보기(210) 및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 위험 방위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110)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험물(1)의 양쪽에 각각 근접하게 위치시킬 때,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방위각을 말한다.
즉, 상기 충돌 위험 방위각 사이에는 위험물(1)에 해당하는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100)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이 위치되면서, 상기 충돌 위험 방위각 사이가 위험구역이 된다.
또한, 상기 위험구역은 위험물(1)에 해당하는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100)의 붐(110)의 회전범위까지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청각 경보기(210)는 충돌 위험 신호를 특정 알람음으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230)는 충돌 위험 신호를 특정 색상 점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200)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붐(110)의 방위각을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디스플레이(230)에 표시 및 제어부(240)에 저장해주는 조작부(2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250)는 버튼 형태로 경보장치(200)에 설치되며, 주위로 보호커버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조작부(250)의 조작 시,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을 나중에 저장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대체할 것인지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알려준다.
즉, 상기 제어부(240)는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을 나중에 저장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대체할 것인지를, 문자 형태의 메시지로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알려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붐(110)이 위험물(1)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조작부(250)의 조작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다수의 방위각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얻어진 방위각을, 위험물(1)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저장해준다.
즉, 상기 충돌 위험 방위각의 설정에 대한 정밀도를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는 시각 경보기(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시각 경보기(300)는 경광등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200)는 제어부(240)에 의해 활성화되어 충돌 위험 신호를 시각 경보기(300)를 통해 출력해주는 작동부(26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60)는 전자식 스위치 형태로 경보장치(200)에 설치되며, 시각 경보기(300)는 제어부(240)에 의해 상기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 신호를 특정 색상 점멸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2청각 경보기(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청각 경보기(400)는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 신호를 특정 알람음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기록장치(500)는 블랙박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시각 경보기(300) 및 제2청각 경보기(400) 및 기록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외부 전원부(60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시각 경보기(300) 및 제2청각 경보기(400) 및 기록장치(500)는 외부 전원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270)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주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된다.
즉, 다수의 상기 타워크레인(100)은 통신부(27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래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의 작동을 설명하면, 경보장치(200)의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 및 제어부(240) 및 조작부(250)를 통해 위험물(1)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을 미리 저장한다.
즉, 상기 충돌 위험 방위각를 통해 위험구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갈고리가 구비된 호이스팅 블록(150)을 통해서 건축자재를 고정한 후, 붐(110)을 회전시켜서 상기 건축자재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0)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붐(110)의 방위각이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1청각 경보기(210) 및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운전실(120)에 있는 운전자에게 위험물(1)과의 충돌 위험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40)는 작동부(260)를 활성화시켜서, 시각 경보기(300) 및 제2청각 경보기(40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운전실(120)의 외부에 있는 현장 작업자들에게도 위험물(1)과의 충돌 위험을 알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각 경보기(300) 및 제2청각 경보기(400)는 활성화된 작동부(260)에 의해 외부 전원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장치(500)는 활성화된 작동부(260)에 의해 외부 전원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면서, 위험물(1)과의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 즉, 충돌 경고 발생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위험물(1)이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100) 및 건물에 해당하면, 운전자는 운전실(120)을 통해서 건축자재가 갈고리에 고정된 호이스팅 블록(150) 및 붐(110)이 상기 위험물(1)에 충돌하지 않도록, 붐(110)을 정밀하게 회전시키면서 건축자재를 다른 타워크레인(100) 및 건물 주변의 원하는 장소에 내려놓는다.
만약, 상기 위험물(1)이 지상 장애물이면, 운전자는 운전실(120)을 통해서 건축자재가 갈고리에 고정된 호이스팅 블록(150)을 위험물(1)에 충돌하지 않도록, 붐(110)을 정밀하게 회전시키면서 건축자재를 지상 장애물 주변의 원하는 장소에 내려놓는다.
여기서, 상기 건축자재를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 지상 장애물인 위험물(1)의 상부에서 붐(110)의 회전이 필요할 경우, 호이스팅 로프(151)를 통해 호이스팅 블록(150)을 상승시킨 후 상기 붐(110)을 회전시키거나, 트롤리(140)를 상기 붐(110)을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붐(110)을 회전시켜서 건축자재를 원하는 장소에 내려놓는다.
즉, 상기 붐(110)을 위험물(1)이 있는 위험지역의 상부를 지나도록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른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다수의 타워크레인(1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이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어부(240)가 제1청각 경보기(210) 및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통신부(270)를 통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충돌 위험 신호를 주변의 타워크레인(100)에 전송하게 된다.
즉, 다수의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있는 운전자들에게 충돌 위험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타워크레인 200 : 경보장치
210 : 제1청각 경보기 220 :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
230 : 디스플레이 240 : 제어부
250 : 조작부 260 : 작동부
270 : 통신부 300 : 시각 경보기
400 : 제2청각 경보기 500 : 기록장치
600 : 외부 전원부 1000 :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Claims (9)

