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239B1 - 추락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239B1
KR102057239B1 KR1020180035429A KR20180035429A KR102057239B1 KR 102057239 B1 KR102057239 B1 KR 102057239B1 KR 1020180035429 A KR1020180035429 A KR 1020180035429A KR 20180035429 A KR20180035429 A KR 20180035429A KR 102057239 B1 KR102057239 B1 KR 102057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ixed
mobile node
protective equipment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150A (ko
Inventor
조주현
문만호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프온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프온,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세이프온
Priority to KR102018003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2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2Sit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 시스템{Fall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락 사고는 작업자가 산업현장 중의 고소(高所)에서 작업할 때 작업을 위하여 설치한 발판에서 발을 헛딛거나, 발판이 무너져 추락하는 사고이다.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추락의 위험이 있는 현장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보호장구(예를 들어, 그네식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현장으로 접근한 후,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 예를 들어, 보호장구의 후크를 현장의 프레임 등 고정된 시설에 고정시켜 만약의 경우, 예를 들어 발을 헛딛거나, 발판이 무너져도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그네처럼 프레임에 매달리도록 하여 추락을 면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3146호(고안의 명칭: 안전그네)는 "본 고안은 작업자가 어깨와 허리, 허벅지 등으로 메어 착용하도록 이루어지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고정을 위한 원터치 버클과, D링 고정구, 연결클립 등으로 이루어지는 안전그네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 부분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벨트를 반복적으로 접어 형성시킨 다수의 주름들과 상기 각 주름들의 골 배면에 접하며 상기 주름들의 골에 편직 되어 결합하는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 부재로 이루어지는 주름벨트부가 더욱 구성되어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그네에 의하면, 안전그네의 벨트에 구성되는 신축성 있는 주름벨트부가 해당 안전그네를 착용한 작업자의 동작시 유동적으로 신축되어 작업자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높은 작업효율과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더욱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0003998호(고안의 명칭: 고소 작업용 안전그네)는 "본 고안은 고소 작업용 안전그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멜빵용 벨트와 다리 감쌈용 벨트, 등/배 지지용 벨트 및 벨트 연결구를 일체로 구비한 체결벨트의 교차점에는 협지구가 설치되고, 상기 협지구의 걸고리에는 충격 흡수용 로프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충격 흡수용 로프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고리에는 잠금 기능을 갖는 훅이 설치된 고소 작업용 안전그네에 있어서, 상기 체결벨트 중 다리를 감싸는 다리 감쌈용 벨트의 중간부를 절단하고, 이 절단부위에 암수 버클 또는 걸림용 링과 암벽 등반에 쓰는 도구의 하나로써 강철로 만든 둥근 테로 스프링이 달린 카라비너 또는 걸림용 링과 훅으로 구성되는 결착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안전그네 자체를 매우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그네의 착탈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고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고 개시하고 있다.
보호장구(10)의 하나의 구체예로서 소위 "그네식 보호장구"의 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호장구(1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11), 연결띠(13)를 통하여 본체(1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12)을 포함하며, 추락방지수단(12)으로서는 후크와 같이 작업 현장의 프레임 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이 사용된다. 도 1에서는 추락방지수단(12)이 본체(11)의 측면에 걸어 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추락의 위험이 있는 현장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장구(10)를 착용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현장에 접근하여 먼저 작업현장의 프레임(F)과 같은 확실히 고정된 시설에 추락방지수단(12)을 고정시켜 만약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보호장구(10)를 착용하고도 부주의 또는 무관심 등에 의해 후크와 같은 추락방지수단(12)의 고정을 망각하여 추락하는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현장의 빈번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사전 설정된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순간, 자동으로 보호장구에서 알람 경고가 주기적으로 출력을 행하고,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 예를 들어 후크를 상부 또는 주변의 프레임에 장착을 하면 자동으로 알람이 해제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위험지역에서 반드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장착해야만 비로소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호장구 역시 작업자가 본인의 의지에 따라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장착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추락의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의 작업(고소 작업)인 경우에도 작업자의 망각이나 부주의, 무관심에 의해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상부 또는 주변의 프레임에 장착하지 않고 작업자의 보호장구 내의 주변부에 장착한 채로 작업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사고 예방으로써의 주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1050호(고안의 명칭: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그네를 착용한 상태에서 느슨하게 늘어진 안전벨트를 정리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그네와, 양단에 고리가 각각 장착된 안전벨트와, 작업자의 허리 측부에 대응하는 안전그네의 일부분에 안전벨트의 길이 중간부가 탈부착되도록 장착된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 등이 사전 설정된 추락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추락방지수단을 확실하게 프레임 등에 고정시켜 불의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네식 보호장구"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장구를 위험지역 등에서 사용 상황을 보여주는 예로, 작업장의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보호장구 본체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알람 출력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추락방지수단이 프레임 등에 고정된 상태(알람 출력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2 모바일 노드를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제3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알람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경우의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으로서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 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추락방지수단으로서의 후크의 미체결 상태에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 추락방지수단으로서의 후크의 체결 상태에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의 무선연결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9의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의 유선연결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추락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 시, 사전 설정한 추락 위험지역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일정 주기로 알람 경고를 줌으로써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작업자에 의한 추락방지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알람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전 설정된 위험지역 내에서 작업자가 추락방지수단을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만 알람 경고를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의 작동을 망각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 보호장구를 착용한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있는 지 또는 비위험 지역에 있는 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2)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이 작동되었는 지의 여부를 인시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위의 조건 1) 및 2)의 기술적 조합을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장구(20)와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2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21), 연결띠(23)를 통하여 본체(2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22);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24);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25);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장구(2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21), 연결띠(23)를 통하여 본체(21)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22);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24);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25);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보호장구(20)의 본체(21)에 앵커 노드(24)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제1 모바일 노드(25)를 고정시킴으로써 일차적으로는 상시적으로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본체(21)로부터 얼마나 이격되어 있는 지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제2 모바일 노드(26)를 설치하여 이차적으로는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진입하였는 지의 여부에 대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 노드(24)가 구비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를 중심으로 제1 모바일 노드(25)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 영역(①) 및 제2 모바일 노드(26)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②)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영역(①)은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현재의 추락방지수단(22)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제2 영역(②)은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추락 위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이동하여 추락 위험 영역 내로 진입하였음에도 추락방지수단(22)이 여전히 보호장구(20)에 근접하게(즉, 제1 영역(①)의 범위 이내에) 위치되는 경우(도 3에 도시된 경우), 알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 가능성을 인지하도록 하고,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되도록 추락방지수단(22)을 작동시키도록 하여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제2 영역(②) 내로 진입하였음에도 여전히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22)을 작동시키지 않아(즉, 제1 모바일 노드가 여전히 제1 영역(①) 이내에 존재하여) 추락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우에만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달리,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이동하여 추락 위험 영역 내로 진입하였더라도, 추락방지수단(22)이 보호장구(20)로 이격되어(즉, 제1 영역(①)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위치되는 경우(도 4에 도시된 경우), 즉, 작업자가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을 본체(21)로부터 이격시켜 프레임(F) 등에 고정시키는 경우, 더 이상의 알람 출력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알람으로 인한 작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호장구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위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TLS: Real Time Locating System)을 응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 이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수동형 및 능동형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CSS(Chirp Spread Spectrum), IR-UWB 등의 무선인식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작업자의 위치 좌표를 도출하기 위한 무선 측위 기술로, 이를테면 Cell-ID 기술, AOA(Angle Of Arrival) 기술, TOA(Time Of Arrival) 기술,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술,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n) 기술, TOF(Time Of Flight) 기술, Fingerprint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기술 중 특히 TOA(Time Of Arrival) 기술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간에서 전송되는 RF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간 거리를 구하고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정확도 측면에서도 양호하며, 또한 위치추적 범위에서도 비교적 넓은 범위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는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들) 및 제어부 간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 경우 무선통신 모듈로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람부는 작업자에게 추락 사고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알람(alarm)을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 알람 수단으로 이를테면, 청각(부저, 사이렌 등), 시각(경광 램프, 비상안내 문자 발송 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여, 전원부, 무선 통신부, 알람부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로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2 모바일 노드(26)를 기준으로 일정한 영역(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서 알람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경우의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함에도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도면 중 섬광 표시의 경우), 알람이 발생되고, 보호장구(20)를 착용한 작업자가 제3 영역(③) 내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보호장구(20)의 추락방지수단(22)이 프레임(F) 등에 고정된 경우(도면 중 섬광 미표시의 경우), 알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26)를 중심으로 보호장구(30)를 포함하는 고정형 검출루프(31)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보호장구(30)를 포함하는 고정형 검출루프(31)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정형 검출루프(3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2 모바일 노드(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26-1, 26-2, 26-3 및 26-4)를 포함하는 망형 검출루프(41), 보호장구(30)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제2 모바일 노드(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26-1, 26-2, 26-3 및 26-4)를 포함하는 망형 검출루프(41)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망형 검출루프(4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은,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고정루프(51)와 고정루프(51)에 연결되는 앵커 노드(52), 보호장구(30) 및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30)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고정루프(51)와 고정루프(51)에 연결되는 앵커 노드(52)를 제외한 잔여의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정루프(51)에 보호장구(30)를 상시적으로 종속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추락방지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안전 확보 수단의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는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부와 후크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후크부는 후크를 구성하는 고리본체(122)와, 고리본체(122)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리연결부(123)와, 고리본체(122)로부터 연장굴곡되는 안전고리(124) 및 고리본체(122)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전고리(124)와 함께 개폐가능한 고리를 구성하는 후크레버(125)를 포함하며, 센서부는 감지스위치부(127) 및 스위치신호전송부(128)를 포함한다.