  1. 건설현장에서 주변의 다른 타워크레인(100) 및 건물 및 지상 장애물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위험물(1)로 타워크레인(100)의 붐(110) 회전 시, 충돌 위험을 경보해주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는 경보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장치(200)는 제1청각 경보기(210)와;,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와;, 상기 붐(110)의 방위각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붐(110)이 위험물(1)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방위각을 상기 위험물(1)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회전하는 붐(110)의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에 근접하면 제1청각 경보기(210) 및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장치(200)는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붐(110)의 방위각을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디스플레이(230)에 표시 및 제어부(240)에 저장해주는 조작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40)는 조작부(250)의 조작 시, 미리 저장된 충돌 위험 방위각을 나중에 저장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대체할 것인지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알려주며,
    상기 제어부(240)는 붐(110)이 위험물(1)에 근접하게 위치될 때, 조작부(250)의 조작으로 미리 설정한 시간동안 전자식 디지털 나침반 센서(220)로 측정한 다수의 방위각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얻어진 방위각을, 위험물(1)에 해당하는 충돌 위험 방위각으로 저장하고,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는 시각 경보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장치(200)는 제어부(240)에 의해 활성화되어 충돌 위험 신호를 시각 경보기(300)를 통해 출력해주는 작동부(260)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 신호를 출력하는 제2청각 경보기(400)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충돌 위험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며,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부(260)가 활성화되면 시각 경보기(300) 및 제2청각 경보기(400) 및 기록장치(5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외부 전원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장치(200)는 통신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1000)은 타워크레인(100)의 주변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타워크레인(100)의 운전실(120)에 설치되고, 통신부(270)를 통해 충돌 위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KR1020200081350A 2020-07-02 2020-07-02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KR102385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50A KR102385655B1 (ko) 2020-07-02 2020-07-02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50A KR102385655B1 (ko) 2020-07-02 2020-07-02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47A KR20220003747A (ko) 2022-01-11
KR102385655B1 true KR102385655B1 (ko) 2022-04-11

Family

ID=7935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350A KR102385655B1 (ko) 2020-07-02 2020-07-02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6014B (zh) * 2024-02-26 2024-05-24 杭州宇泛智能科技有限公司 融合多系统功能交互于一体的塔机安全监测设备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11B1 (ko) 2005-08-11 2007-01-25 김성식 자세교정용 경보장치
KR100740630B1 (ko) 2005-10-31 2007-07-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유도 전동기 회전자 이상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JP2019157409A (ja) 2018-03-08 2019-09-19 大成建設株式会社 作業車両用旋回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用警報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786A (ja) * 1992-10-30 1994-05-24 Takenaka Komuten Co Ltd クレーン作業範囲規制装置
JPH11116185A (ja) * 1997-10-14 1999-04-27 Kobe Steel Ltd 建設機械の作業状態記録装置
KR100938345B1 (ko) 2007-12-28 2010-01-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충돌 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16871B1 (ko) * 2009-12-28 2012-12-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및 크레인 충돌 방지 제어 방법
KR101072841B1 (ko) * 2010-03-31 2011-10-14 권혁봉 지브크레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611B1 (ko) 2005-08-11 2007-01-25 김성식 자세교정용 경보장치
KR100740630B1 (ko) 2005-10-31 2007-07-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유도 전동기 회전자 이상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JP2019157409A (ja) 2018-03-08 2019-09-19 大成建設株式会社 作業車両用旋回制御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用警報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47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201B1 (ko)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
US6744372B1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CN105347211A (zh) 塔式起重机全景可视、可控、智能监测与防护集成系统
US20220185637A1 (en) Work area monitoring system for lifting machines
KR20100037257A (ko) 지능형 영상 시스템을 이용한 타워 크레인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KR101096228B1 (ko) 지엔에스에스를 이용한 크레인 충돌방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6949767B2 (ja) 作業員管理システム
JP2005029338A (ja) 建設機械の動作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615368B (zh) 一种顾及风速影响的建筑施工塔吊机防碰撞预警系统
KR20080084094A (ko) 타워 크레인의 위험감지 경보 방법 및 안전 장치
KR20140132602A (ko) 타워크레인의 원격관리장치
US20200255267A1 (en) A safety system for a machine
EP1221426A2 (en) Crane safety devices and methods
US20210269285A1 (en) Crane with an anti-collisio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such an anti-collision device
KR102623060B1 (ko) 타워크레인의 사고예방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385655B1 (ko) 타워크레인 충돌 경고 시스템
KR20220155213A (ko) 입체 스캐닝 센서를 이용한 타워 크레인의 충돌예방 시스템
CN112607602A (zh) 一种塔机吊钩视频跟踪装置
KR102170469B1 (ko) 상대속도 및 절대속도를 이용한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타워크레인의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
KR101830519B1 (ko) 신뢰성이 우수한 타워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KR20210039167A (ko) 아웃트리거를 사용하는 이동식 크레인의 전도 방지 시스템
WO20200951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ane site monitoring
KR101941542B1 (ko) 중장비 또는 대형차량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63890B1 (ko) 타워크레인의 통합 관리 운영 시스템
JP3222128U (ja) 鉄道工事用作業空間制限警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