센서부의 감지스위치부(127)와 스위치신호전송부(128)는 감지센서사출물(126)에 고정될 수 있다.
감지스위치부(127)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카본버튼(127a)과 실리콘카본버튼(127a)의 일측면에 고정된 도전성카본(127b) 및 도전성카본(127b)와 면접하도록 실리콘카본버튼(127a) 상에 위치되는 감지접점(127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스위치부(127)는, 평상시, 즉, 실리콘카본버튼(127a)이 눌려지지 않는 경우,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카본버튼(127a)의 탄성 또는 중력으로 인하여 실리콘카본버튼(127a)에 고정된 도전성카본(127b)이 감지접점(127c)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들 도전성카본(127b)과 감지접점(127c)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단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달리, 실리콘카본버튼(127a)이 눌려지는 경우,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카본버튼(127a)에 고정된 도전성카본(127b)이 감지접점(127c)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들 도전성카본(127b)과 감지접점(127c)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 즉,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위치신호전송부(128)는 스위치신호전송회로부(128a), 스위치신호전송회로부(128a)의 동작을 위한 전원의 공급을 위한 배터리(128b)를 포함한다. 배터리(128b)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캡(128c)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배터리캡(128c)은 고정볼트(128d)에 의해 감지센서사출물(126)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수단 및/또는 LED 및/또는 부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1 또는 61')에 무선(도 12) 및/또는 유선(도 1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수단은 특히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에 의해 생성되고 발신되는 체결상태의 송신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에 추락방지수단의 후크체결상태를 송신하고 추락방지 시스템 또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LED(71)를 점등 및/또는 소등 및/또는 점멸시키고/시키거나 부저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음의 발생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이 프레임(F)에 고정된 경우,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의 실리콘카본버튼(127a)이 눌려지고, 실리콘카본버튼(127a)에 고정된 도전성카본(127b)이 감지접점(127c)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들 도전성카본(127b)과 감지접점(127c)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 즉, 통전상태를 유지하여 후크체결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띠(13)로 이러한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에 연결된 보호장구(10)에 고정된 LED(71)를 녹색으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 추락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한 작업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이 프레임(F)을 포함하여 어떠한 다른 것에도 고정되지 않은 경우,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의 실리콘카본버튼(127a)이 눌려지지 않고, 실리콘카본버튼(127a)에 고정된 도전성카본(127b)이 감지접점(127c)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들 도전성카본(127b)과 감지접점(127c)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단전상태를 유지하여 후크체결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띠(13)로 이러한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에 연결된 보호장구(10)에 고정된 LED(71)를 적색으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 추락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작업상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저를 통한 경고음 등을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시스템에 의하여 보호장구(10)를 착용한 작업자가 지상 및/또는 추락의 위험이 없는 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보호장구(10)에 고정된 LED(71)를 녹색으로 점등시키거나 점멸시키거나 또는 아무런 LED(71) 작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추락방지수단(121)의 후크체결감지수단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접촉스위치가 구비된 걸고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보호장구의 걸고리에 본 발명에 따른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이 체결된 경우, 걸고리의 접촉스위치와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121)이 동시에 통전상태가 되며, 이러한 통전상태가 동시적으로 발생되는 경우, LED의 무점등 및/또는 LED의 황색 점등이나 점멸 및/또는 부저의 경고음의 미발생 등을 표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보호장구 11: 본체
12: 추락방지수단 13: 연결띠
20: 보호장구 21: 본체
22: 추락방지수단 23: 연결띠
24: 앵커 노드 25: 제1 모바일 노드
26: 제2 모바일 노드
26-1, 26-2, 26-3, 26-4: 제2 모바일 노드
①: 제1 영역 ②: 제2 영역
③: 제3 영역
30: 보호장구 31: 고정형 검출루프
41: 망형 검출루프 51: 고정루프
52: 앵커 노드
121: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
122: 고리본체 123: 고리연결부
124: 안전고리 125: 후크레버
126: 감지센서사출물 127: 감지스위치부
127a: 실리콘카본버튼 127b: 도전성카본
127c: 감지접점
128: 스위치신호전송부 128a: 스위치신호전송회로부
128b: 배터리 128c: 배터리캡
128d: 고정볼트
61, 61': 제어수단 71: LED
F: 프레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추락방지수단이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며,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 후크부와 후크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후크부는 후크를 구성하는 고리본체와, 고리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리연결부와, 고리본체로부터 연장굴곡되는 안전고리 및 고리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전고리와 함께 개폐가능한 고리를 구성하는 후크레버를 포함하며, 센서부는 감지스위치부 및 스위치신호전송부를 포함하고,
    감지스위치부가 실리콘카본버튼과 실리콘카본버튼의 일측면에 고정된 도전성카본 및 도전성카본와 면접하도록 실리콘카본버튼 상에 위치되는 감지접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7.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추락방지수단이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며,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 후크부와 후크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후크부는 후크를 구성하는 고리본체와, 고리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리연결부와, 고리본체로부터 연장굴곡되는 안전고리 및 고리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전고리와 함께 개폐가능한 고리를 구성하는 후크레버를 포함하며, 센서부는 감지스위치부 및 스위치신호전송부를 포함하고,
    스위치신호전송부가 스위치신호전송회로부 및 스위치신호전송회로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의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8. 보호장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보호장구는 작업자의 신체에 고정되는 본체, 연결띠를 통하여 본체에 연결되는 추락방지수단; 보호장구의 본체에 고정되는 앵커 노드; 보호장구의 추락방지수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제1 모바일 노드;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 설치되는 제2 모바일 노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앵커 노드와 모바일 노드로부터 입력되는 실시간 거리 측정 정보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 결과가 사전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앵커 노드, 모바일 노드, 무선 통신부,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추락방지수단이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며, 후크체결감지수단을 구비하는 추락방지수단이 후크부와 후크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며, 후크부는 후크를 구성하는 고리본체와, 고리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리연결부와, 고리본체로부터 연장굴곡되는 안전고리 및 고리본체에 힌지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전고리와 함께 개폐가능한 고리를 구성하는 후크레버를 포함하며, 센서부는 감지스위치부 및 스위치신호전송부를 포함하고,
    후크체결감지수단이 구비된 추락방지수단이 블루투스 통신수단, LED, 부저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시스템.
KR1020180035429A 2018-03-27 2018-03-27 추락방지 시스템 KR102057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29A KR102057239B1 (ko) 2018-03-27 2018-03-27 추락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429A KR102057239B1 (ko) 2018-03-27 2018-03-27 추락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50A KR20190113150A (ko) 2019-10-08
KR102057239B1 true KR102057239B1 (ko) 2019-12-18

Family

ID=6820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429A KR102057239B1 (ko) 2018-03-27 2018-03-27 추락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88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20230134230A (ko) 2022-03-14 2023-09-21 정용교 고공 작업자용 추락 보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57B1 (ko) 2015-12-22 2017-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157B1 (ko) 2015-12-22 2017-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88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102552630B1 (ko) * 2020-03-19 2023-07-13 주식회사 아이오유 안전 고리 체결 감지 장치
KR20230134230A (ko) 2022-03-14 2023-09-21 정용교 고공 작업자용 추락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150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5053B2 (en) Personal fall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KR10196472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 안전 관리시스템
CN110198763B (zh) 智能高度安全系统
US11969612B2 (en) Safety equipment
US10828517B2 (en) Smart fall arrest system
US11266862B2 (en) Self-retracting lanyard with fall protection harness tracker
US11207550B2 (en) Controlled descent self-retracting lanyard
KR10179015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2009165517A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WO2015160549A1 (en) Man down detector
KR102057239B1 (ko) 추락방지 시스템
US10610710B2 (en) Fall protection radio frequency emergency beacon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9214076B2 (en) Firefighter's safety monitoring and alarm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20210072164A (ko) 안전고리 체결지역여부 및 체결여부 판단장치
US8730030B2 (en) Hazard/perimeter safety system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102286381B1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022208A (ko) 추락방지 시스템
CN113854692A (zh) 一种安全帽的安全报警装置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CN106457004B (zh) 制动器装置及其监控系统
JP2020006111A (ja) 無胴綱監視装置および高所安全確保支援装置
CN220967922U (zh) 一种智能报警式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